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907B1 -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 Google Patents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907B1
KR102067907B1 KR1020180108090A KR20180108090A KR102067907B1 KR 102067907 B1 KR102067907 B1 KR 102067907B1 KR 1020180108090 A KR1020180108090 A KR 1020180108090A KR 20180108090 A KR20180108090 A KR 20180108090A KR 102067907 B1 KR102067907 B1 KR 102067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ixing
workpieces
fe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직
Original Assignee
김성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직 filed Critical 김성직
Priority to KR102018010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5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permanent magnets
    • H01F41/0286Trimm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장치 본체(10)의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을 일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나란히 안착하여 공급하는 공급모듈(100); 공급모듈(100)의 후단에 설치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도입하고 타 단부가 외측방을 향하도록 고정하여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제1고정모듈(200); 제1고정모듈(200)의 회전반경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의 타 단부 엣지에 당접하여 면취 가공하는 제1가공모듈(300); 제1고정모듈(200)의 일측에 설치하고 제1가공모듈(300)을 거친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도입하고 일 단부가 외측방을 향하도록 고정하여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제2고정모듈(500); 제2고정모듈(500)의 회전반경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의 일 단부 엣지에 당접하여 면취 가공하는 제2가공모듈(600); 제2고정모듈(500)의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을 일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나란히 안착하여 배출하는 배출모듈(800); 및 공급모듈(100)과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과 배출모듈(800)의 상측에 설치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을 각 모듈으로 이송하는 이송모듈(700);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페라이트 마그네틱의 면취가공 공정을 자동화 및 효율화하고 가공 정밀도를 향상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APPARATUS FOR CHAMFERING OF FERRITE MAGNET BOTH ENDS}
본 발명은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용 페라이트 마그네틱의 양 단부 곡면을 형성하는 상, 하단 엣지부의 면취 가공을 자동화 및 효율화하여 생산성을 증대하고 가공 정밀도를 향상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모터는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고정자 및 회전자를 구성하여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도출한다. 최근에는 영구자석을 채용한 모터 사용이 일반화되었으며 높은 자속밀도를 가지는 희토류가 마그네틱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가격 상승으로 인해 그 대체재로써 페라이트 마그네틱이 사용되고 있다.
페라이트 마그네틱은 희토류 마그네틱에 비해 잔류자속밀도는 낮으나 보자력(coercive force)이 강한 특성을 가지므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 모터용의 영구자석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자동차에 탑재되는 각종 모터 역시 페라이트 마그네틱으로 구성된다.
전동 모터의 고정자로 사용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은 페라이트 재료를 환형으로 성형한 후 모터의 하우징 내주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가공하여 사용한다.
즉, 페라이트 마그네틱은 유도전류에 의해 자성체, 즉 전자석이 되므로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하기 위해서 환형으로 성형된 페라이트 마그네틱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아치형으로 가공한 후 하우징 내주면에 배열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도록 구비한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0117938 호에는 페라이트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분말 성형체의 성형중 또는 성형후의 절삭 가공에 의해,원통형 성형체의 원주부를 축 방향으로 제거하여 그 단면의 모양을 문자 C형으로 한 뒤 이를 소결하여 형성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페라이트 마그네틱은 예컨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030531 호에서와 같이 고정자의 내부표면에 고정된 영구자석으로 만들어진 다수개의 계자극 각각이 페라이트 영구자석으로 형성되며 고정자의 내측에 배치된 회전가능한 전기자로 구성되는 직류 전동기에 적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는 페라이트 마그네틱은 하우징 내주면에 조립, 설치하는 과정에서 곡선형의 엣지가 다른 부품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해당 파편으로 인해 모터의 성능 저하 및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페라이트 마그네틱의 양 단부 상, 하단에 형성되는 엣지를 소정의 각도로 면취하여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가공공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0117938 호 (1997.02.04)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030531 호 (1985.10.10) 한국등록특허 제 10 - 1131795 호 (2012.03.30)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2 - 0112226 호 (2012.10.11)
상기와 같은 페라이트 마그네틱의 엣지를 면취하는 공정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졌다.
즉, 작업자가 페라이트 마그네틱을 한 단위씩 소정의 지그에 고정하고 엣지를 일일이 연삭기를 이용해 수작업으로 면취 가공을 실시하였으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낮은 실정에 있었다.
특히, 자동차나 각종 전자제품의 고밀도, 집적화 추세로 인해 그에 탑재되는 모터에 요구되는 물리적, 기계적 특성 역시 고도화가 요구되므로 페라이트 마그네틱의 고정밀 가공이 필수적인바, 숙련자에 의한 면취공정이 이루어지더라도 수작업의 한계로 인해 다수의 피가공물에서 균일한 정밀도를 도출하기는 매우 어렵다.
또한, 아치형으로 이루어진 페라이트 마그네틱의 양 단부에서 각각 상, 하단 4개소의 엣지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피가공물의 전, 후, 상, 하 자세를 교체하면서 피가공물 한 단위당 최소 4회에 걸쳐 반복적인 작업 루틴이 이루어져야 하는 등 작업효율이 낮은 문제점을 내포한다.
아울러, 면취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라이트 미세 칩이 공기중에 비산되는 것이 불가피하여 작업환경을 악화시키므로 작업자의 인건비 및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여 가격 경쟁력을 저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페라이트 마그네틱 면취공정의 자동화가 시급히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장치 본체(10)의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을 일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나란히 안착하여 공급하는 공급모듈(100);
공급모듈(100)의 후단에 설치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도입하고 타 단부가 외측방을 향하도록 고정하여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제1고정모듈(200);
제1고정모듈(200)의 회전반경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의 타 단부 엣지에 당접하여 면취 가공하는 제1가공모듈(300);
제1고정모듈(200)의 일측에 설치하고 제1가공모듈(300)을 거친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도입하고 일 단부가 외측방을 향하도록 고정하여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제2고정모듈(500);
제2고정모듈(500)의 회전반경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의 일 단부 엣지에 당접하여 면취 가공하는 제2가공모듈(600);
제2고정모듈(500)의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을 일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나란히 안착하여 배출하는 배출모듈(800); 및
공급모듈(100)과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과 배출모듈(800)의 상측에 설치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을 각 모듈으로 이송하는 이송모듈(70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페라이트 마그네틱의 면취가공 공정을 자동화 및 효율화하고 가공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페라이트 마그네틱의 엣지를 면취하기 위해 피가공물의 공급, 고정, 이송, 가공, 배출로 이어지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하는 면취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생산성을 현저히 증대하고 가공작업의 고정밀화를 통해 제품 품질을 향상하며 다수의 피가공물에서 균일한 정밀도를 도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종래에는 페라이트 마그네틱의 양 단부에서 각각 상, 하단 4개소의 엣지를 가공하기 위해서 피가공물의 전, 후, 상, 하 자세를 교체하면서 피가공물 한 단위당 최소 4회에 걸쳐 반복적인 작업 루틴이 이루어져야 했으나, 본 발명은 복수의 피가공물을 동시에 공급하고 각 단부의 상, 하단에서 2개소의 엣지가 1회 루틴에서 가공될 수 있으므로 최소 2회 루틴만으로 복수의 피가공물의 모든 엣지를 가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면취장치에 탑재되는 각 모듈의 구동 매커니즘을 효율화하고 피가공물의 이송 동선을 최소화하도록 구현하여 장치 전반을 간소화하고 작업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의 요부 정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의 공급모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의 피드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의 제1,2고정모듈과 제1,2가공모듈 및 이송가이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의 지그수단 사시도 및 평면도와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의 제1,2가공모듈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의 이송모듈 정면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의 이송모듈 배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에 의한 피가공물 가공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는 모터용 페라이트 마그네틱이 타 부품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아치 형태로 이루어진 양 단부 곡면을 형성하는 상, 하단 엣지부의 면취 가공을 위한 일련의 공정 전반을 자동화 및 효율화하여 종래 수동 방식에 비해 생산성을 대폭 증대하고 가공 정밀도를 향상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공급모듈(100), 제1고정모듈(200), 제1가공모듈(300), 이송가이드(400), 제1가공모듈(300), 제2가공모듈(600), 이송모듈(700), 및 배출모듈(80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공급모듈(100)은 장치 본체(10)의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을 일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나란히 안착하여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모듈(100)은 피가공물을 안착하여 공급하는 컨베이어(110)와, 공급가이드(120), 및 피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공급가이드(120)는 컨베이어(110)의 상측에서 좌우 폭을 구획하는 복수의 열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안내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공급가이드(120)는 컨베이어(110)의 작동에 간섭을 배제하도록 컨베이어(110) 상면과 일정 높이를 이격하여 설치하며, 이격 높이는 피가공물의 양 측면부 높이보다 낮게 형성함이 마땅하다. 따라서, 피가공물의 양 측면부는 공급가이드(120)에 의해 안내되어 일 단부가 전방을 향하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급가이드(120)를 3열로 배치하여 그 사이 경로를 통해 컨베이어(110) 상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2개의 피가공물을 동시에 나란히 가이드하도록 구성하였으나, 후술하게 될 모듈들과 연계하여 그 이상의 열을 추가하는 구성 역시 가능할 것이다.
상기 피드부(130)는 컨베이어(110)의 후단에 구비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을 공급받아 1피치 단위로 제1고정모듈(200)에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피드부(130)는 공급모듈(100)과 제1고정모듈(200)의 사이에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피드(131) 및 고정피드(133), 피드가이드(134) 및 스토퍼(135)를 탑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승강피드(131)는 컨베이어(110)에서 공급되는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안착하되 승강수단(132)과 연동하여 컨베이어(110)와 고정피드(133) 상간을 승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승강수단(132)은 피드부(130)의 하부에 탑재하여 승강피드(131)의 승강을 제어한다.
상기 승강피드(131)는 하강 상태에서 피드가이드(134)와 동일 높이를 형성하고 1피치의 복수의 피가공물을 피드받아 나란치 안착한 상태에서 고정피드(133)의 높이로 상승한다. 승강피드(131)가 상승 상태에서 후술하게 될 이송모듈(700)이 피가공물을 고정피드(133)로 슬라이딩 이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피드(133)는 승강피드(131)의 일측에서 제1고정모듈(200)의 하부지그와 동일 높이에 구비한다.
상기 고정피드(133)는 승강피드(131)와 동일한 상부구조를 형성하여 1피치 단위로 복수의 피가공물을 피드받아 나란히 안착한다. 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고정피드(133)의 전,후측에 구비되는 승강피드(131) 및 제1고정모듈(200)의 지그수단은 복수의 피가공물이 일직선상에서 이송모듈(700)에 의해 슬라이딩 이송될 수 있도록 동일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승강피드(131)와 컨베이어(110)의 사이에는 피드가이드(134) 및 스토퍼(135)를 구비한다.
상기 피드가이드(134)는 컨베이어(110)의 후단에서 동일 높이로 고정 설치하되 공급가이드(120)와 연속되도록 구비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공급받도록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135)는 피드가이드(134)의 상측에 구비하고 피가공물의 상측면에 당접하도록 승강하여 승강피드(131)로의 공급을 일시 차단하도록 구비한다.
즉, 상기 피드가이드(134)는 승강피드(131)와 컨베이어(110)의 사이에서 수평으로 위치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을 다수의 피치로 안착한 상태에서 피드를 가이드하되, 피드가이드(134)의 상측에서 스토퍼(135)가 하강하여 피가공물의 상측면에 당접하도록 작동시 컨베이어(110)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피가공물의 이동이 정지되면서 피가공물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35)는 피드가이드(134)의 길이에 상응하면서 다수의 피치로 복수의 피가공물이 나란히 안착된 상태에서 그 상측면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공급을 중단하는 형태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135)는 상기 승강피드(131)의 작동 루틴과 연계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하며, 예컨대 승강피드(131)가 피드가이드(134) 높이로 하강시 스토퍼(135)는 상승하여 피가공물을 공급하고 승강피드(131)가 고정피드(133) 높이로 상승시에는 스토퍼(135)를 하강하여 피가공물의 공급을 차단하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피드(131) 및 고정피드(133)의 전방에서 일직선 상으로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을 배치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모듈(200)은 공급모듈(100)의 후단에 설치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도입하고 타 단부가 외측방을 향하도록 고정하여 단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고정모듈(500)은 제1고정모듈(200)의 일측에 설치하고 제1가공모듈(300)을 거친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도입하고 일 단부가 외측방을 향하도록 고정하여 단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제1고정모듈(200) 및 제2고정모듈(500)은 각각 제1가공모듈(300) 및 제2가공모듈(600)에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공급하면서 면취 가공시 피가공물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고정모듈(200) 및 제2고정모듈(500)에는 각각의 턴테이블(220,520)과 지그수단을(230,530)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턴테이블(220,520)은 본체(10) 하부에 입설된 구동수단(210,510)과 연동하여 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턴테이블(220,520)은 상기 피드부(130)의 고정피드(133)에 상응하는 높이의 원형 평면을 구비하며 중심축은 하측에 마련된 구동수단(210,510)에 축결합한다.
상기 제1고정모듈(200)의 턴테이블(220)의 회전반경에는 고정피드(133), 제1가공모듈(300), 이송가이드(400)가 위치하며, 제2고정모듈(500)의 턴테이블(520)의 회전반경에는 이송가이드(400), 제2가공모듈(600), 배출모듈(800)이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게 될 이송모듈(700)에 의해 피가공물이 각 모듈, 즉 공급모듈(100), 제1고정모듈(200), 제2고정모듈(500), 배출모듈(800)을 이동시 일직선 상에서 이루어지므로 턴테이블(220,520)의 회전반경에 위치하는 상기 구성들을 각각 90도 간격으로 배치하여 피가공물의 동선을 최적화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그수단(230,530)은 턴테이블(220,520)의 상측면 외주연을 따라 다수를 방사상으로 배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을 한 그룹씩 나란히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별 지그수단(230,530)에는 하부지그(231,531), 내부지그(232,532), 상부지그(233,533), 및 사이드지그(234,53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하부지그(231,531)는 피드부(130)에 마련된 고정피드(133)와 동일 높이에서 구비하고 피가공물의 하부곡면에 상응하는 수용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피가공물인 페라이트 마그네틱은 모터 하우징 내주면에 부착 설치하도록 아치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하부지그(231,531)는 아치형 피가공물의 하부곡면에 당접하여 안착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하부지그(231,531)는 공급모듈(100)을 거쳐 제1고정모듈(200)로 도입되는 피가공물의 수에 상응하는 복수를 나란히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피드(133) 상에 나란히 안착된 복수의 피가공물이 이송모듈(70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지그수단(230,530)으로 진입시 피가공물의 내부곡면을 수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하부지그(231,531)의 아치형 상측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미끄럼방지수단을 부착하여 피가공물에 손상이 가해지거나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내부지그(232,532)는 하부지그(231,531)의 내측 단부에서 입설하여 피가공물의 단부에 당접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내부지그(232,532)는 피가공물이 후술하게 될 제1가공모듈(300) 및 제2가공모듈(600)에 의해 상,하부 엣지를 가공시 연마휠(320,620)에 의해 작용하는 힘에 대응하여 피가공물을 지지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내부지그(232,532) 역시 하부지그(231,531)와 마찬가지로 공급모듈(100)을 거쳐 제1고정모듈(200)로 도입되는 피가공물의 수에 상응하는 복수를 나란히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부지그(232,532)와 피가공물이 당접하는 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미끄럼방지수단을 부착하여 피가공물에 손상이 가해지거나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부지그(233,533)는 하부지그(231,531)의 상측에 구비하고 피가공물의 상부곡면에 상응하는 수용홈을 형성한다.
즉, 상기 상부지그(233,533)와 하부지그는 피가공물의 상부곡면과 하부곡면에 당접하도록 해당 두께만큼 이격하여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상부지그(233,533) 역시 하부지그(231,531)와 마찬가지로 공급모듈(100)을 거쳐 제1고정모듈(200)로 도입되는 피가공물의 수에 상응하는 복수를 나란히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지그(233,533)의 아치형 하측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미끄럼방지수단을 부착하여 피가공물에 손상이 가해지거나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사이드지그(234,534)는 하부지그의 양측에서 피가공물의 양 측면부에 당접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공급모듈(100)의 고정피드(133)를 거쳐 제1고정모듈(200)로 도입되는 피가공물은 복수가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상부지그(233,533) 및 하부지그(231,531) 내로 진입하는바, 상기 사이드지그(234,534)를 이들 복수의 피가공물의 양 측면부에 당접하도록 하부지그(231,531)의 사이에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지그(234,534)는 하부지그(231,531)의 수에 비례하여 구비한다.
상기 사이드지그(234,534)와 피가공물이 당접하는 측면부에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미끄럼방지수단을 부착하여 피가공물에 손상이 가해지거나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220,520)을 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턴테이(220,520)블 하측에 탑재하는 상기 구동수단(210,510)은, 지그수단(230,530)들이 배치되는 각도에 상응하여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의 턴테이블(220,520)을 동일 속도 및 회전각으로 전동 제어하는 서보모터로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모듈(200) 및 제2고정모듈(500)의 턴테이블(220,520)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지그수단(230,530)은 한 단위씩 회전하면서 상기 공급모듈(100)의 고정피드(133), 후술하게될 제1가공모듈(300) 및 제2가공모듈(600)의 연마휠(320,620), 이송가이드(400), 및 배출모듈(800)에 대향하는 위치로 정렬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의 턴테이블(220,520)의 사이에는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안착하는 이송가이드(400)를 설치하고, 양측 턴테이블(220,520)의 지그수단(230,530)은 이송가이드(400)의 양측에서 상호 대향하여 정렬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송가이드(400)는 상기 공급모듈(100)의 피드부(130)에 구비하는 고정피드(133)와 동일한 구조를 형성하여 제1고정모듈(200)의 턴테이블(220)과 제2고정모듈(500)의 턴테이블(520)의 간극상에 배치한다.
상기 이송가이드(400)는 최초 공급모듈(100)을 거쳐 제1고정모듈(200)로 도입되는 피가공물의 수에 상응하는 복수를 나란히 정렬하여 안착하도록 구비한다. 따라서, 제1가공모듈(300)을 거친 복수의 피가공물을 이송모듈(700)이 제1고정모듈(200)로부터 제2고정모듈(500)로 이송하기 위한 매개 구성으로써 구비한다.
상기 이송가이드(400)는 제1고정모듈(200) 및 제2고정모듈(500)의 작동반경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 간극을 두고 배치하되, 이송모듈(700)에 의한 피가공물의 슬라이딩 이송이 원활하도록 그 간극을 최소화하면서 지그수단(230,530)의 하부지그(231,531)와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공급모듈(100)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제1고정모듈(200) 및 제2공급모듈(100) 각각의 일측에는 제1가공모듈(300) 및 제2가공모듈(600)을 설치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공모듈(300)은 제1고정모듈(200)의 회전반경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의 타 단부 엣지에 당접하여 면취 가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가공모듈(600)은 제2고정모듈(500)의 회전반경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의 일 단부 엣지에 당접하여 면취 가공하도록 구성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가공모듈(300)은 제1고정모듈(200)의 일측 상부에, 제2가공모듈(600)은 제2고정모듈(500)의 일측 하부에 배치하여 구성하는바, 따라서, 제1가공모듈(300)은 피가공물의 타 단부 상측 엣지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가공을 수행하며, 제2가공모듈(600)은 피가공물의 일 단부 하측 엣지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가공울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면취장치에 피가공물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투입하는 2회 루틴을 통해 양 단부 상, 하 4개소의 엣지를 면취 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변경하여 상기 제1가공모듈(300)과 제2가공모듈(600)을 제1고정모듈(200) 및 제2고정모듈(500)의 일측 상부에 동일하게 배치하고 2회차 루틴에서는 상기 제1가공모듈(300)과 제2가공모듈(600)을 제1고정모듈(200) 및 제2고정모듈(500)의 일측 하부에 동일하게 배치하는 구성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더불어, 공정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면취장치를 복수로 구비하고 그에 따라 제1가공모듈(300) 및 제2가공모듈(600)의 배치구조를 설계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공모듈(300) 및 제2가공모듈(600)에는 각각 연마휠(320,620)과, 구동수단(310,610), 및 승강수단(330,6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연마휠(320,620)은 제1고정모듈(200) 및 제2고정모듈(500)에 각각 마련된 턴테이블(220,520)의 일측 지그수단(230,530)에 대향하도록 복수를 나란히 구비하고, 본체(10) 일측에 수평 구비된 구동수단(310,610)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승강수단(330,630)은 상기 구동수단(310,610)의 일측에 결합하여 연마휠(320,620)의 높이를 설정하도록 구비한다.
즉, 상기 제1가공모듈(300) 및 제2가공모듈(600)에 각각 마련된 승강수단(330,630)은, 연마휠(320)의 높이를 턴테이블(220)의 일측에서 피가공물의 단부 상단 엣지에 당접하는 위치로 설정하거나, 또는 연마휠(620)의 높이를 턴테이블(520)의 일측에서 피가공물의 단부 하단 엣지에 당접하는 위치로 설정하도록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1가공모듈(300)의 연마휠(320)은 승강수단(330)에 의해 그 높이를 제1고정모듈(200)의 턴테이블(220) 상측으로 상향 조절하고 구동수단(310)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1고정모듈(200)의 지그수단(230)에 나란히 고정된 복수의 피가공물의 타 단부 상측 엣지를 면취하도록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가공모듈(600)의 연마휠(620)은 승강수단(630)에 의해 그 높이를 제2고정모듈(500)의 턴테이블(520) 하측으로 하향 조절하고 구동수단(610)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2고정모듈(500)의 지그수단(530)에 나란히 고정된 복수의 피가공물의 일 단부 하측 엣지를 면취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연마휠(320,620)에는 복수의 마찰면을 돌출하여 피가공물의 엣지를 연마하도록 구비하되, 최초 공급모듈(100)을 거쳐 제1고정모듈(200)로 나란히 도입되는 피가공물의 수에 상응하는 복수의 마찰면을 나란히 돌출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고정모듈(500)의 일측에는 배출모듈(800)을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을 일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나란히 안착하여 장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배출모듈(800)은 통상의 배출슈트(810) 혹은 컨베이어를 이용해 구성할 수 있으며, 배출슈트(810)는 배출가이드(820)를 설치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안전하게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모듈(100)과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과 후술하게 될 배출모듈(800)의 상측에는 이송모듈(700)을 설치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을 각 모듈으로 이송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급모듈(100)과, 제1고정모듈(200), 제2고정모듈(500), 및 배출모듈(800)은 피가공물의 양 단면 엣지의 면취 가공시 최적의 동선을 도출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직선상에서 배치되도록 구성하며, 따라서 상기 이송모듈(700)은 상기 나열한 각 모듈의 상측에서 일직선상으로 구비하여 피가공물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송하도록 구성한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모듈(700)은 크게 구동부(710)와, 고정부(720)와, 횡동부(730), 및 종동부(74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710)는 본체(10) 일측에 설치하는 구동수단(711)과 연동하여 동력을 전환하도록 구비하며, 편심수단(712)과, 횡동축(714), 및 신축수단(715)을 포함한다.
상기 편심수단(712)은 구동수단(711)에 축결합하여 회전하고 일측에 편심축부(713)를 마련한다. 따라서, 구동수단(711)에 의해 편심수단(712)이 회전시 편심축부(713)에는 회전 및 왕복이동력이 도출된다.
상기 횡동축(714)은 상기 편심수단(712)에 마련된 편심축부(713)에 힌지 결합하는 선단축공과, 후술하게 될 횡동부(730)에 마련된 고정축(731)에 힌지 결합하는 후단축공을 형성하여 횡동하도록 구비한다. 선, 후단축공을 힌지 결합함으로써 후술하게 될 고정부(720)에 형성된 작동홀(722) 내에서 횡동부(730)의 고정축(731)이 직선 왕복 이동될 수 있는 구성을 도출한다.
또한, 상기 횡동축(714)의 중심구간에는 신축수단(715)을 장착하여 선단축공에서 후단축공 사이의 거리를 신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신축수단(715)은 횡동축(714)의 횡동거리를 보상하여 하기 횡동부(730)가 공급모듈(100)에서 배출모듈(800)에 상응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720)는 상기 구동수단(711)에 직교하고, 공급모듈(100)과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과 배출모듈(800)이 일렬로 배치되는 중심선과 평행선상에서 본체(10)의 상측에 고정 설치하며, 고정패널(721)과 횡동레일(72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패널(721)은 장방형으로 형성하여 본체(10)에 고정 설치하고 중심부에는 장방형의 작동홀(722)을 형성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고정패널(721)은 본체(10)에 고정되므로 후술하게 될 횡동부(730) 및 종동부(740)를 장착하되, 특히 상기 작동홀(722)을 통해 횡동부(730)의 고정축(731)을 관통하여 구동부(710)와 횡동부(730)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직선 왕복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상기 횡동레일(723)은 고정패널(721)의 전면에서 작동홀(722)의 상, 하측에 수평으로 구비한다. 상기 횡동레일(723)에는 하기 횡동부(730)의 횡동가이드(733)가 결합하여 원활한 횡동을 도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횡동부(730)는 상기 고정부(720)에 장착하고 구동부(710)와 연동하여 고정부(720)를 기점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구비하며, 고정축(731), 횡동가이드(733), 및 종동레일(73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축(731)은 고정부(720)의 작동홀(722)을 관통하여 전, 후측에 양단을 위치하고 구동부(710)에 마련된 횡동축(714)의 후단축공에 힌지 결합하여 작동홀(722) 내에서 횡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고정축(731)은 고정부(720)를 사이에 두고 구동부(710)와 횡동부(730)를 연동하여 왕복이동력을 횡동패널(732)에 전달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횡동패널(732)은 고정축(731)의 전측 단부에 장착하고 고정패널(721)에 대향하도록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횡동패널(732)을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축(731)이 장착되는 제1패널(미부호)과, 제1패널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결합하되 상기 횡동레일(723)에 결합하는 횡동가이드(733)를 장착하는 제2패널(미부호)과, 제2패널의 전면에 결합하고 하기 종동가이드(742)가 결합하는 종동레일(734)을 장착하는 제3패널(미부호)의 결합으로 구성하였으나, 횡동패널(732) 자체의 형태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고정축(731), 횡동가이드(733), 종동레일(734)의 위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은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횡동가이드(733)는 횡동패널(732)의 후면에서 상, 하측에 수평으로 구비하고 고정부(720)에 마련된 횡동레일(723)에 슬라이딩 결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횡동가이드(733)를 횡동패널(732)의 후면 상, 하, 좌, 우 4개소에 배치하여 상기 횡동레일(723)에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종동레일(734)은 횡동패널(732)의 전면에서 좌, 우측에 수직으로 구비하여 후술하게 될 종동부(740)의 종동가이드(742)가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종동부(740)는 횡동부(730)에 장착하고 종동수단(743)과 연동하여 횡동부(730)를 기점으로 승강하도록 구비하며, 종동패널(741), 종동가이드(742), 종동수단(743), 및 이송수단(744)을 포함한다.
상기 종동패널(741)은 횡동부(730)에 마련된 횡동패널(732)에 대향하도록 구비한다. 종동패널(741)의 후면에는 상기 횡동패널(732)의 종동레일(734)에 결합하는 종동가이드(742)가, 종동패널(741)의 상측에는 횡동패널(732)에 장착된 종동수단(743)이 구비되어 종동패널(741)을 승강시키도록 구성하므로, 종동패널(741)은 횡동과 종동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종동가이드(742)는 종동패널(741)의 후면에서 좌, 우측에 구비하고 횡동부(730)에 마련된 종동레일(734)에 슬라이딩 결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종동가이드(742)를 종동패널(741)의 후면 상, 하, 좌, 우 4개소에 배치하여 상기 종동레일(734)에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종동수단(743)은 횡동부(730)의 횡동패널(732)에 장착하고 종동패널(741)의 상측에 결합하여 승강시키도록 구비한다. 상기 종동수단(743)은 종동패널(741)의 하부에 장착하는 이송수단(744)의 승강을 도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이송수단(744)은 종동패널(741)에 장착하여 하향 구비하고 횡동 및 종동하여 피가공물을 이송하도록 구비하며 이송횡바(745), 이송종바(746), 슬라이더(747)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횡바(745)는 종동패널(741)의 전면에서, 공급모듈(100)과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과 배출모듈(800)이 일렬로 배치되는 중심선과 동일 선상에서 수평으로 고정 설치한다.
상기 이송횡바(745)의 길이는 이송횡바(745)의 양단에 장착된 이송종바(746)의 포크(748)가 각각 상기 공급모듈(100)의 피드부(130)와 상기 제2고정모듈(500)에서 배출모듈(800)에 대향하는 위치의 지그수단 까지의 거리에 상응하는 최소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종바(746)는 이송횡바(745)에 연직하여 하향 구비하되 이송횡바(745)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를 배치하여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송종바(746)는 이송횡바(745)의 길이 방향으로 3개소에 장착하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공급모듈(100)의 피드부(130), 상기 제1고정모듈(200)에서 이송가이드(400)에 대향하는 위치의 지그수단(230)의 내부지그(232)의 후방, 상기 제2고정모듈(500)에서 배출모듈(800)에 대향하는 위치의 지그수단(530)의 내부지그(232)의 후방에서 연직하는 상방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슬라이더(747)가 승강 또는 횡동하여 피가공물을 슬라이딩 이송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더(747)는 이송종바(746)의 말단에 장착하고, 공급모듈(100)과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 내에서 나란히 구비되는 복수의 피가공물의 단면에 대향하도록 복수의 포크(748)를 하향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포크(748)는, 피드부(130)의 피드가이드(134), 또는 지그수단(230,530)의 사이드지그(234,534) 내측으로 진입하여 피가공물의 단면 양측에 당접하도록 구비한다.
즉, 상기 슬라이더(747)는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종동수단(743)의 작동에 의해 각각 상기 공급모듈(100)의 피드부(130), 상기 제1고정모듈(200)에서 이송가이드(400)에 대향하는 위치의 지그수단(230)의 내부지그(232)의 후방, 상기 제2고정모듈(500)에서 배출모듈(800)에 대향하는 위치의 지그수단(530)의 내부지그(532)의 후방에서 연직하는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비한다. 이송모듈(700)의 작동 관계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포크(748)의 분기는 피가공물의 하부곡면과 상부곡면 사이의 두께에 상응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지그수단(230,530)의 사이드지그(234,534) 내측으로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포크(748)의 분기는 양측 2개 한 쌍의 분기가 동시에 2개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이송하도록 구성하므로 각 쌍의 분기간 간격은 피가공물의 폭에 상응하며,분기 한 쌍간 간격은 나란히 안착된 복수의 피가공물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포크(748)에 마련된 분기의 수는 최초 공급모듈(100)을 거쳐 제1고정모듈(200)로 나란히 도입되는 피가공물의 수에 상응하도록 구비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2개의 피가공물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2개의 피가공물 각각의 단부 양측에 상응하도록 4개의 분기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면취장치에 1피치당 2개의 피가공물(20)을 일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나란히 공급하여 타 단부 상측 엣지(E1)와, 일 단부 하측 엣지(E4)를 면취 가공하는 1차 루틴에서 피가공물(20)의 가공 상태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평면도에 대입하여 각 모듈에서의 피가공물(20)의 가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취장치에서는 아치형으로 성형된 페라이트 마그네틱 피가공물(20) 2개를 나란히 1피치로 설정하여 면취 가공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의 면취장치에서 공급모듈(100)의 공급가이드(120), 피드가이드(134) 및 스토퍼(135), 승강피드(131), 고정피드(133)와, 제1고정모듈(200) 및 제2고정모듈(500)의 지그수단과, 이송가이드(400)와, 이송모듈(700)의 포크(748)와, 배출모듈(800)의 배출가이드(820)에서 2개의 피가공물(20)을 1피치로 나란히 안착, 또는 수용 및 이송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공급모듈(100)의 컨베이어(110)에 2개의 피가공물(20)을 1피치로 나란히 안착하여 일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다수의 피치를 일렬로 공급한다. 2개의 피가공물(20)은 공급가이드(120)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가이드되어 피드부(130)로 진입한다.
상기 피드부(130)의 피드가이드(134)로 진입하는 피가공물(20)은 1피치가 승강피드(131)에 안착되면 스토퍼(135)가 하강하여 후방의 피가공물(20)의 공급을 제한한다.
상기 승강피드(131)에 1피치의 2개의 피가공물(20)이 안착되면 승강수단(132)이 고정피드(133)와 동일 높이로 승강피드(131)를 상승한다.
상기 고정피드(133)의 일측에서 승강피드(131)가 상승하여 동일 높이로 위치함과 동시에 고정피드(133)의 타측에서 제1고정모듈(200)의 지그수단(230)이 대향하도록 위치하여 일렬로 정렬한다.
한편, 본 발명의 면취장치 상측에서 대기상태에 있던 이송모듈(700)은 구동부(710), 고정부(720), 횡동부(730), 종동부(740), 및 이송수단(744)을 작동하여 피드가이드(134)의 상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더(747)를 피드가이드(134)를 향해 하강하고 승강피드(131)에 안착된 2개의 피가공물(20)을 고정피드(133)를 거쳐 제1고정모듈(200)의 지그수단(230)으로 이송한다.
상기 이송모듈(700)은 종동부(740)의 종동수단(743)을 작동하여 종동패널(741)을 하강하고, 종동패널(741)에 결합된 이송수단(744)의 슬라이더(747)가 하강한다.
상기 슬라이더(747)에 결합된 포크(748)는 상기 승강피드(131)의 후방에서 2개의 피가공물(20)의 단면에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이송모듈(700)은 구동부(710)의 구동수단(711)을 작동하여 편심수단(712)을 회전하고, 편심축부(713)가 편심회전하면서 횡동축(714)을 횡동한다. 횡동축(714)의 후단축공에 결합된 횡동부(730)의 고정축(731) 역시 고정부(720)의 작동홀(722) 내에서 횡동한다.
상기 고정축(731)의 횡동에 의해 고정축(731)에 결합된 횡동부(730)의 횡동패널(732) 및 횡동패널(732)에 결합된 종동부(740)의 종동패널(741)이 횡동하고, 종동패널(741)에 결합된 이송수단(744)의 슬라이더(747)가 횡동한다.
상기 슬라이더(747)에 결합된 포크(748)는 상기 승강피드(131)로 횡동하여 2개의 피가공물(20)의 타 단부에 당접한 상태로 고정피드(133)를 거쳐 제1고정모듈(200)의 지그수단(230)으로 피가공물(20)을 이송시킨다.
상기 지그수단(230)으로 나란히 이송된 2개의 피가공물(20)은 하부지그(231)와 상부지그(233)에 하부곡면 및 상부곡면이 당접하고 양측면이 사이드지그(234)에 당접한 상태로 일 단부가 내부지그(232)까지 진입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피가공물(20)의 타 단부가 지그수단(230)의 외측, 즉 턴테이블(220)의 외주면 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1고정모듈(200)의 구동수단(210)이 턴테이블(220)을 회전한다. 턴테이블(220)은 방사상으로 배치된 지그수단(230)의 각도에 따라 단속적으로 회전하여 피가공물(20)이 고정된 지그수단(230)을 제1가공모듈(300)의 연마휠(320)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가공모듈(300)의 연마휠(320)은 승강수단(330)에 의해 2개의 피가공물(20) 각각의 타 단부 상측 엣지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구동수단(310)에 의해 회전하여 도 12의 (a)에서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이 면취한다.
상기와 같이 양 단부 4개소의 엣지 중에서 타 단부 상측 엣지(E1)가 가공된 상태의 2개의 피가공물(20)은 제1고정모듈(200)의 턴테이블(220)의 회전에 의해 지그수단(230)이 이송가이드(400)의 일측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송가이드(400)의 타측에는 제2고정모듈(500)의 지그수단(530)이 대향하는 위치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면취장치 상측에서 대기상태에 있던 이송모듈(7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매커니즘에 의해 구동부(710), 고정부(720), 횡동부(730), 종동부(740), 및 이송수단(744)을 연동하여, 이송가이드(400)의 일측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제1고정모듈(200)의 지그수단(230)의 내부지그(232) 상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더(747)를 하강하고, 사이드지그(234) 사이로 포크(748)를 슬라이딩하여 2개의 피가공물(20)을 이송가이드(400)를 거쳐 제2고정모듈(500)의 지그수단(530)으로 이송한다.
즉, 상기 슬라이더(747)에 결합된 포크(748)는 사이드지그(534) 내부로 횡동하여 2개의 피가공물(20)의 일 단부에 당접한 상태로 이송가이드(400)를 거쳐 제2고정모듈(500)의 지그수단(530)으로 피가공물(20)을 이송시킨다.
상기 지그수단(530)으로 나란히 이송된 2개의 피가공물(20)은 일 단부가 지그수단(530)의 외측, 즉 턴테이블(520)의 외주면 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2고정모듈(500)의 구동수단(510)이 턴테이블(520)을 회전한다. 턴테이블(520)은 방사상으로 배치된 지그수단(530)의 각도에 따라 단속적으로 회전하여 피가공물(20)이 고정된 지그수단(530)을 제2가공모듈(600)의 연마휠(620)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가공모듈(600)의 연마휠(620)은 승강수단(630)에 의해 2개의 피가공물(20) 각각의 일 단부 하측 엣지(E4)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구동수단(610)에 의해 회전하여 도 12의 (a)에서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이 면취한다.
상기와 같이 양 단부 4개소의 엣지 중에서 타 단부 상측 엣지(E1) 및 일 단부 하측 엣지(E4)가 가공된 상태의 2개의 피가공물(20)은 제2고정모듈(500)의 턴테이블(520)의 회전에 의해 지그수단(530)이 배출모듈(800)의 일측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면취장치 상측에서 대기상태에 있던 이송모듈(7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매커니즘에 의해 구동부(710), 고정부(720), 횡동부(730), 종동부(740), 및 이송수단(744)을 연동하여, 배출모듈(800)의 일측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제2고정모듈(500)의 지그수단(530)의 내부지그(532) 상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더(747)를 하강하고, 사이드지그(534) 사이로 포크(748)를 슬라이딩하여 2개의 피가공물(20)을 배출모듈(800)의 배출가이드(820)를 따라서 배출한다.
도 12의 (b)는 본 발명의 면취장치에 1피치당 2개의 피가공물(20)을 타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나란히 공급하여 일 단부 상측 엣지(E3)와, 타 단부 하측 엣지(E2)를 면취 가공하는 2차 루틴에서 피가공물(20)의 가공 상태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1차 루틴의 작업 매커니즘과 동일한 구성에 의해 2차 루틴의 면취공정을 수행하여 2개의 피가공물(20)에서 각각의 양 단부 4개소의 엣지(E1~E4)를 면취 가공할 수 있다. 1차 루틴과 2차 루틴은 본 발명의 면취장치를 복수로 구비하여 인터벌 없이 연속적으로 실시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 피가공물의 공급, 고정, 이송, 가공, 배출로 이어지는 일련의 공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자동화하여 실시할 수 있는 면취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종래에는 페라이트 마그네틱의 양 단부 상, 하단 4개소의 엣지를 가공하기 위해서 피가공물의 전, 후 및 상, 하 자세를 일일이 교체하여 피가공물 한 단위당 최소 4차 루틴에 걸친 작업이 이루어져야 했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은 면취장치에 탑재되는 각 모듈의 구동 매커니즘을 효율화하고 피가공물의 자세 교체 및 이송 동선을 최소화하도록 구현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의 엣지를 최소 2회 루틴만으로 면취가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장치 전반을 간소화하고 작업효율을 증대하여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하고 가공작업의 고정밀화를 통해 제품 품질을 향상하며 다수의 피가공물에서 균일한 정밀도를 도출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0: 본체 20: 피가공물
100: 공급모듈 110: 컨베이어
120: 공급가이드 130: 피드부
200,500: 제1고정모듈,제2고정모듈 210,510: 구동수단
220,520: 턴테이블 230,530: 지그수단
400: 이송가이드 300,600: 제1가공모듈,제2가공모듈
310,610: 구동수단 320,620: 연마휠
330,630: 승강수단 700: 이송모듈
710: 구동부 720: 고정부
730: 횡동부 740: 종동부
800: 배출모듈 810: 배출슈트
820: 배출가이드

Claims (15)

  1. 장치 본체(10)의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을 일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나란히 안착하여 공급하는 공급모듈(100)과,
    공급모듈(100)의 후단에 설치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도입하고 타 단부가 외측방을 향하도록 고정하여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제1고정모듈(200)과,
    제1고정모듈(200)의 회전반경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의 타 단부 엣지에 당접하여 면취 가공하는 제1가공모듈(300)과,
    제1고정모듈(200)의 일측에 설치하고 제1가공모듈(300)을 거친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도입하고 일 단부가 외측방을 향하도록 고정하여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제2고정모듈(500)과,
    제2고정모듈(500)의 회전반경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의 일 단부 엣지에 당접하여 면취 가공하는 제2가공모듈(600)과,
    제2고정모듈(500)의 일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을 일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나란히 안착하여 배출하는 배출모듈(800)과,
    공급모듈(100)과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과 배출모듈(800)의 상측에 설치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을 각 모듈으로 이송하는 이송모듈(700)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모듈(100)은, 피가공물을 안착하여 공급하는 컨베이어(110)와, 컨베이어(110)의 상측에서 좌우 폭을 구획하는 복수의 열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안내하는 공급가이드(120)와, 컨베이어(110)의 후단에 구비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을 공급받아 1피치 단위로 제1고정모듈(200)에 공급을 제어하는 피드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부(130)는, 컨베이어(110)에서 공급되는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안착하되 승강수단(132)과 연동하여 컨베이어(110)와 고정피드(133) 상간을 승강하는 승강피드(131)와, 승강피드(131)의 일측에서 제1고정모듈(200)의 하부지그(231)와 동일 높이에 구비하는 고정피드(133)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피드(131)와 컨베이어(110)의 사이에는, 컨베이어(110)의 후단에서 동일 높이로 고정 설치하되 공급가이드(120)와 연속되도록 구비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공급받는 피드가이드(134)와, 피드가이드(134)의 상측에 구비하고 피가공물의 상측면에 당접하도록 승강하여 승강피드(131)로의 공급을 일시 차단하는 스토퍼(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모듈(200) 및 제2고정모듈(500)은,
    본체(10) 하부에 입설된 구동수단(210,510)과 연동하여 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턴테이블(220,520); 및
    턴테이블(220,520)의 상측면 외주연을 따라 다수를 방사상으로 배치하고 복수의 피가공물을 한 그룹씩 나란히 고정하는 지그수단(230,530);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210,510)은, 상기 지그수단(230,530)이 배치되는 각도에 상응하여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의 턴테이블(220,520)을 동일 속도 및 회전각으로 전동 제어하는 서보모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수단(230,530)은,
    피드부(130)에 마련된 고정피드(133) 높이에서 구비하고 피가공물의 하부곡면에 상응하는 아치형 수용부를 형성하는 하부지그(231,531);
    하부지그(231,531)의 내측 단부에서 입설하여 피가공물의 단부에 당접하도록 구비하는 내부지그(232,532);
    하부지그(231,531)의 상측에 구비하고 피가공물의 상부곡면에 상응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상부지그(233,533); 및
    하부지그(231,531)의 양측에서 피가공물의 양 측면부에 당접하도록 구비하는 사이드지그(234,53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의 턴테이블의 사이에는 복수의 피가공물을 나란히 안착하는 이송가이드(400)를 설치하고, 양측 턴테이블(220,520)의 지그수단(230,530)은 이송가이드(400)의 양측에서 상호 대향하여 정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공모듈(300) 및 제2가공모듈(600)은,
    제1고정모듈(200) 및 제2고정모듈(500)에 각각 마련된 턴테이블의 일측 지그수단에 대향하도록 복수를 나란히 구비하고, 본체(10) 일측에 수평 구비된 구동수단(310,610)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연마휠(320,620); 및
    상기 구동수단(310,610)의 일측에 결합하여 연마휠(320,620)의 높이를 설정하는 승강수단(330,63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공모듈(300) 및 제2가공모듈(600)에 각각 마련된 승강수단(330,630)은,
    연마휠(320)의 높이를 턴테이블(220)의 상측에서 피가공물의 단부 상단 엣지에 당접하는 위치로 설정하거나, 또는 연마휠(620)의 높이를 턴테이블(520)의 하측에서 피가공물의 단부 하단 엣지에 당접하는 위치로 설정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700)은,
    본체(10) 일측에 설치하는 구동수단(711)과 연동하여 동력을 전환하는 구동부(710);
    구동수단(711)에 직교하고, 공급모듈(100)과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과 배출모듈(800)이 일렬로 배치되는 중심선과 평행선상에서 본체(10)의 상측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부(720);
    고정부(720)에 장착하고 구동부(710)와 연동하여 고정부(720)를 기점으로 수평 이동하는 횡동부(730); 및
    횡동부(730)에 장착하고 종동수단(743)과 연동하여 횡동부(730)를 기점으로 승강하는 종동부(7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710)는,
    구동수단(711)에 축결합하여 회전하고 일측에 편심축부(713)를 마련하는 편심수단(712);
    편심축부(713)에 힌지 결합하는 선단축공과, 횡동부(730)의 고정축(731)에 힌지 결합하는 후단축공을 형성하여 횡동하는 횡동축(714); 및
    횡동축(714)의 중심구간에 장착하여 선단축공에서 후단축공 사이의 거리를 신축하는 신축수단(715);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20)는,
    장방형으로 형성하여 본체(10)에 고정 설치하고 중심부에는 장방형의 작동홀(722)을 형성하는 고정패널(721); 및
    상기 고정패널(721)의 전면에서 작동홀(722)의 상, 하측에 수평으로 구비하는 횡동레일(723);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횡동부(730)는,
    고정부(720)의 작동홀(722)을 관통하여 전, 후측에 양단을 위치하고 구동부(710)에 마련된 횡동축(714)의 후단축공에 힌지 결합하여 작동홀(722) 내에서 횡동하는 고정축(731);
    고정축(731)의 전측 단부에 장착하고 고정패널(721)에 대향하는 횡동패널(732);
    횡동패널(732)의 후면에서 상, 하측에 수평으로 구비하고 고정부(720)에 마련된 횡동레일(723)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횡동가이드(733); 및
    횡동패널(732)의 전면에서 좌, 우측에 수직으로 구비하는 종동레일(734);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740)는,
    횡동부(730)에 마련된 횡동패널(732)에 대향하는 종동패널(741);
    종동패널(741)의 후면에서 좌, 우측에 구비하고 횡동부(730)에 마련된 종동레일(734)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종동가이드(742);
    횡동부(730)의 횡동패널(732)에 장착하고 종동패널(741)의 상측에 결합하여 승강시키는 종동수단(743); 및
    종동패널(741)에 장착하여 하향 구비하고 횡동 및 종동하여 피가공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744);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744)은,
    종동패널(741)의 전면에서, 공급모듈(100)과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과 배출모듈(800)이 일렬로 배치되는 중심선과 동일 선상에서 수평으로 고정 설치하는 이송횡바(745);
    이송횡바(745)에 연직하여 하향 구비하되 이송횡바(745)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를 배치하는 이송종바(746);
    이송종바(746)의 말단에 장착하고, 공급모듈(100)과 제1고정모듈(200)과 제2고정모듈(500) 내에서 나란히 구비되는 복수의 피가공물의 단면에 대향하도록 복수의 포크(748)를 하향 구비하는 슬라이더(747);를 포함하고,
    상기 포크(748)는,
    피드부(130)의 피드가이드(134), 또는 지그수단(230,530)의 사이드지그(234,534) 내측으로 진입하여 복수의 피가공물의 단면 양측에 당접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KR1020180108090A 2018-09-11 2018-09-11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KR102067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90A KR102067907B1 (ko) 2018-09-11 2018-09-11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90A KR102067907B1 (ko) 2018-09-11 2018-09-11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907B1 true KR102067907B1 (ko) 2020-01-17

Family

ID=6936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090A KR102067907B1 (ko) 2018-09-11 2018-09-11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9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9966A (zh) * 2020-07-21 2020-10-20 谷蓓蕾 电机定子的磁瓦组装机
KR102198637B1 (ko) * 2020-02-20 2021-01-05 권인혁 페라이트 자석의 제조장치
KR102198636B1 (ko) * 2020-02-25 2021-01-15 권인혁 페라이트 자석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795B1 (ko) 2007-03-01 2012-03-30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페라이트 소결 자석
KR20120112226A (ko) 2011-03-31 2012-10-11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페라이트 소결 자석, 모터, 및 페라이트 소결 자석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07837B1 (ko) * 2013-07-02 2013-09-26 우광윤 플레이트 상하부 모서리의 동시 면취가공이 가능한 면취장치
KR101583341B1 (ko) * 2014-03-27 2016-01-07 (주)대성하이텍 유리판 가공용 지그
KR20160111184A (ko) * 2015-03-16 2016-09-26 김성직 모터용 페라이트 마그네틱 면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795B1 (ko) 2007-03-01 2012-03-30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페라이트 소결 자석
KR20120112226A (ko) 2011-03-31 2012-10-11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페라이트 소결 자석, 모터, 및 페라이트 소결 자석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07837B1 (ko) * 2013-07-02 2013-09-26 우광윤 플레이트 상하부 모서리의 동시 면취가공이 가능한 면취장치
KR101583341B1 (ko) * 2014-03-27 2016-01-07 (주)대성하이텍 유리판 가공용 지그
KR20160111184A (ko) * 2015-03-16 2016-09-26 김성직 모터용 페라이트 마그네틱 면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637B1 (ko) * 2020-02-20 2021-01-05 권인혁 페라이트 자석의 제조장치
KR102198636B1 (ko) * 2020-02-25 2021-01-15 권인혁 페라이트 자석의 제조방법
CN111799966A (zh) * 2020-07-21 2020-10-20 谷蓓蕾 电机定子的磁瓦组装机
CN111799966B (zh) * 2020-07-21 2021-06-15 谷蓓蕾 电机定子的磁瓦组装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907B1 (ko) 페라이트 마그네틱 양 단부 면취장치
CN110142590B (zh) 电机转子自动压装机
KR101761467B1 (ko) 모터용 페라이트 마그네틱 면취장치
CN108672777B (zh) 一种剥线刀片的自动加工设备及其切铣角度控制方法
KR101030084B1 (ko) 디스플레이용 박판유리의 면취장치
CN110802401B (zh) 一种导线连接头生产设备的转盘治具装置
WO1997048531A9 (en) Semiconductor carrier strip trimming apparatus
US9259786B2 (en) Method for machining curved surface using lathe
CN112139707B (zh) 一种短路环自动焊接机
CN111300034B (zh) 一种导线连接头及其自动化生产设备和方法
CN108672778B (zh) 一种剥线刀片的自动加工设备的切铣机构及其控制方法
CN110869862B (zh) 用于旋转和/或线性移动工件的传输设备
CN212668512U (zh) 自动上料装置
US6591721B2 (en) Assembly line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ynamo-electric cores
CN210709499U (zh) 一种运输装置
JP2009072902A (ja) 工作機械
KR101843235B1 (ko) 모터용 페라이트 마그네틱 형삭 가공장치
CN211540590U (zh) 一种连续自动磨削机
CN110170705B (zh) 一种数控滚齿倒棱复合机床
US9238306B2 (en) Feeding device and machine tool using the same
CN111906575A (zh) 一种数控机床用上料装置
CN218289429U (zh) 中转设备
KR20160111177A (ko) 모터용 페라이트 마그네틱 길이 가공장치
CN113452223B (zh) 一种转子自动绕线机
CN210479946U (zh) 一种高精密载具原地旋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