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312B1 -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312B1
KR101744312B1 KR1020150059381A KR20150059381A KR101744312B1 KR 101744312 B1 KR101744312 B1 KR 101744312B1 KR 1020150059381 A KR1020150059381 A KR 1020150059381A KR 20150059381 A KR20150059381 A KR 20150059381A KR 101744312 B1 KR101744312 B1 KR 101744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ound
unit
automatic cal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7910A (ko
Inventor
이용주
최대림
김태권
고락환
김용운
김재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Priority to KR1020150059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31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2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child unit emits, i.e. the child unit incorporates the emit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91Housing and user interface of child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설치되어 이상음향을 검출하고, 단말기 간의 자동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댁내에 구비된 유선 단말기와 연결되어 이상음향을 검출하는 유선유닛(200); 및 상기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이상음향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긴급상황임을 판단하여 보호자에게 안내하는 긴급상환판단 서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은 단말기(10, 20)끼리 자동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면 단말기의 전방카메라 및 후방카메라를 동작시켜 연속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유선유닛(200)은 연속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이상음향이 검출되면 연속촬영을 수행하는,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대상자가 긴급상황에 처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할서에 신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관할서에 신고시 관리대상자의 개인정보, 병력정보, 주치의정보, 담당병원정보 및 위치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리대상자의 정보가 함께 접수되어, 상기 관리대상자에게 적합한 구조를 수행할 수 있는,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AUTO CALL SYSTEM BASED ON SOUND RECOGNITION}
본 발명은 인식된 음향을 통해 관리대상자가 긴급상황임을 판단하여 상기 관리대상자의 보호자로 하여금 관리대상자와 자동으로 통화 연결되도록 하는,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에 설치되어 이상음향을 검출하고, 단말기 간의 자동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댁내에 구비된 유선 단말기와 연결되어 이상음향을 검출하는 유선유닛(200); 및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및 유선유닛(2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이상음향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긴급상황임을 판단하여 보호자에게 안내하는 긴급상환판단 서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은 단말기끼리 자동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면 단말기의 전방카메라 및 후방카메라를 동작시켜 연속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유선유닛(200)은 연속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이상음향이 검출되면 연속촬영을 수행하는,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대상자가 긴급상황에 처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할서에 신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관할서에 신고시 관리대상자의 개인정보, 병력정보, 주치의정보, 담당병원정보 및 위치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리대상자의 정보가 함께 접수되어, 상기 관리대상자에게 적합한 구조를 수행할 수 있는,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저출산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2000년에 들어서면서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2%에 이르러 고령화 사회에 들어섰다. 그리고 2011년 고령화율은 11.4%였고,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총 5,656,000여 명이었다. 이러한 고령화율은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고, 앞으로도 계속 지속되어 2017년 14.0%로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핵가족화와 고령화로 인한 독거 세대의 급격한 증가로 독거노인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의 필요성 증대와 함께 일상 생황에 있어서 독거노인에 대한 안부를 확인하고, 긴급 상황 발생시 안전에 산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2007년부터 스마트폰의 보급이 이루어지면서 2012년 말 스마트폰 사용자는 3,00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치는 전체 대다수의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독거노인 등 보호대상자의 주변 정보를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보호대상자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183128호에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 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위에 기재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은 보호자 스마트폰으로부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으로 통화를 시도하는 통화시도단계; 통화연결이 되면 통화를 하고, 통화연결음이 기설정된 횟수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에 등록된 보호자 스마트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등록확인단계; 등록된 스마트폰이 아닌 경우는 통화연결음이 계속 울리고, 등록된 스마트폰인 경우는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은 감시모드로 전환되는 감시모드단계;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에 의해 주변정보를 습득하는 정보습득단계; 습득된 주변정보를 상기 보호자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 및 상기 보호자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상기 주변정보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위에 기재된 기술은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예를 들면 보호대상자의 주변 영상, 주변 음성정보 및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습득하여 보호자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스마트폰이 바닥에 놓인 경우에 카메라는 스마트폰이 놓여진 바닥을 촬영하게 되므로, 주변정보를 습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의 기술은 주변정보를 습득한 이후에 이루어지는 후속조치의 과정이 생략되어 있어, 보호대상자를 구조하기 위한 후속조치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하여, 적절한 시기에 후속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에 등록된 전화번호가 보호자 스마트폰의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계속 울리도록 하게 구성된 것으로,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진에 따른 작동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13년 03월 15일자로 '스마트폰에서의 자동 통화 방법 및 시스템'을 출원하여 등록받은바 있는데, 이는 등록특허공보 제10-1496958호에 기재되어 있다.
위에 기재된 기술은,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착신자 스마트폰에 설정된 정보에 근거하여 통화하고 긴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응급기관에 착신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동통화가 이루어지며, 보호대상자의 사생활을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위의 기술에 대해, 본 출원인은 관리대상자가 댁내에 위치한 경우, 해당 댁내에 구비된 유선 단말기를 통해 관리대상자의 긴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게 한다면 저렴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본 발명을 구상하게 되었다.
따라서, 유선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는 유선유닛의 기술을 개발함과 아울러 주변에서 일반적으로 발생되는 음향에서 이상음향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상음향을 분석함으로써 관리대상자의 긴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기에 설치되어 이상음향을 검출하고, 단말기 간의 자동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댁내에 구비된 유선 단말기와 연결되어 이상음향을 검출하는 유선유닛(200); 및 상기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이상음향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긴급상황임을 판단하여 보호자에게 안내하는 긴급상환판단 서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은 단말기끼리 자동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면 단말기의 전방카메라 및 후방카메라를 동작시켜 연속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유선유닛(200)은 연속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이상음향이 검출되면 연속촬영을 수행하는,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리대상자가 긴급상황에 처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할서에 신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관할서에 신고시 관리대상자의 개인정보, 병력정보, 주치의정보, 담당병원정보 및 위치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리대상자의 정보가 함께 접수되어, 상기 관리대상자에게 적합한 구조를 수행할 수 있는,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은, 단말기에 설치되어 이상음향을 검출하고, 단말기 간의 자동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댁내에 구비된 유선 단말기와 연결되어 이상음향을 검출하는 유선유닛(200); 및 상기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이상음향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긴급상황임을 판단하여 보호자에게 안내하는 긴급상환판단 서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은 단말기(10, 20)끼리 자동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면 단말기의 전방카메라 및 후방카메라를 동작시켜 연속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유선유닛(200)은 연속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이상음향이 검출되면 연속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대상자가 긴급상황에 처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할서에 신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관할서에 신고시 관리대상자의 개인정보, 병력정보, 주치의정보, 담당병원정보 및 위치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리대상자의 정보가 함께 접수되어, 상기 관리대상자에게 적합한 구조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은, 이상음향을 기반으로 관리대상자의 긴급상황을 판단하되, 관리대상자가 전화를 수신받을 수 없는 상황이어도 자동으로 전화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대상자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선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는 유선유닛을 더 구성함으로써, 저렴하게 댁내 설치가 용이하게 때문에 독거인 같은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사람들에게 저렴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에서 유선유닛의 구성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유닛", "인터페이스"의 의미는 하드웨어 수단 또는 소프트웨어 수단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수단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인식된 음향을 통해 관리대상자가 긴급상황임을 판단하여 상기 관리대상자의 보호자로 하여금 관리대상자와 자동으로 통화 연결되도록 하는,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2013년 03월 15일자로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공보 제10-1496958호에 기재된 '스마트폰에서의 자동 통화 방법 및 시스템'을 보완하고자 안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초는 '스마트폰에서의 자동 통화 방법 및 시스템'에 기반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스마트폰에서의 자동 통화 방법 및 시스템' 기술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으므로, 위 기술과 연결지어 본 발명을 이해해야함을 강조하는 바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App), 유선유닛(200) 및 긴급상황판단 서버(300)를 주요하게 포함할 수 있다.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은 단말기에 설치되어 이상음향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기(10, 20)는 관리대상자 단말기(10) 및 보호자 단말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대상자는 독거인이나 심신상실자와 같이 관리가 요구되는 대상자를 의미하고, 보호자는 상기 관리대상자를 관리하는 사람일 수 있다.
그리고 관리대상자 단말기(10) 또는 보호자 단말기(20)에 설치되는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은 로그인( Log - in ) 정보 또는 후술될 긴급상황판단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접속하는 사용자가 관리대상자인지 보호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각 사용자(관리대상자 또는 보호자)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대상자 단말기(10)에 설치되는 경우, 이상음향을 인식하여 긴급상황판단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이상음향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보호자 단말기(20)에 설치되는 경우, 긴급상황을 안내하는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관리대상자 단말기(10)와의 자동통화를 위한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에 있어서 관리대상자를 위한 기능 또는 보호자를 위한 기능이 분리되어 각각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대상자 단말기(10) 및 보호자 단말기(20)에 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도 있다.
유선유닛(200)은 댁내의 유선전화나 인터폰과 같은 유선 단말기에 연결되어 이상음향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상음향은, 일반적인 환경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기준으로 상기 음향보다 일정 데시벨(decibel, db)만큼 초과된 음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및/또는 유선유닛(200)을 통해 인식된 이상음향은 긴급상황판단 서버(300)가 수신하여 해당 이상음향의 종류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이상음향을 전송한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및/또는 유선유닛(200)에 대응되는 관리대상자가 긴급상황에 처해있는지를 판단하고 미리 등록된 보호자에게 긴급상황임을 안내할 수 있다.
이 후, 보호자가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된 보호자 단말기(20)를 통해 관리대상자 단말기(10)에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만일 관리대상자 단말기(10)가 일정횟수 이상을 초과하여 수신하지 않으면, 관리대상자 단말기(10)와의 연결을 자동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아울러, 유선 단말기인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이 설치된 유선 단말기를 사용함으로써, 자동 통화 연결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통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르면,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은 이상음향검출부(110), 자동통화설정부(120), 자동통화연결부(130), 제1 위치정보제공부(140) 및 관할서연결부(150) 및 자동통화상태판단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음향검출부(110)는,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된 주변의 음향을 인식하여 이상음향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주변의 음향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모든 음향일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음향은 상기 음향 중, 기설정된 긴급한 상황을 암시하는 음향 즉, 비명, 신음, 파손, 폭발, 충격 등의 음향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상음향검출부(110)는 주변의 음향 중에서 비명, 신음, 파손, 폭발, 충격 등의 음향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상음향이 검출되면 긴급상황판단 서버(300)로 이상음향을 전송할 수 있다.
자동통화설정부(120)는, 보호자의 정보를 등록하거나 편집하는 등의 자동통화를 위한 설정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호자의 정보는 복수 개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등록된 보호자의 정보는 후술될 긴급상황판단 서버(300)의 저장부(340)에 저장될 수 있다.
자동통화연결부(130)는, 관리대상자의 단말기로 착신된 전화번호가 등록된 보호자의 전화번호인 경우, 기설정된 자동통화 설정에 따라 자동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통화연결모듈, 카메라제어모듈, 스피커제어모듈 및 미수신 횟수 누적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화연결모듈은, 기설정된 자동통화 설정에 따라 관리대상자의 단말기와 보호자의 단말기 간에 자동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때의 자동 통화는 일반통화, 영상통화 및 스피커폰 통화 중 선택된 하나의 통화형식일 수 있다.
카메라제어모듈은, 관리대상자의 단말기와 보호자의 단말기가 영상통화로 연결되는 경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 카메라제어모듈은, 자동통화가 연결되면 해당 단말기의 전방카메라 및 후방카메라 중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일정횟수만큼 연속촬영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된 사진은 전방카메라 및 후방카메라 별로 구분되어 메시지 형태로 하여 보호자의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스피커제어모듈은, 관리대상자의 단말기와 보호자의 단말기가 자동통화되는 경우, 일반통화 인지 혹은 스피커폰 통화인지에 따라 스피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미수신 횟수 누적모듈은, 기설정된 보호자 중, 어느 하나의 보호자가 관리대상자의 단말기로 전화연결을 발신하였을 때, 관리대상자의 단말기에서 수신하지 못하여 부재중으로 처리되는 횟수를 누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보호자의 부재중 처리가 일정시간동안 일정횟수만큼 초과되면 상술된 자동통화연결부를 통해 자동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시간과 일정횟수는 자동통화설정부를 통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긴급상황일 수도 있음을 전제로 하였을 때, 5분 내지 10분이 일정시간으로 바람직할 수 있고, 일정횟수는 3회 내지 5회가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때 미수신 횟수 누적모듈은, 설정되지 않은 전화번호의 착신도 누적처리할 수 있는데, 이때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부재중이 누적처리되면 해당 전화번호의 착신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위치정보제공부(140)는,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에 구비된 GPS 기능을 통해 해당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의 위치를 검출하여 긴급상황판단 서버(300)로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관할서연결부(150)는, 보호자의 단말기(20) 상에서 인터페이스 형식으로 구성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데, 관리대상자가 긴급한 상황에 처해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구조대(119) 및/또는 경찰서 등으로 긴급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긴급구조대 및/또는 경찰서에 긴급상황을 알리는 경우, 제1 위치정보제공부(140)로부터 제공된 위치정보와 후술된 긴급상황판단 서버(300)에 저장된 관리대상자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대상자의 정보는 개인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관리대상자의 병력정보, 주치의정보, 담당병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관리대상자에 대응될 수 있는 맞춤형 구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유선유닛(200)은 댁내에 설치된 유선 단말기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상음향을 검출하고,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유선유닛(200)이 구성되는 일예를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통해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에서 유선유닛의 구성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유선유닛(200)은 도 3의 (a)에서와 같이, 4구로 구성되는 유선 단말기의 유선 케이블과 연결되어 본래 유선 케이블이 끼워지는 콘센트에 끼워져 기능을 수행하거나, 도 3의 (b)에서와 같이, 유선 단말기와 유선 케이블 사이에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선유닛(200)은, 이상음향검출부(210), 마이크부(220), 카메라부(230) 및 제2 위치정보제공부(24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술된 유선유닛(200)의 구성들은 PCB 모듈화를 통화 유선유닛(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음향검출부(210)는, 마이크부(220)를 통해 유선유닛(200)이 설치된 주변의 이상음향을 검출하는 것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상술된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의 이상음향검출부(110)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생략한다.
카메라부(230)는, 유선유닛(200)에서 이상음향이 검출되면 유선유닛(200)이 설치된 주변을 연속촬영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유선유닛(20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될 수 있는 유선 단말기(30)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보호자의 단말기(20)가 유선 단말기(30)와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에 유선유닛(200)이 카메라부(230)를 통해 연속촬영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과정들로 인해 연속촬영된 영상은 유선 단말기(30)의 유선망과 기지국의 무선망을 통해 보호자의 단말기(20)로 전송될 수 있다.
나아가 다른 실시예로써, 유선 단말기(30)에 카메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위치정보제공부(240)는 유선유닛(200)이 설치된 위치를 식별정보로 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이상음향이 검출되면, 긴급상황판단 서버(300)의 저장부(3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유선유닛(200)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다른 일예로 열인식부(2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댁내의 화재를 감지하여 보호자에게 관리대상자의 긴급상황을 안내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긴급상황판단 서버(300)는, 상술된 관리대상자 단말기(10) 및/또는 유선유닛(200)이 전송한 이상음향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보호자의 단말기(20)로 긴급상황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긴급상황판단 서버(300)는, 이상음향수신부(310), 이상음향분석부(320), 긴급상황안내부(330) 및 저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음향분석부(320)는, 이상음향수신부(310)가 관리대상자 단말기(10) 및/또는 유선유닛(200)으로부터 수신한 이상음향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될 저장부(340)에 기저장된 '긴급상황을 의미하는 음향'과 비교함으로써 수신된 이상음향이 '긴급상황을 의미하는 음향'인지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상음향의 분석은, 먼저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된 음성음향인지 또는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되지 않은 비음성음향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된 음성음향인 경우에는 키워드(Keyword)를 분석하여 긴급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는데, 여기서 키워드는 '살려주세요', '도움', '구급차', '병원' 등의 특정 단어 혹은 '으악'과 같은 비명성 단어일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되지 않은 비음성음향인 경우에는 기저장된 '긴급상황을 의미하는 음향'과 비교하도록 할 수 있는데, '긴급상황을 의미하는 음향'은 일정 데시벨을 초과하는 음향이거나 폭발음, 사람의 신음소리, 비명소리, 깨짐 소리 등과 같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긴급상황이라고 판단되어질 수 있는 모든 음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음향의 검출의 일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먼저, 이상음향의 검출은 긴급상황판단 서버(300)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및/또는 유선유닛(200)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술된 음성음향이나 일정 데시벨을 초과하는 음향(폭발음, 비명소리, 깨짐소리 등)과 같이 용이하게 검출이 가능한 이상음향은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에서 검출하고, 신음소리 등과 같이 데시벨 분석으로 검출되기 어렵거나 키워드를 통해 검출되기 어려운 음향은 긴급상황판단 서버(300)를 통해 분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이 이상음향을 검출하는 경우, 긴급상황판단 서버를 통하지 않고, 바로 보호자의 단말기(20)에 설치된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 100)으로 이상음향이 검출되었음을 알려 자동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긴급상황안내부(330)는, 이상음향분석부(320)를 통해 분석된 이상음향을 근거로 관리대상자가 긴급한 상황에 처해있다고 판단되면, 보호자의 단말기(20)에 설치된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으로 긴급상황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보호자정보 저장모듈, 관리대상자정보 저장모듈 및 위치정보 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자정보 저장모듈은, 자동통화설정부(120)를 통해 설정된 보호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써, 이때 보호자의 정보는 개인정보, 관리대상자와의 관계, 전화번호 및 위치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관리대상자정보 저장모듈은, 자동통화설정부(120)를 통해 설정된 관리대상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써, 이때 관리대상자의 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인정보, 관리대상자의 병력정보, 전화번호, 주치의정보, 담당병원정보 및 위치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위치정보 저장모듈은,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및 유선유닛(200)에서 제공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은 또 다른 일예로써, 자동통화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가 관리대상자의 긴급상황을 안내받아 관리대상자한테 전화를 연결한 경우라도,
(i) 실제로 관리대상자가 긴급상황이 아니거나 긴급상황이더라도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상태에 있지만, 전화 수신을 하지 못한 경우,
(ii) 관리대상자가 부재중 전화를 인식하여 보호자에게 전화 연결을 요청하였을 수도 있으며,
(iii) 복수의 보호자 중 제2 보호자가 관리대상자에게 전화하는 경우, 제1 보호자가 전화 연결시 통화중인 것으로 확인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부재중 인식이 올바르게 되지 않으면 자동 통화 연결 작업이 오래 걸림은 물론, 관리대상자가 진실로 긴급한 상황에 처했다면 복수의 보호자의 중복 전화에 의해 관리대상자의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에 자동통화상태판단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통화상태판단부(160)는,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간의 연동을 통해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가 통화 중인 경우, (i) 다른 보호자가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것인지, (ii) 관리대상자가 발신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단말기 연동모듈 및 착신번호 비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연동모듈은,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된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의 통화 중인 원인이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가 발신을 요청함으로써 발생된 것, 즉 관리대상자가 발신 중이어서 통화 중인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착신번호 비교모듈은,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가 통화 중인 경우, 기설정된 보호자의 정보와 관리대상자 단말기(10)에 착신된 전화번호를 비교함으로써,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의 통화 중인 원인이 다른 보호자의 발신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대상자가 발신 중이어서 통화 중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다른 보로자의 발신에 의해 통화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호자가 관리대상자에게 전화 연결을 한 경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가 통화 중이어도 그 상황의 상태 파악이 용이하므로 보호자의 더욱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은, 이상음향을 기반으로 관리대상자의 긴급상황을 판단하되, 관리대상자가 전화를 수신받을 수 없는 상황이어도 자동으로 전화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대상자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선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는 유선유닛을 더 구성함으로써, 저렴하게 댁내 설치가 용이하게 때문에 독거인 같은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사람들에게 저렴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관리대상자의 단말기
20 : 보호자의 단말기
30 : 유선 단말기
100 :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
110 : 이상음향검출부 120 : 자동통화설정부
130 : 자동통화연결부 140 : 제1 위치정보제공부
150 : 관할서연결부 160 : 자동통화상태판단부
200 : 유선유닛
210 : 이상음향검출부 220 : 마이크부
230 : 카메라부 240 : 제2 위치정보제공부
250 : 열인식부
300 : 긴급상황판단 서버
310 : 이상음향수신부 320 : 이상음향분석부
330 : 긴급상황안내부 340 : 저장부

Claims (8)

  1. 단말기에 설치되어 이상음향을 검출하고, 상기 단말기 간의 자동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댁내에 구비된 유선 단말기와 연결되어 이상음향을 검출하는 유선유닛(200); 및
    상기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및 유선유닛(2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이상음향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긴급상황임을 판단하여 보호자에게 안내하는 긴급상황판단 서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 및 보호자의 단말기(20)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은,
    관리대상자를 설정하고, 상기 관리대상자에 대한 복수의 보호자를 설정하며, 상기 단말기(10, 20)끼리 자동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면 단말기의 전방카메라 및 후방카메라를 동작시켜 연속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유선유닛(200)은,
    연속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이상음향이 검출되면 연속촬영을 수행하며,
    상기 긴급상황판단 서버(300)는,
    관리대상자의 정보, 보호자의 정보 및 상기 단말기(10, 20)와 유선유닛(200)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이상음향은,
    주변 일상에서 들리는 모든 음향을 의미하는 주변의 음향 중, 비명, 신음, 파손, 폭발 및 충격에 대한 기저장된 긴급한 상황을 의미하는 음향으로써, 상기 관리대상자의 음성이 포함되지 않은 비음성음향 및 상기 관리대상자의 음성이 포함된 음성음향을 포함하며,
    상기 긴급상황판단 서버(300)는,
    분석결과, 수신된 이상음향이 비음성음향인 경우, 상기 기저장된 긴급한 상황을 의미하는 음향과 비교하여 긴급상황임을 판단하고,
    수신된 이상음향이 음성음향인 경우, 키워드 분석을 통해 긴급상황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선유닛(200)은,
    상기 유선 단말기의 전력선 일단에 구비된 유선 케이블에 결합되거나,
    상기 유선 단말기와 상기 유선 케이블 사이에 전력선으로 연결되되,
    마이크부(220)를 통해 주변의 이상음향을 검출하는 이상음향검출부(210);
    상기 이상음향이 검출되면 주변을 연속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230); 및
    상기 유선유닛(200)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긴급상황판단 서버(300)로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제2 위치정보제공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은,
    상기 관리대상자가 긴급상황에 처한 경우 관할서에 신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관할서에 신고시 상기 긴급상황판단 서버(300)에 저장된 상기 관리대상자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자 정보는 관리대상자의 개인정보, 전화번호, 병력정보, 주치의정보, 담당병원정보 및 위치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 정보는 개인정보, 관리대상자와의 관계, 전화번호 및 위치정보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및 유선유닛(200)은,
    상기 음성음향은 키워드를 통해 이상음향으로 검출하고, 상기 비명, 파손, 폭발 및 충격에 대한 비음성음향은 데시벨 분석을 통해 이상음향으로 검출하며,
    신음에 대한 비음성음향은 긴급상황판단 서버(300)로 전송하여 상기 긴급상황판단 서버(300)를 통해 이상음향으로 검출하되,
    상기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 및 유선유닛(200)에서 이상음향이 검출된 경우, 상기 긴급상황판단 서버(300)를 통하지 않고 보호자의 단말기(20)로 긴급상황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은,
    상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에 대한 자동통화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자동통화상태판단부(160)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통화상태판단부(160)는,
    상기 자동통화 애플리케이션(100)이 그가 설치된 상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와 연동되어 상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가 상기 관리대상자의 발신으로 인해 통화중인지 판단하는 단말기 연동모듈; 및
    상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가 통화중인 경우, 보호자의 정보와 상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에 착신된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가 다른 보호자의 착신에 의해 통화중인지를 판단하는 착신번호 비교모듈;을 포함하여,
    (a) 상기 관리대상자가 발신중인지 또는 (b) 상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로 다른 보호자가 착신하였는지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20)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KR1020150059381A 2015-04-28 2015-04-28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KR101744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381A KR101744312B1 (ko) 2015-04-28 2015-04-28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381A KR101744312B1 (ko) 2015-04-28 2015-04-28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910A KR20160127910A (ko) 2016-11-07
KR101744312B1 true KR101744312B1 (ko) 2017-06-07

Family

ID=57529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381A KR101744312B1 (ko) 2015-04-28 2015-04-28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491B1 (ko) * 2020-04-01 2021-03-05 주식회사 진연 와이파이를 이용한 멀티 차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910A (ko)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662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d resolving accidental emergency calls
US8767923B1 (en) Emergency communication within controlled-environment facilities
US8705702B1 (en)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KR20180010204A (ko) Diy 감시 장치 및 방법
CN105744064A (zh) 自动通信求助方法、自动通信求助装置和终端
KR20150011684A (ko) 모바일 단말의 긴급 호출 장치 및 긴급 호출 방법
US20110143704A1 (en) Specialized dial a chip
US20190228628A1 (en) Audio monitoring system
CN111815884A (zh) 一种移动终端自动拨号报警方法
JP2002175581A (ja) 生活見守りシステム
US20220028239A1 (en) Security system
KR101744312B1 (ko)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KR200459614Y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US10380880B1 (en) Methods of and devices for filtering triggered alarm signals
KR101865788B1 (ko) 엘리베이터용 유무선 자동전환 비상화상통화시스템
KR20110137469A (ko) 얼굴 검출을 이용한 지능형 영상출입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
KR20160110791A (ko) 보이스피싱 감시 시스템
KR101782800B1 (ko)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
JP3879641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895807B1 (ko)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KR101650467B1 (ko)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86561A (ko) 고령자 자동 신상관리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치 및 그 방법
CN113086800B (zh) 用于电梯的可视紧急呼叫系统
KR20140113002A (ko) 스마트폰에서의 자동 통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769487B1 (ko)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