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462B1 -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462B1
KR102067462B1 KR1020190074703A KR20190074703A KR102067462B1 KR 102067462 B1 KR102067462 B1 KR 102067462B1 KR 1020190074703 A KR1020190074703 A KR 1020190074703A KR 20190074703 A KR20190074703 A KR 20190074703A KR 102067462 B1 KR102067462 B1 KR 102067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axis direction
chemical liquid
support plate
h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전
이강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오텍
Priority to KR102019007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C03C21/001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7/00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 C03B27/02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C03B35/20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by supporting frames
    • C03B35/207Construction or design of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는 유리의 표면 힐링용 약액이 담기는 약액조 (100); 상기 약액조 (100)에 구비되어 상기 약액을 왕복순환시키는 약액순환장치 (200); 상기 약액조 (100)의 하부에 침지되며, 유리가 왕복이동하는 방향인 x-축방향 및 상기 x-축방향에 수직인 y-축방향을 갖는 지지판 (300); 상기 지지판 (300)의 내부에서 유리가 x-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수가 y-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상기 x-축방향과 상기 y-축방향에 모두 수직인 z-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유리의 표면 힐링용 약액에 침지되는 이동공간형성부 (400); 및 상기 지지판 (300)의 테두리부분의 상기 이격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z-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유리의 x-축방향 왕복이동을 제한하는 이동공간제한부 (500);를 포함하며, 자동화된 공정으로 폴더블폰 등과 같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얇은 유리에 대하여 다량으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힐링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폴드블 휴대폰용 디스플레이 유리뿐만 아니라 15.6인치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사이즈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까지도 용이하게 힐링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SURFACE HEALING APPARATUS FOR GLASS FOR A FOLDABLE DISPALY APPARATUS}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자동화된 공정으로 폴더블폰 등과 같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얇은 유리에 대하여 다량으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힐링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초박막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휴대용 폴더블폰 (foldable phone) 등과 같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에 투명 폴리이미드 (CPI, Clear PolyImide) 필름을 사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쉽게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로 인하여 이를 유리 (glass)로 대체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폴더블폰 등과 같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유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리의 두께를 30 내지 50㎛ 정도로 형성하여야만 디스플레이부를 자연스럽게 접었다 펴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종래에 통상적인 (non-foldable) 휴대폰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유리는 딱딱하고 (rigid) 두께가 약 400 내지 500㎛ 정도로 두꺼워서 브러쉬 연마기 등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방법으로 표면 연마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최근에 개발되어 출시되는 폴더블폰 등과 같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유리는 딱딱하지 않고 마치 매우 얇은 투명 비닐처럼 흐물거리며 한쪽 끝을 잡았을 때 다른 쪽 끝은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축 쳐지는 물리적 특성을 지니며, 그 두께가 약 30 내지 50㎛ 정도로 매우 얇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매우 얇은 두께 및 흐느적 거리고 형태가 리지드하게 잘 유지되지 못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유리의 표면 연마가공 (힐링공정)은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었던 물리적인 방법의 연마과정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각각의 폴더블폰 디스플레이부 크기로 재단된 초박막 유리를 한 장씩 표면 연마용 약액에 침지하고 유리를 전후 방향으로 흔들어주는 화학적인 힐링 (healing) 공정을 통하여 표면의 다양한 이물질 및 미세 스크래치 등을 제거하여 깨끗하고 매끄러운 표명으로 가공하는 미세 화학적 연마공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즉, 이러한 힐링공정은 폴더블폰용 유리의 두께가 30 내지 50㎛ 정도로 매우 얇고 물리적인 강도가 약해 기계적인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크기로 각각 재단된 유리를 하나씩 조심스럽게 잡고 약액에 침지하여 살살 전후 방향으로 천천히 흔들어주는 수작업 공정을 통하여 수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에 따라 힐링작업의 속도가 저하되고, 인체에 해로운 힐링 과정용 연마 약액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매우 얇은 초박막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를 다른 고정판 등에 부착한 후, 종래의 브러쉬 연마 등을 수행하는 경우, 연마 공정이 끝나고 유리를 떼어 낼 때, 유리가 얇은 두께로 인하여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찢어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공정을 통한 연마작업도 불가능하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1은 글라스를 물유리로 여러장 겹쳐진 상태로 표면을 보호하면서 연마공정에 이어 불산용액으로 연마면의 마이크로크렉을 녹여 c가공과 힐링을 동시에 작업함으로써 불량률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킨 물유리접합방법을 통한 적층글라스 가공방법및 힐링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공정은 유리의 테두리 측면을 가공하는 방법일뿐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이 아니며, 또한 종래의 두꺼운 유리에 적용되는 방법이고, 특히 폴더블폰용 유리는 적층이 불가능 (즉, 적층 이후에 너무 얇은 두께로 인하여 온전히 떼어낼 수가 없음)하여 폴더블폰 디스플레이부용 유리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힐링 작업의 속도를 현저히 개선하고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는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폴더블폰 유리의 힐링 수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3870호 (2017.05.17)
이에 본 발명에서는 유리의 표면 힐링용 약액을 왕복순환시키는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자동화된 공정으로 폴더블폰 등과 같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얇은 유리에 대하여 다량으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힐링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초박막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는 유리의 표면 힐링용 약액이 담기는 약액조 (100); 상기 약액조 (100)에 구비되어 상기 약액을 왕복순환시키는 약액순환장치 (200); 상기 약액조 (100)의 하부에 침지되며, 유리가 왕복이동하는 방향인 x-축방향 및 상기 x-축방향에 수직인 y-축방향을 갖는 지지판 (300); 상기 지지판 (300)의 내부에서 유리가 x-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수가 y-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상기 x-축방향과 상기 y-축방향에 모두 수직인 z-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유리의 표면 힐링용 약액에 침지되는 이동공간형성부 (400); 및 상기 지지판 (300)의 테두리부분의 상기 이격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z-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유리의 x-축방향 왕복이동을 제한하는 이동공간제한부 (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300)에는 유리의 표면 힐링용 약액이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 (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는 y축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는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의 표면에는 라텍스 재질의 외피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의 y-축방향 폭은 상기 유리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의 y-축방향 폭은 0.5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300)에는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 및 상기 이동공간제한부 (500)가 형성된 지지판 (300)을 상기 약액조 (100)에 넣거나 뺄 때 이용될 수 있는 지지봉 (6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 (600)의 끝단에는 상기 약액에 침지되지 않는 손잡이부 (700)가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300)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판 (300)이 상기 약액조 (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하는 지지판이격부 (80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이격부 (80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약액이 순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액순환장치 (200)는 상기 약액조 (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순환장치 (210); 및 상기 약액조 (10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순환장치 (2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순환장치 (210); 및 상기 하부순환장치 (220)는 각가 약액의 순환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순환장치 (210)의 순환속도 및 상기 하부순환장치 (220)의 순환속도를 조절하여 왕복 이동하는 유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판 (300)의 상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는 자동화된 공정으로 폴더블폰 등과 같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얇은 유리에 대하여 다량으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힐링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폴드블 휴대폰용 디스플레이 유리뿐만 아니라 15.6인치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사이즈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까지도 용이하게 힐링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의 주요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의 주요구성에 대한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의 약액조 (100) 및 약액순환장치 (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약액조 (100)의 약액수용공간 (120)에 거치될 수 있는 약액조트레이 (110)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약액조트레이 (110)에 도 1에 도시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의 주요구성이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의 주요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의 약액조 (100) 및 약액순환장치 (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는 유리의 표면 힐링용 약액이 담기는 약액조 (100); 상기 약액조 (100)에 구비되어 상기 약액을 왕복순환시키는 약액순환장치 (200); 상기 약액조 (100)의 하부에 침지되며, 유리가 왕복이동하는 방향인 x-축방향 및 상기 x-축방향에 수직인 y-축방향을 갖는 지지판 (300); 상기 지지판 (300)의 내부에서 유리가 x-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수가 y-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상기 x-축방향과 상기 y-축방향에 모두 수직인 z-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유리의 표면 힐링용 약액에 침지되는 이동공간형성부 (400); 및 상기 지지판 (300)의 테두리부분의 상기 이격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z-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유리의 x-축방향 왕복이동을 제한하는 이동공간제한부 (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산성 약액으로 두께가 30 내지 50㎛ 정도인 폴더블폰 등과 같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유리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미세스크래치를 제거하는 공정인 힐링공정 (healing process)에 이용된다.
즉, 최근들어 활발히 개발되고 상용화되고 있는 다양한 폴더블 (foldable)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유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리의 두께를 30 내지 50㎛ 정도로 형성하여야만 디스플레이부를 자연스럽게 접었다 펴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에 통상적인 (non-foldable) 휴대폰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유리와 달리, 최근에 개발되어 출시되는 폴더블폰 등과 같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유리는 딱딱하지 않고 마치 매우 얇은 투명 비닐처럼 흐물거리며 한쪽 끝을 잡았을 때 다른 쪽 끝은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축 쳐지는 물리적 특성 때문에 유리의 표면 연마가공 (힐링공정)은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었던 물리적인 방법의 연마과정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각각의 폴더블폰 디스플레이부 크기로 재단된 초박막 유리를 한장씩 표면 연마용 약액에 침지하고 유리를 전후 방향으로 흔들어주는 화학적인 힐링 (healing) 공정을 통하여 표면의 다양한 이물질 및 미세 스크래치 등을 제거하여 깨끗하고 매끄러운 표명으로 가공하는 미세 화학적 연마공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힐링공정은 폴더블폰용 유리의 두께가 30 내지 50㎛ 정도로 매우 얇고 물리적인 강도가 약해 기계적인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크기로 각각 재단된 유리를 하나씩 조심스럽게 잡고 약액에 침지하여 살살 전후 방향으로 천천히 흔들어주는 수작업 공정을 통하여 수행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폴더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초박막 유리의 표면 힐링공정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행하지 않고 다량으로 한꺼번에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자가 개발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점차 대면적화되어가는 다양한 폴더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초박막 유리의 표면 힐링공정에 최적화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약액조 (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가능한 약액조트레이 (110); 힐링용 산성 약액이 담기는 약액수용공간 (120); 및 상기 약액조트레이 (110)를 꺼내어 약액조트레이 (110)에 남아있는 약액이 충분히 빠져나갈 때까지 약액조트레이 (110)를 올려놓을 수 있는 거치대 (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약액조트레이 (110)를 생략하고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장치의 주요구성을 직접 약액조 (100)에 담그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약액조 (100)의 약액수용공간 (120)을 형성하는 측벽에는 구동모터 및 약액순환 팬 (fan) 등에 의하여 힐링용 약액을 순환시킬 수 있는 약액순환장치 (200)가 구비되며, 상기 약액순환장치 (200)는 상기 약액조 (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순환장치 (210) 및 상기 약액조 (10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순환장치 (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순환장치 (210) 및 상기 하부순환장치 (220)는 각각 약액의 순환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순환장치 (210) 및 상기 하부순환장치 (220)를 통하여 순환되는 약액의 순환속도가 조절되도록 구성한 이유는 왕복이동되는 유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판 (300)의 상면에 접촉하여 테두리 부분에서 미세 스크래치 또는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상부순환장치 (210)에 의하여 순환되는 약액의 순환속도를 상기 하부순환장치 (220)에 의하여 순환되는 약액의 순환속도보다 느리게 함으로써 왕복이동되는 유리가 지속적으로 더 큰 부력을 얻게 되어 상기 지지판 (300)의 상면과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판 (300)은 후술하는 이동공간형성부 (400) 및 이동공간제한부 (500)를 구비하기 위한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지판 (300)은 상기 약액조 (100)의 하부에 침지되며 유리가 왕복이동하는 방향인 x-축방향 및 상기 x-축방향에 수직인 y-축방향을 갖는다.
한편, 상기 지지판 (300)에는 상기 지지판 (300)의 내부에서 유리가 x-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수가 y-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상기 x-축방향과 상기 y-축방향에 모두 수직인 z-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유리의 표면 힐링용 약액에 침지되는 이동공간형성부 (400)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는 예를 들어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원통형 봉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들어 염화폴리비닐 (PVC)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를 y-축방향으로 다수가 나란히 이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유리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공간은 x-축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유리가 왕복이동할 수 있는 통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약액순환장치 (200)는 유리가 이동하는 x-축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각각 상하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함께 y-축방향으로도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각각 상하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x-축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각각 상하에 설치된 약액순환장치 (200)는 상대적으로 강한 왕복순환력을 제공하여 유리의 표면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 및 미세 스크래치를 제거하는 힐링공정의 주요 순환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y-축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각각 상하에 설치된 약액순환장치 (200)는 x-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유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어느 한 쪽 면만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와 접촉함으로써 유리의 표면에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와의 접촉으로 인한 공정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장치가 사용되는 유리는 매우 얇아서 약액을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약간 흐느적 거리게 되며, 이와 같이 흐느적 거리는 초박막 유리가 어느 한 쪽으로만 치우쳐서 지속적으로 왕복이동하게 되면 유리의 표면에 이동공간형성부 (400)와의 접촉으로 인한 줄무늬 등과 같은 마찰흔 또는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강도로 y-축방향으로 일정주기로 지속적으로 왕복하여 펄스 등과 같은 순환력을 제공함으로써 공정에 적용된 유리가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와 어느 한 쪽면만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 (300)의 테두리부분의 상기 이격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z-축방향으로 이동공간제한부 (500)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이동공간제한부 (50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유리의 x-축방향 왕복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이동공간제한부 (500)에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가 약액의 순환력에 의하여 일정한 위치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삼각홈 등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유리가 약액의 순환력에 의하여 표면이 힐링됨과 동시에 x-축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왕복 이동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왕복이동 거리는 유리가 상기 이동공간제한부 (500)에 형성된 삼각홈 등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판 (300)에는 유리의 표면 힐링용 약액이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 (3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판 (300)에 다수의 통공 (310)이 형성됨으로써 약액이 순환할때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다수의 통공 (310)을 통하여 올라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수의 통공 (310)을 통하여 올라오는 약액의 흐름에 의하여 유리가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에 의하여 형성된 이동공간을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지지판(300)의 상면과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유리가 어느 한쪽면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유리가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와 어느 한쪽면만 접촉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장 이상적으로는 유리가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에 의하여 형성된 이동공간을 왕복이동하되, 그 과정에서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 및 지지판 (300)과의 접촉이 최소화되도록 약액 순환속도 및 지지판에 형성된 통공의 크기 및 위치 그리고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의 이격간격 등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는 y축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는 왕복이동하는 유리가 이동공간형성부 (400)와 접촉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표면에 라텍스 재질의 외피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텍스 재질의 외피층을 형성할 경우 초박막 유리가 이동공간형성부 (400)와 접촉하더라도 이러한 접촉으로 인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한 힐링공정에서 유리는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야 하는바, 상기 다수 이격된 이동공간형성부 (4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격공간의 y-축방향 폭은 상기 유리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유리의 두께보다 3배 이상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이격공간의 y-축방향 폭은 0.5 내지 2㎜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는 다수 개의 봉을 형성할수록 힐링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300)에는 도 1 및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 및 상기 이동공간제한부 (500)가 형성된 지지판 (300)을 상기 약액조 (100)에 넣거나 뺄 때 이용될 수 있는 지지봉 (6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봉 (600)을 구비함으로써 힐링작업의 개시 또는 종료시 마다 도 1의 주요부 장치를 상기 약액조 (100)에 손쉽게 넣고 빼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는 도 1 및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 (600)의 끝단에 상기 약액에 침지되지 않는 손잡이부 (700)가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2에는 미도시 되어 있으나, 상기 손잡이부 (700)는 상기 지지봉 (600)의 끝단에서 PVC 너트 및 볼트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되는 모든 구성은 PVC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모든 구성을 PVC로 제작함으로써 힐링공정에 사용되는 불산, 염산, 질산, 또는 황산 등의 산성 약액에 강한 내구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300)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판 (300)이 상기 약액조 (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하는 지지판이격부 (8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이격부 (80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약액이 자유롭게 순환될 수 있게 된다.
100: 약액조 110: 약액조트레이
120: 약액수용공간 130: 거치대
200: 약액순환장치 210: 상부순환장치
220: 하부순환장치 300: 지지판
310: 통공 400: 이동공간형성부
500: 이동공간제한부 600: 지지봉
700: 손잡이부 800: 지지판이격부
G: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

Claims (12)

  1. 30 내지 50㎛의 두께를 갖는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로서,
    유리의 표면 힐링용 약액이 담기는 약액조 (100);
    상기 약액조 (100)에 구비되어 상기 약액을 왕복순환시킴으로써 힐링처리 대상 유리를 함께 왕복이동시키는 약액순환장치 (200);
    상기 약액조 (100)의 하부에 침지되며, 유리가 왕복이동하는 방향인 x-축방향 및 상기 x-축방향에 수직인 y-축방향을 갖는 지지판 (300);
    상기 지지판 (300)의 내부에서 유리가 x-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수가 y-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상기 x-축방향과 상기 y-축방향에 모두 수직인 z-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유리의 표면 힐링용 약액에 침지되는 이동공간형성부 (400); 및
    상기 지지판 (300)의 테두리부분의 상기 이격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z-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유리의 x-축방향 왕복이동을 제한하는 이동공간제한부 (5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 (300)에는 힐링대상 유리가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유리와 지지판(300)의 상면 간의 접촉이 최소화되도록 유리의 표면 힐링용 약액이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 (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의 표면에는 유리가 이동공간형성부 (400)와 접촉시 접촉으로 인한 오염 및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라텍스 재질의 외피층이 형성되며,
    상기 약액순환장치 (200)는
    x-축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각각 상하에 설치되어 약액 및 유리가 x-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며,
    y-축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각각 상하에 설치되어 x-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유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어느 한 쪽 면만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와 접촉함으로써 유리의 표면에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와의 접촉으로 인한 공정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는 y축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게 형성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는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 3 및 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의 y-축방향 폭은 상기 유리의 두께보다 더 큰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7. 청구항 1, 3 및 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의 y-축방향 폭은 0.5 내지 2㎜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8. 청구항 1, 3 및 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300)에는 상기 이동공간형성부 (400) 및 상기 이동공간제한부 (500)가 형성된 지지판 (300)을 상기 약액조 (100)에 넣거나 뺄 때 이용될 수 있는 지지봉 (600)이 구비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 (600)의 끝단에는 상기 약액에 침지되지 않는 손잡이부 (700)가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10. 청구항 1, 3 및 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300)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판 (300)이 상기 약액조 (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하는 지지판이격부 (80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이격부 (80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약액이 순환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11. 청구항 1, 3 및 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순환장치 (200)는
    상기 약액조 (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순환장치 (210); 및
    상기 약액조 (10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순환장치 (2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순환장치 (210); 및 상기 하부순환장치 (220)는 각가 약액의 순환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부순환장치 (210)의 순환속도 및 상기 하부순환장치 (220)의 순환속도를 조절하여 왕복 이동하는 유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판 (300)의 상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KR1020190074703A 2019-06-24 2019-06-24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KR102067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703A KR102067462B1 (ko) 2019-06-24 2019-06-24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703A KR102067462B1 (ko) 2019-06-24 2019-06-24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462B1 true KR102067462B1 (ko) 2020-01-17

Family

ID=6936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703A KR102067462B1 (ko) 2019-06-24 2019-06-24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4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291B1 (ko) * 2006-02-14 2007-07-23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Lcd 유리 슬리밍장치
JP2013006717A (ja) * 2011-06-23 2013-01-10 Hoya Corp 携帯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1614140B1 (ko) * 2014-11-10 2016-04-2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휨 방식의 굽힘응력 인가형 유리 홀더 및 이를 이용한 유리의 화학강화 처리 방법
KR20170053870A (ko) 2015-11-08 2017-05-17 공석태 물유리접합방법을 통한 적층글라스 가공방법및 힐링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291B1 (ko) * 2006-02-14 2007-07-23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Lcd 유리 슬리밍장치
JP2013006717A (ja) * 2011-06-23 2013-01-10 Hoya Corp 携帯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1614140B1 (ko) * 2014-11-10 2016-04-2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휨 방식의 굽힘응력 인가형 유리 홀더 및 이를 이용한 유리의 화학강화 처리 방법
KR20170053870A (ko) 2015-11-08 2017-05-17 공석태 물유리접합방법을 통한 적층글라스 가공방법및 힐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159A (en) Apparatus for cleaning semiconductor wafers
CN103990614B (zh) 一种条片清洗机
US5816274A (en) Apparartus for cleaning semiconductor wafers
KR102067462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힐링 장치
US5839460A (en) Apparatus for cleaning semiconductor wafers
JP2009293983A (ja) スライド標本用染色装置
CN110637221B (zh) 标本制作方法及标本制作装置
KR102536322B1 (ko)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들
CN211137347U (zh) 一种方便使用的pvc管切割装置
CN211069875U (zh) 一种临床化学检验用试管振荡装置
CN1830070A (zh) 圆板状部件的蚀刻方法及装置
CN114951113A (zh) 光纤段用清洗设备
CN107283259B (zh) 一种用于光学镜头抛光机的自动上下料设备的上下料方法
JP2013189339A (ja) 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848408B2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KR20090052826A (ko) 세정 장치 및 세정 방법
CN109431429B (zh) 一种洗鞋机
KR101515408B1 (ko) 경량화가공부를 포함하는 대구경미러의 자동에칭장치 및 그 대구경미러의 자동에칭방법
JP6850561B2 (ja) カトラリー研磨装置及び研磨方法
JPH0824809A (ja) 超音波洗浄装置
US2628460A (en) Chip remov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20041897A (ko) 안경 세정장치 및 그 방법
CN1207171A (zh) 生物试料的液处理装置
CN217141470U (zh) 一种漂胶条装置
CN213558152U (zh) 一种镜片表面的耐磨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