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81967A1 -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81967A1
WO2014181967A1 PCT/KR2014/002967 KR2014002967W WO2014181967A1 WO 2014181967 A1 WO2014181967 A1 WO 2014181967A1 KR 2014002967 W KR2014002967 W KR 2014002967W WO 2014181967 A1 WO2014181967 A1 WO 20141819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rime prevention
user
operation mode
unit
risk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29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태훈
Original Assignee
Ahn Tae Ho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Ahn Tae Hoon filed Critical Ahn Tae Hoon
Priority to EP14794131.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996097A4/en
Priority to US14/889,550 priority patent/US9824560B2/en
Publication of WO20141819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819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04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using portable persona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Abstract

범죄 예방기기의 우발적인 사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위험 상황에 따라 범죄 예방기기의 동작 모드를 다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영상에서 상대방의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상대방의 영상을 근거로 상대방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음성의 주파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탐색어를 음성에서 추출해 내는 음성 분석부, 영상 분석부 및 음성 분석부의 결과를 근거로 사용자의 위험 수준을 파악하는 위험 파악부, 및 위험 파악부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에 따라 사용자에게 구비된 범죄 예방기기를 활성화시키는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게로 보내는 동작모드 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충격기 및 가스 분사기와 같은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3년 05월 09일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3-0052535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사회가 고도화되고 복잡하게 되면서 아이들이 범죄의 대상이 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으며, 아동 유괴, 아동 폭행 등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아이들을 범죄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학부모들이 아이들을 학교까지 등하교를 시키고, 아이들에게 낯선 사람을 따라가지 않도록 교육을 강화하게 되었지만,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율을 낮추지 못하였다.
그에 따라, 전기 충격기 또는 가스 분사기 등을 소지하게 하거나, 전기 충격기 또는 가스 분사기와 휴대폰을 기능적으로 통합시킨 기기를 소지하게 하기도 한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범죄 피해가 예상되는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일정시간 신변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자동으로 보안 서비스 제공자에게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는 내용이 기재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100165호(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및 그 장치)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100165호에 개시된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이동전화 단말기의 밧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그 전극은 하우징 외부에 출몰될 수 있는 전기 충격 수단; 상기 전기 충격 수단 및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 충격 수단의 전원스위치를 구동하고, 동시에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에 전기 충격 수단이 구동되었음을 알리는 전기 신호를 발생/전송할 수 있는 비상 스위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에 구비된 저장장치에 할당된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비상 스위치가 턴온(turn on)될 경우 자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조회한 후 그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 (dialing)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위치확인 음성을 보안서비스 제공자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automatic aid control program); 및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발신에 응답하여, 이동전화 단말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음성에 의한 위치 설명으로 단말기 위치를 확인한 후 구조 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한다.
다른 관련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100165호에 개시된 발명의 목적과 동일한 목적을 갖는 내용이 수록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103829호(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및 그 장치)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1-0103829호에 개시된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이동전화 단말기의 밧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가스의 분사제어가 가능한 가스 분사기; 상기 가스 분사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스 분사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스위치를 구동하고, 동시에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에 상기 가스 분사기가 구동되었음을 알리는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있는 비상 스위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에 구비된 저장장치에 할당된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비상 스위치가 턴온(turn on)될 경우 자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조회한 후 그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 (dialing)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위치확인 음성을 보안서비스 제공자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automatic aid control program); 및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발신에 응답하여, 이동전화 단말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음성에 의한 위치 설명으로 단말기 위치를 확인한 후 구조 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기술 및 관련 선행기술들은 사용자(어린이 등)의 실수 또는 호기심에 의해 우발적으로 동작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본의 아니게 선량한 주변 사람을 놀라게 하거나 다치게 할 수 있다.
물론, 관련 선행기술들은 비상 스위치를 일정시간 동안 계속 눌러야 전기 충격 수단 또는 가스 분사기가 동작될 수 있게 하였으나, 그래도 어린이의 실수 또는 호기심에 의해 우발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범죄 예방기기의 우발적인 사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위험 상황에 따라 범죄 예방기기의 동작 모드를 다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영상에서 상대방의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기 상대방의 영상을 근거로 상기 상대방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음성의 주파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탐색어를 상기 음성에서 추출해 내는 음성 분석부; 상기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음성 분석부의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수준을 파악하는 위험 파악부; 및 상기 위험 파악부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구비된 범죄 예방기기를 활성화시키는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로 보내는 동작모드 결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상대방의 영상에서 상기 상대방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상대방의 팔의 움직임을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탐색어는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분석부는 상기 음성의 주파수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의 발생 회수를 검출하고, 상기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의 발생 회수를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험 수준은 비위험 수준과 저위험 수준 및 고위험 수준으로 분류되고, 상기 위험 파악부는 상기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음성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비위험 수준과 저위험 수준 및 고위험 수준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에게 구비된 범죄 예방기기는 복수개이고, 상기 동작모드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구비된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복수의 동작모드중에서 상기 위험 파악부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에 상응하는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험 파악부가 비위험 수준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동작모드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 모두가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동작모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험 파악부가 저위험 수준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동작모드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중에서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동작모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험 파악부가 고위험 수준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동작모드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 모두를 활성화시키는 동작모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범죄 예방기기는 전기 충격기, 가스 분사기, 염산 분사기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범죄 예방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조끼, 팔찌, 목걸이, 허리띠 중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영상/음성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험 파악부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위험이 처해 있음을 외부의 연락처로 통지하는 통지부;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방법은, 영상 분석부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영상에서 상대방의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기 상대방의 영상을 근거로 상기 상대방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단계; 음성 분석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음성의 주파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탐색어를 상기 음성에서 추출해 내는 단계; 위험 파악부가, 상기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음성 분석부의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수준을 파악하는 단계; 및 동작모드 결정부가, 상기 사용자의 위험 수준을 파악하는 단계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구비된 범죄 예방기기를 활성화시키는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로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대방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의 영상에서 상기 상대방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상대방의 팔의 움직임을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탐색어는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의 주파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탐색어를 상기 음성에서 추출해 내는 단계는 상기 음성의 주파수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의 발생 회수를 검출하고, 상기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의 발생 회수를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영상/음성 저장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바람직하게, 통지부가, 상기 사용자의 위험 수준을 파악하는 단계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위험이 처해 있음을 외부의 연락처로 통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어린이와 같은 사용자가 범죄 예방기기를 작동시킬려고 하더라도 실수 또는 장난이 아닌 실제 위험 상황일 경우에만 범죄 예방기기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범죄 예방기기의 우발적인 사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와 같은 사용자가 처해진 위험 상황의 정도에 따라 범죄 예방기기의 동작 모드를 다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음성 분석부에서의 음성 분석에 채용되는 음성 주파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에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예컨대, 어린이 등)는 저마다 사용자 단말(10 또는 20) 및 범죄 예방기기(12 또는 22)를 갖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 단말(10, 2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40)에게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해 줄 수 있고, 서버(40)로부터의 동작모드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범죄 예방기기(12, 22)는 사용자의 조끼, 팔찌, 목걸이, 허리띠, 장갑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범죄 예방기기(12, 22)는 전기 충격기, 가스 분사기, 염산 분사기 등이 될 수 있다. 가스 분사기는 최류 가스를 분사하는데, 최류액을 분출하는 기기일 수도 있다. 전기 충격기, 가스 분사기, 염산 분사기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 기술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조끼, 팔찌, 목걸이, 허리띠 등에는 전기 충격기 또는 가스 분사기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전기 충격기와 가스 분사기 및 염산 분사기가 함께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범죄 예방기기(12, 22)는 상기 예로 든 전기 충격기, 가스 분사기, 염산 분사기 이외로 순간 접착제를 분출하는 기기이어도 된다. 범죄 예방기기(12, 22)는 입력되는 동작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된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전기 충격기와 가스 분사기 및 염산 분사기가 사용자의 조끼, 팔찌, 목걸이, 허리띠, 장갑 등에 설치된 것으로 한다.
서버(40)는 범죄 예방기기(12, 22)의 활성화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서버(4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 20)로부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위치 정보 등을 수신하여 현재 해당 사용자에게 발생된 위험 수준을 판단하여 그에 따른 동작모드(즉, 범죄 예방기기(12, 22)를 활성화시키는 동작모드) 신호를 해당 사용자 단말(10, 20)에게로 보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에는 두 개의 사용자 단말(10, 20)이 도시되어 있는데, 그 두 개의 사용자 단말(10, 20)은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0)에 대해서만 설명하여도 무방하리라 본다.
사용자 단말(10)은 카메라(50), 마이크(52), 영상 처리부(54), 음성 처리부(56), 위치 추적부(58), 송신부(60), 수신부(62), 비상 버튼부(64), 및 제어부(66)를 포함한다.
카메라(50)는 사용자 뿐만 아니라 사용자 주변을 촬영한다. 즉, 카메라(50)는 비상 버튼부(64)의 비상 버튼(도시 생략)이 온(ON)되면 자동으로 동작하여 전방에 있는 사용자 뿐만 아니라 사용자 주변(범죄를 시도하려는 상대방 포함)을 촬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50)는 사용자에게 범죄를 시도하려는 상대방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된다. 카메라(50)는 복수개이어도 무방하다. 카메라(50)가 복수개이면 전방의 상황을 보다 많이 촬영할 수 있어서 범죄 예방에 보다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마이크(52)는 사용자의 음성(발성음)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범죄를 시도하려는 상대방의 음성(발성음)을 수집한다. 마이크(52)는 비상 버튼부(64)의 비상 버튼(도시 생략)이 온(ON)되면 자동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영상 처리부(54)는 카메라(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노이즈 제거를 행하고 서버(40)로의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영상 처리부(54)에서의 데이터 포맷 변환 방식은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음성 처리부(56)는 마이크(52)에 의해 수집된 음성에 대한 노이즈 제거를 행하고 서버(40)로의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음성 처리부(56)에서의 데이터 포맷 변환 방식은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치 추적부(58)는 해당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추적하여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위치 추적부(58)는 GPS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GPS 기술 이외에도 WCDMA, Wi-Fi를 통해서 위치확인이 가능하며 상기의 기술들이 중복적으로 적용되어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WCDMA 또는 Wi-Fi의 경우 GPS 기술을 대신하여 단독으로도 위치파악은 가능하나, 정밀도에 있어서 GPS를 통한 위치확인보다 떨어진다. 그에 따라, WCDMA 또는 Wi-Fi는 위성에서 수신하는 신호를 받지 못하는 음영지역에서 GPS를 통한 위치확인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부(60)는 영상 처리부(54)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음성 처리부(56)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및 위치 추적부(58)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함께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40)에게로 송신한다. 송신부(60)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및 위치 정보를 송신할 때 해당 사용자 단말(10)의 식별 정보(예컨대, ID)를 함께 보낼 수 있다. 해당 사용자 단말(10)의 식별 정보를 함께 보내야 서버(40)가 어느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온 정보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수신부(62)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4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동작모드 신호를 수신한다.
비상 버튼부(64)는 사용자가 위험에 처해 졌을 때 조작된다. 비상 버튼부(64)는 비상 버튼(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제어부(66)는 비상 버튼부(64)의 비상 버튼이 온(ON)됨에 따라 카메라(50) 및 마이크(52)를 자동으로 작동시켜서 영상 처리부(54)와 음성 처리부(56) 및 위치 추적부(58)에 의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및 위치 정보를 서버(40)에게로 전송되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66)는 수신부(62)에 수신된 동작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범죄 예방기기(12)를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음성 분석부에서의 음성 분석에 채용되는 음성 주파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즉, 서버(40)는 수신부(70), 영상 분석부(72), 음성 분석부(74), 위험 파악부(76), 연락처 저장부(78), 통지부(80), 동작모드 결정부(82), 송신부(84), 영상/음성 저장부(86)를 포함한다.
수신부(7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 2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및 위치 정보 등을 수신한다.
영상 분석부(72)는 사용자 단말(10, 20)로부터의 영상에서 상대방의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대방의 영상을 근거로 상대방의 움직임을 분석한다.
바람직하게, 영상 분석부(72)는 상대방의 영상에서 상대방의 얼굴(또는 동공)을 인식하고, 사용자에게 범죄를 시도하려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상대방의 팔의 상태 및 움직임 등을 추출한다. 상대방의 얼굴 인식은 추후에 신고를 위해 필요하다. 범죄를 시도하려는 상대방은 사용자를 잡는 경우가 많이 있으므로 상대방의 팔이 현재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 및 팔의 움직임 등을 추출해 내면 범죄 시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여기서, 얼굴 인식, 팔의 움직임 추출은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영상 분석부(72)는 사용자 단말(10, 20)로부터의 영상에 대한 노이즈 제거 동작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음성 분석부(74)는 사용자 단말(10, 20)로부터의 음성의 주파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탐색어를 음성에서 분석해 낸다. 여기서, 탐색어는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분석부(74)는 입력받은 음성의 주파수에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74a, 74b)의 발생 회수를 검출한다. 그리고, 음성 분석부(74)는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의 발생 회수를 검출한다. 기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74a, 74b)는 사용자가 발화한 비명 소리에 상응하는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분석부(74)는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의 발생 횟수를 검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발성음에 대해 음성의 끝점 검출기술로 음성의 시작점과 끝점을 검출하여 음성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의 끝점 검출기술은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검출된 음성 구간의 발성음이 기저장된 기준 발성음(즉, 비속어,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 등에 대한 기준 발성음)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하여 부합되는 발성음이면 비속어 또는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의 발생 회수를 +1 증가시킨다. 이 경우, 음성 분석부(74)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음성인식기술은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음성 분석부(74)는 사용자 단말(10, 20)로부터의 음성에 대한 노이즈 제거 동작을 최우선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위험 파악부(76)는 위치 정보와 영상 분석부(72) 및 음성 분석부(74)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현재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위험 수준을 파악한다. 여기서, 위험 수준은 비위험 수준과 저위험 수준 및 고위험 수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위험 파악부(76)는 영상 분석부(72) 및 음성 분석부(74)의 분석 결과에 따라 비위험 수준과 저위험 수준 및 고위험 수준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영상 분석부(72) 및 음성 분석부(74)로부터의 데이터가, 상대방의 영상이 없고 기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74a, 74b)도 발생되지 않고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도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는 데이터이면 위험 파악부(76)는 비위험 수준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분석부(72) 및 음성 분석부(74)로부터의 데이터가, 상대방의 영상이 없고 기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74a, 74b)가 발생되지 않거나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는 데이터이면 위험 파악부(76)는 비위험 수준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분석부(72) 및 음성 분석부(74)로부터의 데이터가, 상대방의 영상은 있으나 기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74a, 74b)가 발생되지 않고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는 데이터이면 위험 파악부(76)는 비위험 수준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부(72) 및 음성 분석부(74)로부터의 데이터가, 상대방이 사용자를 잡고 있고 기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74a, 74b)가 일정 회수(예컨대, 5회) 미만으로 발생되고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가 일정 회수(예컨대, 5회) 미만으로 발생된 경우에 해당하는 데이터이면 위험 파악부(76)는 저위험 수준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분석부(72) 및 음성 분석부(74)로부터의 데이터가, 상대방이 사용자를 잡고 있고 기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74a, 74b)가 일정 회수(예컨대, 5회) 이상으로 발생된 경우에 해당하는 데이터이면 위험 파악부(76)는 저위험 수준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분석부(72) 및 음성 분석부(74)로부터의 데이터가, 상대방이 사용자를 잡고 있고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가 일정 회수(예컨대, 5회) 이상으로 발생된 경우에 해당하는 데이터이면 위험 파악부(76)는 저위험 수준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분석부(72) 및 음성 분석부(74)로부터의 데이터가, 상대방이 사용자를 잡고 있지 않지만 기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74a, 74b)가 일정 회수(예컨대, 5회) 이상으로 발생되고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가 일정 회수(예컨대, 5회) 이상으로 발생된 경우에 해당하는 데이터이면 위험 파악부(76)는 저위험 수준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부(72) 및 음성 분석부(74)로부터의 데이터가, 상대방이 사용자를 잡고 있고 기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74a, 74b)가 일정 회수(예컨대, 5회) 이상으로 발생되고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가 일정 회수(예컨대, 5회) 이상으로 발생된 경우에 해당하는 데이터이면 위험 파악부(76)는 고위험 수준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5회로 예시한 일정 회수는 하나의 예시일 뿐,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충분히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로 든 비위험 수준과 저위험 수준 및 고위험 수준의 조건의 조합은 보다 더 다양할 수 있다.
연락처 저장부(78)는 사용자별로 연락해야 할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연락처 정보는 저위험 수준 및 고위험 수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위험 수준에는 해당 사용자의 부모에게만 연락할 수 있도록 연락처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고위험 수준에는 해당 사용자의 부모 및 경찰서 등에 모두 연락할 수 있도록 연락처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통지부(80)는 위험 파악부(76)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에 따라 연락처 저장부(78)의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위험이 처해 있음을 외부의 연락처로 통지한다. 이때, 위험 파악부(76)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이 저위험 수준이면 통지부(80)는 해당 사용자의 부모에게 전화 호출 및/또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위험 파악부(76)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이 고위험 수준이면 통지부(80)는 해당 사용자의 부모와 경찰서 등으로 전화 호출 및/또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모드 결정부(82)는 위험 파악부(76)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구비된 범죄 예방기기(12 또는 22)를 활성화시키는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해당 사용자 단말(10 또는 20)에게로 보낸다. 이때, 사용자에게 구비된 범죄 예방기기가 복수개인 경우, 동작모드 결정부(82)는 사용자에게 구비된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복수의 동작모드중에서 위험 파악부(76)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에 상응하는 동작모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위험 파악부(76)가 비위험 수준을 선택하였으면 동작모드 결정부(82)는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 모두가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동작모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위험 파악부(76)가 저위험 수준을 선택하였으면 동작모드 결정부(82)는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중에서 어느 하나(예컨대, 전기 충격기)를 활성화시키는 동작모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위험 파악부(76)가 고위험 수준을 선택하였으면 동작모드 결정부(82)는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 모두(예컨대, 전기 충격기와 가스 분사기 및 염산 분사기)를 활성화시키는 동작모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부(84)는 동작모드 결정부(82)에서 출력되는 동작모드 신호를 네트워크(30)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에게로 송신한다.
영상/음성 저장부(86)는 사용자 단말(10, 20)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한다. 이는 범죄를 시도한 상대방 확인 및 신고를 위해 필요하다.
도 3에서, 영상 분석부(72) 및 음성 분석부(74)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분석부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분석부는 사용자 단말(10, 20)로부터의 시청각 정보(즉, 영상, 음성)를 입력받아 분석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분석부는 영상 분석부(72) 및 음성 분석부(74)를 통칭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번에는,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에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비상 버튼부(64)의 비상 버튼을 온(ON)시키게 되면(S10에서 "Yes") 제어부(66)는 카메라(50) 및 마이크(52)를 자동으로 작동시킨다.
그에 따라, 카메라(50)는 전방을 촬영하고, 마이크(52)는 해당 사용자 위치에서의 음성을 수집한다(S12).
그 촬영된 영상은 영상 처리부(54)에게로 전송되고, 수집된 음성은 음성 처리부(56)에게로 전송된다. 그에 따라, 영상 처리부(54)는 카메라(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노이즈 제거를 행하고 서버(40)로의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음성 처리부(56)는 마이크(52)에 의해 수집된 음성에 대한 노이즈 제거를 행하고 서버(40)로의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변환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위치 추적부(58)에서의 해당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송신부(60)를 통해 서버(40)에게로 전송된다(S14). 이때, 해당 사용자 단말(10)의 식별 정보(예컨대, ID)도 함께 보내진다.
이후, 해당 사용자 단말(10)의 수신부(62)가 서버(40)로부터의 동작모드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S16에서 "Yes") 제어부(66)는 수신부(62)에 수신된 동작모드 신호의 종류에 따라 범죄 예방기기(12)를 활성화시킨다(S18). 여기서, 예를 들어, 수신된 동작모드 신호가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 모두를 비활성화시키는 신호(즉, 비위험 수준에 해당하는 신호)이면 해당 사용자에게 구비된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가 작동되지 않게 한다. 한편, 수신된 동작모드 신호가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중에서 어느 하나(예컨대, 전기 충격기)를 활성화시키는 신호(즉, 저위험 수준에 해당하는 신호)이면 전기 충격기만을 활성화시킨다. 한편, 수신된 동작모드 신호가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 모두(예컨대, 전기 충격기와 가스 분사기 및 염산 분사기)를 활성화시키는 신호(즉, 고위험 수준에 해당하는 신호)이면 전기 충격기와 가스 분사기 및 염산 분사기를 모두 활성화시킨다.
그에 따라, 비위험 수준에 해당하는 동작모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중에서 어떠한 것을 작동시킬려고 하여도 작동되지 않는다.
한편, 저위험 수준에 해당하는 동작모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전기 충격기가 활성화되므로, 사용자는 전기 충격기를 작동시켜 위험 상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한편, 고위험 수준에 해당하는 동작모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전기 충격기와 가스 분사기 및 염산 분사기가 모두 활성화되므로, 사용자는 전기 충격기와 가스 분사기 및 염산 분사기중에서 하나 이상을 작동시켜 위험 상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신부(70)는 사용자 단말(예컨대, 1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는 영상/음성 저장부(86)에 저장된다(S20).
이어, 영상 분석부(72)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영상에서 상대방의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대방의 영상을 근거로 상대방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음성 분석부(74)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음성의 주파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탐색어를 음성에서 추출한다(S22).
그리고 나서, 위험 파악부(76)가 위치 정보와 영상 분석부(72) 및 음성 분석부(74)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현재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위험 수준(비위험 수준과 저위험 수준 및 고위험 수준중에서 하나)을 파악한다(S24).
만약, 파악된 위험 수준이 비위험 수준이면 동작모드 결정부(82)는 해당 사용자에게 구비된 모든 범죄 예방기기가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동작모드를 결정한다(S26).
한편, 파악된 위험 수준이 저위험 수준이면 동작모드 결정부(82)는 해당 사용자에게 구비된 범죄 예방기기중에서 어느 하나(예컨대, 전기 충격기)만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동작모드를 결정한다(S28). 여기서,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파악된 위험 수준이 저위험 수준이면 통지부(80)가 해당 사용자의 부모에게 전화 호출 및/또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파악된 위험 수준이 고위험 수준이면 동작모드 결정부(82)는 해당 사용자에게 구비된 모든 범죄 예방기기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동작모드를 결정한다(S30). 여기서,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파악된 위험 수준이 고위험 수준이면 통지부(80)가 해당 사용자의 부모와 경찰서 등으로 전화 호출 및/또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나서, 동작모드 결정부(82)에서 결정된 동작모드에 상응하는 신호(즉, 동작모드 신호)가 송신부(84)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에게로 송신된다(S32).
한편, 상술한 범죄 예방기기(12, 22)는 가방 또는 가방끈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방 또는 가방끈에 설치되는 범죄 예방기기(12, 22)는 사용자 단말(10, 20)의 카메라(50)와 마이크(52)와는 별개로 녹음 및 녹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방끈에 범죄 예방기기(12, 22)를 설치하게 되면 해당 어린이의 어깨 높이(또는 눈높이)에서 범죄를 시도하려는 상대방의 전면을 촬영할 수 있고, 추후에 해당 어린이의 통학 경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방 또는 가방끈에 설치되는 범죄 예방기기(12, 22)가 개인용 블랙박스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범죄 예방기기(12, 22)를 조끼에 설치시키는 경우, 조끼의 내부에 충전가능한 태양전지를 내장하고 태양전지에 비절연된 도전체를 연결한다. 비절연된 도전체는 조끼의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된다. 이 경우, 상술한 범죄 예방기기(12, 22)가 활성화되면 비절연된 도전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범죄를 시도하려는 상대방에게 전기충격을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범죄 예방기기(12, 22)를 장갑에 설치시킨 경우는 범죄를 시도하려는 상대방에게 정확하게 전기충격, 가스 분사, 염산 분사 등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시청각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의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수준을 파악하는 위험 파악부; 및
    상기 위험 파악부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구비된 범죄 예방기기를 활성화시키는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그에 상응하는 동작모드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로 보내는 동작모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동작모드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범죄 예방기기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범죄 예방기기는 활성화 상태에서 동작 온 명령이 입력되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영상에서 상대방의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기 상대방의 영상을 근거로 상기 상대방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음성의 주파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탐색어를 상기 음성에서 추출해 내는 음성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상대방의 영상에서 상기 상대방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상대방의 팔의 움직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탐색어는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분석부는 상기 음성의 주파수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의 발생 회수를 검출하고, 상기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의 발생 회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험 수준은 비위험 수준과 저위험 수준 및 고위험 수준으로 분류되고,
    상기 위험 파악부는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비위험 수준과 저위험 수준 및 고위험 수준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구비된 범죄 예방기기는 복수개이고,
    상기 동작모드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구비된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복수의 동작모드중에서 상기 위험 파악부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에 상응하는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위험 파악부가 비위험 수준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동작모드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 모두가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동작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위험 파악부가 저위험 수준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동작모드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중에서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동작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위험 파악부가 고위험 수준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동작모드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범죄 예방기기 모두를 활성화시키는 동작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범죄 예방기기는 전기 충격기, 가스 분사기, 염산 분사기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범죄 예방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조끼, 팔찌, 목걸이, 허리띠, 가방, 가방끈, 장갑 중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영상/음성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험 파악부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위험이 처해 있음을 외부의 연락처로 통지하는 통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15. 분석부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시청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위험 파악부가, 상기 분석하는 단계의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수준을 파악하는 단계; 및
    동작모드 결정부가, 상기 사용자의 위험 수준을 파악하는 단계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구비된 범죄 예방기기를 활성화시키는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그에 상응하는 동작모드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로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동작모드 신호를 근거로 상기 범죄 예방기기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범죄 예방기기는 활성화 상태에서 동작 온 명령이 입력되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영상에서 상대방의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기 상대방의 영상을 근거로 상기 상대방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음성의 주파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탐색어를 상기 음성에서 추출해 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의 영상에서 상기 상대방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상대방의 팔의 움직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탐색어는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의 주파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탐색어를 상기 음성에서 추출해 내는 단계는 상기 음성의 주파수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의 발생 회수를 검출하고, 상기 비속어 및 도움을 요청하는 언어의 발생 회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방법.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영상/음성 저장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방법.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통지부가, 상기 사용자의 위험 수준을 파악하는 단계에서 파악된 위험 수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위험이 처해 있음을 외부의 연락처로 통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방법.
PCT/KR2014/002967 2013-05-09 2014-04-07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41819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794131.4A EP2996097A4 (en) 2013-05-09 2014-04-07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CRIME PREVENTION EQUIPMENT
US14/889,550 US9824560B2 (en) 2013-05-09 2014-04-07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crime prevention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535 2013-05-09
KR1020130052535A KR101470498B1 (ko) 2013-05-09 2013-05-09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1967A1 true WO2014181967A1 (ko) 2014-11-13

Family

ID=5186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2967 WO2014181967A1 (ko) 2013-05-09 2014-04-07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24560B2 (ko)
EP (1) EP2996097A4 (ko)
KR (1) KR101470498B1 (ko)
WO (1) WO20141819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6997A (zh) * 2021-04-26 2021-10-19 常州分音塔科技有限公司 一种语音事件识别装置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26067B2 (ja) * 2016-09-01 2020-07-22 セコム株式会社 行動記録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行動記録方法
KR101879444B1 (ko) * 2018-03-05 2018-07-17 (주)아성정보 Cctv 구동 방법 및 시스템
JP7339755B2 (ja) * 2019-03-27 2023-09-06 綜合警備保障株式会社 異常音監視システム及び異常音監視方法
CN111653057A (zh) * 2020-05-27 2020-09-1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行为监管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2738471A (zh) * 2020-12-28 2021-04-30 詹晨 基于物联网和人工智能的安防监控数据处理方法及云通信服务器
KR102488741B1 (ko) * 2022-01-04 2023-01-17 이승우 현장 상황 식별성이 향상된 비상벨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165A (ko) 2001-10-22 2001-11-14 유병섭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및 그 장치
KR20010103829A (ko) 2001-10-12 2001-11-24 강영호 이미지와 텍스트를 조합하여 암호화한 후 압축을 통하여2차원 바코드로 인코딩 및 디코딩하여 실시간으로 신분 및물품의 확인이 가능한 시스템
KR20030059027A (ko) * 2003-06-13 2003-07-07 유병섭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
KR100502718B1 (ko) * 2004-06-09 2005-07-20 노하우뱅크(주) 이동통신단말기
KR20110123968A (ko) * 2010-05-10 2011-11-16 주식회사 크라스아이디 주변상황 인식을 이용한 개인안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2804A (ko) * 2011-09-23 2013-04-02 (주)에스모바일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5305A1 (fr) * 2004-05-18 2005-07-22 France Telecom Systeme de protection personnelle
US8472915B2 (en) * 2005-01-14 2013-06-25 Samantha DiPerna Emergency personal protection system integrated with mobile devices
JP2008071211A (ja) * 2006-09-15 2008-03-27 Hitachi Ltd 音声による危険感知通報装置
US9779598B2 (en) * 2008-11-21 2017-10-03 Robert Bosch Gmbh Security system including less than lethal deterr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829A (ko) 2001-10-12 2001-11-24 강영호 이미지와 텍스트를 조합하여 암호화한 후 압축을 통하여2차원 바코드로 인코딩 및 디코딩하여 실시간으로 신분 및물품의 확인이 가능한 시스템
KR20010100165A (ko) 2001-10-22 2001-11-14 유병섭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및 그 장치
KR20030059027A (ko) * 2003-06-13 2003-07-07 유병섭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
KR100502718B1 (ko) * 2004-06-09 2005-07-20 노하우뱅크(주) 이동통신단말기
KR20110123968A (ko) * 2010-05-10 2011-11-16 주식회사 크라스아이디 주변상황 인식을 이용한 개인안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2804A (ko) * 2011-09-23 2013-04-02 (주)에스모바일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996097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6997A (zh) * 2021-04-26 2021-10-19 常州分音塔科技有限公司 一种语音事件识别装置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6097A4 (en) 2016-12-14
KR20140133030A (ko) 2014-11-19
EP2996097A1 (en) 2016-03-16
US20160086467A1 (en) 2016-03-24
KR101470498B1 (ko) 2014-12-08
US9824560B2 (en) 201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81967A1 (ko)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939066B2 (en) Wearable camera system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WO2016133269A1 (ko) 영상 신호 생성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를 위한 시스템
KR101007483B1 (ko) 로봇
WO2015152475A1 (ko) 개인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3176526A1 (ko)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방법
WO2016163613A1 (ko) 안전경로를 생성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CN102378995A (zh) 紧急呼叫装置
WO2016175405A1 (ko) 스마트폰 케이스와 연동한 신변보호 방법
WO2015053599A1 (ko) 클라우딩 블랙박스 및 클라우딩 블랙박스의 영상처리방법
US9715805B1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CN104580685A (zh) 终端状态处理方法及装置
WO2016064065A1 (ko) 지문인식이 추가된 전기 충격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WO2016099084A1 (ko) 비콘신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50323A (ko) 센서기반 지능형 비상통화장치 자기
JP2008244732A (ja) 携帯端末装置及び緊急通報システム
CN104537811B (zh) 一种智能报警方法及系统
WO2023113394A1 (ko) 범죄 예방을 위한 스마트 드론의 운용 방법
KR20170126821A (ko) 센서기반 지능형 비상통화장치 자기
WO2018230922A1 (ko) 보안 기능을 갖는 도어로봇 및 이를 이용한 보안 감시방법
US20050068183A1 (en)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method
CN208369753U (zh) 一种语音识别监控装置
KR101093176B1 (ko) 얼굴 인식 비상 호출 시스템
US11100785B1 (en) Method for requesting assistance from emergency services
KR101744312B1 (ko)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941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89550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794131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