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992B1 - 로킹 밸브 - Google Patents

로킹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992B1
KR102066992B1 KR1020180070326A KR20180070326A KR102066992B1 KR 102066992 B1 KR102066992 B1 KR 102066992B1 KR 1020180070326 A KR1020180070326 A KR 1020180070326A KR 20180070326 A KR20180070326 A KR 20180070326A KR 102066992 B1 KR102066992 B1 KR 102066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nnet
slider
handl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968A (ko
Inventor
유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락
Priority to KR1020180070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992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는, 복수 개의 포트를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을 구비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에 설치되는 밸브 보닛; 상기 밸브 보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포트의 연통 상태를 차단 가능한 밸브 스템; 및 상기 밸브 보닛에 대하여 상기 밸브 스템을 회전시킬 수 있는 밸브 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밸브 핸들은, 상기 밸브 보닛의 상측의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스템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핸들 하우징; 및 상기 핸들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밸브 보닛에 체결 또는 해제 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킹 밸브{LOCKING VALVE}
아래의 설명은 로킹 밸브에 관한 것이다.
밸브는 관의 도중 또는 관 끝에 결합하여 흐름의 개폐 및 유량의 조절을 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내부에서 회전되는 나사에 의해 밸브를 밸브 시트에 꽉 눌러 유체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밸브 핸들의 회전을 통해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밸브 핸들은 밸브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외력 또는 오동작을 통해, 밸브 핸들이 원하지 않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밸브 핸들의 회전과 동시에, 밸브 핸들의 회전 각도를 선택적으로 고정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밸브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로킹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는, 복수 개의 포트를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을 구비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에 설치되는 밸브 보닛; 상기 밸브 보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포트의 연통 상태를 차단 가능한 밸브 스템; 및 상기 밸브 보닛에 대하여 상기 밸브 스템을 회전시킬 수 있는 밸브 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밸브 핸들은, 상기 밸브 보닛의 상측의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스템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핸들 하우징; 및 상기 핸들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밸브 보닛에 체결 또는 해제 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밸브 보닛의 주위를 감싸도록 수용하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밸브 보닛의 외주면에 형성된 보닛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 방지 기어부를 구비하는 링형 부재; 및 상기 링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핸들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밸브 핸들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내부 공간에 일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회전 방지 기어부가 상기 보닛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하우징은,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를 수용하는 삽입 구멍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링형 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구멍 및 상기 삽입부의 단면의 형상은 서로 형합되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부, 회전 방지 기어부 및 버튼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링형 부재의 외벽 중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 방향에 위치한 부분은 원호의 형상을 갖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 중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 방향에 위치한 부분은 원호의 형상을 갖고, 상기 링형 부재의 외벽의 원호 형상의 반지름의 길이는,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의 원호 형상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링형 부재 중 상기 버튼부가 연결되는 돌출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더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 중 상기 슬라이더의 인출 방향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핸들 하우징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 방향에 위치한 부분보다 더 길게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 및 상기 밸브 핸들의 회전 축에 동시에 평행한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의 단면적은 상기 버튼부에 가까워질수록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보닛 기어부 및 회전 방지 기어부는 각각 편심된 래칫 기어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 하우징이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스템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 방향에서 상기 링형 부재의 외벽 및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슬라이더의 인출 방향에서 상기 밸브 보닛의 외벽 및 상기 링형 부재의 내벽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에 의하면, 밸브 핸들을 회전시켜,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 사이의 유로의 면적의 크기를 조절한 이후, 밸브 핸들의 회전 각도가 밸브 보닛에 대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외력이나 오동작에 의해 밸브 핸들이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밸브 핸들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밸브 핸들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잠금 해제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폐쇄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핸들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1)는 밸브 바디(14), 다이어프램(15), 가이드 부싱(162), 가이드 핀(161), 밸브 보닛(13), 밸브 스템(12) 및 밸브 핸들(11)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바디(14)는, 2 개의 외부 관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2 개의 외부 관로 사이에서 연통되는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바디(14)는 베이스(145), 복수 개의 포트(141, 142), 연통 공간(143) 및 밸브 시트(14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45)는, 내부에 로킹 밸브(1)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형 부재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포트(141, 142) 중 입구 포트(141)는, 베이스(145)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유체를 공급받기 위한 외부의 관로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 포트(141)는, 외부의 관로로부터 유입받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입구 포트(141)의 유로는 베이스(145)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 공간(143)으로 연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포트(141, 142) 중 출구 포트(142)는, 베이스(145)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외부의 관로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구 포트(142)는, 입구 포트(141)로부터 유입 받은 유체를 외부 관로를 향해 통과할 수 있는 유로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출구 포트(142)의 유로는 상기 연통 공간(143)에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입구 포트(141) 및 출구 포트(142)는 도 2를 기준으로 유체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유동하는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이하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유체가 반대 방향으로 유동할 경우, 142번 부재가 입구 포트이고, 141번 부재가 출구 포트라고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복수 개의 포트(141, 142) 중 어느 하나를 "제 1 포트"라고 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 2 포트"라고 할 수 있다.
연통 공간(143)은, 입구 포트(141) 및 출구 포트(142) 사이에 형성되어 각각의 유로와 연통되는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 공간(143)은 베이스(145)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구멍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 공간(143)의 하측으로 입구 포트(141) 및 출구 포트(142)의 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 공간(143)의 하측 부분 중, 상기 입구 포트(141)와 연통되는 부분은 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시트(144)는, 연통 공간(143)에 입구 포트(141)가 연통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시트(144)는 상기 연통되는 부분의 가장자리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시트(144)의 상면은 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15)은, 연통 공간(143)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상이 전환되는 박막형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15)은, 연통 공간(143)의 부분 중, 밸브 시트(144)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15)은 외부의 힘 또는 압력에 의해, 만곡되는 방향 및 변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15)이 상측으로 완전히 만곡된 상태에서 중앙 부분이 하측으로 설정 변위이상으로 만곡될 경우, 상기 중앙 부분이 밸브 시트(144)에 접촉되어 밸브 시트(144)의 중공을 차폐함으로써, 입구 포트(141) 및 출구 포트(142) 사이의 유로가 차단될 수 있다.
이후, 밸브 시트(144)를 차폐하는 부분이 다시 상측으로 만곡되는 경우, 밸브 시트(144)의 중공이 개방됨에 따라, 입구 포트(141) 및 출구 포트(142) 사이의 유로가 다시 연통될 수 있고, 다이어프램(15)이 만곡되는 변위에 따라 입구 포트(141) 및 출구 포트(142) 사이의 유량 및/또는 유압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15)의 가장자리 부분은 연통 공간(143)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고정될 수 있고, 이 경우, 다이어프램(15)은 연통 공간(143)의 하측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15)은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측으로 만곡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싱(162)은, 연통 공간(143)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중공형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싱(162)은 밸브 시트(144) 및 다이어프램(1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싱(162)은 자체에 형성된 중공을 제외하고, 상기 연통 공간(143)의 개방된 상측을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핀(161)은, 가이드 부싱(162)의 중공에 형합되도록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싱(162) 및 가이드 핀(161)이 설치된 연통 공간(143)은 상측으로 기밀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핀(161)이 가이드 부싱(162)에 대해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하측에 위치한 다이어프램(15)의 일측에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핀(161)이 슬라이딩되는 변위에 따라서, 다이어프램(15)이 만곡되는 변위가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이드 핀(161)이 하측으로 슬라이딩될 경우, 직접 다이어프램(15)에 접촉되지 않고, 가이드 핀(161) 및 다이어프램(15) 사이의 밀폐된 공간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다이어프램(15)의 만곡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가이드 부싱(162) 및 가이드 핀(161)의 구성 없이 밸브 스템(12)의 하단부가 직접 다이어프램(15)과 접촉하여 다이어프램(15)을 만곡시키는 구성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시 말하면, 밸브 스템(12)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다이어프램(15)을 조작함으로써, 복수 개의 포트(141, 142) 사이의 연통 상태를 차단시킬 수 있다.
밸브 보닛(13)은, 밸브 바디(14)의 상측에 연결되는 중공형 부재로서,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밸브 스템(12)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보닛(13)은 베이스(145)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고, 밸브 보닛(13)의 중공은 연통 공간(143)에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보닛(13)의 중공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공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밸브 보닛(13)의 중공의 중심은 밸브 시트(144)의 중심과 오버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보닛(13)은, 밸브 바디(14)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일 부분의 외주면의 둘레에 따라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보닛 기어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닛 기어부(131)의 기어의 형상은 밸브 보닛(13)의 원주 방향에 따른 일방향으로 편심되는 형상을 갖는 래칫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닛 기어부(131)의 래칫 기어가 편심되어 있는 방향은 후술할 밸브 스템(12)이 밸브 보닛(13)의 중공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하지만, 래칫 기어가 편심되는 방향은 통상의 기술자가 로킹 밸브(1)의 사용 방식 또는 용도에 따라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한편, 도시한 바와 달리, 보닛 기어부(131)는, 양 방향이 동일한 경사를 갖는 형상의 기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밸브 스템(12)은, 밸브 보닛(13)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스템(12)의 상측은 밸브 핸들(1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스템(12)의 일부분의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밸브 스템(12)의 나사산은 밸브 보닛(13)의 중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브 스템(12)이 밸브 보닛(13)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스템(12)이 밸브 보닛(13)에 대해서 하측으로 이동될 경우, 밸브 스템(12)의 하단부는 연통 공간(143)에 설치된 가이드 핀(161)에 접촉하여 가이드 핀(161)을 하측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이어프램(15)의 일부분이 하측으로 만곡되어, 밸브 시트(144)의 중공을 차폐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밸브 스템(12)이 회전하는 정도에 따라, 다이어프램(15)이 밸브 시트(144)로 부터 이격되는 정도, 다시 말하면, 입구 포트(141) 및 출구 포트(142) 사이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밸브(1)를 지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밸브 스템(12), 밸브 보닛(13), 다이어프램(15) 및 밸브 시트(144) 각각의 중심은 동일한 위치에서 오버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밸브 스템(12)의 상측에는 밸브 스템(12)의 회전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핸들 하우징(111)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들과 형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밸브 스템(12) 및 핸들 하우징(111)이 상대적으로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핸들 하우징(111)이 밸브 스템(12)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밸브 스템(12)이 핸들 하우징(11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밸브 핸들(11)은, 밸브 보닛(13)의 상측으로 돌출된 밸브 스템(12)의 상측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핸들(11)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밸브 스템(12)이 밸브 보닛(13) 및 밸브 바디(14)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핸들(11)은 밸브 보닛(13)에 대해서 적어도 일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될 수 있다. 밸브 핸들(11)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아래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핸들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핸들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선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핸들(11)은 핸들 하우징(111), 체결 나사(113, 도 2 참조), 탄성체(114) 및 슬라이더(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 하우징(111)은, 밸브 핸들(11)의 외형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핸들 하우징(111)은 밸브 스템(12)에 연결되어 밸브 스템(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스템(12)의 상측은 핸들 하우징(111)에 형성된 구멍상에 삽입될 수 있고, 구멍에 삽입되는 밸브 스템(12)의 외주면 및 상기 구멍의 내주면에는, 각각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단차 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스템(12)은 핸들 하우징(111)에 대해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되,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핸들(11)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핸들 하우징(111)은, 밸브 스템(12)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 하우징(111)은 밸브 스템(12)을 기준으로 일방향에 따른 폭이 상기 일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따른 폭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핸들 하우징(111)에 있어서,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는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 하우징(111)의 외형은 도 4와 같이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 마름모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핸들 하우징(111)은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지 않고, 원형의 형상, 방사상으로 대칭되는 패턴의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핸들 하우징(111)은 내부 공간(1111), 삽입 구멍(1112) 및 버튼 구멍(1113)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공간(1111)은, 핸들 하우징(111)의 하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홈으로서, 보닛 기어부(131), 밸브 스템(12) 및 슬라이더(112)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스템(12)은 내부 공간(1111)을 상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밸브 핸들 하우징(111)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공간(1111)은 원형 단면을 갖는 중앙부와, 중앙부로부터 한쪽으로 편향된 편향부(111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편향부(11111)는 중앙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 및 편향부(11111)는 핸들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내부 공간(1111)은 핸들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12)는 내부 공간(1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핸들 하우징(111) 내부에 내부 공간(1111)을 컴팩트하게 제공하면서도, 슬라이더(112)의 충분한 행정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본원에서, 내부 공간(1111)의 길이 방향은 핸들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과 서로 동일한 것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내부 공간(1111)의 길이 방향이 핸들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는 점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내부 공간(1111)의 내벽 중 슬라이더(112)의 삽입 방향(도 4 기준 좌측)에 위치한 부분은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장자리 부분의 원형 형상의 곡률 중심은 핸들 하우징(111)의 회전축, 다시 말하면, 밸브 스템(12)의 중심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공간(1111) 중 슬라이더(112)의 인출 방향(도 4 기준 우측)에 위치한 부분에 편향부(1111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향부(11111)는 핸들 하우징(111)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슬라이더(112)의 삽입 방향에 위치한 부분보다 더 길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공간(1111)의 가장자리의 형상은, 그 일측의 가장자리가 원호의 형상을 갖는 반면, 반대편의 편향부(11111)는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비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 구멍(1112)은, 내부 공간(1111)의 내벽으로부터 슬라이더(112)의 삽입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구멍(1112)의 말단에는 탄성체(114)가 수용될 수 있고, 이후, 슬라이더(112)의 삽입부(1122)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구멍(1112)의 단면의 형상은 삽입부(1122)의 단면과 형상과 서로 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구멍(1112)의 단면은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슬라이더(112)가 밸브 핸들 하우징(111)에 비틀림 없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버튼 구멍(1113)은, 내부 공간(1111)의 내벽으로부터 슬라이더(112)의 인출 방향으로 핸들 하우징(1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구멍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구멍(1113)에는 후술할 슬라이더(112)의 버튼부(1123)가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구멍(1113) 및 삽입 구멍(1112)의 중심선은 서로 슬라이더(112)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동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버튼 구멍(1113) 및 삽입 구멍(1112)은 서로 형합하는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체결 나사(113)는, 밸브 핸들 하우징(111) 및 밸브 스템(12)을 체결시킬 수 있다.
탄성체(114)는, 삽입 구멍(1112)의 말단에 삽입되어 슬라이더(112)의 인출 방향으로 슬라이더(11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슬라이더(112)는, 핸들 하우징(111)의 내부 공간(1111)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112)는 일측에 형성된 기어를 통해 밸브 보닛(13)의 보닛 기어부(131)와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112)는 링형 부재(1121), 회전 방지 기어부(1124), 삽입부(1122) 및 버튼부(1123)를 포함할 수 있다.
링형 부재(1121)는, 내부 공간(1111)에 수용되는 중공형 부재로서, 그 중공 내부에서 보닛 기어부(131)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형 부재(1121)의 일측에는 삽입부(1122)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버튼부(1123)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형 부재(1121)는 수용부(11211) 및 돌출부(112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1211)는, 링형 부재(1121)에 형성된 중공으로서, 내부에 보닛 기어부(131) 및 밸브 스템(12)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과 같이 밸브 핸들(11)을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수용부(11211)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수용부(11211)의 내주면은 보닛 기어부(131)의 외주면을 평행하도록 마주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슬라이더(112)가 탄성체(114)의 탄성력에 의해 보닛 기어부(131)에 접촉되었을 경우, 수용부(11211)의 중심은 보닛 기어부(131)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링형 부재(1121)가 밸브 보닛(13)에 대해 회전하더라도 회전 각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슬라이딩 변위량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돌출부(11213)는, 버튼부(1123)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1213)는, 링형 부재(1121)의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112)의 슬라이딩 방향 및 밸브 핸들(11)의 회전 축에 동시에 평행한 단면을 기준으로, 돌출부(11213)의 단면적은 버튼부(1123)에 가까워질수록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1213)의 외면은 평면 형상이고, 내면은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돌출부(11213)에 의하면 버튼부(1123)가 외력에 의해 눌러졌을 경우, 상기 외력에 의한 압력이 버튼부(1123) 및 링형 부재(1121)가 연결된 부분에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링형 부재(1121)가 상기 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찌그러짐에 따라서, 슬라이더(112)가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1213)는, 링형 부재(1121)에 전달되는 압력이 링형 부재(112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분산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링형 부재(1121)의 형상이 유지된 상태로 슬라이더(112)가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형 부재(1121)의 외부 형상은, 내부 공간(1111)의 비대칭적인 형상과 마찬가지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112)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편향부(11111)의 가장자리 부분은 돌출부(11213)의 가장자리 부분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슬라이더(112)가 탄성체(114)에 의해 가압되어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링형 부재(1121)의 돌출부(11213)가 내부 공간(1111)의 내벽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회전 방지 기어부(1124)는, 링형 부재(1121)의 수용부(11211)의 내주면의 일부분에서 대면하는 보닛 기어부(131)의 기어와 맞물리도록 돌출 형성된 기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회전 방지 기어부(1124)는, 수용부(11211)에서 밸브 스템(12)을 기준으로 삽입 구멍(1112) 또는 삽입부(1122)가 위치한 방향의 내주면 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형 부재(1124)의 일 부분의 외면에는 삽입부(1122)가 형성되고, 상기 일 부분의 내면에는 회전 방지 기어부(112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1211)에서 돌출된 회전 방지 기어부(1124)의 단면의 폭 또는 너비는 동일한 방향상에서 돌출 형성된 삽입부(1122)의 단면의 폭 또는 너비와 동일할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탄성체(114)로부터 삽입부(1122)로 전달되는 탄성력이 삽입부(1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곧바로 회전 방지 기어부(1124)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닛 기어부(131)에 대해 회전 방지 기어부(1124)의 맞물림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방지 기어부(1124)의 폭 또는 너비가 삽입부(1122)의 폭 또는 너비와 동일하기 때문에, 삽입부(1122)에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서, 삽입부(1122)를 비롯하여 회전 방지 기어부(1124)에 형성되는 압축 응력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한 응력의 집중에 따라 회전 방지 기어부(1124)의 기어 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부(1122)는, 링형 부재(11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기둥형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1122)는, 삽입 구멍(1112)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1122)는 링형 부재(1121)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1122)의 단면 형상은 삽입 구멍(1112)의 단면 형상과 같이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어서, 삽입부(1122)의 단부가 삽입 구멍(1112)에 형합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1122) 및 삽입 구멍(1112)의 단면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사각형 단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각형 단면의 형상을 갖는 삽입부(1122) 및 삽입 구멍(1112)에 의하면, 삽입 구멍(1112)이 삽입부(1122)가 길이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것과 더불어, 삽입부(1122)가 내부 공간(1111) 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링형 부재(1121)는 내부 공간(1111)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만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버튼부(1123)는, 링형 부재(11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타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기둥형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1123)는 버튼 구멍(1113)을 통과하도록 삽입될 수 있고, 말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핸들 하우징(11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1123)는 버튼 구멍(1113)에 형합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1123)는 링형 부재(1121)의 돌출부(11213)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1123)는, 링형 부재(1121)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1123) 및 삽입부(1122)의 중심선은 길이 방향에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12)는 길이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회전 방지 기어부(1124)가 보닛 기어부(131)에 맞물려 있는 경우,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링형 부재(1121)의 가장자리 및 내부 공간(1111)의 내벽 중 삽입 구멍(1112)이 형성된 내벽의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은 보닛 기어부(131)의 가장자리 및 링형 부재(1121)의 내벽 중 돌출부(11213)가 형성된 내벽의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도 7과 같이, 슬라이더(112)가 탄성체(114)를 향해 최대한 가압되더라도, 링형 부재(1121)의 외주면이 내부 공간(1111)의 내주면에 접촉되므로, 링형 부재(1121)의 수용부(11211)의 내주면이 보닛 기어부(131)의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어서, 보닛 기어부(131)의 기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형 부재(1121)의 가장자리 부분 중 삽입 구멍(1112)을 마주보는 방향의 가장자리 부분은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링형 부재(1121)의 외벽의 원호 형상의 반지름의 길이는, 내부 공간(1111)의 내벽의 원호 형상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버튼부(1123)가 눌러짐에 따라, 링형 부재(1121)가 삽입 구멍(1112)의 탄성체(114)를 향해 최대로 가압될 경우, 링형 부재(1121)는, 내부 공간(1111)의 내벽에 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링형 부재(1121)가 내부 공간(1111)의 내벽 상에 억지끼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슬라이더(112)의 왕복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잠금 해제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폐쇄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로킹 밸브(1)의 개방 또는 폐쇄에 따른 밸브 핸들(11)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밸브 핸들(11)은 도 1과 같이 밸브 보닛(13)에 대해 초기 위치, 즉 입구 포트(141) 및 출구 포트(142)가 연통 공간(143)을 통하여 연통된 상태의 회전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1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회전 방지 기어부(1124)는 보닛 기어부(13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입구 포트(141) 및 연통 공간(143) 사이의 유로의 면적을 감소시키거나 유로를 차단시키기 위해 밸브 스템(12) 및 밸브 핸들(1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방향은 밸브 스템(12)이 밸브 보닛(13)의 중공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방향으로서, 이를 "닫힘 방향"이라 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 즉 밸브 스템(12)이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방향을 "개방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방지 기어부(1124) 및 보닛 기어부(131) 사이에서 맞물리도록 형성된 기어의 형상은 회전 방지 기어부(1124)가 보닛 기어부(131)에 대해 닫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되 그 반대 방향인 개방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 편심된 래칫 기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밸브 핸들(11)은 회전 방지 기어부(1124)가 보닛 기어부(131)에 맞물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밸브 보닛(13)에 대해 닫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지만, 회전이 중지되거나 그 반대 방향인 개방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핸들(11)을 닫힘 방향으로 일정 각도이상 회전시킬 경우, 밸브 핸들(11)에 의해 회전된 밸브 스템(12)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다이어프램(15)의 일부분을 만곡시켜 밸브 시트(144)의 중공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게 되고, 이후, 위와 마찬가지로 밸브 핸들(11)의 개방 방향에 대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밸브 핸들(11)의 회전을 통해서, 입구 포트(141) 및 출구 포트(142) 사이의 유로의 면적 또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유로의 면적 크기를 달성하도록 밸브 핸들(11)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해당 유로의 면적이 변화되지 않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닛 기어부(131)의 각각의 기어 이(tooth)는 밸브 핸들(11)의 회전 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밸브 핸들(11)을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 방지 기어부(1124)가 보닛 기어부(131)에 대해 하나의 기어 이의 단위로 회전되는 것을 소리, 육안 또는 촉각을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밸브 핸들(11)의 회전 위상을 정밀하게 조절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입구 포트(141) 및 연통 공간(143) 사이의 유로의 면적을 다시 개방하기 위해서, 도 9와 같이, 밸브 핸들 하우징(111)의 외부로 돌출된 버튼부(1123)를 누름으로써, 회전 방지 기어부(1124) 및 보닛 기어부(131) 사이의 기어 맞물림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링형 부재(1121)가 도 7과 같이 삽입 구멍(1112) 및 탄성체(114)를 향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회전 방지 기어부(1124)가 보닛 기어부(13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격되어 상호간의 기어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도 10과 같이, 버튼부(1123)를 계속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밸브 핸들(11)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서, 밸브 시트(144) 부분의 유로의 면적을 다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 도중에, 버튼부(1123)의 가압이 해제될 경우, 밸브 핸들(11)의 개방 방향에 따른 회전이 다시 억제될 수 있다.
한편, 버튼부(1123)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밸브 핸들(11)을 개방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시킬 경우, 도 10과 같이 밸브 핸들(11)은 밸브 시트(144) 부분의 유로의 면적이 최대로 확장되어 있는 초기상태로 다시 복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회전 방지 기어부(1124) 및 보닛 기어부(131) 사이에서 맞물리는 래칫 기어의 형상은 회전 방지 기어부(1124)가 보닛 기어부(131)에 대해 닫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되 개방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전술한 실시 예의 래칫 기어의 반대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밸브 시트(144) 부분의 유로를 차단된 상태에서 개방되는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버튼부(1123)를 누른 상태로, 밸브 핸들(11)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1)에 의하면, 밸브 핸들(11)을 회전시켜, 입구 포트(141) 및 출구 포트(142) 사이의 유로의 면적의 크기를 조절한 이후, 밸브 핸들(11)의 회전 각도가 밸브 보닛(13)에 대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외력이나 오동작에 의해 밸브 핸들(11)이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에 의하면, 로킹 밸브(1)를 차단하여야 하는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 사용자는 특별한 조작 없이도, 단순히 밸브 핸들(11)을 회전시켜 밸브를 차단시킬 수 있다. 반면, 래칫 형상에 의하면, 주변 환경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로킹 밸브(1)가 예상치 못하게 개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로킹 밸브(2)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로킹 밸브(1)의 밸브 보닛(13)과 다른 구조의 밸브 보닛(23)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더(112)와 다른 구조의 슬라이더(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브 보닛(23)은 기어의 이가 편심되지 않은 일반적인 평기어의 형상을 갖는 보닛 기어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212)도 마찬가지로, 링형 부재(2121)의 중공의 내주면에서 보닛 기어부(231)를 향해 돌출되어 맞물릴 수 있는 회전 방지 기어부(2124) 또한 평기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2)에 의하면, 회전 방지 기어부(2124)가 보닛 기어부(231)에 맞물려 있는 이상, 핸들 하우징(111)은 어떠한 방향으로도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개방 방향 또는 닫힘 방향 각각의 양방향에 따른 핸들 하우징(111)의 회전은 슬라이더(212)의 버튼부(2123)가 눌러진 상태에서만 수행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 핸들 하우징(111)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로킹 밸브(3)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로킹 밸브(1)의 밸브 스템(12)과 다른 구조의 밸브 스템(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로킹 밸브(3)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로킹 밸브(1)와 달리 다이어프램(15) 및 가이드 핀(161)에 대응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밸브(3)는 밸브 핸들(11)에 의해서 회전됨에 따라서, 밸브 보닛(13)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하측의 밸브 시트(144)에 직접 접촉하여 입구 포트(141) 및 출구 포트(142) 사이의 유로의 면적을 조절하는 밸브 스템(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스템(32)은 밸브 보닛(13)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직접 밸브 시트(144)의 중공 부분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 단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스템(32)이 최대한 하측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접촉 단부(321)는 밸브 시트(144)에 접촉하여 밸브 시트(144)의 중공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단부(321)가 밸브 바디(14)의 연통 공간(143)에 수용된 부분에서 가이드 부싱(162)이 밸브 스템(32) 및 접촉 단부(321)의 둘레를 감싸도록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싱(162)은 밸브 스템(3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고, 연통 공간(143)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이드 부싱(162)에 대응하는 구성 없이 밸브 스템(32)이 단독으로 연통 공간(143) 내에서 이동되어 접촉 단부(321)를 통해 밸브 시트(144)에 접촉될 수 있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0)

  1. 복수 개의 포트를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을 구비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에 설치되는 밸브 보닛;
    상기 밸브 보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포트의 연통 상태를 차단 가능한 밸브 스템; 및
    상기 밸브 보닛에 대하여 상기 밸브 스템을 회전시킬 수 있는 밸브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핸들은,
    상기 밸브 보닛의 상측의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스템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핸들 하우징;
    상기 핸들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 보닛의 주위를 감싸도록 수용하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부와,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밸브 보닛의 외주면에 형성된 보닛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 방지 기어부를 구비하는 링형 부재 및 상기 링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핸들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및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내부 공간에 일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회전 방지 기어부가 상기 보닛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은,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를 수용하는 삽입 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링형 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로킹 밸브.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구멍 및 상기 삽입부의 단면의 형상은 서로 형합되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로킹 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회전 방지 기어부 및 버튼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열되는 로킹 밸브.
  6. 복수 개의 포트를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을 구비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에 설치되는 밸브 보닛;
    상기 밸브 보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포트의 연통 상태를 차단 가능한 밸브 스템; 및
    상기 밸브 보닛에 대하여 상기 밸브 스템을 회전시킬 수 있는 밸브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핸들은,
    상기 밸브 보닛의 상측의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스템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핸들 하우징;
    상기 핸들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 보닛의 주위를 감싸도록 수용하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부와,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밸브 보닛의 외주면에 형성된 보닛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 방지 기어부를 구비하는 링형 부재 및 상기 링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핸들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및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내부 공간에 일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회전 방지 기어부가 상기 보닛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 부재의 외벽 중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 방향에 위치한 부분은 원호의 형상을 갖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 중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 방향에 위치한 부분은 원호의 형상을 갖고,
    상기 링형 부재의 외벽의 원호 형상의 반지름의 길이는,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의 원호 형상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작은 로킹 밸브.
  7. 복수 개의 포트를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을 구비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에 설치되는 밸브 보닛;
    상기 밸브 보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포트의 연통 상태를 차단 가능한 밸브 스템; 및
    상기 밸브 보닛에 대하여 상기 밸브 스템을 회전시킬 수 있는 밸브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핸들은,
    상기 밸브 보닛의 상측의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스템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핸들 하우징;
    상기 핸들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 보닛의 주위를 감싸도록 수용하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부와,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밸브 보닛의 외주면에 형성된 보닛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 방지 기어부를 구비하는 링형 부재 및 상기 링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핸들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및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내부 공간에 일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회전 방지 기어부가 상기 보닛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 부재 중 상기 버튼부가 연결되는 돌출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더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 중 상기 슬라이더의 인출 방향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핸들 하우징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 방향에 위치한 부분보다 더 길게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로킹 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 및 상기 밸브 핸들의 회전 축에 동시에 평행한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의 단면적은 상기 버튼부에 가까워질수록 증가되는 로킹 밸브.
  9. 복수 개의 포트를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을 구비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에 설치되는 밸브 보닛;
    상기 밸브 보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포트의 연통 상태를 차단 가능한 밸브 스템; 및
    상기 밸브 보닛에 대하여 상기 밸브 스템을 회전시킬 수 있는 밸브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핸들은,
    상기 밸브 보닛의 상측의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스템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핸들 하우징;
    상기 핸들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 보닛의 주위를 감싸도록 수용하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부와,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밸브 보닛의 외주면에 형성된 보닛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 방지 기어부를 구비하는 링형 부재 및 상기 링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핸들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및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내부 공간에 일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회전 방지 기어부가 상기 보닛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닛 기어부 및 회전 방지 기어부는 각각 편심된 래칫 기어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 하우징이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로킹 밸브.
  10. 복수 개의 포트를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을 구비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에 설치되는 밸브 보닛;
    상기 밸브 보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포트의 연통 상태를 차단 가능한 밸브 스템; 및
    상기 밸브 보닛에 대하여 상기 밸브 스템을 회전시킬 수 있는 밸브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핸들은,
    상기 밸브 보닛의 상측의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스템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핸들 하우징;
    상기 핸들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 보닛의 주위를 감싸도록 수용하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부와,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밸브 보닛의 외주면에 형성된 보닛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 방지 기어부를 구비하는 링형 부재 및 상기 링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핸들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및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내부 공간에 일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회전 방지 기어부가 상기 보닛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스템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 방향에서 상기 링형 부재의 외벽 및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슬라이더의 인출 방향에서 상기 밸브 보닛의 외벽 및 상기 링형 부재의 내벽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밸브.
KR1020180070326A 2018-06-19 2018-06-19 로킹 밸브 KR102066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326A KR102066992B1 (ko) 2018-06-19 2018-06-19 로킹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326A KR102066992B1 (ko) 2018-06-19 2018-06-19 로킹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68A KR20190142968A (ko) 2019-12-30
KR102066992B1 true KR102066992B1 (ko) 2020-01-16

Family

ID=6910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326A KR102066992B1 (ko) 2018-06-19 2018-06-19 로킹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9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8966A4 (en) * 2020-03-26 2024-03-06 Fluonics Corp VALVE WITH LOCKING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625B1 (ko) * 2020-05-08 2021-10-01 주식회사 유니락 로킹 밸브
KR102311898B1 (ko) * 2020-05-12 2021-10-13 주식회사 아스플로 잠금 기능을 갖는 밸브 및 잠금 기능을 갖는 밸브의 작동방법
CN113685608B (zh) * 2021-09-22 2024-04-16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直流运检公司 一种换流站消防紧急阀门灵活型防误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7562B2 (ja) * 1992-06-12 2003-06-16 ホワイティ カンパニー ハンドルラッチ/ロック付き弁
JP5210247B2 (ja) * 2009-06-17 2013-06-12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ロック装置付き回転バルブ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7562B2 (ja) * 1992-06-12 2003-06-16 ホワイティ カンパニー ハンドルラッチ/ロック付き弁
JP5210247B2 (ja) * 2009-06-17 2013-06-12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ロック装置付き回転バル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8966A4 (en) * 2020-03-26 2024-03-06 Fluonics Corp VALVE WITH LOCK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68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992B1 (ko) 로킹 밸브
US10150121B2 (en) Combined shower
JP6179510B2 (ja) 流量制御装置
JP4253333B2 (ja)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TWI475169B (zh) 殘壓釋放閥
EP3306176B1 (en) Container valve
WO2007125408A1 (en) Improved sealed device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of medical liquid directed towards a patient
KR20140137298A (ko) 유량 조절 장치
TW201937088A (zh)
TWI675979B (zh) 具鎖定機構的閥與集成閥
JP2015161337A (ja) 開閉操作弁の操作部固定具
JP6789665B2 (ja) バルブ
EP1715230A1 (en) Fluid controller
KR101949930B1 (ko) 유량 제어용 키락 핸들을 가지는 다이어프램 밸브
US9951882B2 (en) Handwheel cap
US8591520B2 (en) Apparatus for inserting catheters or endoscopic devices into a body cavity
JP5988654B2 (ja) ガス栓
US10612686B2 (en) Safety faucet for hot water
BR102020014742B1 (pt) Conjunto de conexão para uma bomba de dispensação de fluido, e, bomba de dispensação de fluido
JP4831533B2 (ja) 水栓装置
KR102307625B1 (ko) 로킹 밸브
JP4802914B2 (ja) 医療用管継手及びこれを用いた輸液または血液の搬送に供されるライン
JP5962885B2 (ja) 水栓装置
JP2019173516A (ja) 操作装置および水栓
TWI619898B (zh) Val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