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934A - 스마트 도어벨 및 이를 포함한 주택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어벨 및 이를 포함한 주택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934A
KR20170121934A KR1020160050836A KR20160050836A KR20170121934A KR 20170121934 A KR20170121934 A KR 20170121934A KR 1020160050836 A KR1020160050836 A KR 1020160050836A KR 20160050836 A KR20160050836 A KR 20160050836A KR 20170121934 A KR20170121934 A KR 20170121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image
smart door
door bell
securit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규호
양범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통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통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통솔루션
Priority to KR1020160050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1934A/ko
Publication of KR2017012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지에 설치된 또는 구비된 장비들에 대해 용이하게 검수를 하기 위한 원격 검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원거리에 존재하는 검수장소에 촬영 및 녹음 등이 가능한 검수장치를 구비시키고, 검수장치를 이용하여 모든 검수과정을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기록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본부 측의 서버와 공유함으로써 본부에서 굳이 인력파견을 하지 않더라도 원격으로 정확하고 신속한 검수를 할 수 있게 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도어벨 및 이를 포함한 주택 보안 시스템{SMART DOORBELL AND HOME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벨 및 이를 포함한 주택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방문자를 식별하여 도어 개폐 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 방문자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아가 주택 내 감지센서와 연계하여 주택에의 무단 침입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까지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도어벨 및 주택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 가구의 증가 등으로 주택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크게 늘고 있으며, 범죄 방식 역시 다양화 되고 있어 주택 보안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일반 가정에서 일어나는 범죄의 경우 현관문 및 창문을 통하여 침입하는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침입 방법 역시 점차 치밀해 지고 있다.
이와 같은 현관문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도어락에 보안 기능을 탑재한 제품들이 많이 상용화 되었으나, 이러한 도어락 제품들 역시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다. 예를 들어 범죄자들은 현관문 근처에 은닉하여 집주인이 누르는 도어락 번호키의 소리를 듣고 비밀번호를 유추하기도 하며, 도어락의 집주인 지문을 취하여 침입용으로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종래의 도어락 제품을 대체할 수 있을 만한 새로운 보안 기능을 갖춘 현관문 도어 매니징 장치, 주택 보안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명되었으며,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한국공개특허 2013-0080583 (2013.07.15.공개)
본 발명은 방문자 인식 기능을 갖춘 스마트 도어벨을 이용하여 방문자가 출입 가능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특히 이 때 방문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출입 가능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와의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도어벨을 이용하여 도어 주변에 방문자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해당 방문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알림을 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택 내 창문, 실내문 등에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이들 감지센서들이 스마트 도어벨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현관문이 아닌 다른 루트로의 외부인 침입을 감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택 보안 시스템은 스마트 도어벨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택 보안 시스템은 도어락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락은 스마트 도어벨과 연계하여 통신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택 보안 시스템은 복수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센서들은 스마트 도어벨과 연계하여 통신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택 보안 시스템은 아이피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피 카메라는 스마트 도어벨과 연계하여 통신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벨은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방문자 이미지가 기 저장된 출입 가능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조부, 출입 가능자의 이미지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번호입력식, 지문입력식 도어락에 비해 보안성이 더 높은 도어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방문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기 저장된 이미지와 대조함으로써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되므로 보안성이 한층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서는 언제 어디서라도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해 주택 주변에 어떤 방문자가 존재하는지, 또는 누가 출입을 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주택 모니터링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택 내 복수의 감지센서를 통해 외부 침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택 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스마트 도어벨 및 도어락을 이용해 방문자를 인식하고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스마트 도어벨을 활용해 외부 방문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주택 내 설치된 복수의 감지센서 및 이와 연계하여 스마트 도어벨이 주택 침입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스마트 도어벨을 포함한 주택 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주택 보안 시스템은 중앙의 스마트 도어벨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도어벨과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로 연계된 도어락, 휴대용 단말기, 아이피 카메라, 복수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벨은 주택 보안 시스템의 중심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 도어벨은 자체적으로 중앙 연산 장치(CPU) 및 메모리를 갖춘 것을 전제로 하며, 나아가 앞서 설명한 여타의 구성들과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도어벨은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는 스마트 도어벨을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하우징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 도어벨과 유선 또는 무선 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도어벨은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방문자 이미지를 기 저장된 출입 가능자 이미지와 대조하기 위한 대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입 가능자란 사용자가 사전에 스마트 도어벨 상에 등록한 사용자들, 예를 들어 가족 또는 지인을 의미하며, 출입 가능자 이미지란 상기 출입 가능자들의 얼굴, 상반신, 하반신 등 스마트 도어벨이 대조할 수 있는 신체 부위의 이미지를 의미한다.
한편 이 때 상기 출입 가능자 이미지는 스마트 도어벨 내의 메모리에 직접 저장이 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또 다른 방식으로는 클라우드 저장부를 활용하여 해당 클라우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스마트 도어벨이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한 이상 상기 스마트 도어벨은 외부에 별도로 존재하는 클라우드 저장부와도 연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웹(web)을 통해 상기 클라우드 저장부에 출입 가능자 이미지를 미리 저장해 둘 수 있고 이렇게 저장된 이미지들은 향후 스마트 도어벨이 출입 가능자 여부를 판단할 때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도어벨은 앞서 설명한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방문자 이미지를 출입 가능자 이미지와 대조하기 위한 대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대조부는 스마트 도어벨의 중앙 연산 장치(CPU)가 그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대조부는 메모리 또는 쿨라우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출입 가능자 이미지를 로드하여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방문자 이미지와 비교하고 해당 방문자에 대한 출입 가능 여부, 즉 도어락 개폐 여부를 판단한다. 이미지 대조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게 될 도 3과 관련된 부분에서 자세히 논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주택 보안 시스템의 또 다른 구성인 도어락에 대해 살펴본다.
도어락은 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스마트 도어벨과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도어락은 스마트 도어벨에 의해 제어되며 스마트 도어벨에 의해 방문자가 출입 가능자로 판별된 경우 상기 도어락은 개폐수단을 구동시켜 문을 열거나 잠그게 된다.
다음으로 주택 보안 시스템을 구성하는 또 다른 구성인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살펴본다. 휴대용 단말기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이 이에 해당한다. 본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도어벨과 이동통신망 또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할 수 있으며, 특정 방문자의 출입 여부를 판단한 경우 또는 방문자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스마트 도어벨은 해당 정보를 본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휴대용 단말기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로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도어벨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택 보안 시스템을 구성하는 또 다른 구성인 아이피 카메라에 대해 살펴본다. 아이피 카메라란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카메라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아이피 카메라는 카메라 모듈, 디코더, 영상 압축부, 중앙 연산 장치, 데이터 전송부 등으로 구성된다. 카메라 모듈로부터 받은 아날로그 신호는 디코더를 통해 디지털로 바뀌고, 압축 칩에서 압축을 거쳐 전송된다. 아이피 카메라는 외부에서도 주택 내부 상황을 휴대용 단말기 등으로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본 아이피 카메라는 앞서 스마트 도어벨에 구비되는 촬영부를 대체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아이피 카메라는 도어 주변 또는 스마트 도어벨의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방문자를 촬영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주택 보안 시스템을 구성하는 또 다른 구성인 복수의 감지센서에 대해 살펴본다. 감지센서란 임의의 환경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감지수단으로, 예를 들어 창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수단, 주택 내 실내 도어들의 개폐를 감지하는 수단, 주택 내 급격한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수단, 주택 내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단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감지센서는 주택 내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감지센서들은 주변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스마트 도어벨과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1을 참조하여 스마트 도어벨 및 이를 포함하는 주택 보안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벨이 방문자를 인식하고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따르면 스마트 도어벨은 i) 방문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ii) 방문자 이미지를 기 저장된 출입 가능자 이미지와 대조하는 단계 iii)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도어락을 제어하여 개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i)단계와 관련하여, 스마트 도어벨은 방문자가 접근하거나 또는 차임벨을 누르는 경우 도어 앞에 서 있는 방문자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 특히 이 때 상기 스마트 도어벨은 방문자가 도어 앞에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촬영부를 구동시켜 방문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촬영부는 방문자의 얼굴 영역, 상반신, 하반신 등을 촬영하여 향후 이미지 대조에 활용토록 한다.
ii)단계와 관련하여, 스마트 도어벨은 앞서 i)단계에서 획득된 방문자 이미지를 기 저장된 출입 가능자 이미지와 대조한다. 본 단계는 하나의 이미지를 복수의 이미지와 대조하는 방법을 수반하며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다.
방문자 이미지 중 얼굴 영역만을 인지하는 알고리즘으로는 PCA, LDA, EBGM 등의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Deep Learning 알고리즘이 더 활용될 수 있다.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알고리즘은 주성분 분석법으로 데이터의 주성분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이다. 본 알고리즘은 출입 가능자 이미지들(학습데이터)의 평균적인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방문자 이미지의 특징 부분들과 비교하여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본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경우 스마트 도어벨은 출입 가능자로 판별된 방문자 이미지를 누적적으로 획득하여 이미지의 특징 부분들을 추출해 낼 수 있으며 이로써 출입 가능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LDA(Linear Discriminate Analysis) 알고리즘은 선형 판별 분석법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 내에서 분산(한 이미지의 특징)은 줄이고 복수 데이터들 간의 분산(여러 이미지 각각의 이미지 특징)을 증가시키는 알고리즘이다. PCA 알고리즘의 경우 여러 집단의 특성은 잘 추출하나 분리에 불리한 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서 LDA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 있다. LDA 알고리즘은 개별 데이터의 변화와 다른 요인에 의한 변화를 구분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이미지 대조시에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도 활용될 수 있다. 이는 학습데이터의 특징을 세분화 하여 추출하는 Deep Learning 알고리즘의 일종으로, 출입 가능자 이미지들로부터 얼굴의 특징점과 특징점이 가지는 위치의 비율, 얼굴의 엣지 등을 추출해 내고 이를 저장해 둠으로써 향후 방문자 이미지와의 대조에 활용한다. 또한 이 때 얼굴 모형을 구성하고 특징점을 구성하며, 얼굴의 RGB 컬러값을 더 부가함으로써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벨은 방문자 이미지와 출입 가능자 이미지를 대조함에 있어 눈, 코, 입의 거리와 비율을 이용하는 유클리디안 디스턴스(Euclidean Distance) 알고리즘이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피부, 눈, 입 등의 피부색과 명도 차이를 이용하는 소위 컬러 기반(Color based) 알고리즘도 활용할 수 있다.
iii)단계와 관련하여, 방문자 이미지와 출입 가능자 이미지 대조에 의해 해당 방문자에 대한 출입 가능 여부가 판별되면 스마트 도어벨은 도어에 설치된 도어락을 제어하여 도어를 개폐한다. 한편 이 때 도어벨은 도어락을 제어하는 것 이외에도 통신부를 통해 외부에 있는 사용자에게 방문자의 출입 여부 결과를 전달함으로써 외부에서도 주택에 누가 입식을 하였는지 또는 어떤 방문자가 입실이 차단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벨이 도어 앞의 방문자 움직임을 감지하고 방문자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쉽게 말해 도 3은 도어 앞에 수상한 자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알리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도어벨은 i) 방문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ii) 방문자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도어 앞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iii)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i)단계와 관련하여, 스마트 도어벨은 도어 전면에 방문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2와 관련하여 서술하였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ii)단계와 관련하여, 스마트 도어벨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방문자가 계속하여 도어 앞에 머무르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방문자가 차임벨을 누르지 않은 채 또는 누른 후 30초 이상 계속하여 도어 앞에 머무르는 경우 스마트 도어벨은 이를 수상한 방문자로 인식할 수 있다.
iii)단계는 스마트 도어벨이 수상한 방문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이 때 상기 스마트 도어벨은 휴대용 단말기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기 등록해 둔 전화번호, 예를 들어 경찰서, 가족, 지인 전화번호 등으로 동시에 알림을 전송하게 함으로써 수상한 방문자에 대한 대응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주택 내에 복수의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주택 보안 시스템을 형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따르면 감지센서는 주택 내 곳곳, 예를 들어 스마트 도어벨 하우징 내, 주택 내 실내 도어, 창문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감지센서들은 스마트 도어벨과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센서들은 스마트 도어벨과 RF 방식으로 연동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들은 각각의 기능에 따라 환경 변화, 예를 들어 실내 도어 열림, 창문 열림, 온도의 급격한 변화, 충격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환경 변화가 감지된 경우 스마트 도어벨에 관련 정보를 데이터 전송함으로써 주택 내에 이상 여부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도어벨은 감지센서들에 의한 환경 변화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벨 및 이를 포함하는 주택 보안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방문자 인식 및 보안 기능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벨 및 주택 보안 시스템은 비단 보안 용도로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주택 내 장애인을 보조하는 용도, 독거노인 및 취약계층을 보조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스마트 도어벨
200 도어락
300 휴대용 단말기
400 아이피 카메라
500 감지센서

Claims (4)

  1. 스마트 도어벨;
    상기 스마트 도어벨과 네트워크로 연계된 도어락; 및
    상기 스마트 도어벨과 네트워크로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도어벨은
    방문자를 촬영하고 스마트 도어벨을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촬영부,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방문자 이미지를 기저장된 출입 가능자 이미지와 대조하여도어락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대조부,
    출입 가능자의 이미지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입 가능자 이미지는 출입 가능자들의 얼굴, 상반신, 하반신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도어벨은 특정 방문자의 출입 여부를 판단한 경우 또는 방문자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스마트 도어벨은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주택 보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주택 보안 시스템은
    창문의 개폐를 감지하고, 주택 내 실내 도어들의 개폐를 감지하며, 주택 내 온도 변화를 감지하고, 주택 내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주택 보안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벨은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알고리즘을 통해, 출입 가능자 이미지들의 평균적인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방문자 이미지의 특징 부분들과 비교하여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유클리디안 디스턴스(Euclidean Distance) 알고리즘을 통해, 눈, 코, 입의 거리와 비율을 이용하여 방문자 이미지와 출입 가능자 이미지를 대조하며,
    컬러 기반 알고리즘을 통해, 피부색의 명도 차이를 이용하여 방문자 이미지와 출입 가능자 이미지를 대조하는,
    주택 보안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벨은
    방문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방문자가 기 설정된 시간인 30초 이상 도어 앞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휴대용 단말기 및 사용자가 기 등록해 둔 경찰서, 가족, 지인 전화번호에 알림을 동시에 전송하는
    주택 보안 시스템.
KR1020160050836A 2016-04-26 2016-04-26 스마트 도어벨 및 이를 포함한 주택 보안 시스템 KR20170121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836A KR20170121934A (ko) 2016-04-26 2016-04-26 스마트 도어벨 및 이를 포함한 주택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836A KR20170121934A (ko) 2016-04-26 2016-04-26 스마트 도어벨 및 이를 포함한 주택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934A true KR20170121934A (ko) 2017-11-03

Family

ID=6038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836A KR20170121934A (ko) 2016-04-26 2016-04-26 스마트 도어벨 및 이를 포함한 주택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19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944A (ko) * 2018-08-27 2020-03-06 김원호 출입자 감시기능을 갖는 중문 시스템
KR20210084067A (ko) * 2019-12-27 2021-07-0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순간포착 도어락 시스템
KR20220132854A (ko) * 2021-03-24 2022-10-04 조두현 출입문 관리 시스템 및 출입문 관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944A (ko) * 2018-08-27 2020-03-06 김원호 출입자 감시기능을 갖는 중문 시스템
KR20210084067A (ko) * 2019-12-27 2021-07-0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순간포착 도어락 시스템
KR20220132854A (ko) * 2021-03-24 2022-10-04 조두현 출입문 관리 시스템 및 출입문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9914B2 (en) Informative image data generation using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0475311B2 (en) Dynamic assessment using an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20301401A1 (en) Control access utilizing video analytics
US11346143B1 (en) Garage door authentication and automation
US7504942B2 (en) Local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monitoring
KR101838858B1 (ko) 생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구 제어방법
KR101387628B1 (ko) 출입 통제 통합 영상 저장 장치
US11064167B2 (en) Input functionality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oorbells
US20190392691A1 (en) Entry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10713928B1 (en) Arming security systems based on communications among a network of security systems
US11217076B1 (en) Camera tampering detection based on audio and video
CN116457851B (zh) 用于地产监控的系统和方法
KR20170121934A (ko) 스마트 도어벨 및 이를 포함한 주택 보안 시스템
KR101728158B1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327128A1 (en) Using a local hub device as a substitute for an unavailable backend device
KR102251931B1 (ko) 가정용 통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4813B1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20084343A1 (en) Multifunction smart door lock
KR102124164B1 (ko) 출입자 감시기능을 갖는 중문 시스템
US11627289B1 (en) Activating security system alarms based on data generated by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WO2020096023A1 (ja) 開閉装置、セキュリティサーバおよ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00012156A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CN111311786A (zh) 智能门锁系统及其智能门锁控制方法
KR20190143514A (ko) 얼굴인식 도어록과 연동하는 집관리 보안로봇 및 이를 이용한 집관리 보안방법
KR20190067650A (ko) 패턴인식을 활용한 범죄자 안면인식 인터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