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673B1 - 준설용 컷터 - Google Patents

준설용 컷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673B1
KR102068673B1 KR1020180061351A KR20180061351A KR102068673B1 KR 102068673 B1 KR102068673 B1 KR 102068673B1 KR 1020180061351 A KR1020180061351 A KR 1020180061351A KR 20180061351 A KR20180061351 A KR 20180061351A KR 102068673 B1 KR102068673 B1 KR 102068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dged soil
rotary shaft
cutter
rotating shaft
dred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849A (ko
Inventor
백도선
윤광준
강근혁
Original Assignee
(주)백건준설
백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백건준설, 백도선 filed Critical (주)백건준설
Priority to KR1020180061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67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12Mechanical digging means, e.g. suction wheels, i.e. wheel with a suction inlet attached behind the wheel
    • E02F3/9225Mechanical digging means, e.g. suction wheels, i.e. wheel with a suction inlet attached behind the wheel with rotating cutting elements
    • E02F3/9231Suction wheels with axis of rotation parallel to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66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for rotating dig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용 컷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준설선의 붐에 장착되어 수저면 아래로 진입이 용이하고 수저면 파쇄시 준설토의 상승 및 흡입이 용이한 준설용 컷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준설용 컷터는 회전축이 수저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되므로 수저면 아래로 진입범위가 확장될 수 있어 깊은 위치에도 준설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준설용 컷터는 회전축 하단에 비트부가 마련되어 있어 수저면 아래로 초기 진입 및 진입 진행을 용이하게 하며 비트부에 의해 수저면이 초기 파쇄되므로 암과 투스가 받는 부하도 감소될 수 있어 안정적인 준설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준설용 컷터는 암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장착된 투스가 상향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어 커터헤드부 내로 유입된 준설토의 상승이 유도되므로 준설토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이 용이하므로 지속적인 준설작업에 적합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준설용 컷터{Cutter device for dredging}
본 발명은 준설용 컷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준설작업 시 수저면 아래로 진입이 용이하고 준설토의 흡입 및 배출효율이 향상된 준설용 컷터에 관한 것이다.
준설선은 강·항만·항로 등의 바닥에 있는 흙·모래·자갈·돌등을 파내는 시설을 장비한 배 강·운하·항만·항로의 깊이를 보다 깊게 하기 위한 준설작업, 물 밑의 흙·모래·광물 등을 채취하는 작업, 수중구조물 축조의 기초공사, 해저 폐기물을 끌어올려 제거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또한, 준설선은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면에 쌓여 있는 슬러지 제거 및 준설을 위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준설선은 준설할 수역의 깊이와 바닥(수저면)의 토질의 종류, 준설된 물질의 운반거리 등에 따라 각각 적당한 설비와 장비가 탑재된다.
준설용 컷터는 준설선에 장착되는 준설장비의 붐 또는 래더(이하 '붐'이라 함)의 단부에 장착되는데 수저면을 드릴링하거나 연삭하기 위해 회전되는 커터헤드부가 마련되고, 파쇄되거나 부상되는 준설토를 흡입 및 배출하기 위한 준설토 배출관과 연결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7622호에는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되는 커터헤드를 구비한 커터흡입준설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커터흡입준설기는 수저면에 깊게 진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준설토의 흡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3270호에는 회전축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커터가 마련된 준설헤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준설헤드장치는 덮개가 마련되어 준설물의 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흡입구가 폐색되어 준설토의 배출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7622호 : 땅을 준설하기 위한 커터 헤드, 이와 같은 커터 헤드가 제공된 커터 흡입 준설기 및 땅을 준설하기 위한 커터 헤드의 사용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3270호 : 준설물 분산 방지용 준설헤드 덮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준설헤드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효과적으로 단단한 수저면을 파쇄하고 준설토를 흡입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커터헤드부를 가진 준설용 컷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준설용 컷터는 준설선에 장착된 준설장비의 붐에 장착되어 수저면을 준설하며 준설토를 배출하기 위한 준설토 흡입관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저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회전축과, 내부가 관통형성되어 중심으로 상기 회전축이 관통연장되되 내주면이 상기 회전축에 대해 이격되는 베이스링과, 상기 베이스 링의 하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위치에서 하방으로 나선형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기 회전축의 하부로 연결되어 상호 준설토를 내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홀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 둘레에 상기 홀과 연통되어 상기 준설토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링과 함께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의 선단에는 준설토를 파쇄할 수 있는 다수의 투스가 각각 장착된 다수의 암을 구비하는 커터헤드부와; 상기 커터헤드부의 상기 회전축의 상부를 수용하며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준설토가 흡입되는 흡입공간이 형성되며 측부에 상기 준설토 흡입관과 연결된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측에서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커터헤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붐과 결합을 위한 붐결합부가 상부에 마련된 상부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은 하부 외주면에 상기 다수의 암의 각 하단이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결되며, 상기 암의 하단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십자형태로 연장형성되되 폭이 확장되다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회전되는 상기 커터헤드부가 상기 수저면 아래로 진입시 초기 진입 부하를 감소시키는 비트부를 구비한다.
상기 암은 소정의 폭을 가지며 나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하부와 연결되며 폭 방향의 일단이 타단에 대해 외측을 향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 중심에서 타단을 연결하는 가상선상에 대해 상기 회전축 회전방향의 전방측에 위치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투스는 각 상기 암의 내주면에 상기 암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 중심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방향을 향하는 일단이 상기 암의 선단에 대해 돌출되게 연장되되,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준설토가 상승유도될 수 있도록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의 상부가 관통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브라켓이 상단에 관통장착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베이스 링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내측으로 상기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회전축지지부와, 내부가 빈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상부 외경보다 크되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하부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상부가 수용되고 하단이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하부 외주면에 지지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상단에 대해 상방으로 길게 연장형성되어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상기 구동유닛의 하부를 수용하는 구동유닛하부지지부와, 일측이 상기 구동유닛하부지지부의 일측부와 대응되는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일측부에 관통연장되어 상기 흡입공간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준설토 흡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공간으로 유입된 준설토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준설토배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준설용 컷터는 상기 베이스 링의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동일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각각 장착되되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하단 외주면에 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커터헤드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다수의 회전지지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지지부는 하단에 상기 베이스 링의 상면에 나란한 링 형상의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평연장부의 단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이 상기 회전지지롤러와 면 접촉되는 수직연장부를 구비하는 커터헤드부 회전가이드레일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비트부와,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흡입공간으로 관통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암의 하단과 연결되는 회전축본체부와, 상기 회전축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준설토를 상방으로 이동 유도시키는 상방이동유도부를 구비한다.
상기 상방이동유도부는 상기 회전축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회전축 회전 시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준설토가 상방으로 이송유도되게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나선형상으로 연장형성된 스크루 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방이동유도부는 상기 회전축본체부의 외주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기 회전축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나선배열되어 준설토를 상방으로 이동유도하면서 준설토를 이차 파쇄하는 다수의 보조파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준설용 컷터는 회전축이 수저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되므로 수저면 아래로 진입범위가 확장될 수 있어 깊은 위치에도 준설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준설용 컷터는 회전축 하단에 비트부가 마련되어 있어 수저면 아래로 초기 진입 및 진입 진행을 용이하게 하며 비트부에 의해 수저면이 초기 파쇄되므로 암과 투스가 받는 부하도 감소될 수 있어 안정적인 준설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준설용 컷터는 암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장착된 투스가 상향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어 커터헤드부 내로 유입된 준설토의 상승이 유도되므로 준설토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이 용이하므로 지속적인 준설작업에 적합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준설용 컷터는 회전축 외주면에 준설토를 이차 파쇄하며 상승유도하는 상승유도부가 마련되어 있어 준설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가 장착된 준설용 선박이 도시된 일부 확대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준설용 컷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준설용 컷터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은 도 1의 준설용 컷터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준설용 컷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5)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5)는 준설선(1)에 장착된 준설장비(2)의 붐(3)에 장착되어 수저면을 준설하며 준설토를 배출하기 위한 준설토 흡입관(4)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준설용 컷터(5)는 커터헤드부(10)와, 커터헤드부(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하우징(40)과, 하부하우징(40)의 상부측에 장착되어 커터헤드부(10)를 회동시키는 구동유닛(60)과, 하부하우징(40)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유닛(60)의 상부를 덮으며 준설장비(2)의 붐(3)에 연결을 위한 붐 결합부(130)가 마련된 상부하우징(100)을 구비한다.
커터헤드부(10)는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되면서 수저면을 파쇄 또는 분쇄하는 부분으로 회전축(12)과, 베이스링(19)과, 다수의 암(21)을 구비한다.
회전축(12)은 후술되는 구동유닛(6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수저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회전축본체부(13)와, 회전축본체부(13)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비트부(17)를 구비한다.
회전축본체부(13)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단이 구동유닛(60)의 감속기(61)와 연결되며 상단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측의 외주면이 상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15)가 형성된다.
회전축본체부(13)의 테이퍼부(15)는 내측이 관통되되 하부가 회전축본체부(13)의 테이퍼부(15)의 외경에 대응대게 관통형성된 회전축지지브라켓(3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지지브라켓(31)은 하부하우징(40)의 회전축지지부(41)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부하우징(40)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비트부(17)는 회전되는 커터헤드부(10)가 수저면 아래로 진입시 초기 집입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후술되는 암의 하단에 위치되게 회전본체부(13)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되 십자형태로 연장형성되되 폭이 확장되다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베이스링(19)은 내부가 관통형성되며 일정한 폭을 갖는 링 형상으로서, 중심으로 회전축(12)이 관통연장되어 내주면이 회전축(12)의 외주면에 대해 일정간격 이격된다.
다수의 암(21)은 베이스링(19)의 하면에서 원주방향으로 동일간격 위격되는 위치에서 하방으로 나선형으로 각각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회전축(12)에 대해 이격거리가 좁아지게 연장형성되어 하단이 회전축본체부(13)의 하부 외주면에 연결된다.
다수의 암(21)은 상호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원주라인 내측으로 준설토를 유입시키기 위한 홀(25)을 형성하고 회전축본체부(13) 둘레에 홀(25)과 연통되어 준설토가 유입되는 유입공간(24)을 형성한다.
다수의 암(21)은 베이스링(19)과 회전축(12)을 연결하여 회전축(12) 회전시 베이스링과 함께 회전축(12)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다수의 암(21)은 일정한 폭을 가지며 나선형상으로 연장되어 하단이 회전축본체부(13)의 하부 외주면에 연결되며, 폭 방향의 일단이 타단에 대해 외측을 향하되 회전축(12)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축본체부(13) 중심에서 타단을 연결하는 가상선상(a)에 대해 회전축(12) 회전방향의 전방 측에 위치되게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각 암(21)은 회전축(12)의 회전방향의 일단에는 준설토를 파쇄할 수 있는 다수의 투스(tooth)(26)가 각각 장착된다.
암(21)은 내주면에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측에 회전축(12)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개방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투스(26)의 타측이 삽입결합되는 투스삽입부(22)가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다수의 투스(26)는 타측이 투스삽입부(22)에 삽입장착되며 일측이 회전방향을 향하는 암(21)의 일단에 대해 돌출되게 연장형성된다.
각 암(21)의 투스삽입부(22)는 홀(25)을 통해 유입공간(24)으로 유입된 준설토가 상승유도될 수 있도록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투스삽입부(22)에 장착되는 투스(26)도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투스(26)는 암(21)의 내주면에 돌출되되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게 암(21)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이 회전축(12)의 회전방향으로 암(21)의 일단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준설용 컷터(5)는 커터헤드부(10)의 베이스 링(19)의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동일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각각 장착되되 후술되는 하부하우징(40)의 하단 외주면에 접하여 회전 가능한 다수의 회전지지롤러(20)를 구비한다.
다수의 회전지지롤러(20)는 커터헤드부(10) 회전시 하부하우징(40)의 하부 외주면에 접촉회전되면서, 회전축(12)이 회전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커터헤드부(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하우징(40)은 커터헤드부(10)의 회전축(12)의 상부를 수용하여 회전축(12)의 회전을 지지하며, 유입공간(23)으로 유입된 준설토가 흡입되는 흡입공간(24)이 형성되며 측부에 준설토 흡입관(4)과 연결된다.
하부하우징(40)은 도 3을 참고하면, 회전축지지부(41)와, 구동유닛하부수용부(46)와, 준설토배출부(51)를 구비한다.
회전축지지부(41)는 내부에 상하방으로 개방된 흡입공간(24)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하부가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하단이 베이스링(19)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회전축지지부(41)는 개구된 상단의 내경이 감소되게 내측으로 돌출된 링 형상으로 회전축(12)을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브라켓(31)과 결합되는 제1결합턱(42)이 형성되고, 하단에 베이스 링(19)의 상면에 나란한 링 형상의 수평연장부(44)와, 수평연장부(44)의 단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이 회전지지롤러(20)와 면 접촉되는 수직연장부(45)를 구비하는 커터헤드부 회전가이드레일(43)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지지부(41)는 측부에 관 형상의 준설토배출부(51)가 흡입공간(24)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한편, 회전축지지브라켓(31)은 내측으로 회전축(12)의 회전축본체부(13)의 상부가 관통되어 회전축(12)의 회전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회전축지지부(41)의 하방에서 회전축지지부(41)의 흡입공간(24)으로 수용되어 회전축지지부(41)의 상단과 결합된다.
회전축지지브라켓(31)은 도 4를 참고하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에 회전축(12)의 테이퍼부(15)에 대응되게 내경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확장되게 관통형성되어 테이퍼부(15)를 지지하는 회전진동방지부(32)와, 회전축진동방지부(32)의 상단에 제1결합턱(42)의 하면에 중첩되게 회전축진동방지부 보다 외경이 확장되어 제1결합턱(42)과 볼트 결합되는 제1플렌지부(34)와, 회전축본체부(13)의 외주면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의 제1플렌지부(3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되 회전축본체부(13)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회전축본체부(13)의 회전시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는 베어링(38)이 장착될 수 있는 베어링수용공간(36a)이 형성되는 베어링수용부(36)를 구비한다.
베어링수용부(36)는 제1플렌지부(34)가 제1결합턱(42)과 중첩 결합시 외주면이 회전축지지부(41)의 제1결합턱(42) 내주면에 지지된다.
구동유닛하부수용부(46)는 내부가 빈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회전축지지부(41)의 상부 외경보다 크되 회전축지지부(41)의 하부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회전축지지부(41)의 상부가 수용되고 하단이 회전축지지부(41)의 하부 외주면에 지지연결된다.
그리고 구동유닛하부수용부(46)는 상단에 외경이 확장형성되어 상부하우징과 볼트결합되는 제2플렌지부(48)와, 수면 아래로 하강시 부력이 형성되지 않도록 양측부에 관통형성된 복수의 부력형성방지공(49)이 형성되며, 일측부에는 회전축지지부(41)와 연결되는 준설토배출부(51)가 외측으로 관통연장된다.
구동유닛하부수용부(46)는 상부에 회전축지지부(41)의 상단에 대해 상방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회전축(12)과 연결되는 구동유닛(60)의 하부가 수용된다.
한편, 구동유닛(60)은 회전축(12)의 상단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감속기(61)와, 상하방으로 개방되며 감속기(61)의 하부 외주면을 감싸는 원통 형상의 감속기하우징(63)과, 감속기하우징(63)의 개방된 하단을 덮으며 베어링(38)과 결합되는 디스크(66)와, 감속기의 상단과 결합되어 회전축(1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유압모터(67)를 구비한다.
구동유닛하부수용부(46)에 수용되는 구동유닛(60)의 하부는 감속기(61)와, 감속기하우징(63)과, 디스크(66)를 포함한다.
준설토배출부(51)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구동유닛하부수용부(46)의 일측부와 대응되는 회전축지지부(41)의 일측부에 관통연장되어 흡입공간(24)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향연장되어 준설토 흡입관(4)과 연결되어, 흡입공간(24)으로 유입된 준설토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를 형성한다.
준설토배출부(51)는 일측에 준설장비(2)에 설치된 제어부(미도시)에 제어되어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미도시)가 내측에 설치되는 배출유로개폐부(53)가 마련된다.
준설토배출부(51)와 연결되는 준설토배출관(4)의 일측에는 제어부와 연결되며 준설토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펌프(미도시)가 설치되어 준설토배출부(51)로 상승된 준설토가 흡입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준설토배출관(4) 측으로 이동된다.
디스크(66)는 중심측으로 회전축이 관통연장되게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이 베어링(38)과 볼트 결합 되며, 가장자리 측이 감속기하우징(63)의 하단에 형성된 제3플렌지부(64)와 볼트 결합된다.
디스크(66)는 구동유닛(60)의 높이 조절을 위해 복수 개가 중첩되어 베어링과 결합 설치될 수도 있다.
감속기 하우징(63)은 디스크(66)에 지지되며 상단에 내경이 감소된 링 형상의 제2결합턱(65)이 형성된다.
감속기(61)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압모터(67)의 구동축(미도시)과 회전축(12)을 기어연결하며, 상부에 외경이 확장되어 감속기하우징(63)의 제2결합턱(65)과 중첩되어 볼트 결합되는 제4플렌지부(62)가 형성된다.
유압모터(67)는 감속기(61)의 상단에 안착되어 구동축(미도시)이 감속기(61) 내로 삽입된다.
유압모터(67)는 상부 측에 유체가 배출되거나 유입되는 복수의 유압호스(68a,68b,68c,68d)가 체결되어 있으며, 하부가 상부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준설선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모터(67)를 구동시키기 위해 붐(3)의 연장방향을 따라 붐(3)에 연장설치된 유압공급 및 배출라인(미도시)과, 유압공급 및 배출라인 일측에 설치되어 유압공급 및 배출라인의 유량을 조절하며 제어부와 연결되는 컨트롤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상부하우징(100)은 구동유닛(6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하부하우징(40)과 결합되며 붐(3)과 결합을 위한 붐결합부(105)가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부하우징본체부(101)와, 상부덮개(111)를 구비한다.
상부하우징본체부(10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 측부가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붐결합부(105)가 설치되며, 하단에 하부하우징(40)의 제2플렌지부(48)와 볼트결합을 위한 제5플렌지부(103)가 형성되고 유압모터(67)와, 감속기(61)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02)이 형성된다.
상부하우징본체부(101)는 내주면에 중심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외경이 확장된 유압모터(67)의 하부를 구속하는 구속턱(104)이 형성되고, 제5플렌지부(103)에 대응되는 내주면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감속기하우징(63)의 외주면을 지지한다.
상부덮개(11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하우징본체부(101)의 상단을 덮으며 복수의 유압호스(68a,68b,68c,68d)의 각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며 상방으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복수의 유압호스(68a,68b,68c,68d)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유압호스결합관(112a,112b,112c,112d)이 형성된다.
복수의 유압호스결합관(112a,112b,112c,112d)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준설장비의 붐(3)을 따라 연장된 유압공급관(미도시) 또는 유압배출관(미도시)과 연결된다.
붐결합부(105)는 붐(3)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중장비에 사용되는 커플러(coupler)(C)와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커플러 또는 붐(3) 단부에 체결되어 회동될 수 있으면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5)는 회전축(12)이 수저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되므로 수저면 아래로 진입범위가 확장될 수 있어 깊은 위치에도 준설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5)는 회전축(12) 하단에 비트부(17)가 마련되어 있어 수저면 아래로 초기 진입 및 진입 진행을 용이하게 하며 비트부(17)에 의해 수저면이 초기 파쇄되므로 암(21)과 투스(22)가 받는 부하도 감소될 수 있어 안정적인 준설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5)는 암(21)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장착된 투스(22)가 상향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어 커터헤드부(10) 내로 유입된 준설토의 상승이 유도되므로 준설토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이 용이하므로 지속적인 준설작업에 적합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5)는 회전축(12)의 상부에 테이퍼부(15)가 형성되고 테이퍼부(15)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회전축지지브라켓(31)에 의해 회전축(12)이 지지되므로 축 회전시 진동 발생이 방지 또는 감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6)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6)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5)에 상방이동유도부를 더 구비한다.
상방이동유도부는 회전축본체부(13)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유입공간(23)으로 유입된 준설토를 상방으로 이동 유도시킨다. 상방이동유도부는 회전축본체부(13)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되 회전축 회전 시 유입공간(23)으로 유입된 준설토가 상방으로 이송유도되게 회전축(12)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나선형상으로 연장형성된 스크루 날개(118)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6)는 커터헤드부(10) 내로 유입된 준설토가 스크루 날개(118)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유도 되므로 흡입공간(24)으로 상승 및 준설토 배출관으로 배출이 더욱 용이하므로 외부로 준설토 배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7)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7)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5)에 상방이동유도부를 더 구비한다.
상방이동유도부는 회전축본체부(13)의 외주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되 회전축본체부(13)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나선배열되어 회전축 회전시 준설토를 상방으로 이동유도하면서 준설토를 이차 파쇄하는 다수의 보조파쇄부(218)를 구비한다. 보조파쇄부(218)는 유입공간(23)으로 유입된 준설토의 이차 파쇄가 용이하도록 회전축(12)의 회전방향에 대응되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준설용 컷터(7)는 커터헤드부(10) 내로 유입된 준설토가 다수의 보조파쇄부(218)에 의해 준설토가 이차 파쇄되면서 상승유도 되므로 흡입공간(24)으로 상승 및 준설토 배출관(4)으로 배출이 더욱 용이하므로 준설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준설용 컷터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준설선 2 : 준설장비
3 : 붐 4 : 준설토배출관
5 : 준설용 컷터
10 : 커터헤드부 12 : 회전축
13 : 회전축본체부 15 : 테이퍼부
17 : 비트부 19 : 베이스링
21 : 암 22 : 투스삽입부
23 : 유입공간 24 : 흡입공간
26 : 투스 31 : 회전축지지브라켓
32 : 회전진동방지부 34 : 제1플렌지부
36 : 베어링수용부 38 : 베어링
40 : 하부하우징 41 : 회전축지지부
42 : 제1결합턱 43 : 회전가이드레일
46 : 구동유닛하부수용부 48 : 제2플렌지부
51 : 준설토배출부 60 : 구동유닛
61 : 감속기 62 : 제4플렌지
63 : 감속기하우징 63 : 제3플렌지부
65 : 제2결합턱 66 : 디스크
68a,68b,68c,68d : 유압호스 67 : 유압모터
100 : 상부하우징 101 : 상부하우징본체
103 : 제5플렌지부 104 : 구속턱
105: 붐결합부 111 : 상부덮개 `
112a,112b,112c,112d : 유압호스결합관

Claims (7)

  1. 준설선에 장착된 준설장비의 붐에 장착되어 수저면을 준설하며 준설토를 배출하기 위한 준설토 흡입관과 연결되는 준설용 컷터에 있어서,
    상기 수저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회전축과, 내부가 관통형성되어 중심으로 상기 회전축이 관통연장되되 내주면이 상기 회전축에 대해 이격되는 베이스링과, 상기 베이스 링의 하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위치에서 하방으로 나선형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기 회전축의 하부로 연결되어 상호 준설토를 내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홀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 둘레에 상기 홀과 연통되어 상기 준설토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링과 함께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의 선단에는 준설토를 파쇄할 수 있는 다수의 투스가 각각 장착된 다수의 암을 구비하는 커터헤드부와;
    상기 커터헤드부의 상기 회전축의 상부를 수용하며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준설토가 흡입되는 흡입공간이 형성되며 측부에 상기 준설토 흡입관과 연결된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측에서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커터헤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붐과 결합을 위한 붐결합부가 상부에 마련된 상부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의 상부가 관통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브라켓이 상단에 관통장착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베이스 링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내측으로 상기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회전축지지부와,
    내부가 빈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상부 외경보다 크되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하부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상부가 수용되고 하단이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하부 외주면에 지지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상단에 대해 상방으로 길게 연장형성되어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상기 구동유닛의 하부를 수용하는 구동유닛하부수용부와,
    일측이 상기 구동유닛하부수용부의 일측부와 대응되는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일측부에 관통연장되어 상기 흡입공간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준설토 흡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공간으로 유입된 준설토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준설토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용 컷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하부 외주면에 상기 다수의 암의 각 하단이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결되며, 상기 암의 하단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십자형태로 연장형성되되 폭이 확장되다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회전되는 상기 커터헤드부가 상기 수저면 아래로 진입시 초기 진입 부하를 감소시키는 비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용 컷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소정의 폭을 가지며 나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하부와 연결되며 폭 방향의 일단이 타단에 대해 외측을 향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 중심에서 타단을 연결하는 가상선상에 대해 상기 회전축 회전방향의 전방측에 위치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투스는
    각 상기 암의 내주면에 상기 암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 중심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방향을 향하는 일단이 상기 암의 선단에 대해 돌출되게 연장되되,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준설토가 상승유도될 수 있도록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용 컷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링의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동일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각각 장착되되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하단 외주면에 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커터헤드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다수의 회전지지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지지부는
    하단에 상기 베이스 링의 상면에 나란한 링 형상의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평연장부의 단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이 상기 회전지지롤러와 면 접촉되는 수직연장부를 구비하는 커터헤드부 회전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용 컷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흡입공간으로 관통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암의 하단과 연결되는 회전축본체부와,
    상기 암의 하단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회전축본체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십자형태로 연장형성되되 폭이 확장되다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회전되는 상기 커터헤드부가 상기 수저면 아래로 진입시 초기 진입 부하를 감소시키는 비트부와,
    상기 회전축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준설토를 상방으로 이동 유도시키는 상방이동유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용 컷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이동유도부는
    상기 회전축본체부의 외주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기 회전축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나선배열되어 준설토를 상방으로 이동유도하면서 준설토를 이차 파쇄하는 다수의 보조파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용 컷터.
KR1020180061351A 2018-05-29 2018-05-29 준설용 컷터 KR102068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351A KR102068673B1 (ko) 2018-05-29 2018-05-29 준설용 컷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351A KR102068673B1 (ko) 2018-05-29 2018-05-29 준설용 컷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849A KR20190135849A (ko) 2019-12-09
KR102068673B1 true KR102068673B1 (ko) 2020-01-21

Family

ID=6883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351A KR102068673B1 (ko) 2018-05-29 2018-05-29 준설용 컷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6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299B1 (ko) * 2020-12-11 2021-09-08 이송건 스스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면삭기
KR20230029276A (ko) * 2021-08-24 2023-03-03 엘티삼보 주식회사 머드 펌프 장치, 이를 포함하는 준설용 굴삭기 및 정밀 준설 장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밀 준설 방법
KR20230160978A (ko) 2022-05-17 2023-11-27 (주) 백건준설 준설용 컷터가 포함된 중장비 장착용 유압식 준설 수중펌프 어태치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169B1 (ko) * 2019-07-17 2021-08-03 (주)백건준설 다단 굴절구조를 갖는 준설선용 굴착유닛
CN111894059A (zh) * 2020-09-01 2020-11-06 重庆中科检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吸泥取样船用钻铰刀头
CN113931246B (zh) * 2021-08-30 2022-08-12 中交疏浚技术装备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清淤机器人及清淤系统
CN114197555A (zh) * 2021-12-15 2022-03-18 中铁十局集团青岛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深水施工用排泥下沉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5135A (ja) * 2012-09-25 2014-04-17 Yunika Kk ドリルビット付属工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66A (ja) * 1994-07-08 1996-01-23 Ube Ind Ltd 浚渫圧送装置
KR0129856Y1 (ko) * 1994-12-27 1998-12-15 박근식 회전판형 콘크리트 면삭기
KR101697622B1 (ko) 2009-07-06 2017-01-18 드레징 인터내셔널 엔. 브이. 땅을 준설하기 위한 커터 헤드, 이와 같은 커터 헤드가 제공된 커터 흡입 준설기 및 땅을 준설하기 위한 커터 헤드의 사용
KR101093270B1 (ko) * 2009-11-13 2011-12-14 현대건설주식회사 준설물 분산 방지용 준설헤드 덮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준설헤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5135A (ja) * 2012-09-25 2014-04-17 Yunika Kk ドリルビット付属工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299B1 (ko) * 2020-12-11 2021-09-08 이송건 스스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면삭기
WO2022124713A1 (ko) * 2020-12-11 2022-06-16 이송건 스스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면삭기
KR20230029276A (ko) * 2021-08-24 2023-03-03 엘티삼보 주식회사 머드 펌프 장치, 이를 포함하는 준설용 굴삭기 및 정밀 준설 장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밀 준설 방법
KR102582971B1 (ko) * 2021-08-24 2023-09-26 엘티삼보 주식회사 머드 펌프 장치, 이를 포함하는 준설용 굴삭기 및 정밀 준설 장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밀 준설 방법
KR20230160978A (ko) 2022-05-17 2023-11-27 (주) 백건준설 준설용 컷터가 포함된 중장비 장착용 유압식 준설 수중펌프 어태치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849A (ko)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673B1 (ko) 준설용 컷터
EP1270826B1 (en) Gravel-or-the-like removing device
EP2960375B1 (en) Submersible pump
KR101995332B1 (ko) 수중 도랑파기 장치
JP4713930B2 (ja) 浚渫装置
EP2317016B2 (en) Underwater excavation apparatus
US20060051162A1 (en) Rotating containment tool for contaminated sediment remediation in an aqueous environment
CN112055770B (zh) 水下挖掘设备的改进及相关
CN114718133B (zh) 一种吸泥机
JP2001214879A (ja) 掘削機能を備えた水中ポンプ用採泥ストレーナー。
JP7319946B2 (ja) 浚渫装置と浚渫システム、及び浚渫方法
JP7252099B2 (ja) 浚渫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浚渫システム
JP2000120067A (ja) スライム除去装置
JP4636997B2 (ja) 地下連続壁用水平多軸掘削機及びそれを使用した地下連続壁工法
EP0974729A1 (en) A screw drilling device
US201500074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derwater pile excavating
JP5302949B2 (ja) 杭打ち装置及び杭打ち装置における汚濁水の漏れ防止方法
KR20230160978A (ko) 준설용 컷터가 포함된 중장비 장착용 유압식 준설 수중펌프 어태치먼트
JP2872498B2 (ja) 浚渫装置
KR200171739Y1 (ko) 흡입식 준설장치
RU2061818C1 (ru)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подводных траншей и дноуглубл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60029458A (ko)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펌프식 준설장치
WO2023139365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underwater excavation apparatus
JPH0665947A (ja) 浚渫装置
JP2021032005A (ja) 揚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