KR20130032804A -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804A
KR20130032804A KR1020110096617A KR20110096617A KR20130032804A KR 20130032804 A KR20130032804 A KR 20130032804A KR 1020110096617 A KR1020110096617 A KR 1020110096617A KR 20110096617 A KR20110096617 A KR 20110096617A KR 20130032804 A KR20130032804 A KR 20130032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user
mode
servic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일
정연범
김경원
이완용
박정수
Original Assignee
(주)에스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모바일 filed Critical (주)에스모바일
Priority to KR1020110096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2804A/ko
Publication of KR2013003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휴대한 사용자가 위급한 상황에서 긴급호출 서비스를 비롯한 개인 안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을 제공한다.
개인 안심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는 긴급호출 기능을 가진 장치를 휴대하게 되고, 본인이 가진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긴급호출 기능을 동작 할 수 있게 된다. 그 긴급호출 동작 장치는 안전 자택 모드와 성추행 방지 모드를 제공하여 보다 장치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전원OFF시에 긴급호출을 보다 쉽게 하여, 장치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ERSONAL SECURITY WITH SMARTPHONE }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휴대한 사용자가 위급한 상황에서 긴급호출 서비스를 비롯한 개인 안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을 제공한다.
흉악범죄, 여성, 청소년 대상의 성범죄가 증가함에 따라서 개인 안심 서비스에의 제공이 필요하며 범용 스마트 폰 ( 아이폰, 안드로이드 OS )가 보편화 되면서 스마트 폰이 일반적으로 보급 및 서비스가 활성화 됨에 따라서 스마트 폰 앱을 기반으로 한 개인 안심, 출동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여성이나 청소년의 경우에 스마트 폰 휴대 시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고 다니기에 위급한 상황( 수상한 사람, 괴한 )의 경우, 스마트 폰을 꺼내서 어플을 구동하고, 동작해야 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서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게 되어서 서비스가 제대로 활성화가 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스마트 폰과 연계하여 긴급호출을 보다 편하게 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 요청되고 있다.
보안 출동사와 연계하여 출동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하여 월정액 가입이라는 사용자가 일정 부분 부담해야 하는 비용을 받아야 하는데, 긴급 호출을 통한 안심서비스만 제공하다 보니, 만일의 한번의 상황을 위한 월정액 가입이라는 사용자의 부담이 있어서, 평상시에도 사용자가 출동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고, 보다 서비스를 편하게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의 제공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일반 스마트폰 사용자가 가방이나 주머니에 휴대하더라도 위급한 상황에서 쉽게 누를 수 있는 보다 긴급호출 기능을 탑재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긴급호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긴거리 통신 (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을 설정하고, 그 장치가 동작하는데 있어서, 사용시간을 늘리기 위하여 전원 OFF상태에서 전원을 ON함과 긴급호출의 버튼을 감지하여 긴급호출을 동작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가 일반적인 휴대 상태에서 장치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스마트폰에서 전화 수신이나 메시지 수신 시에 알림을 해주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가 특정 지역, 자택에 들어 갔을 경우에 안전 자택 모드를 설정 할 수 있게 하고, 집안에서도 출동 서비스를 이용할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가 대중 교통 이용할 경우에 성추행 방지 모드를 설정 할 수 있게 하고, 성추행 방지를 위한 긴급호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기능 동작을 제공 장치는 장치의 전원 On/off를 처리하는 전원장치부, 긴급호출 동작을 인식하는 긴급호출 제어부,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스마트 폰에서 알람을 전달 받아서 정보를 표시하거나, 알람을 처리하기 위한 정보알람부, 장치와 스마트 폰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기능 동작을 제공 장치는 단말 사용시간을 늘리기 위해서 전원 OFF 상태에서 전원을 켰을 경우 버튼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버튼 감지 여부를 판단하여 긴급호출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기능 동작을 제공 장치는 스마트 폰에서 전화기를 수신하거나 메시지를 수신 시에 요청을 받는 단계,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기능 동작을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안전 자택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안전 자택 모드 상태에서 긴급호출을 눌렀을 경우, 무음 모드로 긴급호출을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홈네트워크 장치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설정 없이 안전 자택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기능 동작을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성추행 방지 모드 설정하는 단계, 성추행 방지 모드 상태에서 긴급호출을 눌렀을 경우, 음성으로 주변에 위험을 알리는 동작 단계, 스마트 폰을 통해서 보안 출동사나 지하철 수사대등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기능 동작을 제공 장치는 장치의 전원 On/off를 처리하는 전원장치부, 긴급호출 동작을 인식하는 긴급호출 제어부,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스마트 폰에서 알람을 전달 받아서 정보를 표시하거나, 알람을 처리하기 위한 정보알람부, 장치와 스마트 폰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기능 동작을 제공 장치는 단말 사용시간을 늘리기 위해서 전원 OFF 상태에서 전원을 켰을 경우 버튼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버튼 감지 여부를 판단하여 긴급호출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기능 동작을 제공 장치는 스마트 폰에서 전화기를 수신하거나 메시지를 수신 시에 요청을 받는 단계,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기능 동작을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안전 자택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안전 자택 모드 상태에서 긴급호출을 눌렀을 경우, 무음 모드로 긴급호출을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홈네트워크 장치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설정 없이 안전 자택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기능 동작을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성추행 방지 모드 설정하는 단계, 성추행 방지 모드 상태에서 긴급호출을 눌렀을 경우, 음성으로 주변에 위험을 알리는 동작 단계, 스마트 폰을 통해서 보안 출동사나 지하철 수사대등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장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OFF시 긴급호출을 동작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장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장치(100)는 스마트 폰과 WPAN으로 연동되는 특화 장치이며, 기존의 블루투스 헤드셋에 기능을 추가하여 제공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부(101)는 긴급호출장치(100)의 전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파워 버튼에 의하여 전원을 켤 수 있으나, 긴급호출 버튼을 통해서도 전원이 켜질 수 있도록 구성 될 수 있다. 그리고 긴급호출제어부(102)는 사용자가 편하게 인지하고 누를 수 있는 버튼 구조로 설계 될 수 있으며, 보다 나아가 음성 인식이나 신체의 변화 인식 등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동작 할 수 있도록 제공 될 수 있다. 그리고 상태표시부(103)는 장치의 동작상태 및 충전 알림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도록 LED나 LCD등으로 구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알람부(104)는 스마트 폰으로 부터 전화나 메시지가 왔을 경우에 전달 받은 메시지를 음성이나 LED 혹은 LCD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제어부(104)는 현재 스마트 폰에 기본 탑재되어 있는 블루투스 기반의 통신기능을 제공하지만, 보다 나아가 WPAN의 다양한 통신 방식에 의하여 스마트 폰과 연결을 유지시켜 주는 장치로 구성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OFF시 긴급호출을 동작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용시간을 늘리기 위하여 전원OFF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110), 사용자가 위험을 느꼈을 경우 긴급호출을 눌렀을 경우와 전원을 켜서 부팅하는 시점에 버튼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11)을 거치게 되면, 버튼을 감지했을 경우에 긴급호출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112)와 일반적인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단계(113)로 동작 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 장치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가지기 위해서 버튼 감지여부의 판단과 더불어서 사용자의 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인체 센서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긴급호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제공 될 수도 있다.
실시예로, 긴급호출장치(100)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 된 상태에서 헤드셋 프로파일을 통해서 전화가 수신됨을 알 수 있도록 구현 될 수 있으며,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 서비스의 메시지 통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메시지 수신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때에 스마트 폰에서는 정보알람부(104)와 연계하여 수신 여부를 통지 할 수 있으며, 통지를 받은 정보알람부(104)는 LED나 LCD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긴급호출 장비를 휴대한 사용자는 긴급 시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휴대 중에도 사용할 수 있어서 장비의 휴대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로, 긴급호출 장치(100)를 받은 사용자는 연동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게 되는데, 설치 과정에서 본인의 자택 주소를 동,번지,호수까지 세밀히 입력을 미리 받아 둘 수 있다. 미리 저장된 주소는 출동사의 서버에 저장 될 수 있으며, 호출시에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이동 후 자택에 귀가 하게 되면 앱을 구동하여 안전자택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현관문에 설치된 센서나 홈네트워크 장치와 연동하여 긴급호출 장치(100)가 자동으로 모드로 전환 될 수 있도록 구현 될 수 있다. 안전자택모드로 전환된 장치는 사용자가 잠자는 도중, 괴한이 침입하거나 이상한 소리가 발생했을 경우, 비상 호출 버튼을 누르게 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사운드를 재생하거나, 무음으로 동작 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 통지하여 출동사에 출동 요청 프로세스를 동작 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일반 적인 여성의 경우, 비좁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시 에 성추행을 자주 겪게 된다. 비좁은 상황이라 스마트폰을 꺼내거나 동작하기가 어려운데, 긴급호출장치(100)는 휴대하기 편하고, 호출 버튼만 누르기만 하는 장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성추행방지모드로 전환하여 동작 할 수도 있고, 지하철지역이나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지역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모드를 전환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긴급호출 장치
101: 전원장치부
102: 긴급호출 제어부
103: 상태표시부
104: 정보알람부
105: 통신제어부
110: 전원OFF
111: 버튼 감지 여부 판단
112: 긴급호출모드
113: 대기모드

Claims (5)

  1. 스마트폰과 통신을 요청, 수락하고 유지하는 통신제어부;
    상기 통신을 유지 중에 스마트폰의 정보 알람을 받아서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정부 알람부 및
    장치의 전원의 상태 및 전원을 상태를 제어하는 전원장비부 및
    사용자가 긴급호출 동작을 쉽게 할 수 있는 긴급호출제어부 및
    장치의 전원 상태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는 상태표시부
    를 포함하는 긴급호출 동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호출 동작장치를 통해서, 전원 부팅 시에 긴급호출 버튼을 감지할 수 있는 단계와 긴급호출 모드로 자동으로 진입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알람부를 통해서, 전화 수신 및 메시지 수신 시 통지를 받는 단계와 그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표시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호출 장치를 받은 사용자가 사전에 상세한 주소를 입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앱을 통하여 직접 안전자택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홈네트워크 장치와 연동을 통해서 자동으로 안전 자택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해당 안전 자택 모드 상황에서 긴급호출 버튼을 눌렀을 경우, 출동사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호출 장치를 받은 사용자가 대중 교통을 이용 시 앱을 통해서 성추행방지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대중교통의 장비등과 연계하여 위치 정보나 장비 인식을 통해서 자동으로 성추행방지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성추행방지 모드에서 긴급호출버튼을 눌렀을 경우에 출동사나 지하철 수사대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096617A 2011-09-23 2011-09-23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32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617A KR20130032804A (ko) 2011-09-23 2011-09-23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617A KR20130032804A (ko) 2011-09-23 2011-09-23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804A true KR20130032804A (ko) 2013-04-02

Family

ID=4843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617A KR20130032804A (ko) 2011-09-23 2011-09-23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280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0587A (zh) * 2013-05-28 2013-09-18 国家电网公司 主动式红外探测led声光警示牌
WO2014181967A1 (ko) * 2013-05-09 2014-11-13 Ahn Tae Hoon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86402B1 (ko) * 2013-04-17 2015-01-28 이환규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CN104570829A (zh) * 2014-11-19 2015-04-29 苏州市欧康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可靠性uv安全防护系统
KR20160006553A (ko) 2014-07-09 2016-01-19 주식회사 호서텔넷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402B1 (ko) * 2013-04-17 2015-01-28 이환규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WO2014181967A1 (ko) * 2013-05-09 2014-11-13 Ahn Tae Hoon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70498B1 (ko) * 2013-05-09 2014-12-08 안태훈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
US9824560B2 (en) 2013-05-09 2017-11-21 Tae Hoon AH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crime prevention equipment
CN103310587A (zh) * 2013-05-28 2013-09-18 国家电网公司 主动式红外探测led声光警示牌
KR20160006553A (ko) 2014-07-09 2016-01-19 주식회사 호서텔넷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CN104570829A (zh) * 2014-11-19 2015-04-29 苏州市欧康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可靠性uv安全防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4812B2 (en) Method of protecting power receiver and related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30032804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75377B1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US11736925B2 (en) Low-power mobile telephony alert system
KR101577690B1 (ko) 긴급 구난 요청 장치 및 방법
KR20140007051A (ko) 휴대단말기 도난방지 시스템 및 도난방지장치
CN106406244A (zh) 可穿戴智能家居控制系统
US11107343B2 (en) System and method of user mobility monitoring
KR20130086676A (ko) 리모컨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구조 방법
CN102691467A (zh) 一种智能型防盗门
KR20190023657A (ko)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CN107170216A (zh) 紧急呼救装置、求救信号发送装置以及紧急呼救方法
KR20120135504A (ko) 액세서리 단말기를 이용한 안전 지킴이 시스템 및 방법
CN104680686A (zh) 便携式呼叫报警器
JP2017108435A (ja) 近距離無線部を含むモバイルステーション、および対応する方法
CN204463326U (zh) 便携式呼叫报警器
KR101602432B1 (ko)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2325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에티켓 시스템
KR20160049847A (ko) 브라 볼륨 패드를 이용한 여성 구조 시스템
KR10146848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101456689B1 (ko) 무선경보장치와 무선경보시스템 및 그 무선경보방법
KR20120102472A (ko) 휴대폰 수신 알림이
KR20110032863A (ko) 가방용 경보장치
KR20160007921A (ko) 센서부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안심 긴급 통보 시스템
US20180225955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