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9027A -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 - Google Patents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9027A
KR20030059027A KR1020030038104A KR20030038104A KR20030059027A KR 20030059027 A KR20030059027 A KR 20030059027A KR 1020030038104 A KR1020030038104 A KR 1020030038104A KR 20030038104 A KR20030038104 A KR 20030038104A KR 20030059027 A KR20030059027 A KR 20030059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rogram
mobile phone
gas injector
terminal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섭
Original Assignee
유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섭 filed Critical 유병섭
Priority to KR1020030038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9027A/ko
Publication of KR20030059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02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분사기 및 이동 전화 단말기를 기능적으로 통합시켜 이동 전화 단말기 사용자가 범죄의 대상이 된 상황에서 일정시간 동안 가해자에 대항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동시에 통신망을 통하여 자동으로 보안 서비스 제공자에게 긴급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는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범죄 피해가 예상되는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일정시간 신변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자동으로 보안 서비스 제공자에게 구조 요청을 할 수 있고, 보안 서비스 제공자도 용이하게 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범죄자의 화상 이미지를 범죄 장소 이외의 제3의 장소로 자동 전송하여 범죄를 억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MOBILE PHONE FOR PERSONAL SECURITY}
본 발명은 개인용 이동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스 분사기 및 이동 전화 단말기를 기능적으로 통합시켜 범죄 피해가 예상되는 상황에 처한 이동전화 단말기 사용자가 용이하게 일정시간 신변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자동으로 보안 서비스 제공자에게 구조 요청을 할 수 있고, 보안 서비스 제공자도 용이하게 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범죄자의 화상 이미지를 범죄 장소 이외의 제3의 장소로 자동 전송하여 범죄를 억제할 수 있는 이동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보안 서비스 제공자"라함은 경찰등과 같이 법령에 의하여 국민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할 의무가 있는 공적 기관, 시설 또는 인적 보안을 영리의 목적으로 행하는 보안 서비스 회사 및 계약 관계나 호의에 의하여 위험에 처한 타인의 생명과 신체를 구조 할 것으로 기대되는 자를 총칭한다.
이하, "이동전화 단말기"라 함은 셀룰러폰, PCS폰 및 화상이동통신 (IMT2000) 단말기를 포함한다.
소송 관계, 사업상의 경쟁 관계, 원한 관계, 기타 이해 관계의 갈등을 이유로 한 신변의 위협을 느끼는 상황이나, 밤길의 단독 보행, 지하 주차장으로의 이동, 미행자의 인지, 낮선 사람의 방문, 야간 주거 침입자의 인지등 범죄자의 침해 행위 가능성이 인식되는 상황에 처하여도, 개인이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당 방위 및 긴급 구조 요청 수단은 매우 제한 되어 있다. 특히, 최근 사회 생활의 경쟁이 심화되어 이해 갈등이 잦은 점과 이혼율의 상승등으로 인한 1인가구의 증가 추세등을 감안하면,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당 방위 및 구조 요청 수단의 필요성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보안 서비스 업계는 이에 충분히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보안 서비스 회사에서 시설 경비를 위해 파견된 경비원들 조차도 마땅한 정당 방위 및 긴급 구조 요청 수단을 제공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개인이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는 물건을 동시에 정당 방위 및 긴급 구조 요청 수단으로도 사용하는 것일 것이다.
어쨋든, 종래 상술한 위험 상황에 처한 개인이 신체나 생명의 보호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긴급 수단으로는 일반인에게도 널리 보급된 가스 분사기("가스총" ,"가스 분사 장치", "가스 방출 장치" 등 다양하게 불림. 이하에서는 "가스 분사기"라고 함)를 들 수 있다.
가스 분사기는 인체에 고통을 줄 수 있는 분말("최루 분말"을 주로 사용하나 "마취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 이하에서는 편의상 이들을 총칭하여 "최루 분말"이라고 함)을 압축기체(압축공기,압축탄산가스, 압축질소가스등)의 분출력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얼굴 주위에 분출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일시적인 타격을 주는 보안 장비의 일종이다. 최루 분말등의 용기 내부에 압축기체통("압축기체봄베"라고 도함)을 별도로 구비한 후, 필요시에만 압축기체통의 기압(氣壓)을 최루 분말등의 용기 내부에 제공하여 분출하는 경우와, 최루 분말과 압축기체를 처음 부터 혼합하여 1개의 압축최루분말통에 저장한 후 분출하는 경우가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종류의 가스 분사기가 제공되는 바, 그 종류는 1) 개인 휴대가 가능한 형태인가에 따라 휴대용 가스 분사기 및 고정 설치용 가스 분사기로 나눌 수 있고, 가스 분출 방식에 따라 격침식 가스 분사기 및 자동 복원 밸브 개폐식 가스 분사기로 나눌 수 있다.
휴대용 가스 분사기는 개인이 휴대가 가능한 가능한 형태의 가스 분사기로 그 형태에 따라, 권총형 가스 분사기, 진압봉형 가스 분사기, 원통형 가스 분사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고정 설치용 가스 분사기는 설치 장소에 따라, 건물 설치용 가스 분사기, 차량 설치용 가스 분사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휴대용 격침식 가스 분사기는 레버나 방아쇠를 당겨, 레버나 방아쇠에 연동하는 공이침(격침이라고도 함)으로 압축기체통이나 압축최루분말통의 박막(薄膜)을 파열시킴으로써 일회적으로 최루 분말을 대량 분사시킨다. 제품에 따라서는 청각적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상기 공이를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추진시켜 박막을 파열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에 반하여, 휴대용 자동 복원 밸브 개폐식 가스 분사기는 레버나 방아쇠를 잡아당기면 열렸다가 이들을 놓으면 스프링의 탄력등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는 밸브를 이용한 가스 분사기로, 하나의 압축기체통이나 압축최루분말통을 이용하여 여러 차례 최루 분말을 분사할 수 있는 가스 분사기이다. 최근의휴대용 가스 분사기는 대부분 자동 복원 밸브 개폐식을 채용하고 있다.
건물 설치용 가스 분사기, 차량 설치용 가스 분사기등 고정 설치용 가스 분사기는 상기 공이침의 추진력을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얻는 경우도 있고, 상기 자동 복원 밸브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채용한 경우도 있다. 건물이나 차량에서는 모터나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종래의 휴대용 가스 분사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 사용상의 제약을 받아 왔다.
첫째, 종래의 휴대용 가스 분사기는 별도로 휴대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불편하다. 즉, 다른 필수 휴대품에 부수되어 있지 않고 별도로 휴대해야한다는 점에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둘째, 종래의 휴대용 자동 복원 밸브 개폐식 가스 분사기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밸브의 개폐를 레버나 방아쇠 및 스프링을 이용한 기구적 구성으로 해결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한 단점이 있다.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간단한 가스 토출(吐出) 제어가 가능해 진다.
셋째, 종래의 휴대용 가스 분사기는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에서 정당 방위의수단을 제공하지만, 보안 서비스 제공자에게 즉시적인 구조 요청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가해자에게 가스 분사기를 빼앗기면, 피해자는 침해를 방어할 희망이 사라지는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가스 분사기가 갖는 상술한 문제점중 특히 첫번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제안이 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공개번호 실 1998-63244호 및 실1999-17553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실1998-632448호 공개 고안은 종래의 휴대용 이동전화 단말기 모양에 휴대용 이동전화 단말기 기능과 가스 분사기 기능을 겸용으로 채용한다고만 기재하고 있고, 상기 실1999-17553호 공개 고안은 휴대폰의 스피커 뒷부분의 공간을 활용하여 최루가스통을 별도 만들어 내장한다고만 기재되어 있으나, 그 구체적 내용이 불분명 하지만, 이동전화 단말기에 가스 분사기를 채용하겠다는 의도는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실 1998-63244호 및 실1999-17553호 공개 고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실용성이 없다.
첫째, 가스 분사기의 분사만으로 가해자의 공격을 완전히 벗어날 수 있는 위험 상황은 실제에 있어 드물며, 대개의 경우 가스 분사기는 일정시간 가해자의 침해를 저지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하는데 불과하다는 점에서 상기 실 1998-63244호 및 실1999-17553호 공개 고안은 불완전한 보안 수단에 그치는 문제점이 있다. 즉,개인의 신체 및 생명이 위험에 처한 상황에서 피해자는 가해자의 접근을 막는 동시에, 즉시적인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수단이 필수적인 것이다.
둘째, 가스 분사기는 신체의 방어용으로도 사용가능하지만 신체의 공격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한데, 상기 실 1998-63244호 및 실1999-17553호의 공개 고안에 의하면, 가스 분사기 사용자가 언제, 몇회의 가스 분사기를 사용하였는지 사후적으로 확인할 방법이 없어 가스 분사기의 사용이 남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세째, 효과적인 범죄 예방을 위하여는 위험에 처한 사람이 있는 지리적인 위치를 신속히 제3의 장소에 있는 보안 서비스 제공자등 긴급 구호 가능자에게 전송할 수 있어야 하고, 동시에 가해자에게 가해자의 얼굴등에 대한 영상 정보가 제3의 장소로 전송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시켜 범죄를 포기시킬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상기 실 1998-63244호 및 실1999-17553호 공개 고안은 이러한 수단들을 결여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가스 분사기에 관한 선행 기술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선행 기술을 응용하여 설계 및 개발 되었다.
첫째, 본 발명은 이동통신업체의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단말기 위치 확인 신호에 의한 단말기의 현 위치 파악 기능을 이용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동전화단말기는 일정한 주기로 이동통신업체의 기지국과 교신하여, 통화를 위해 해당 이동전화 단말기를 무선망에 접속할 때 최적의 기지국을 경유한 통신 경로가 형성되도록 할 뿐만아니라, 통화중에는 어느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이동통신업체는 특정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 파악 방법은 오차 범위가 최대 2Km ~ 3Km에 달해,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에 의한 현위치를 발성(發聲) 내용이 불명료한 경우, 보안 서비스 제공자가 단말기 사용자의 현위치를 확정짓는데 필요한 보조적인 위치정보를 얻는 정도에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단말기 사용자가 다급하게 "주공 700동 104호"라고만 발성한 경우에, 어느 위치에 소재한 주공 아파트인지를 이러한 이동통신업체의 위치 파악 기능에 의하여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본 발명은 이동통신업체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수신 신호를 이용한 위치제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GPS수신기는 현재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이나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이동전화 단말기용, PDA(Psersonal Data Access)용, Palm-top용등이 개발되어 위치정보파악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GPS수신기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위치정보제공서비스가 교통정보 확인이나 미아 찾기등의 용도로 사용할 목적으로 미국 최대 이동통신업체인 버라이존사등 미국 이동통신업체들에 의하여 2001년 10월 1일부터 개시되었다(일명 "E-911 서비스"라고 명명됨).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수 년 동안 위치 추적 서비스 도입을 미뤄오다가 World Trade Center에 대한 테러 발생 이후, 그 실시를 결정했다. 대한민국의 삼성전자주식회사는 2001년 10월 1일 미국 스프린트사를 통하여 상기 "E-911 서비스"를 위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이동통신업체인 KTF주식회사, LG텔레콤주식회사등도 조만간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휴대전화 사용자의 위치정보제공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현재 GPS위치데이터는 그 오차가 최소 5센치미터(CM)이내까지 가능하고 최대 반경 50미터(M)를 벗어 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GPS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업체의 위치정보제공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세째, 본 발명은 상술한 GPS수신기 및 이동통신서비스의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이용한다. 이는 상술한 이동통신업체의 단말기 위치정보제공서비스와는 다른 것으로, 이동전화단말기에 GPS수신기를 이동전화 단말기에 구비하는 점에서는 상술한 이동통신업체의 GPS수신단말기에 의한 위치정보제공서비스와 공통점이 있지만, GPS위치데이터를 이동통신업체의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보안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전송 받아, 자신의 전자지도등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위치를 확인하는 점에서 차이가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당업자가 종래의 GPS수신기, 무선데이터전송 및 지리정보시스템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세째,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다.
대한민국 이동전화단말기 제조회사인 SK텔레콤은 이동전화 단말기에 카메라 를 부착하여, 이동전화 단말기를 디지털카메라 처럼 쓸 수 있을 뿐만아니라, 찍은 사진을 메일로 다른 장소를 전송할 수 있는 이동전화 단말기 모델(모델명:SKY IM3100)을 제공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IMT2000용 화상이동전화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카메라가 이동전화 단말기에 부착되며, 이미 상당수의 제품이 개발되어 일반인에게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이미지 촬영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범죄 피해가 예상되는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일정시간 신변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자동으로 보안 서비스 제공자에게 구조 요청을 할 수 있고, 보안 서비스 제공자가 용이하게 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해자의 얼굴등을 포함한 범죄 현장 사진을 실시간으로 제3의 장소로 전송함으로써, 가해자에게 범죄 포기를유도하고, 범죄 증거의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의 제1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의 제2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의 제3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의 제4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의 제5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의 제6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의 제7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의 제8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의 제9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의 제10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11a 및 도11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의 제11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12a 및 도1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의 제12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대호의 설명*
10:가스 분사기 30:비상 스위치 40A~40L: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50: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 60:GPS(Global Positioning System)수신기
70:카메라 80:카메라 스위치 100:이동전화 단말기
102: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가스 분사기; 상기 가스 분사기의 및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스 분사기의 분사를 촉발하고, 동시에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에 상기 가스 분사기의 분사가 촉발되었음을 알리는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있는 비상 스위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에 구비된 저장장치에 할당된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비상 스위치가 턴온(turn on)될 경우 자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조회한 후 그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 (dialing)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automatic aid control program)을 구비한 이동 전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에는, 상기 비상 스위치가 턴온(turn on)되면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에 현재 위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GPS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를 구비하고,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비상 스위치가 턴온(turn on)되면, 상기 GPS수신기로 부터 위치데이터를 읽어 들여, GPS 위치데이터를 상기 보안서비스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가스 분사기; 상기 가스 분사기의 및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스 분사기의 분사를 촉발하고, 동시에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에 상기 가스 분사기의 분사가 촉발되었음을 알리는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있는 비상 스위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에 구비된 저장장치에 할당된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비상 스위치가 턴온(turn on)될 경우 자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조회한 후 그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 (dialing)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automatic aid control program)을 구비한 이동 전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단말기에는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 되는 카메라와,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에 카메라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카메라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은 카메라스위치가 턴온(turn on)될 경우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영한 후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데이터를 보안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이하 "제1실시례"라고 한다). 도1a 및 도1b는 실시례1의 블럭도를 나타내고, 도1b는 도1a에 도시된 구조 제어 프로그램 A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보안 시스템은 이동전화 단말기(100)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이동전화 단말기의 밧데리(도면 미도시)를 개폐용 솔레노이드 밸브(도면 미도시)의 전원으로 사용하는 가스 분사기(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가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서 제어되는 가스 분사기는 최루 분말이 일회적으로 전체가 분사되지 않고,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 구동시마다 조금씩 분사될 수 있어, 1개의 압축최루분말통 또는 압축기체통을 교체함이 없이 수회 반복 사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분사량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인 분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가스 분사기는 보안서비스 제공자가 현장에 도착할 때 까지, 이동전화 단말기 사용자가 가해자에게 대항하여 정당방위를 할 수 있는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가해자가 이동전화 단말기 사용자에게 가까이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접근 억제 수단이 된다. 1분 1초의 촌각을 다투는 위기 상황에서 이러한 수단은 이동전화 단말기 사용자의 생명과 신체를 일정시간 지키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도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는 상기 가스 분사기(10)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스위치를 구동하고, 동시에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에 가스 분사기(10)가 구동되었음을 알리는 전기 신호를 발생/전송할 수 있는 비상 스위치(30)를 구비한다.
도1a를 참조하면, 제1실시례에 의한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는 비상 스위치(30)와 가스 분사기(10)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도2a에 도시된 제2실시례와 달리,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A(40A)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스위치에 연결되어 가스 분사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A(40A) 및 그 주변 회로가 단순해 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상기 비상 스위치(30)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에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40A)의 실행을 명령하기 위하여 가스 분사기(10)가 구동되었음을 알리는 전기 신호를 발생/전송하게 된다.
상기 비상 스위치(30)로는 이동전화 단말기 키패드의 키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동전화 단말기의 측면에 종래의 단말기 키와는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상 스위치(30)는 사용자나 어린이의 실수에 의해 우발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므로, 공지공용의 지연회로(delay circuit)을 더 구비하여, 일정시간 동안 계속하여 눌러야 비상 스위치가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에는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의 저장장치 일부에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50)가 할당되는데, 여기에는 단말기의 판매자 또는 대여자에 의하여 구매자가 선택한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가 미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안서비스 제공자는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map)상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자 또는 전송된 화상데이터를 웹 서버등에 저장할 수 있는 자이다.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화 단말기 사용자는 비상상황이 예상되는 시점이나 장소에서 상기 비상 스위치(30)를 누를 준비를 하고, 실제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가스 분사기 노즐을 가해자에 향하고 상기 비상 스위치(30)를 누르게 되는데, 이때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A(40A)가 자동으로 실행되고,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A(40A)는 도1b에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 각단계(401A ~ 408A)를 수행한다. 즉,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50)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조회한 후(405A), 단말기의 다이얼러를 제어하여 그 전화 번호로 다이얼링하고(406A), 사용자는 평소의 음성 통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위치확인 음성을 보안서비스 제공자(300)에게 전송한다(407A). 보안서비스 제공자(300)는 사용자의 위치확인 음성에 의하여 확인된 위치로 구조 출동하게 된다.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제2실시례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제1실시례에서 사용자가 비상스위치를 누른 후, 가스 분사기(10)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도면 미도시)를 제어하는 경로를 변경한 것으로, 제1실시례가 비상스위치가 직접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스위치 개폐를 제어하는 구조임에 반하여, 제2실시례는 가스 분사기(10)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 개폐를 이동 전화 단말기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B가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2a를 참조하면, 제2실시례는 비상스위치(30)가 가스 분사기(10)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를 직접 개폐하지 않고,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B(40B)이 가스 분사기(10)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를 개폐 제어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제2실시례에 의하면, 비상 스위치를 2이상의 입력키로 구성하고 일정한 조합의 키입력이 이루어져야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B(40B)가 기동하게 하거나, 상기 비상 스위치를 1개의 키로 구성하고 일정한 시간 범위 내에 일정한 회수의 키입력이 있어야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B(40B)가 기동하게 하는 제어를 소프트웨어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어, 단말기 사용자 이외의 사람에 의한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B(40B)의 기동 및 그에 따른 가스 분사기(10)의 구동을 막을 수 있고, 단말기 사용자의 우발적인 조작 실수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례에 의하면, 당연히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B(도2b의 순서도 참조)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A(도1b의 순서도 참조)와 달라지게 된다. 즉, 도2b을 참조하면, 도2a 또는 도2b에 도시된 제2실시례의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B(40B)는, 상술한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A와 달리, 가스 분사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 폐로 제어(405B)와 가스 분사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의 개로 제어(410B)를 더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의 제3실시례는 상술한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제1실시례와 관련된 것으로, 이동전화 단말기 위치 확인을 이동전화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에 의한 위치확인에만 의존하지 않고, 상술한 이동통신업체의 위치정보제공서비스에 의하여 보완한 경우의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업체는 이동통신업체의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교신에 의하여 이동전화 단말기의 대략적인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 즉, 현재 사용되고있는 이동전화 단말기는 일정한 주기로 이동통신업체의 기지국과 교신하여, 이동전화 단말기가 무선망에 접속할 때 최적의 기지국을 경유한 통신 경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통화중에는 어느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이동통신업체는 특정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 파악 방법은 오차 범위가 최대 2Km ~ 3Km에 달해,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에 의한 현위치를 발성(發聲) 내용이 불명료한 경우, 보안 서비스 제공자가 단말기 사용자의 현위치를 확정짓는데 필요한 보조적인 위치정보를 얻는 정도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사용자가 다급하게 "주공 700동 104호"라고만 발성한 경우에, 어느 위치에 소재한 주공 아파트인지를 이러한 이동통신업체의 위치 파악 기능에 의하여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제3실시례는 이동통신업체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수신 신호를 이용한 위치정보제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GPS수신기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위치정보제공서비스가 교통 정보 확인이나 미아 찾기등의 용도로 사용할 목적으로 미국 최대 이동통신업체인 버라이존사등 미국 이동통신업체들에 의하여 2001년 10월 1일부터 개시되었음(일명 "E-911 서비스"라고 명명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현재 GPS위치데이터는 그 오차가 최소 5센치미터(CM)이내까지 가능하고 최대 반경 50미터(M)를 벗어 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례는 이러한 GPS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업체의 위치정보제공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업체가 이동전화 단말기 위치정보제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보안서비스 제공자는 이동통신업체(200)로 부터 단말기 위치정보를 제공 받은 후 구조 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례의 구성요소인 가스 분사기(10), 비상 스위치(30),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C(40C),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50) 및 그들의 결합은 실시례1에서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다만, 이동통신업체가 GPS수신기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정보제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실시례의 구성요소들은 GPS수신기(도3a 및 도3b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에 결합되게 될 것이다. GPS수신기와 이동전화 단말기간의 하드웨어적인 결합 구조 및 이동통신업체의 GPS수신 신호에 의한 단말기 위치 확인 알고리즘은 본 발명의 범위 밖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3실시례에 있어서는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제5실시례에 있어서와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이 직접 GPS위치데이터를 읽어 들여 보안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할 필요가 없다. 즉, 보안서비스 제공자는 이동통신업체(200)의 GPS수신기를 이용한 위치정보제공서비스를 제공 받으면 되는 것이다.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의 제4실시례는 상술한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제2실시례와 관련된 것으로, 가스 분사기(10)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 개폐를 이동 전화 단말기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D(40D)가 제어한다는 점에서만 실시례3과 다르다. 따라서, 제4실시례의 구성요소인 가스 분사기(10), 비상 스위치(30),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C(40C),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50) 및 그들의 결합은 실시례2에서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제5실시례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제1실시례에서 이동전화 단말기에 GPS수신기(60)가 더 구비되고,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E가 GPS수신기로 부터 제공되는 GPS 위치데이터를 읽어 들여 보안서비스 제공자에게 데이터 포멧으로 직접 전송하고, 보안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의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서 단말기의 지도상 위치를 확인한 후 구조 출동하는 구조의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제3실시례 및 제4실시례에서 이동통신업체가 GPS수신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정보제공서비스를 시행하지 않거나, 보안서비스 제공자가 이동통신업체로 부터 단말기 위치정보제공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없는 경우 그 의미가 있는 실시례이다.
도5b를 참조하면,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E(40E)는 GPS수신기로 부터 위치데이터를 읽는 단계(406E), 읽어 들인 GPS위치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다이얼링 제어 단계(407E) 및 GPS위치데이터를 보안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408E)를 더 수행하게 된다.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의 제6실시례는 상술한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제2실시례에 GPS수신기를 더 구비한 경우로, 가스 분사기(10)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 개폐를 이동 전화 단말기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F(40F)가 제어한다는 점에서만 상기 제5실시례와 다르다.
도6b를 참조하면,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F(40F)는,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E(40E)에서, 가스 분사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를 폐로 제어하는 단계(405F) 및 가스 분사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를 개로 제어하는 단계(413F)를 더 포함하게 된다.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제7실시례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제1실시례에서 이동전화 단말기에 카메라(60) 및 카메라 스위치(80)가 더 구비되고,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G(40G)은, 단말기 사용자가 카메라 스위치(80)를 눌러 가해자의 얼굴등 현장을 촬영하면, 자동으로 영상 데이터를 읽어 들여 보안서비스 제공자(300)에게 데이터 포멧으로 직접 전송함으로써, 보안서비스 제공자(300)는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에 의한 사용자의 위치확인에 의하여 구조 출동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컴퓨터에 가해자의 얼굴등 현장 사진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의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7실시례는 대한민국 이동전화 단말기 제조회사인 SK텔레콤이 이동전화 단말기에 카메라를 부착하여, 이동전화 단말기를 디지털카메라 처럼 쓸 수 있도록 한 이동 전화 단말기 모델명 SKY IM3100에 개시된 공용 기술을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에 응용한 것이다.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G(40G)는,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A에서, 카메라 스위치가 온(ON)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408G), 카메라를 구동하여 자동으로 촬영한 후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409G), 영상데이터 전송을 위해 보안서비스 제공자의 전화 번호로 다이얼링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410G) 및 가해자의 얼굴등 현장사진에 관한 영상데이터를 보안서비스 제공자에게 자동으로 전송하는 단계(411G)를 더 포함한다.
이렇게 범행 장소 이외의 제3의 장소로 가해자의 얼굴등 현장 사진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저장함으로써, 가해자의 범죄 행위에 대한 증거 인멸을 예방하고,범죄 행위에 대한 증거 확보가 가능하며, 가해자로 하여금 침해 행위의 진행을 단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카메라로 개인 보안 용도로 쓸 수 있는 적절한 해상도의 디지털 카메라를 채용하게 되면, 효과적인 증거 확보 및 범죄행위 저지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의 제8실시례는 상술한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제2실시례에 카메라(70) 및 카레라 스위치(80)를 더 구비한 경우로, 가스 분사기(10)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 개폐를 이동 전화 단말기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H(40H)가 제어한다는 점에서만 상기 제7실시례와 다르다.
도8b를 참조하면,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H(40H)는,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G(40G)에서, 가스 분사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를 폐로 제어하는 단계(405H) 및 가스 분사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를 개로 제어하는 단계(416H)를 더 포함하게 된다.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의 제9실시례는 상술한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제3실시례 및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제7실시례와 관련된 것으로, 이동전화 단말기 위치 확인을 이동전화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에 의한 위치확인에만 의존하지 않고, 상술한 이동통신업체의 위치정보제공서비스에 의하여 보완한 경우의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이다.
제9실시례의 구성요소인 가스 분사기(10), 비상 스위치(30),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I(40I),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50), 카메라(70), 카메라 스위치(80) 및 그들의 결합은 실시례7에서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다만, 이동통신업체가 GPS수신기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정보제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9실시례의 구성요소들은 GPS수신기(도3a 및 도3b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에 결합되게 될 것이다. 이 경우의 GPS수신기와 이동전화 단말기간의 하드웨어적인 결합 구조 및 이동통신업체의 GPS수신 신호에 의한 단말기 위치 확인 알고리즘은 본 발명의 범위 밖에 있음은 제3실시례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10a 및 도10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의 제10실시례는 상술한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제4실시례에 카메라(70) 및 카레라 스위치(80)를 더 구비한 경우로, 가스 분사기(10)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 개폐를 이동 전화 단말기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J(40J)가 제어한다는 점에서만 상기 제9실시례와 다르다.
도10b를 참조하면,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J(40J)는, 상기 자동 구조제어 프로그램 I(40I)에서, 가스 분사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를 폐로 제어하는 단계(405J) 및 가스 분사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를 개로 제어하는 단계(416J)를 더 포함하게 된다.
도11a 및 도11b에 도시된 제11실시례는,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제7실시례에서 이동전화 단말기에 GPS수신기(60)가 더 구비되고,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K가 GPS수신기로 부터 제공되는 GPS 위치데이터를 읽어 들여 보안서비스 제공자에게 데이터 포멧으로 직접 전송하고, 보안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의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서 단말기의 지도상 위치를 확인한 후 구조 출동하는 구조의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11b를 참조하면,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K(40K)는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G(40G)에서 GPS수신기로 부터 위치데이터를 읽는 단계(406K), 읽어 들인 GPS위치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다이얼링 제어 단계(407K) 및 GPS위치데이터를 보안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408K)를 더 수행하게 된다.
도12a 및 도12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의 제12실시례는 상술한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제8실시례에 GPS수신기를 더 구비한 경우로, 가스 분사기(10)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 개폐를 이동 전화 단말기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L(40L)가 제어한다는 점에서만 상기 제11실시례와 다르다.
도12b를 참조하면,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L(40L)는,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 K(40K)에서, 가스 분사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를 폐로 제어하는 단계(405L) 및 가스 분사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스위치를 개로 제어하는 단계(417L)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산업상 이용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개인 보안 서비스 산업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종래, 보안 서비스 시장은 시설 보안을 위주로 해서 발전되어 왔다. 그러다 보니, 개인의 신체나 생명의 침해 예방을 위한 보안 수단으로는 주로 사설 경호원이 이용되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자총 또는 가스총등 개인 휴대 보안 장비가 이용되는 정도 였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용하면, 보안 서비스 회사에서 보안 서비스 회사의 신변 보호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회원을 유료로 모집하고,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를 주문 생산하여 회원에게 판매 또는 임대(영구 임대 또는 일시 임대)한 후, 사용자가 가스 분사기를 작동시킬 때 마다 출동하여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개인 보안 서비스 산업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가스 분사기의 남용은 긴급 출동할 때마다 별도의 고액의 출동 서비스 요금을 청구함으로써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현재 보안 서비스 회사에서 시설 보안을 위해 파견되는 경비원들의 경우, 시설 침입자에 의한 생명 및 신체 침해에 대응하여 정당 방위를 하고 긴급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는 수단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경비원들의 생명 및 신체를 온전하게 보전할 수 있어야 시설 보안도 확보될 수 있음은 다언이 필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은 시설 보안의 보완적인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셋째, 보안 서비스 회사를 이용하기를 원하지 않는 사용자에 대하여는 경찰관서등 공공 보안 기관의 전화번호로 구조 요청이 이루어 지도록 함으로써, 이동전화 단말기의 사용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단말기 수요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범죄 피해가 예상되는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일정시간 신변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자동으로 보안 서비스 제공자에게 구조 요청을 할 수 있고, 보안 서비스 제공자도 용이하게 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개인 보안 시스템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가해자의 얼굴등을 포함한 범죄 현장 사진을 실시간으로 제3의 장소로 전송함으로써, 가해자에게 범죄 포기를 유도하고, 범죄 증거의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개인 보안 시스템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이동전화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가스 분사기; 상기 가스 분사기의 및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스 분사기의 분사를 촉발하고, 동시에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에 상기 가스 분사기의 분사가 촉발되었음을 알리는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있는 비상 스위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에 구비된 저장장치에 할당된 보안서비스 제공자의 전화번호 저장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비상 스위치가 턴온(turn on)될 경우 자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조회한 후 그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dialing)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automatic aid control program)을 구비한 이동 전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에는, 상기 비상 스위치가 턴온(turn on)되면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에 현재 위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GPS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를 구비하고,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비상 스위치가 턴온(turn on)되면, 상기 GPS수신기로 부터 위치데이터를 읽어 들여, GPS 위치데이터를 상기 보안서비스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
  2. 이동전화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가스 분사기; 상기 가스 분사기의 및 이동전화 단말기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스 분사기의 분사를 촉발하고, 동시에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에 상기 가스 분사기의 분사가 촉발되었음을 알리는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있는 비상 스위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에 구비된 저장장치에 할당된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비상 스위치가 턴온(turn on)될 경우 자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보안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조회한 후 그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 (dialing)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automatic aid control program)을 구비한 이동 전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단말기에는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 되는 카메라와,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에 카메라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카메라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자동 구조 제어 프로그램은 카메라스위치가 턴온(turn on)될 경우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영한 후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데이터를 보안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
KR1020030038104A 2003-06-13 2003-06-13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 KR20030059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104A KR20030059027A (ko) 2003-06-13 2003-06-13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104A KR20030059027A (ko) 2003-06-13 2003-06-13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689A Division KR100406321B1 (ko) 2001-10-29 2001-10-29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027A true KR20030059027A (ko) 2003-07-07

Family

ID=3222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104A KR20030059027A (ko) 2003-06-13 2003-06-13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90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7444A1 (en) * 2008-06-04 2009-12-10 Giovanni Laporta Imaging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 security
WO2014181967A1 (ko) * 2013-05-09 2014-11-13 Ahn Tae Hoon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107795A (ko) * 2015-03-05 2016-09-19 김정민 최루가스 분사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이어캡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7444A1 (en) * 2008-06-04 2009-12-10 Giovanni Laporta Imaging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 security
WO2014181967A1 (ko) * 2013-05-09 2014-11-13 Ahn Tae Hoon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70498B1 (ko) * 2013-05-09 2014-12-08 안태훈 범죄 예방기기의 활성화 제어 장치 및 방법
US9824560B2 (en) 2013-05-09 2017-11-21 Tae Hoon AH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crime prevention equipment
KR20160107795A (ko) * 2015-03-05 2016-09-19 김정민 최루가스 분사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이어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72184A1 (en) Emergency personal protection system integrated with mobile devices
US7058409B2 (en) Personal safety net
US20100279649A1 (en) Personal Security and Law Enforcement Evidence Documenting and Criminal Apprehension Coordinated Improved System
JP5011306B2 (ja) 移動体端末にトリガされる爆破装置の起爆を阻止する方法
CN101095338A (zh) 在无线通信系统中触发紧急模式及其方法
CN101212747A (zh) 实现移动终端自动报警的方法和装置
KR101083381B1 (ko) 긴급구조 신호 발생장치 및 긴급구조 신호 전송방법
GB2372612A (en) Mobile phone combined with a detector for remote signalling of a sensed condition
WO2014087157A1 (en) Communication device
KR100406321B1 (ko)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및 그 장치
KR20040004523A (ko) 이벤트의 발생과 관련되는 위치의 판단을 용이하게 하는시스템 및 방법
GB2354657A (en) Portable audio/video surveillance device
KR100424532B1 (ko) 이동전화 단말기 탈착식 보안 킷
KR20030059027A (ko) 개인 보안용 이동전화 단말기
GB2419783A (en) Security apparatus
US20060158525A1 (en) Photo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KR1006159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전파 시스템
CN106488025B (zh) 智能手机及其对消息进行处理的方法
KR20010100165A (ko)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 시스템 및 그 장치
RU66093U1 (ru) Устройство лич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работающее в составе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KR100436664B1 (ko)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KR100660994B1 (ko) 모바일 단말기 시스템
JP200324474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20040031836A (ko) 자동차용 화상 안전 시스템
AU2021101242A4 (en) Women safety hidden malicious chip using deep learning and iot based tracking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