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657A -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657A
KR20190023657A KR1020170109741A KR20170109741A KR20190023657A KR 20190023657 A KR20190023657 A KR 20190023657A KR 1020170109741 A KR1020170109741 A KR 1020170109741A KR 20170109741 A KR20170109741 A KR 20170109741A KR 20190023657 A KR20190023657 A KR 20190023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ing
emergency rescue
mobile phon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6937B1 (ko
Inventor
김세진
Original Assignee
(주)오투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투원스 filed Critical (주)오투원스
Priority to KR102017010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9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53Finger-rings having special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링 형태의 반지로서, 휴대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휴대폰으로 블루투스 전송하는 긴급 구조용 반지; 긴급 구조용 반지를 착용한 사용자가 사용한 휴대폰으로서, 상기 긴급 구조용 반지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긴급 구조용 반지로부터 수신한 터치나, 클릭이나, 특정값 이상의 압력으로 입력된 입력 정보에 따라서 미리 등록된 제3자 휴대폰이나 서버인 중계기기;로 사용자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구조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휴대폰; 및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부터 긴급 구조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구조 요청을 구조 센터 서버로 중계 전송하는 중계기기;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System for emergency rescue using ring}
본 발명은 긴급 구조 시스템으로서, 반지와 휴대폰을 이용하여 긴급 구조할 수 있는 긴급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긴급상황이 발생한 상태에서 가장 손쉽게 구조를 요청하고 요청된 구조요청에 가장 확실하고 빠르게 대응을 하는 시스템은 최근의 여러 범죄사건에서 보듯이 반듯이 해결되어야 하는 국가적인 과제이다.
잘 모르는 생소한 곳에서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사람이 없는 곳에서 위험을 접하거나 어둡고 외진 곳에서 위험을 느끼거나, 집에 혼자 있어서 주변에 아무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없는 상황에서 위험을 느끼거나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경우 가장 간단하고 손쉽게 구조를 요청하고 가장 빠르고 신속하게 구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하는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용한 긴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은 매우 사람에게 편리하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긴급 상황이 발생시 가장 편리하게 상황을 발동시키는 기기는 휴대용 기기이며 반지와 같이 몸에 항상 부착을 하면서 사용하면 가장 손쉽게 필요한 요청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반지를 활용한 긴급 구조 요청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등록특허 10-0735232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반지와 휴대폰을 이용하여 긴급 구조할 수 있는 긴급 구조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링 형태의 반지로서, 휴대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휴대폰으로 블루투스 전송하는 긴급 구조용 반지; 긴급 구조용 반지를 착용한 사용자가 사용한 휴대폰으로서, 상기 긴급 구조용 반지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긴급 구조용 반지로부터 수신한 터치나, 클릭이나, 특정값 이상의 압력으로 입력된 입력 정보에 따라서 미리 등록된 제3자 휴대폰이나 서버인 중계기기;로 사용자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구조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휴대폰; 및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부터 긴급 구조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구조 요청을 구조 센터 서버로 중계 전송하는 중계기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 구조용 반지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인식 모듈; 상기 터치 인식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사용자 휴대폰으로 블루투스 전송하는 컨트롤러 유닛;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 터치 인식 모듈, 및 컨트롤러 유닛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 터치 인식 모듈, 컨트롤러 유닛, 및 배터리가 탑재된 링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식 모듈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방식, 스위치 클릭 방식, 압력 감지하는 압력 센서 방식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재; 상기 입력 신호를 MCU에 입력 정보로서 전달하는 신호 전달 부재;로 된 입력 신호 발생 부재; 및 맥박 수치를 센싱하는 맥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입력 신호 발생 부재 및 맥박 센서를 통해 방생시킨 입력 정보를 사용자 휴대폰과 블루투스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 휴대폰은, 상기 휴대폰 제어용 반지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 발생 부재 및 맥박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가 사용자 휴대폰에 설정된 특정 기준에 해당되면, 사용자 휴대폰은 구조 요청을 중계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맥박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맥박 수치를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휴대폰은, 수신한 맥박 수치가 미리 설정된 맥박 임계 수치를 넘은 경우, 상기 중계기기로 사용자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구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맥박 임계 수치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상 맥박 수치보다 ±20% 범위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조 센터 서버는, 긴급구조 요청을 수신하면 지도와 지도상에 긴급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표시하여 구조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체구조상 위급한 상황하에서 가장 활용하기 편리하고 사람의 몸에 가장 자연스럽게 장시간 착용이 가능한 반지를 기반으로 긴급대응 시스템 및 운영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며, 단계별로 분리한 지원 시스템은 기능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경찰의 불필요한 출동을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실시간 위치 정보와 지도를 이용한 구조 상황을 공유하게 하여 가장 효과적이고 최적의 구조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인이 한국을 방문한 경우 위험에 처한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대응 가능하게 되는 등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용 반지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용 반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조자 단말기에 긴급구조 요청자의 위치가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기 위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반지 형태의 기기와 반지에서 발생한 긴급상황 발생의 신호를 받는 1단계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이 준비되고 이 휴대폰은 반지를 차고 있는 사람의 신호에 연동해 반지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주기적인 연결동작과 정보 전달을 하게 된다.
제1단계 휴대폰은 전달받은 긴급상황을 사전에 등록한 제2단계 휴대폰이나 휴대 기기나 서버(이하, '중계기기'라 함)에 자동으로 원거리 전송을 통해 정보를 제공한다.
제2단계에서 연결된 휴대폰이나 휴대 기기는 전달받은 긴급 상황을 원거리 무선 통신이나 유선 통신망으로 제3단계 중계기기(제3자 휴대폰이나 서버)에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송이 이루어진다. 제3단계 중계기기의 사용자나 운영자는 상황을 파악해 본인이 직접 구조요청에 대응을 할지, 아니면 3단계 연결자에 구조요청을 추가로 할지 결정을 하게 한다. 3단계로 연결되어 정보를 받은 구조 대응 인력은 사용자의 규정에 의해 긴급 구조 요청을 한 사람이 있는 위치로 긴급하게 출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긴급구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 반지를 이용한 긴급구조 대응 시스템
- 반지의 터치 신호에 따라 긴급구조 요구가 발생하는 모바일 기기
- 긴급구조 요청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미리 등록을 하는 2단계 휴대폰이나 모바일 기기 또는 서버
- 긴급구조 요청을 수신하면 자동으로 지도와 지도상에 긴급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기 및 서비스
- 지도에 긴급구조요청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기기 및 서비스
- 긴급구조 요청에 대응을 하는 선택을 하도록 하는 기기 및 서비스
- 긴급구조요청에 대응하는 사람들의 위치가 자동으로 지도에 긴급구조 요청자의 실시간 위치와 동시에 표시되는 기기 및 서비스
- 구조요청 지원자의 위치와 구조요청자의 위치까지 가는 소요시간을 표시하는 기기
- 구조요청자의 위치로 이동하는 수단 및 수단별 소요시간 및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기기 및 서비스
- 구조요청자의 요청내용을 등록된 경찰이나 정식 구조대에 연결하는 버튼이나 방법을 같이 제공하는 기기나 서비스
- 구조요청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경찰이나 구조대를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실시간 경찰이나 구조대의 위치 제공 서비스
- 2단계 구조지원자에게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기기 및 서비스
- 2단계 구조 지원자에게 연결되어 구조요청자가 구조활동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를 발생하는 기기 및 서비스
- 2단계 구조지원자에게 연결이 특정시간 동안 안되었을 경우 구조요청자가 경찰에 바로 요청을 하도록 하는 기기 및 서비스
- 구조요청 시스템을 운영하는 나라의 언어를 모르는 외국인 사업가나 방문객들에게 적용하면 구조요청을 하는 서비스
- 외국인에게 언어소통이 되는 구조요청 지원인력을 연결해 주는 서비스
- 경찰과 연결 없이 2단계 구조요청의 인력으로 운영하는 서비스
- 이 기기와 시스템을 구조요청 이외의 활용을 하는 서비스
이하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용 반지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용 반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조자 단말기에 긴급구조 요청자의 위치가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휴대폰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휴대폰(200), 중계 기기(300), 및 긴급 구조용 반지(100)를 포함한다.
사용자 휴대폰(200)은, 긴급 구조용 반지(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사용한 휴대폰으로서긴급 구조용 반지(1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도면에서는 사용자 휴대폰(200)의 예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사용자 휴대폰(2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급 구조용 반지(100)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에 따라서 미리 등록된 제3자 휴대폰이나 특정 서버인 중계 기기(300)로 사용자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구조 요청을 전송한다.
중계 기기(300)는, 사용자의 지인, 친척 등과 같이 제3자가 사용하는 휴대폰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휴대폰(200)으로부터 긴급 구조 요청이 있는 경우, 상황을 판단한 후 사용자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구조 요청을 구조 센터 서버로 중계 전송한다. 또는 제3자는 직접 사용자의 위치로 방문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또는 사용자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구조 요청을 119 센터 서버 또는 경찰서 센터 서버와 같은 구조 센터 서버로 전송한다.
구조 센터 서버는, 긴급구조 요청을 수신하면 지도와 지도상에 긴급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표시하여 구조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급 구조 요청자의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되어 손쉽게 구조할 수 있게 된다.
긴급 구조용 반지(100)는, 사용자 휴대폰(2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링 형태의 반지로서, 휴대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긴급 구조용 반지(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휴대폰으로 블루투스 전송한다.
이를 위해 긴급 구조용 반지(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하우징(110),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 터치 인식 모듈(130), 컨트롤러 유닛(140), 및 배터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링 하우징(110)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의 링 형태 등 다양한 모양의 하우징으로서,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 터치 인식 모듈(130), 컨트롤러 유닛(140), 및 배터리가 탑재된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은, 사용자 휴대폰(20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터치 인식 모듈(130)은,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는 모듈이다. 참고로, 터치 인식 모듈(130)은, 앞에서 기술한 다양한 터치 입력방식은 물론이고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맥박 수치를 센싱하는 맥박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 유닛(140)은, CPU(controller processor unit), MCU(main controller unit)과 같이 연산 가능한 유닛으로서, 터치 인식 모듈(130)을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사용자 휴대폰(200)으로 블루투스 전송한다.
배터리(15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0), 터치 인식 모듈(130), 및 컨트롤러 유닛(140)에 구동 전력을 제공한다.
한편, 터치 인식 모듈(130)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맥박 수치를 센싱하는 맥박 센서로 구현된다고 가정하면, 컨트롤러 유닛(140)은, 압력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맥박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맥박 수치를 감지한다.
컨트롤러 유닛(140)은, 맥박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맥박 수치를 상기 사용자 휴대폰(200)으로 전송한다. 사용자 휴대폰(200)은, 수신한 맥박 수치가 미리 설정된 맥박 임계 수치를 넘은 경우, 중계 기기(300)로 사용자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구조 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맥박 임계 수치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상 맥박 수치보다 ±20% 범위이다.
이러한 컨트롤러 유닛(140)의 동작을 상술하기로 한다.
1. 사용자 휴대폰(200)과 연결되어 작동하는 긴급 구조용 반지(100)에서 1단계로 긴급을 인지한 사람이 1) 반지에 부착되어 신호를 발생하게 해주는 압력을 이용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의 반복된 시간을 누르는 동작으로 긴급상황의 1단계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과, 2) 터치나 클릭 방식의 경우 5초~8초간 길게 누르면 1단계가 발생하는 방식이 있다.
2. 1)의 동작이 발생하면 2단계로 맥박센서가 동작을 하여 30초 단위로 맥박을 측정하게 된다. 2)의 동작이 발생하면 바로 2단계가 작동을 하게 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3. 맥박의 측정치가 평소의 평균치를 범위를 벗어나면 비상사태에 진입을 한다.
4. 측정된 값이 평소보다 20% 높거나 낮으면 비상신호를 발생시킨다.
5. 정해진 스위치나 터치 신호가 발생 후 맥박을 측정해 20% 이상을 벗어나면 정해진 비상기관이나 연결된 지인의 휴대폰인 제3자 휴대폰(300)에게 자동으로 긴급전화와 위치신호를 메일로 주기적으로 보내주게 된다.
6. 스위치 신호나 터치 신호는 한쪽 손만으로도 가능하게 위치를 정하는 장치로 한다.
7. 한 손을 이용해 입력시킨 입력 정보의 조건이 충족되면 맥박 센서가 자동으로 30초 단위로 측정하게 된다.
8. 측정값이 평소의 평균치에 비해 20% 이상 차이를 발생하면 사용자 휴대폰(200)을 통해 긴급신호가 발생을 하게 된다.
9. 1단계 측정시 20%를 벗어나지 않으면 2단계 측정을 하게 되고 3회 측정을 반복하게 된다.
10. 3회 평균이 10% 이상을 벗어나게 되면 긴급 발동을 하게 되고 이중 1회라도 20% 이상을 벗어나면 긴급신호를 발생하게 설정한다.
11. 3회 평균이 10% 이내에 있고, 3회중 1회라도 20% 이상 벗어나지 못하면 긴급상태는 해제되게 한다.
12. 단 이 경우 설정된 특정 사람에게 연락이 자동으로 전달되게 설정을 하는 것은 가능하게 한다.
13. 공공 기관은 이 조건을 수용할 경우 자동발생 신호연결을 하도록 허용을 하게 해주게 되며, 공공 기관과는 이 조건에 대해 별도의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18. 상기의 1) 또는 2)의 2가지 방법중 1개를 만족시켜야 긴급 구조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하게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긴급 구조용 반지
110:링 하우징
120:블루투스 통신모듈
130:터치 인식 모듈
140:컨트롤러 유닛
150:배터리
200:사용자 휴대폰
300:제3자 휴대폰

Claims (7)

  1.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링 형태의 반지로서, 휴대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휴대폰으로 블루투스 전송하는 긴급 구조용 반지;
    긴급 구조용 반지를 착용한 사용자가 사용한 휴대폰으로서, 상기 긴급 구조용 반지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긴급 구조용 반지로부터 수신한 터치나, 클릭이나, 특정값 이상의 압력으로 입력된 입력 정보에 따라서 미리 등록된 제3자 휴대폰이나 서버인 중계기기;로 사용자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구조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휴대폰; 및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부터 긴급 구조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구조 요청을 구조 센터 서버로 중계 전송하는 중계기기;
    을 포함하는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긴급 구조용 반지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인식 모듈;
    상기 터치 인식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사용자 휴대폰으로 블루투스 전송하는 컨트롤러 유닛;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 터치 인식 모듈, 및 컨트롤러 유닛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 터치 인식 모듈, 컨트롤러 유닛, 및 배터리가 탑재된 링 하우징;
    을 포함하는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식 모듈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방식, 스위치 클릭 방식, 압력 감지하는 압력 센서 방식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재; 상기 입력 신호를 MCU에 입력 정보로서 전달하는 신호 전달 부재;로 된 입력 신호 발생 부재; 및 맥박 수치를 센싱하는 맥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입력 신호 발생 부재 및 맥박 센서를 통해 방생시킨 입력 정보를 사용자 휴대폰과 블루투스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 휴대폰은, 상기 휴대폰 제어용 반지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발생 부재 및 맥박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가 사용자 휴대폰에 설정된 특정 기준에 해당되면, 사용자 휴대폰은 구조 요청을 중계기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맥박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맥박 수치를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휴대폰은, 수신한 맥박 수치가 미리 설정된 맥박 임계 수치를 넘은 경우, 상기 중계기기로 사용자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구조 요청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맥박 임계 수치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정상 맥박 수치보다 ±20%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조 센터 서버는,
    긴급구조 요청을 수신하면 지도와 지도상에 긴급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표시하여 구조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KR1020170109741A 2017-08-29 2017-08-29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KR10205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741A KR102056937B1 (ko) 2017-08-29 2017-08-29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741A KR102056937B1 (ko) 2017-08-29 2017-08-29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657A true KR20190023657A (ko) 2019-03-08
KR102056937B1 KR102056937B1 (ko) 2019-12-17

Family

ID=6580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741A KR102056937B1 (ko) 2017-08-29 2017-08-29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593B1 (ko) * 2020-07-14 2022-06-22 (주)마인드트렉 링 마우스를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09116A (ko) 2020-07-15 2022-01-24 이예은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232B1 (ko) 2000-01-25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통보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232B1 (ko) 2000-01-25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통보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937B1 (ko)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6724B2 (en) System containing location-based personal emergency response device
US94266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and 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US8249547B1 (en) Emergency alert device with mobile phone
US72121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emergency notification and determining location
WO2018177425A1 (zh) 一种请求救援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70316676A1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648076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독거 노인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33006B1 (ko) 감시구역 이탈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104689B (zh) 一种安全警示方法及终端
KR20190023657A (ko)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KR20150129465A (ko) 웨어러블 블루투스 기기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EP2698972B1 (en) An emergency alert device with mobile phone
JP5164771B2 (ja) 携帯端末
KR20130032804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JP5122413B2 (ja) 安否確認システムおよび監視センタ装置
CN104065776A (zh) 一种弱势人群跌倒监测系统
KR102470001B1 (ko)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송 방법
US11087613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n emergency event
JP5224997B2 (ja) 携帯端末
RU2259595C1 (ru) Система тревож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и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KR102026432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도착 정보 알림 시스템
US20140038543A1 (en) Personal security system for a mobile device
KR100775534B1 (ko) 응급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원격 보호 단말기, 시스템 및방법
JP2016091265A (ja) ウェアラブル端末
KR102339040B1 (ko) 위급 상황 구조 가이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