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487B1 -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487B1
KR101769487B1 KR1020150186571A KR20150186571A KR101769487B1 KR 101769487 B1 KR101769487 B1 KR 101769487B1 KR 1020150186571 A KR1020150186571 A KR 1020150186571A KR 20150186571 A KR20150186571 A KR 20150186571A KR 101769487 B1 KR101769487 B1 KR 101769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risk
situation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6923A (ko
Inventor
박원기
이성철
이유황
이현영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86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4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76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22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기등록된 사람, 센터 또는 기관의 통신단말기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알려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가 사용자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요청받는다. 사용자단말기가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사용자단말기로 일정 시간 이후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단말기가 위험 상황 정보를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조력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린다.

Description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dangerous situation}
본 발명은 위험 상황 알리미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기등록된 사람, 센터 또는 기관의 통신단말기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알려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는 다양한 기능 및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사람들에게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각종 범죄 및 위험 상황에 대비하여 자신이 처한 상황을 보호자, 친구, 지인, 경찰서, 112 센터, 119 센터, 구난 기관, 구호 기관 등과 같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조력자에게 알려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긴급 호출(또는 알리미)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긴급 호출 서비스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조력자의 전화번호를 입력시켜 등록한다. 추후 사용자가 각종 범죄에 노출되거나 위험 상황에 처했을 때, 사용자가 직접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호출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여 조력자를 긴급 호출하거나 조력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전송하여 현재 처한 위험 상황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마련된 위험 상황 알림 버튼을 선택하여 조력자를 긴급 호출하거나 조력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전송하여 현재 처한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긴급 호출 서비스를 통하여 전송되는 긴급 호출 메시지의 내용은 사용자가 처한 구체적 위험 상황 설명이 아닌 사전에 입력된 정형화된 메시지가 조력자에게 전달된다. 이로 인해 위험 상황 문자를 수신한 조력자는 긴급 호출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위험 상황의 진위 여부 및 어떠한 위험 상황인지를 정확히 판단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긴급 호출 메시지를 수신한 조력자가 위험에 처한 사용자를 구조하러 갈 때까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더욱이 위험에 처한 사용자가 가해자에 의해 계속 위치가 이동 중인 경우, 조력자가 위험에 처한 사용자를 구조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위험 상황 알림 버튼의 오동작 또는 조작 실수로 위험 상황 알림 버튼이 동작하게 되는 경우, 조력자에게 잘못된 위험 상황 정보가 바로 제공되어 종종 혼란을 발생시키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08579호(2015.09.30.)
이로 인해 위험 상황에 대해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효과적으로 구조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기등록된 조력자의 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알려 신속하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험 상황 정보를 전송할 때, 음성, 영상 및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조력자가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험 상황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위험에 처한 사용자가 이동하더라도 조력자가 신속하게 위험에 처한 사용자를 구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험 상황 알림 버튼의 오동작 또는 조작 실수로 잘못된 위험 상황 정보가 조력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가 사용자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일정 시간 이후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조력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 알림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리는 단계는,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상기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을 취소하고,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리는 단계에서 상기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주기적으로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리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일정 시간 동안 획득 중인 위험 상황 정보에서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위험 인자가 있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결과 위험 인자를 검출한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요청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현재까지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를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조력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요청 받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입력부의 전원버튼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버튼을 통한 전원 오프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통신부, 입력부, 위험 상황 정보 획득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는 통신망을 통하여 조력자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요청받는다. 상기 위험 상황 정보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이후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를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조력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린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상기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을 취소하고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한 조력자단말기 및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사용자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요청받으면, 상기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일정 시간 이후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조력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린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 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위험 상황 정보, 예컨대 음성, 동영상 및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기등록된 조력자의 통신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조력자에게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알려 신속하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조력자단말기로 위험 상황 정보를 전송할 때, 음성, 영상 및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기 때문에, 조력자가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력자는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적합한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위험 상황 정보를 주기적으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위험에 처한 사용자가 이동하더라도, 위험에 처한 사용자를 조력자가 신속하게 위치를 파악하여 구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기는 위험 상황 알림 버튼의 오동작 또는 조작 실수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를 실행되더라도 사용자의 전송 요청 신호가 다시 입력되는 경우에 위험 상황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잘못된 위험 상황 정보가 조력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을 이용한 위험 상황 알림 방법의 제1 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을 이용한 위험 상황 알림 방법의 제2 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100)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처했을 때,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위험 상황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 이하 '사용자단말기'라 함)로 획득하여 통신망(20)을 통하여 기등록된 조력자의 통신단말기(30; 이하 '조력자단말기'라 함)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알려 신속하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알리미 시스템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100)은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어린이, 여성, 노인, 장애인 등과 같은 노약자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신속한 상황 판단과, 그에 따른 대응을 위한 알리미 서비스를 제공하는 알리미 시스템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100)은 통신망(20)을 매개로 연결된 사용자단말기(10)과 조력자단말기(30)를 포함한다.
사용자단말기(10)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통신망(20)을 통하여 조력자단말기(30)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이다. 사용자단말기(10)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단말기(10)은 사용자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요청받으면,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단말기(10)은 일정 시간 이후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하여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30)로 전송하여 조력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린다. 이러한 사용자단말기(10)로는 이동통신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단말기 등이 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0)은 위험 상황 발생 시 바로 위험 상황 정보를 바로 전송하지 않고, 일정 시간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 전송한다. 즉 사용자단말기(10)은 위험 상황 알림 버튼의 오동작 또는 조작 실수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의 실행에 따라 잘못된 위험 상황 정보가 조력자단말기(30)로 전송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사용자단말기(10)은 일회성으로 위험 상황 정보를 조력자단말기(3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위험 상황 장보를 조력자단말기(30)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위험 상황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위해를 가하는 상대방에 의해 끌려가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갱신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조력자단말기(30)는 조력자가 운영하는 통신단말기로서, 통신망(20)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0)과 통신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이다. 조력자는 사용자로부터 위험 상황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에 맞는 조치를 수행한다. 이러한 조력자단말기(30)로는 PC, 서버, 노트북, 이동통신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통신망(20)은 사용자단말기(10)과 조력자단말기(30) 간의 통화, 메시지 전송, 데이터 전송 또는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통신망(20)은 사용자단말기(10)에서 전송하는 위험 상황 정보를 조력자단말기(30)로 전송한다. 이러한 통신망(20)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20)은 이동통신망,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20)은 상술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음성, 영상 및 위치정보를 조력자에게 전송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사용자단말기]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100)의 사용자단말기(1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10)은 통신부(11), 입력부(13), 위험 상황 정보 획득 및 제어부(19)를 포함하며, 표시부(12) 및 저장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통신망(20)을 매개로 사용자단말기(10)과 조력자단말기(30)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는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라 조력자단말기(30)로 위험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라 조력자단말기(30)로 위험 상황 정보를 주기적으로 복수 회 전송할 수 있다.
표시부(12)는 사용자단말기(1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저장부(14)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2)는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메뉴, 화면 또는 창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2)로는 LCD, LED, AMOLED 또는 터치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표시장치와 입력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입력부(13)는 사용자단말기(1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9)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3)로는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3)를 통하여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또는 전송 취소,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의 종료에 필요한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입력부(13)는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또는 전송 취소,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의 종료에 필요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위험 상황 알림 버튼을 구비한다. 위험 상황 알림 버튼은 사용자의 각 선택 신호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버튼을 선택 신호의 입력 방식에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에 마련된 버튼 중에 적어도 하나를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요청하는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의 실행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의 실행 버튼을 3초간 길게 누르면, 위험 상황 정보 획득부(15)를 통하여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의 실행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위험 상황 정보 획득부(15)를 통하여 진동, 음성 또는 빛이 출력될 수 있다.
저장부(14)는 사용자단말기(1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4)는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에 필요한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즉 실행프로그램은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과,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를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30)로 전송하기 위한 실행프로그램이다. 저장부(14)는 조력자단말기(30)의 접속정보,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조력자단말기(30)의 접속정보는 통신망(20)을 통하여 조력자단말기(3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정보로서, 예컨대 조력단말기의 전화번호, IP주소 또는 메일주소가 될 수 있다.
위험 상황 정보는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성정보는 위험 상황 시 음성처리부(16)를 통하여 획득한 정보이다. 영상정보는 위험 상황 시 음성정보와 함께 카메라부(17)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로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포함한다. 그리고 위치정보는 위험 상황 시 GPS수신부(18)를 통하여 획득한 정보이다.
위험 상황 정보는 그 외 위험 상황을 알리는 문자메시지와 같은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정보는 위험 상황을 알리는 정형화된 문자메시지 또는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한 문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는 위험 상황 정보를 위험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대 별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4)는 위험 상황 정보를 시간에 동기화하여 연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위험 상황 정보 획득부(15)는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위험 상황 정보 획득부(15)는 음성처리부(16), 카메라부(17) 및 GPS수신부(18)를 포함하며, 그 외 진동부, 광출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처리부(16)는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라 음성을 획득하는 마이크를 포함한다. 음성처리부(16)는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음성처리부(16)는 제어부(19)의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 지시에 따라서,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획득하여 제어부(19)로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부(17)는 피사체의 촬영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부(19)의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 지시에 따라서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한다. 카메라부(17)는 이미지 센서, 신호처리부 및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촬영한 영상의 광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처리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영상처리부는 신호처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영상정보를 제어부(19)나 표시부(12)를 통해 출력하거나 저장부(14)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GPS수신부(18)는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정보 산출에 필요한 GPS 정보를 수신한다. GPS수신부(18)는 입력부(13)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GPS정보의 수신 기능을 활성화하여 GPS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GPS수신부(18)는 제어부(19)의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 지시에 따라서 위험 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GPS정보의 수신 기능을 활성화하여 GPS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9)는 GPS수신부(18)로부터 수신한 GPS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9)는 사용자단말기(1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이다. 제어부(19)는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을 제어한다. 즉 사용자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입력부(13)를 통하여 요청받으면, 제어부(19)는 위험 상황 정보 획득부(15)를 통하여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어부(19)는 일정 시간 이후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를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30)로 전송하여 조력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린다.
이때 제어부(19)는 입력부(13)를 통하여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요청을 입력받게 되면, 입력부(13)의 전원버튼의 조작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0)의 전원이 오프되지 않도록 전원버튼을 통한 전원 오프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알리미 서비스가 실행되면, 알리미 서비스가 종료될 때까지 사용자단말기(10)의 전원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물론 사용자단말기(10)에서 배터리를 강제적으로 제거하거나, 배터리의 잔량이 없거나, 사용자단말기(10)를 파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단말기(10)의 전원은 오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입력부(13)의 전원버튼의 조작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0)의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에는 속하지 않는다.
제어부(19)는 다음과 같이 조력자단말기(30)로 위험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먼저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 제어부(19)는 일정 시간 동안 입력부(13)를 통하여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일정 시간은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 시간과 동일한 시간이거나,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 이후의 일정 시간일 수 있다. 일정 시간은 10초 내지 60초 사이일 수 있다.
판단 결과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9)는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를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제어부(19)는 주기적으로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기등록된 조력단자말기로 전송한다.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위험 상황 정보들은 동일한 위험 상황 정보가 아닌, 전송되는 시간대 별로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들이다.
반대로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9)는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을 취소하고,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위험 상황 정보를 조력단말기로 전송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입력부(13)를 통하여 전송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9)는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를 조력자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는 전송 취소 신호 또는 전송 요청 신호의 입력 여부에 상관 없이, 위험 상황 정보에 위험 인자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여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인자는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어구,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리, 물체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어구는 '살려주세요', '도와주세요', '조용히 해', '손들어', '업드려' 등이 될 수 있다.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리는 사용자가 위험에 처해 지르는 소리 또는 상대방이 지르는 소리일 수 있다. 통상 사용자는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소리 보다는 위험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데시벨의 소리를 지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물체는 칼, 파이프, 각목, 도끼, 낫, 총 등과 같은 흉기가 될 수 있다.
즉 제어부(19)는 일정 시간 동안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에서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위험 인자가 있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 결과 위험 인자를 검출한 경우, 제어부(19)는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요청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지금까지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를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30)로 전송하여 조력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결과 위험 인자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19)는 전송 취소 신호 또는 전송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위험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위험 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10)은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위험 상황 정보, 예컨대 음성, 동영상 및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통신망(20)을 통하여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30)로 전송함으로써, 조력자에게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알려 신속하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0)을 통하여 조력자단말기(30)로 위험 상황 정보를 전송할 때, 음성, 영상 및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기 때문에, 조력자가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력자는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적합한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0)은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위험 상황 정보를 주기적으로 조력자단말기(30)로 전송하여 위험에 처한 사용자가 이동하더라도, 위험에 처한 사용자를 조력자가 신속하게 위치를 파악하여 구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기(10)은 위험 상황 알림 버튼의 오동작 또는 조작 실수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를 실행되더라도 사용자의 전송 요청 신호가 다시 입력되는 경우에 위험 상황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잘못된 위험 상황 정보가 조력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위험 상황 알림 방법의 제1 예]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100)을 이용한 위험 상황 알림 방법의 제1 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100)을 이용한 위험 상황 알림 방법의 제1 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처하게 되면, S51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10)은 입력부(13)를 통하여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요청받는다. 이때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요청하는 입력부(13)는 사용자단말기(10)에 마련된 버튼 중에 설정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의 실행 버튼일 수 있다. 예컨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의 실행 버튼을 3초간 길게 누르면, 사용자단말기(10)은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 요청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으로 S53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10)은 위험 상황 정보 획득부(15)를 통하여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즉 사용자단말기(10)은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S57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10)은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취소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취소는 입력부(13)를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0)로 입력될 수 있다.
S57단계의 판단 결과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취소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단말기(10)이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을 취소하고,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종료한다. 즉 사용자단말기(10)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를 종료한다.
반대로 S57단계의 판단 결과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취소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S59단계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 지의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 예컨대 일정 시간은 10초 내지 60초일 수 있다.
S59단계의 판단 결과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단말기(10)은 S53단계부터 반복하여 수행한다.
반대로 S59단계의 판단 결과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S61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10)은 지금까지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를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30)로 전송하여 조력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린다. 이때 전송되는 위험 상황 정보는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위험 상황 정보는 위험 상황을 알리는 문자메시지와 같은 텍스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61단계 이후에 S53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S59단계의 일정 시간이 결과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사용자단말기(10)은 해당 주기에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를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30)로 전송한다. 즉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사용자단말기(10)은 주기적으로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기등록된 조력단자말기로 전송한다.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위험 상황 정보들은 동일한 위험 상황 정보가 아닌, 전송되는 시간대 별로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들이다.
그리고 S57단계의 판단 결과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취소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단말기(10)이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을 취소하고,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종료한다. 즉 사용자단말기(10)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를 종료한다.
[위험 상황 알림 방법의 제2 예]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100)을 이용한 위험 상황 알림 방법의 제2 예에 대해서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100)을 이용한 위험 상황 알림 방법의 제2 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제2 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방법은, 도 3의 제1 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방법과 비교하여, S53단계와 S57단계 사이에 S55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면 제1 예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S55단계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55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10)은 획득 중인 위험 상황 정보에서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위험 인자가 있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S55단계의 모니터링 결과 위험 인자를 검출한 경우, S61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10)은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요청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까지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를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30)로 전송하여 조력자에게 위험 상황을 즉각적으로 알린다.
반대로 S55단계의 모니터링 결과 위험 인자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단말기(10)은 S57단계를 수행한다.
즉 획득 중인 위험 상황 정보에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위험 인자를 검출한 경우, 사용자단말기(10)은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을 조력자단말기(30)를 통하여 조력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획득 중인 위험 상황 정보에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위험 인자가 없다면, 현재의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모드는 위험 상황 알림 버튼의 오동작 또는 조작 실수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를 실행한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S57단계의 수행을 통하여 잘못된 위험 상황 정보가 조력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방법은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일정 시간 동안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취소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S53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10)는 제1 일정 시간 동안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 S57단계에서 제2 일정 시간 동안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취소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사용자단말기
11 : 통신부
12 : 표시부
13 : 입력부
14 : 저장부
15 : 위험 상황 정보 획득부
16 : 음성처리부
17 : 카메라부
18 : GPS수신부
19 : 제어부
20 : 통신망
30 : 조력자단말기
100 :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Claims (8)

  1. 사용자단말기가 사용자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험 상황 정보를 시간대 별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일정 시간 이후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조력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알리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일정 시간 동안 획득 중인 위험 상황 정보에서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위험 인자가 있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된 결과에서 상기 위험 인자가 검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요청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된 결과에서 상기 위험 인자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을 취소하고,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상기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인자의 검출 또는 상기 전송 취소 신호의 입력이 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시간대 별로 획득된 위험 상황 정보를 상기 조력자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 알림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받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입력부의 전원버튼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버튼을 통한 전원 오프 기능을 제한하는 위험 상황 알림 방법.
  6. 통신망을 통하여 조력자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요청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험 상황 정보를 시간대 별로 획득하는 위험 상황 정보 획득부;
    일정 시간 이후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조력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획득 중인 위험 상황 정보에서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위험 인자가 있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결과에서 상기 위험 인자가 검출된 경우,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요청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모니터링된 결과에서 상기 위험 인자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을 취소하고,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종료하며,
    상기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상기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위험 인자의 검출 또는 상기 전송 취소 신호의 입력이 될 때까지 시간대 별로 획득된 위험 상황 정보를 상기 조력자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삭제
  8. 조력자가 사용하는 조력자단말기;
    사용자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요청받으면, 상기 사용자가 처한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험 상황 정보를 시간대 별로 획득하고, 일정 시간 이후 획득한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통신망을 통하여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조력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일정 시간 동안 획득 중인 위험 상황 정보에서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위험 인자가 있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결과에서 상기 위험 인자가 검출된 경우,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요청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모니터링된 결과에서 상기 위험 인자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전송을 취소하고, 상기 위험 상황 정보의 획득을 종료하며,
    상기 전송 취소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상기 기등록된 조력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위험 인자의 검출 또는 상기 전송 취소 신호의 입력이 될 때까지 시간대 별로 획득된 위험 상황 정보를 상기 조력자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KR1020150186571A 2015-12-24 2015-12-24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KR101769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571A KR101769487B1 (ko) 2015-12-24 2015-12-24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571A KR101769487B1 (ko) 2015-12-24 2015-12-24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923A KR20170076923A (ko) 2017-07-05
KR101769487B1 true KR101769487B1 (ko) 2017-08-21

Family

ID=5935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571A KR101769487B1 (ko) 2015-12-24 2015-12-24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4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564B1 (ko) * 2012-12-31 2014-03-24 안헌일 행복 지킴이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564B1 (ko) * 2012-12-31 2014-03-24 안헌일 행복 지킴이 단말기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923A (ko)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5735B2 (en)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JP5903375B2 (ja) 通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67474B1 (ko)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긴급 구조 방법
JP2010171911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6398097B2 (ja) 見守りシステム
JP2018198020A (ja) 救急活動支援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459614Y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JP5013892B2 (ja) 警備システム、警備装置及び警備方法
KR101769487B1 (ko) 위험 상황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KR101509924B1 (ko) 범죄 예방 휴대장치, 이를 포함한 범죄 감시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JP2006235894A (ja) 安否確認サーバ及び安否確認用端末
JP2014182654A (ja) 安否確認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安否確認端末
JP6000093B2 (ja) 通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65788B1 (ko) 엘리베이터용 유무선 자동전환 비상화상통화시스템
JP2019191856A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JP2014081689A (ja) 異常事態通知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141679A (ja) 介護用端末および介護用通報システム
JP6514488B2 (ja) ウェアラブル端末
JP6357857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
JP2016062464A (ja) 見守りシステム
JP5973894B2 (ja) 通信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886331B1 (ko) 이동통신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긴급 신호 처리 방법
JP6957393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KR101867021B1 (ko)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긴급 구조 방법
KR2021006827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노인 요양환자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