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467B1 -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467B1
KR101650467B1 KR1020150058319A KR20150058319A KR101650467B1 KR 101650467 B1 KR101650467 B1 KR 101650467B1 KR 1020150058319 A KR1020150058319 A KR 1020150058319A KR 20150058319 A KR20150058319 A KR 20150058319A KR 101650467 B1 KR101650467 B1 KR 101650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counterpart
call connection
counterpa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운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제이 filed Critical (주)아이티제이
Priority to KR102015005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피싱 방지를 위한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휴대용 장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제3 단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대방 단말과 통화 호가 연결 중이거나 연결 시도 중인 상태에서, 제3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가 인식되면,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제3 단말로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opponent information with third party}
본 발명은 통화 상대방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피싱(phishing) 등을 방지하기 위해 통화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와 같은 제3 자에게 제공하는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생활 필수품으로 부각되면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며 다기능을 구비한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서, 최근 제조 판매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 일부 제품에서는 범죄나 재난 등의 긴급 상황 발생시 주변에 위치한 타인에게 이를 알리는 경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자신에게 납치나 위협 상황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러한 경보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범죄자가 경보를 울리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빼앗아 파손시키게 될 것이므로 이러한 기능 자체가 무용지물이 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부 이동통신 단말기는 미리 지정된 수신단으로 긴급 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긴급 상황임을 알려야 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비상키를 조작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수신단(예를 들어, 보호자의 단말기, 보안기관 장치 등)으로 긴급 상황 메시지를 전송하고, 긴급 상황 메시지를 수신한 보안기관에서는 해당 사용자의 위치 추적을 통해 긴급 상황 해소를 위한 신속한 작업에 착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보안기능이나 외부로의 메시지 전송 기능을 구비하여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시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긴급 상황에서 어느 정도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외부로의 메시지 전송 기능은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단지 외부로 도움을 요청한 것에 불과하다.
근래에는 실제로 납치하지 않더라도 보호자(부모 등)에게 전화를 걸어 피보호자(예를 들어, 어린 아이)를 납치하였다며 금품을 요구하는 보이스 피싱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때 부모가 아이에게 전화를 걸어 납치 사실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도록, 납치 범죄자는 아이의 폰으로 계속하여 전화를 걸어 통화 중 상황을 유지하기도 한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의 상황을 정확히 확인할 수 없어 보이스 피싱에 당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보호자가 현재 피보호자와 통화하는 상대방이 누구인지를 정확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9309 (등록일자 2014년02월25일) 휴대형 장치 및 긴급 상황 대응 단계 통지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이스 피싱 방지를 위해 피보호자가 현재 통화 중인 경우 통화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와 같은 제3 자에게 안내하는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제3 단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상대방 단말과 통화 호가 연결 중이거나 연결 시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3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가 인식되면,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상기 제3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해제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에 상응하는 주소록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가 상기 주소록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가 상기 주소록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해제 또는 차단하고 상기 제3 단말로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에 따른 상대방 음성을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 키워드를 탐색하는 음성 분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분석부에 의해 탐색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제3 단말로 상기 상대방 단말의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장치가 수행하는 통화상대방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과 통화 호가 연결 중이거나 연결 시도 중인 상태에서, 다른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다른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제3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단말이 제3 단말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상대방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상기 제3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응답이 수신하면,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해제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저장된 주소록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가 상기 주소록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상기 제3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해제 또는 차단하고 상기 제3 단말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에 따른 상대방 음성을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 키워드를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특정 키워드가 탐색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3 단말로 상기 상대방 단말의 정보 및 탐색된 특정 키워드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가 수행하는 통화상대방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상대방 단말로부터 통화 호가 연결 중이거나 연결 시도 중인 상태에서, 다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의 통화 연결 시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다른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제3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단말이 상기 제3 단말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상대방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일정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상기 제3 단말로부터의 상기 제1 단말로의 통화 연결 시도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가 미리 설정된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상대방 단말간의 연결 호를 해제 또는 차단하고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3 단말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보호자가 통화 중인 경우 통화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자녀와 같은 피보호자를 이용한 보이스 피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상대방정보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상대방정보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에서 수행되는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상대방정보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피보호자 단말(10), 상대방 단말(30) 및 보호자 단말(2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단말들은 모두 통신망(예를 들어,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 등의 무선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로서, 특히 피보호자 단말(10)은 아이, 노인과 같은 보호가 필요한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피보호자 단말(10)은 상대방 단말(30)로부터의 통화 호가 연결되었거나 연결 시도 중 일 때, 보호자 단말(20)로부터 통화 호 연결이 시도되면 상대방 단말(30)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 단말(20)로 전송한다. 즉, 피보호자 단말(10)은 상대방 단말(30)과 통화 호가 연결 또는 연결 시도됨에 따라 피보호자로부터의 통화를 연결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이때 통화 상대방인 상대방 단말(3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발신자 전화번호)를 보호자 단말(20)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호자 입장에서는 피보호자가 누구와 통화를 진행하고 있어서 전화를 받지 못함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호자 단말(20)이라 칭하지만, 이는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관계를 가지지 않는 제3자의 단말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마찬가지로 피보호자 단말(10)에 대한 명칭도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제1 단말이라 칭할 수 있으며, 상대방 단말(30)은 제1 단말과 통신하는 제2 단말이라 칭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피보호자 단말(10)의 구성 및 그 처리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단말(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10)은 통신부(110), 메모리(12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음성 분석부(13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상대방 단말(30), 보호자 단말(20) 등의 다른 단말들과 전화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120)에는 보호자 단말(2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가 저장된다.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메모리(120)에는 주소록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데, 주소록 정보로는 전화번호, 이름, 그룹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제어부(140)는 각 구성부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되, 특히 상대방 단말(30)과 통화 호가 연결 중이거나 연결 시도 중인 상황에서, 메모리(120)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보호자 단말(20)로부터 시도된 통화 연결이 인식되면, 상대방 단말(3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를 보호자 단말(20)로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한다.
그리고, 피보호자 단말(10)은 음성 분석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음성 분석부(130)는 상대방 단말(30)과의 통화에 따른 상대방 음성을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 키워드를 탐색한다. 예를 들어, 특정 키워드로는 [납치, 부모님] 등의 일반 명사뿐 아니라, [~원]과 같은 특정 패턴을 갖는 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음성 분석부(130)에 의해 탐색된 특정 키워드를 보호자 단말(20)로의 상대방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 등을 결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단말(10)에서 수행되는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먼저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10)은 상대방 단말(30)과의 통화 호가 연결된 상태, 또는 상대방 단말(30)로부터의 통화 호 연결이 시도되고 있는 상태(예를 들어, 착신링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 등)에서(S10), 다른 단말인 제3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가 인식하면(S20), 제3 단말이 보호자 단말(2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이때, 통화 연결 시도 과정에서 수신된 제3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와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된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쉽게 말해, 피보호자 단말(10)은 상대방 단말(30)과 통화 중이거나 통화 연결 중일 때, 보호자 단말(20)로부터 전화가 걸려옴을 인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단말간에 통화가 수행 중일 때, 제3 단말이 어느 하나의 단말로 전화를 걸면 전화가 연결되지 않고 특정 신호음 또는 음성 안내를 통해 해당 단말이 통화중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근래에는 이동통신사에서 제3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이 시도되었음을 해당 단말에게 통지해주거나, 통화 연결이 시도되고 있음을 실시간으로 안내해주는 서비스(예를 들어 통화요구 알림 서비스 등)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피보호자 단말(10)은 상대방 단말(30)과 통화를 수행하고 있더라도, 보호자 단말(20)을 포함한 제3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S30에서의 판단 결과, 제3 단말이 보호자 단말(20)이 아니면 별도의 추가 처리없이 상대방 단말(30)과의 통화 연결을 그대로 유지한다(S40).
이와 달리 제3 단말이 보호자 단말(20)이라면 상대방 단말(30)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 단말(20)로 전송한다(S50). 예를 들어,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문자메시지 서비스(SMS, LMS, MMS)를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30)의 전화번호, 전화 착신 시각 등의 정보를 보호자 단말(20)로 전송한다. 물론, 상술한 정보 전송 수단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특정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피보호자 단말(10)은 주소록 정보를 참조하여, 상대방 단말(30)의 전화번호에 따른 주소록 정보(이름 등)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존재하면 해당 정보를 상대방 정보로서 함께 보호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 단말(20)은 피보호자가 다른 사람과 통화 중임으로 인해 전화 통화를 할 수 없더라도, 피보호자가 누구와 통화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되어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짐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일례에 따르면, 만일 상대방 단말(30)의 단말이 주소록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면, 피보호자가 안전한 사람과 통화를 수행하고 있을 확률이 높으므로, 피보호자 단말(10)은 보호자 단말(20)로 상대방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피보호자 단말(10)은 상대방 단말(30)에 대한 정보가 주소록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상대방 단말(30) 정보를 보호자 단말(20)로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S50에서, 피보호자 단말(10)은 상대방 단말(30)과의 통화 연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설정되거나, 통화 연결을 중지하고 보호자 단말(20)과 통화 연결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른 도 4를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10)은 상대방 정보를 보호자 단말(20)로 전송한 후(S50), 보호자 단말(20)로부터 일정 시간(예를 들어, 1분) 내로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 예를 들어, 응답으로서, 보호자 단말(20)은 피보호자 단말(10)로 SMS와 같은 문자 전송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요망]이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문구는 일례일 뿐 아무런 문자가 없는 메시지일 수도 있다.
피보호자 단말(10)은 보호자 단말(20)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면, 상대방과의 통화 호를 해제(통화 종료)하거나 연결 시도 중인 통화 호를 차단한다(S70).
그리고, 보호자 단말(20)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S80), 피보호자가 보호자와 바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방 정보를 확인한 보호자가 위험 상황일 수도 있겠다는 판단이 들어 응답메시지를 피보호자 단말(10)로 전송함으로써, 곧바로 피보호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안전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10)은 일정 횟수(예를 들어, 2회 또는 3회 등) 이상 보호자 단말(20)로부터 통화 연결이 시도되는지를 판단하고(S510), 만일 시도되는 경우 상대방 전화번호가 주소록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520).
일정 횟수 이상 보호자 단말(20)로부터의 통화 연결이 시도되고 있고 상대방이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는 다면, 피보호자 단말(10)은 상대방과의 통화 호를 해제 또는 연결 차단한다(S540).
예를 들어, 보호자가 일정횟수 이상 전화를 연속하여 시도한다는 것은 위험한 상황이거나 다급한 상황일 수 있으며, 이러할 때 통화중인 상대방이 주소록에 없는 경우라면 연결중인 통화를 종료시켜 버리는 것이다. 물론 이후 보호자 단말(20)과의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S510에서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보호자 단말(20)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상대방 단말(30)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 단말(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보호자로부터 일정 횟수 이상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만 상대방 정보를 보호자 단말(20)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는, 보호자 단말(20)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 횟수와 상관없이, 메모리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를 확인하여 상대방 단말(30)의 전화번호가 주소록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대방 단말(30)과의 통화 연결을 해제 또는 차단하고, 바로 보호자 단말(20)로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을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10)은 상대방 단말(30)과의 통화에 따른 상대방 음성을 분석하여(S610), 해당 음성에 미리 설정된 특정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620). 예를 들어, STT(Speech To Text)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한 텍스트에 미리 설정된 특정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만일, 특정 키워드가 포함되었다면, 피보호자 단말(10)은 상대방 단말(30)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 단말(20)로 전송한다(S630). 이때, 탐색된 해당 키워드를 보호자 단말(20)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특정 키워드가 탐색되는 경우 상대방 단말(30)과의 통화 호는 바로 해제 또는 차단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키워드도 등급으로 구분되어, 특정 등급의 키워드가 탐색되는 경우에만 상대방 단말(30)과의 통화 호가 바로 해제 또는 차단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피보호자 단말(10)에서 상황에 따라 상대방 단말(30)의 정보를 보호자 단말(20)로 제공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방 단말(30)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은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서버장치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해당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상대방정보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1에 따른 전체 시스템에 서비스 서버(50)가 더 포함된다. 서비스 서버(50)는 이동통신사에서 운영되거나 또는 별도의 사업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50)는 피보호자 단말(10)이 상대방 단말(30)과 통화 연결 중이거나 통화 연결 시도 중일 때, 피보호자 단말(10)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보호자 단말(20)로부터의 전화 통화 연결이 시도되면, 상대방 단말(30)에 대한 정보(전화번호 등)를 보호자 단말(20)로 제공한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제3의 단말(예를 들어, 보호자 단말(20))에게 피보호자의 통화 상대방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피보호자 단말(10) 대신에 서비스 서버(50)가 수행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에서 수행되는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50)는 피보호자 단말(10)이 상대방 단말(30)과 통화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또는 상대방 단말(30)이 피보호자 단말(10)로 통화 호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제3 단말이 피보호자 단말(10)로 통화 연결을 시도함을 인식하면(S810), 해당 제3 단말이 피보호자 단말(10)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보호자 단말(2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20). 즉 서비스 서버(50)는 미리 피보호자 단말(10)에 대한 정보, 피보호자 단말(10)에 대응되는 보호자 단말(20)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정보를 이용하여 피보호자 단말(10)이 누군가와 통화 연결 중일 때 보호자 단말(20)이 피보호자 단말(10)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제3 단말이 보호자 단말(20)인 경우, 서비스 서버(50)는 피보호자 단말(10)과 통화 중인 상대방 단말(30)의 정보를 보호자 단말(20)로 SMS 등을 이용하여 전송한다(S830).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정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보호자 단말(20)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상대방 단말(30)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9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50)는 피싱 또는 협박, 광고 등의 사례가 있는 단말들의 전화번호를 블랙리스트로서 관리한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50)는 보호자 단말(20)로부터 피보호자 단말(10)로의 통화 연결이 시도되면, 블랙리스트를 확인하여(S910) 피보호자와 통화 중인 상대방 단말(30)이 블랙리스트로서 관리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20).
만일 상대방 단말(30)이 블랙리스트로서 등록되어 있다면, 서비스 서버(50)는 피보호자와 상대방 단말(30) 간의 통화 호를 해제하거나 차단한다(S930).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서비스 서버(50)는 보호자 단말(20)의 통화 연결 시도를 처리하여 보호자 단말(20)간의 통화 호를 연결한다(S940).
이와 달리 상대방 단말(30)이 블랙리스트로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엔, 피보호자 단말(10)과 상대방 단말(30)의 통화 호는 연결 유지 또는 연결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피보호자 단말
20 : 보호자 단말
30 : 상대방 단말

Claims (17)

  1.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제3 단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대방 단말과 통화 호가 연결 중이거나 연결 시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3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가 인식되면,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가 상기 주소록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상기 제3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해제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4. 삭제
  5. 삭제
  6.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제3 단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대방 단말과 통화 호가 연결 중이거나 연결 시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3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가 인식되면,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가 상기 주소록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해제 또는 차단하고 상기 제3 단말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에 따른 상대방 음성을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 키워드를 탐색하는 음성 분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분석부에 의해 탐색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제3 단말로 상기 상대방 단말의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
  8. 휴대용 장치가 수행하는 통화상대방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과 통화 호가 연결 중이거나 연결 시도 중인 상태에서, 다른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다른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제3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단말이 제3 단말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미리 저장된 주소록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의 전화번호가 상기 주소록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상대방 정보 제공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상기 제3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상기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상대방 정보 제공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응답이 수신하면,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해제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화상대방 정보 제공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일정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상기 제3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시도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해제 또는 차단하고 상기 제3 단말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화상대방 정보 제공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연결에 따른 상대방 음성을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 키워드를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특정 키워드가 탐색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3 단말로 상기 상대방 단말의 정보 및 탐색된 특정 키워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상대방 정보 제공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8항 내지 제 10항, 제 12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50058319A 2015-04-24 2015-04-24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50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319A KR101650467B1 (ko) 2015-04-24 2015-04-24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319A KR101650467B1 (ko) 2015-04-24 2015-04-24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467B1 true KR101650467B1 (ko) 2016-08-23

Family

ID=56875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319A KR101650467B1 (ko) 2015-04-24 2015-04-24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789B1 (ko) * 2017-09-12 2018-06-25 주식회사 에바인 스마트 수신 차단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116A (ko) * 2004-11-23 2006-05-2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처리상태 알림방법
KR20060099457A (ko) * 2005-03-10 2006-09-19 에이티 앤드 티 코포레이션 모바일 폰 통신 모니터링
KR20120079270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69309B1 (ko) 2013-02-04 2014-03-06 주식회사 루키스 휴대형 장치 및 긴급 상황 대응 단계 통지 방법
KR20140113002A (ko) * 2013-03-15 2014-09-24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스마트폰에서의 자동 통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116A (ko) * 2004-11-23 2006-05-2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처리상태 알림방법
KR20060099457A (ko) * 2005-03-10 2006-09-19 에이티 앤드 티 코포레이션 모바일 폰 통신 모니터링
KR20120079270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69309B1 (ko) 2013-02-04 2014-03-06 주식회사 루키스 휴대형 장치 및 긴급 상황 대응 단계 통지 방법
KR20140113002A (ko) * 2013-03-15 2014-09-24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스마트폰에서의 자동 통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789B1 (ko) * 2017-09-12 2018-06-25 주식회사 에바인 스마트 수신 차단 방법 및 장치
WO2019054538A1 (ko) * 2017-09-12 2019-03-21 주식회사 에바인 스마트 수신 차단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940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identification and notification
JP5351787B2 (ja) 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66404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자가 호출 및 긴급 신고 방법, 그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N103297941A (zh) 通信事件处理方法及装置
US20170339278A1 (en) Method,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4601818A (zh) 一种在通讯过程中切换操作系统的方法及装置
CN109688273B (zh) 一种提醒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5681564A (zh) 一种消息提醒方法及装置
US10798250B2 (en)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system,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60100833A (ko) 보이스 피싱 위험도 단계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JP5295147B2 (ja) 通信端末
KR20110086211A (ko) 비상 전화의 지정 수신자 우선 연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50467B1 (ko) 통화상대방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5194148A1 (ja) 発信者特定装置、発信者特定方法、および発信者特定プログラムを格納する記録媒体
CN104168546A (zh) 自动应答装置和自动应答方法
KR20160098088A (ko) 통화 중 보이스 피싱 위험 경보 시스템 및 방법
JP5287490B2 (ja) 発信者認証方法、発信者認証装置、発信者認証システム及び発信者認証プログラム
JP2007019842A (ja) 情報漏洩防止システム及び情報漏洩防止プログラム
KR102628022B1 (ko) 통화 녹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289255B1 (ko) 학교 내 위급상황 알림용 스마트폰
KR101369309B1 (ko) 휴대형 장치 및 긴급 상황 대응 단계 통지 방법
CN108834149B (zh) 一种处理方法、处理设备及系统
KR1005864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서비스 방법
KR101744312B1 (ko)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KR101710886B1 (ko) 모니터링 알림메시지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