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7469A - 얼굴 검출을 이용한 지능형 영상출입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얼굴 검출을 이용한 지능형 영상출입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7469A
KR20110137469A KR1020100057419A KR20100057419A KR20110137469A KR 20110137469 A KR20110137469 A KR 20110137469A KR 1020100057419 A KR1020100057419 A KR 1020100057419A KR 20100057419 A KR20100057419 A KR 20100057419A KR 20110137469 A KR20110137469 A KR 20110137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ace
call
person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윤석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오리엔탈종합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엔탈종합전자(주) filed Critical 오리엔탈종합전자(주)
Priority to KR102010005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7469A/ko
Publication of KR20110137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얼굴 검출을 이용한 지능형 영상출입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영상출입장치는 출입자를 촬영한 카메라 영상에서 출입자의 얼굴을 검출하고, 해당 얼굴 이미지가 생체 얼굴의 이미지 인지를 판단하여 생체 이미지인 경우에 출입자의 출입을 위한 호출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얼굴을 노출하지 않는 출입자는 호출버튼을 누르더라도 내부자가 출입자의 호출여부를 확인할 수 없게 되어 출입할 수 없게 되고, 반대로 출입자가 버튼을 누르지 못한 경우라도 일정한 조건에서의 출입자의 얼굴이 노출될 경우 출입자를 위한 호출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내부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Description

얼굴 검출을 이용한 지능형 영상출입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Intelligent Entrance Managing Apparatus Using Face Detection and Entrance Mana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에 대한 처리를 기초로 출입자의 얼굴이 검출되는 경우에 한하여 출입을 위한 호출음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얼굴 검출을 이용한 지능형 영상출입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사무실 등(이하 '주택 등'이라 함)에 출입하는 출입자를 제어하기 위해 각종 형태의 영상촬영 및 통화장치인 소위 '비디오 폰' 또는 '도어폰'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출입문에 설치되는 출입문 장치와, 실내에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한다. 출입문 장치는 출입자의 제어에 따라 본체를 호출하고, 출입자를 촬영하여 본체로 영상을 제공하고, 본체와 통화를 수행한다. 본체는 출입문 장치가 촬영한 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함과 동시에 출입문 장치와 통화를 수행한다.
최근의 비디오 폰은 다양한 기능을 더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인터넷 망에 연결되거나, 주택 등에 설치되는 조명장치, 난방장치, 공조장치 또는 각종 전자제품 등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비디오 폰은 외부의 출입자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있기는 하나, 이러한 기능은 선량한 출입자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뿐이다. 예컨대, 나쁜 의도를 가진 출입자가 벨을 눌러 내부자를 호출하면서도 적극적으로 자신의 얼굴을 보여주지 않으려고 할 경우에는 종래의 비디오 폰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얼굴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한편, 주택 등의 보안을 위하여 별도의 보안장치를 설치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보안장치는 외부에서 불법적인 방법으로 강제로 침입할려고 하는 자를 감지하고 경보를 발생시키는 장치이지, 출입문을 통해 벨을 누르고 출입하는 사람을 감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최근의 비디오 폰들이 다소의 방범 기능을 갖추기도 하지만, 그것은 간단한 수준의 보안장치를 결합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종래의 어떠한 장치도 출입자의 얼굴을 확인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얼굴이 확인되지 아니한 출입자의 출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에 대한 처리를 기초로 출입자의 얼굴이 검출되는 경우에 한하여 출입을 위한 호출음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얼굴 검출을 이용한 지능형 영상출입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출입장치는 출입문에 설치되고 출입자의 호출버튼 조작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외부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을 생성하는 출입문장치와, 상기 출입문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출입자와 음성통화를 수행하며 상기 출입문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을 제공받아 내부자에게 표시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출입장치는, 호출음을 스피커를 통해 상기 내부자에게 출력하는 호출신호출력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출입자의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얼굴검출부; 상기 얼굴검출부가 검출한 얼굴 이미지가 생체 얼굴의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변조판별부; 및 호출제어부를 포함한다.
호출제어부는 상기 호출버튼의 조작이 있는 경우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얼굴검출부 및 위변조판별부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출입자의 얼굴 이미지를 검출되고 검출된 이미지가 생체 얼굴의 이미지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호출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벤트를 처리한다.
만약, 상기 출입자의 얼굴 이미지가 검출되지 않거나, 검출된 이미지가 생체 얼굴의 이미지가 아닌 경우, 상기 호출버튼의 조작에 불구하고 호출음을 출력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얼굴검출부와 위변조판별부는 출입문장치 및 본체 중 어느 것에 포함되어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출입문장치는 일정거리 내에 움직이는 물체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호출제어부는 상기 출입자의 호출버튼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기초로 판단하여, 정해진 시간이상 상기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도 상기 이벤트를 생성하여 처리하며, 상기 출입문장치로 하여금 상기 카메라 영상을 생성하도록 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호출제어부는, 상기 호출버튼의 조작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나 상기 얼굴검출부가 상기 출입자의 얼굴 이미지를 검출하지 못하는 것이 정해진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발생할 경우, 상기 출입문장치로 하여금 안내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상기 출입자에게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당연히, 본 발명은 영상출입장치의 기능을 처리하는 단계로 표현되는 방법발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출입장치는 출입문 장치를 통해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출입자의 생체 얼굴을 확인한 경우에만 출입자를 위한 호출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나쁜 의도를 가진 출입자의 출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내부, 특히 가정에 있는 주부 등이 호출음이 울릴 경우, 출입자의 얼굴이 보이지 않더라도 출입문을 열어주거나 문을 열어 출입자를 확인하는 경향에 따른 문제를 해결한다.
나아가, 얼굴을 노출하지 않고 계속 벨을 누르는 출입자는 벨을 누름에도 불구하고 호출음을 듣지 못하게 되고, 더 나아가 안내 메시를 듣게 되는 경우 출입자에게 방범에 대한 주의를 주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반대로, 어린 아이와 같이 적극적으로 호출 버튼을 누를 수 없는 경우라도, 출입자가 카메라에 일정 시간 자신의 얼굴을 노출시킬 경우 호출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출입장치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출입자의 촬영한 이미지를 저장하여 이력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출입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얼굴 이미지 위조 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얼굴 검출을 이용한 지능형 출입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출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영상출입장치(100)는 소위 '비디오 폰' 또는 '도어 폰'이라 불리는 것으로서, 출입문에 설치되는 출입문장치(110)와, 실내에 설치되는 본체(130)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출입문장치(110)와 본체(130)는 음성통화를 출입자와 내부자에게 제공하며, 출입자의 영상을 내부자에게 표시한다.
출입문장치(110)는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과 호출신호 등을 본체(130)로 제공할 수 있으면 족하므로, 출입문장치(110)와 본체(130)의 연결은 어떤 방식이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두 개의 장치는 영상(+)신호, 영상(-)신호, 접지, 음성기타신호를 위한 4선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유무선 랜(LAN, WLAN)에 기반하여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의 영상출입장치(100)는 일반적인 4선식의 연결을 기초로 도시하였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본체(130)에서 이루어지는 영상처리에 있으며, 출입문장치(110)는 단지 본체(130)의 영상처리를 위한 정보의 제공 및 그 처리결과를 수행하는 것에 해당하므로, 출입문장치(110)가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과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본체(130)에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내부 구성을 가지거나 어떠한 부가기능을 더 가지더라도 무방하며, 아래에서 설명되는 출입문장치(110)의 구성은 그 일 예에 해당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출입문장치(110)는 카메라 모듈(103), 호출신호생성부(107), 외측음성처리부(109), 센서부(111) 및 외측통신부(113)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03)은 카메라(101)를 구비하여 이용하여 출입자를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을 본체(130)에 제공한다. 출입문장치(110)와 본체(130)가 IP망으로 연결될 경우라면, 카메라 모듈(103)은 촬영한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본체(130)로 제공할 수 있다.
호출신호생성부(107)는 출입자의 호출 버튼(105) 조작이 있는 경우, 호출신호(벨 신호)를 생성한다.
외측음성처리부(109)는 마이크로폰(MIC1)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음성을 음성신호를 변환하고, 본체(13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SPK1)를 통해 출입자에게 출력한다.
외측통신부(113)는 본체(130)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호출신호생성부(107)의 출력신호, 외측음성처리부(109)가 생성한 음성신호 및 센서부(111)가 감지한 감지결과를 본체(130)로 전송한다.
센서부(111)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센서부(111)는 적외선 센서와 같이 일정 거리 이내에서 움직이는 객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 등이 해당할 수 있으며, 출입문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에 움직이는 물체가 있는 경우에 그 움직임 검출정보를 외측통신부(113)를 통해 본체(130)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출입문장치(110)는 그 기능적 선택에 대응하는 다양한 구성을 얼마든지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출입문장치(110)는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Door Lock)을 제어하는 도어락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출입문장치(110)의 각종 구성, 예컨대 호출신호생성부(107)와 외측음성처리부(109)는 해당 기능을 함께 처리하는 통합 칩(Chip)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어떠한 장치가 그 실질적인 구현 형태에 관계없이 도 1에 도시된 출입문장치(110)의 각 구성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하는 것이라면, 출입문장치(110)와 동일한 장치로 해석되어야 한다.
출입문장치(110)와 연결되는 본체(130)도 그 기능적 선택에 대응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아래에서 설명되는 구성 이외에 외부 공중전화망(PSTN)과의 접속을 위한 전화 기능부나, 홈 오토메이션 기능에 따라 실내의 다양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출입문장치(110)와 마찬가지로, 어떠한 장치가 그 실질적인 구현 형태에 관계없이 도 1에 도시된 본체(130)의 각 구성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하는 것이라면, 본체(130)와 동일한 장치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에 예로 제시된 본체(130)는 영상표시부(131), 모니터(133), 내측통신부(135), 호출신호출력부(137), 내측음성처리부(139) 및 출입제어부(141)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얼굴 검출에 기반한 지능형 출입관리를 수행한다.
영상표시부(131)는 영상(+)신호 및 영상(-)신호를 위한 회선을 통해 출입문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모니터(133)를 통해 표시하며, 내측통신부(135)는 외측통신부(113)와 연결되어 각종 신호를 송수신한다.
호출신호출력부(137)는 출입제어부(141)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SPK2)를 통해 호출음을 출력한다. 내측음성처리부(139)는 마이크로폰(MIC2)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출입문장치(110)에게 제공하고, 출입문장치(11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SPK2)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기본적인 비디오폰 또는 도어폰의 기능을 수행한다.
출입제어부(141)는 출입문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신호를 기초로 출입자의 얼굴을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따라 각종 지능형 출입관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출입제어부(141)는 얼굴검출부(143), 위변조판별부(145) 및 호출제어부(147)를 포함한다.
얼굴검출부(143)는 카메라(101)가 촬영한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한 다음,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카메라(101)가 촬영한 영상에 출입자의 얼굴이 포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검출된 얼굴 이미지를 위변조판별부(145)에게 제공한다.
얼굴검출부(143)의 얼굴검출에는 아다부스트(Adaboost) 알고리즘과 같이 이미 알려진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아다부스트는 약한 분류기들의 선형결합을 통해 제작된 강한 분류기로 얼굴 이미지 부분을 추출하게 된다.
위변조판별부(145)는 얼굴검출부(143)가 검출한 얼굴이 생체의 얼굴 이미지인지 아니면, 위조 또는 모조 이미지인지를 판별한다. 위변조 판별을 위해, 위변조판별부(145)는 얼굴검출부(143)가 검출한 얼굴 이미지를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얼굴 이미지에 대하여 특징계수를 추출하여 위조 또는 변조 여부를 판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위변조판별부(145)는 얼굴검출부(143)가 검출하여 제공한 얼굴영상에 대해 정규화 과정을 수행하여 판단의 대상이 되는 이미지가 일정한 자세와 크기를 가지도록 한다. 카메라(101)가 촬영한 영상의 얼굴 이미지는 그 출입자의 위치 및 자세에 따라 정규화되지 않은 크기와 자세를 가지기 때문이다(S201).
위변조판별부(145)는 정규화된 얼굴 이미지에 대하여 특징계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특징계수들을 기초로 SVM(Support Vector Machine) 판별기를 이용하여 생체얼굴의 이미지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 ~ S209).
특징계수의 계산은 가버(Gabor)와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를 이용하여 눈, 코 또는 입을 중심으로 계산한다. SVM 판별기는 1998년 V.N.Vapnik에 의해 개발된 통계적 학습이론으로서, 학습데이터와 범주 정보의 학습진단을 대상으로 학습과정에서 얻어진 확률분포를 이용하여 의사결정함수를 추정한 후, 이 함수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를 분류하는 알고리즘이다.
다시 말해, 위변조판별부(145)는 정규화된 얼굴 이미지로부터 계산한 특징계수가 통계적으로 추출된 생체 얼굴의 특징계수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생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눈, 코, 입 들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생체가 아니면 해당 얼굴 이미지가 생체를 촬영한 이미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위변조판별부(145)의 판단결과는 호출제어부(147)에게 제공되고, 호출제어부(147)는 본 발명의 전체 출입제어를 수행한다.
호출제어부(147)는 얼굴검출부(143), 위변조판별부(145), 호출신호출력부(137) 등을 제어하면서 본 발명의 출입제어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호출제어부(147)의 동작을 설명한다.
<호출신호 생성 이벤트의 발생단계: S301>
호출제어부(147)는 출입문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호출신호 생성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호출신호 생성이벤트'는 출입자가 적극적으로 벨을 누른 상황에 따른 제1이벤트와, 출입자가 벨을 누르지 않은 상황에 따른 제2 이벤트로 나눌 수 있다.
제1이벤트는 출입자가 적극적으로 호출 버튼(105)을 누른 경우에 발생한다. 호출신호생성부(107)는 출입자의 호출 버튼(105) 조작에 따라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본체(130)의 호출제어부(147)에게 제공함으로써 제1이벤트가 발생한다.
제2이벤트는 호출제어부(147)가 센서부(111)의 감지정보를 모니터링하면서, 그 감지정보를 기초로 출입문장치(110)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에 일정시간 이상 위치하는 객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발생한다.
제2이벤트는, 출입자가 직접 벨을 누르지 않은 상황이지만 출입문 밖에 출입자가 일정한 거리 내에서 일정시간 위치하는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호출 버튼(105)에 손이 닿지 않는 어린아이가 출입을 위해 벨을 누르지 못하는 상황에서 출입문장치(110) 앞에 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얼굴 검출 단계: S303, S305>
제1이벤트의 경우, 카메라 모듈(103)은 호출버튼(105) 조작에 따라 카메라(101) 영상의 촬영을 개시한다. 그러나 제2이벤트의 경우, 호출제어부(147)가 제2이벤트를 발생시켜 카메라 모듈(103)로 하여금 카메라(101) 영상의 촬영을 개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후에 호출제어부(147)는 얼굴검출부(143)로 하여금 출입문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에서 얼굴을 검출하도록 요청한다. 이에 따라, 얼굴검출부(143)는 출입문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한 개 프레임의 이미지를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한 다음, 해당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영상처리를 통해 얼굴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호출제어부(147)에게 제공한다.
호출제어부(147)는 얼굴검출부(143)가 출입자의 얼굴을 검출한 경우는 다음 단계의 위변조 판단을 수행하고, 만약 얼굴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해당 이벤트를 무시한다.
<생체 얼굴의 이미지 판단단계; S307>
호출제어부(147)는 S305 단계에서 얼굴이 검출된 경우, 위변조판별부(145)로 하여금 검출된 얼굴 이미지가 생체 얼굴의 이미지인지를 판단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위변조판별부(145)는 얼굴검출부(143)가 제공하는 얼굴 이미지가 생체 얼굴의 이미지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호출제어부(147)에게 제공한다.
<이벤트에 따른 처리: S309, S311>
S307 단계에서 해당 검출된 얼굴 이미지가 생체 얼굴의 이미지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호출제어부(147)는 해당 제1이벤트 또는 제2이벤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처리에는, 호출신호출력부(137)로 하여금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SPK2)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거나, 영상표시부(131)로 하여금 출입문장치(110)로부터 계속 입력되는 영상을 모니터(133)에 표시하도록 하거나, 내측음성처리부(139)로 하여금 출입문장치(110)의 통화 요청에 따른 페이징 처리를 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S309).
실시 예에 따라, 호출신호출력부(137)가 생성하는 신호는 제1이벤트와 제2이벤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출입자가 벨을 누르지 않고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제2이벤트의 경우, 제1이벤트에 따른 호출신호와 구분되는 다른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S305 단계 및 S309 단계의 판단결과, 얼굴이 검출되지 않거나, 검출된 얼굴이 생체 얼굴의 이미지가 아닌 경우, 호출제어부(147)는 해당 이벤트를 무시하고 어떠한 처리도 수행하지 않는다(S311).
이상의 방법으로 호출제어부(147)는 본 발명의 얼굴 검출에 따른 지능형 출입제어방법을 수행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출입자가 얼굴을 노출시키지 않는 경우에 어떠한 대응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 1>
실시 예에 따라, S305 단계에서 얼굴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라도, 해당 상황이 출입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일 수 있으므로, 출입자에게 소정의 안내 메시지를 스피커(SPK1)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이벤트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얼굴 검출을 실시하는 단계(S301 내지 S305)를 수 회 이상(예컨대, 3회 이상) 반복하여 계속 얼굴 검출 실패인 경우에, 호출제어부(147)는 외측음성처리부(109)로 하여금 안내 메시지를 기 녹음된 기계음의 형태로 스피커(SPK1)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 2>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위변조판별부(145)는 검출된 얼굴이 기 등록된 얼굴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얼굴이 기 등록된 얼굴인 경우 그 정보를 호출제어부(147)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적용되는 얼굴인식 기술도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계수나 특징점 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의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얼굴이 기 등록된 얼굴인 경우, 호출제어부(147)는 S307 단계를 수행하지 아니하고 S309 단계를 바로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출입문장치(110)가 도어락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 경우라면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도어락제어부(미도시)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 3>
호출제어부(147)는 S301 단계에서 제1 이벤트 또는 제2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얼굴검출부(143)로 하여금 카메라 모듈(103)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메모리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의 저장은, S303 단계에서 얼굴을 검출된 프레임의 영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얼굴이 검출되지 못한 경우라면 영상처리한 전체 프레임 중 일부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는 그 시간 정보 및 이벤트의 종류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이력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 예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영상출입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얼굴검출부(143)와 위변조판별부(145) 중 적어도 하나가 출입문장치(141)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얼굴검출부(143) 및 위변조판별부(145)의 개별적 동작 및 다른 구성요소와의 상호 동작에 따른 처리방법 등은 도 1 및 그에 따른 설명에서 제시된 방법과 동일하다.
예컨대, 출입문장치(미도시)가 본체(130)를 대신하여 얼굴검출부(143)와 위변조판별부(145)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도어폰이나 비디오폰을 구비하여 설치한 가정 등에서 출입문장치(미도시)만을 구비하여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출입관리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5)

  1. 출입문에 설치되고, 출입자의 호출버튼 조작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외부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을 생성하는 출입문장치와, 상기 출입문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출입자와 음성통화를 수행하며 상기 출입문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을 제공받아 내부자에게 표시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영상출입장치에 있어서,
    호출음을 스피커를 통해 상기 내부자에게 출력하는 호출신호출력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출입자의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얼굴검출부;
    상기 얼굴검출부가 검출한 얼굴 이미지가 생체 얼굴의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변조판별부; 및
    상기 호출버튼의 조작이 있는 경우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얼굴검출부 및 위변조판별부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출입자의 얼굴 이미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가 생체 얼굴의 이미지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호출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는 호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장치는 일정거리 내에 움직이는 물체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출제어부는, 상기 출입자의 호출버튼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기초로 판단하여, 정해진 시간이상 상기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도 상기 이벤트를 생성하여 처리하며, 상기 출입문장치로 하여금 상기 카메라 영상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제어부는, 상기 호출버튼의 조작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나 상기 얼굴검출부가 상기 출입자의 얼굴 이미지를 검출하지 못하는 것이 정해진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발생할 경우, 상기 출입문장치의 외측음성처리부로 하여금 안내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상기 출입자에게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입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때에 상기 얼굴검출부로 하여금 상기 출입자의 얼굴 이미지가 포함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입장치.
  5. 출입문에 설치되고 출입자의 호출버튼 조작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외부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을 생성하는 출입문장치와, 상기 출입문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출입자와 음성통화를 수행하며 상기 출입문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을 제공받아 내부자에게 표시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영상출입장치의 출입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출버튼의 조작이 있는 경우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출입자의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검출한 얼굴 이미지가 생체 얼굴의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얼굴 이미지가 검출되지 않거나 상기 검출된 이미지가 생체 얼굴의 이미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호출버튼 조작에 따른 호출음을 생성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얼굴 이미지가 검출되고 상기 검출된 이미지가 생체 얼굴의 이미지인 경우, 상기 호출버튼 조작에 따른 호출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입장치의 출입제어방법.


KR1020100057419A 2010-06-17 2010-06-17 얼굴 검출을 이용한 지능형 영상출입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 KR20110137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419A KR20110137469A (ko) 2010-06-17 2010-06-17 얼굴 검출을 이용한 지능형 영상출입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419A KR20110137469A (ko) 2010-06-17 2010-06-17 얼굴 검출을 이용한 지능형 영상출입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469A true KR20110137469A (ko) 2011-12-23

Family

ID=4550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419A KR20110137469A (ko) 2010-06-17 2010-06-17 얼굴 검출을 이용한 지능형 영상출입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74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1997A3 (ko) * 2016-05-05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508624A (zh) * 2017-09-15 2019-03-22 三星显示有限公司 生物识别信息检测装置以及具有其的显示设备
WO2020018349A3 (en) * 2018-07-16 2020-03-12 Ensing Maris J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argeted media content
US11615134B2 (en) 2018-07-16 2023-03-28 Maris Jacob Ensing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argeted media conten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1997A3 (ko) * 2016-05-05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726692B2 (en) 2016-05-05 2020-07-28 Lg Electronics, Inc. Securit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38318B2 (en) 2016-05-05 2022-12-27 Lg Electronics, Inc. Securit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508624A (zh) * 2017-09-15 2019-03-22 三星显示有限公司 生物识别信息检测装置以及具有其的显示设备
CN109508624B (zh) * 2017-09-15 2023-03-10 三星显示有限公司 生物识别信息检测装置以及具有其的显示设备
WO2020018349A3 (en) * 2018-07-16 2020-03-12 Ensing Maris J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argeted media content
US10831817B2 (en) 2018-07-16 2020-11-10 Maris Jacob Ensing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argeted media content
US11157548B2 (en) 2018-07-16 2021-10-26 Maris Jacob Ensing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argeted media content
US11615134B2 (en) 2018-07-16 2023-03-28 Maris Jacob Ensing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argeted media cont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12315B (zh) 一种智能门锁警示系统及其控制方法
US7504942B2 (en) Local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monitoring
US8553085B2 (en) Situation monitoring device and situation monitoring system
US201501940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or responding to incapacitated person using video motion analytics
WO2010035524A1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8059327A (ja) セキュリティ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30118510A (ko) 의료용 화상 대화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화상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24254A (ko) 도어벨 장치
JP4772509B2 (ja) ドアホン及びドアホンの呼出音制御方法
CN110309693B (zh) 多层次状态侦测系统与方法
KR20110137469A (ko) 얼굴 검출을 이용한 지능형 영상출입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
JP2010079740A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装置
JP2010226541A (ja) 応対装置、来訪者応対方法、来訪者応対制御プログラム
US116578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execute voice respons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of a user
CN210129251U (zh) 具有边缘识别的门禁
KR20210015304A (ko) 가정용 통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21934A (ko) 스마트 도어벨 및 이를 포함한 주택 보안 시스템
WO2022227528A1 (zh) 空调控制方法、系统及空调
KR101778863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대 방범시스템
JP4540456B2 (ja) 不審者検出装置
JP3864414B2 (ja) 個人照合装置
TWI712919B (zh) 智慧對講系統及其使用方法
KR101394168B1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얼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얼굴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US20220084343A1 (en) Multifunction smart door lock
CN210038916U (zh) 设有人脸识别的门禁终端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