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344B1 - 핵산표지를 위한 신규한 형광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핵산표지를 위한 신규한 형광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344B1
KR102066344B1 KR1020180040099A KR20180040099A KR102066344B1 KR 102066344 B1 KR102066344 B1 KR 102066344B1 KR 1020180040099 A KR1020180040099 A KR 1020180040099A KR 20180040099 A KR20180040099 A KR 20180040099A KR 102066344 B1 KR102066344 B1 KR 102066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fluorescence
fluoresc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058A (ko
Inventor
박진우
김기원
이봉규
윤형준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액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액츠 filed Critical (주)바이오액츠
Priority to KR1020180040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34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09K2211/1037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with sulfu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핵산 등을 분석하기 위한 신규한 형광 화합물은 생체분자의 DNA, RNA 등의 핵산과의 결합효율이 매우 우수하고, 아울러 형광 특성 및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분만 아니라, 온도 및 수분 등의 보관 안정성 및 생체안전성 측면에서도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형광 화합물은 인체에 무해한 용매인 증류수에 용해가 가능하고 특정 세포 및 생체조직의 분석에 국한되지 않고 넓은 범위의 분석에 응용시킬 수 있다는 다양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핵산표지를 위한 신규한 형광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Novel fluorescent compound for labelling nucleic acids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포나 혈액의 분석을 위하여 형광화합물을 이용할 경우에 상기 생체분자의 DNA, RNA 등의 핵산과의 결합효율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형광특성 및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안정성이 뛰어난 신규한 시아닌계열의 형광염료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물질 자체는 가시광 및 근적외 영역의 형광이 미약하거나 없으므로 바이오 분야에서는 생체 내/외에서 세포 및 세포 이하 단계에서의 생물학적인 현상을 관찰하거나 생체 내로 투영되어 조영 및 질환 부위의 광학 영상을 얻기 위해서 생체물질에 형광 염료 또는 형광 염료가 미리 표지된 생체적합성 물질을 광학장비와 함께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영상화한 자료를 얻고 있다.
바이오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광학 분석(optical anylsis) 장비들은 내장된 광원 및 필터에 따라 형광을 관찰하기에 적합한 여기 파장(excitation wavelength) 및 형광 파장(emission wavelength)를 가진 형광 염료를 기본 소재나 시약으로 선택하게 된다.
주로 사용되는 광학분석 장비로는 세포 관찰을 위한 형광 현미경(fluorescence microscope),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e),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er), 마이크로 어레이(micro array), 정량 중합효소 연쇄반응 장치(qualitative PCR system), 핵산 및 단백질 분리, 분석을 위한 전기영동(electrophoresis) 장치, 실시간 생체 내 영상 장비(in vivo imaging system) 등 연구 목적의 장비 외에도, 면역 분석 기법(immnuno assay)이나 PCR 분석 및 통계기술이 접목된 핵산 및 단백질 진단 키트(또는 바이오칩) 기반 체외 진단(in vitro diagnosis) 장비와 의료 영상 수술(image-guided surgery)을 위한 수술대 및 내시경 장비 등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것들이 알려져 있으며, 지속적으로 새로운 응용분야 및 더 높은 수준의 해상도 및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가진 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바이오 분야에 이용 가능한 형광 염료 선별에는 생체 분자들이 존재하는 매질, 즉, 수용액 및 수용성 버퍼 내에 존재할 때 강한 형광을 내는 것과 형광 장비에 맞는 여기 및 형광 파장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등 생체 분자의 표지를 위해 사용되는 형광염료(fluorescent dye)는 대부분 안트라닐레이트(anthranilate), 1-알킬틱 이소인돌(1-alkylthic isoindoles), 피롤리논(pyrrolinones), 비메인(bimanes), 벤즈옥사졸(benzoxazole), 벤즈이미다졸(benzimidazole), 벤조퓨란(benzofurazan), 나프탈렌(naphthalenes), 쿠마린(coumarins), 시아닌(cyanine), 스틸벤(stilbenes), 카바졸(carbazoles), 페난트리딘(phenanthridine), 안트라센(anthracenes), 보디피(bodipy), 플로세인(fluoresceins), 에오신(eosins), 로다민(rhodamines), 피렌(pyrenes), 크리센(chrysenes) 및 아크리딘(acridines) 등의 구조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다수의 형광 발색단 중에서 바이오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형광 염료 구조를 선별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대부분의 생체 분자들이 존재하는 매질, 즉, 수용액 및 수용성 버퍼 내에 존재할 때 강한 형광을 내는 것과 형광 장비에 맞는 여기 및 파장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바이오 분야에서 주로 적용될 수 있는 염료는 가급적 수용액이나 친수성 조건에서 광표백(photobleaching) 및 소광(quenching) 현상이 적고, 다량의 빛을 흡수할 수 있도록 몰흡광계수(molecular extinction coefficient)가 커야 하며, 생체분자 자체의 형광 범위와 멀리 떨어진 500 nm 이상의 가시광선 영역이나 근적외선 영역에 있어야 하고, 다양한 pH 조건에서 안정하여야 하나, 상기 제한 사항을 만족할 수 있는 생체 분자 표지용으로 사용 가능한 염료의 구조는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요구 조건에 부합하는 형광 색원체로는 시아닌, 로다민, 플로세인, 보디피, 쿠마린, 아크리딘, 피렌 유도체들이 있는데, 염료 단독 또는 생체 분자 구조 내의 특정 치환기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반응기를 도입시키기도 하며, 그 중 잔텐(xanthane) 계열의 플로세인 및 로다민과, 폴리메틴(polymethine) 계열의 시아닌 유도체 염료 화합물들이 주로 상품화되어 있다.
특히 시아닌 발색단을 가진 염료 화합물은 다양한 흡수/여기 파장의 화합물을 합성하기 용이하다는 장점 외에도, 일반적으로 광학 및 pH 안정성이 탁월하고, 좁은 흡수 및 발광 파장 범위를 가지며, 500 내지 800 nm의 형광 영역을 갖기 때문에 생체 분자의 자체 형광 영역과 중첩되지 않아 분석이 용이하며, 용매 및 용해도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높은 몰흡광계수를 나타내는 등 많은 장점이 있어 생물학적 응용에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염료 화합물은 보관 안정성 측면에서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생체 분자에 표지된 후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관 안정성과 함께 형광 특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고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광학 및 pH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특정 파장 범위에서 좁은 흡수/발광 파장 범위를 가지면서도 높은 몰흡광계수를 나타내는 신규한 형광염료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바이오분야에서 형광 화합물을 이용한 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신규한 형광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형광 화합물은 종래의 형광 화합물의 문제점인 안정성과 형광효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세포분석이나 핵산분석 등에 사용되는 시아닌계열의 형광 화합물은(대표적 예시로서 Sybr Green이 있음) 분자생물학에서 핵산을 착색시키는 데에 주로 사용되는 형광 화합물로서 혈청내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세포조직에 선택적으로 흡수되고 NIR이나 UV를 조사할 경우에 형광을 발산하여 세포조직내 목적물의 전이정도 등을 광학 현미경 등을 통해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형광 화합물은 우선적으로 이중가닥 DNA에 결합하고, 낮은 정도로 단일가닥 DN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의 Sybr Green 화합물은 겔전기영동 등에서 DNA를 시각화하기위해 사용되고 유동세포계수법 및 형광현미경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의 화합물은 세포내에서 미미하지만 돌연변이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핵산 등의 분석을 위해서 보다 안정성이 우수하고 형광효율이 높은 형광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규한 시아닌계열의 형광 화합물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신규한 시아닌계열의 형광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상기 신규한 시아닌계열의 형광 화합물을 포함하는 DNA, RNA 등 핵산을 분석하기 위한 조영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 번째 과제는 상기 신규한 형광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05662호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형광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3426348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산소 또는 황이고,
R은 아래의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이루어지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8034263483-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8034263483-pat00003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m 및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2는 메틸, 아민(NH2), 메틸 치환된 아민(N(CH3)2), 카르복실산(CO2H), 설폰산(SO3H) 또는 설폰산나트륨염(-SO3Na)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형광 화합물은 단백질 또는 항체와 같은 생체분자에 표지된 이후에 장시간이 지나더라도 형광 안정성 및 형광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생체안전성도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신규한 형광 화합물은 낮은 흡수파장과 낮은 형광파장 세기를 나타내었으며, pH. 7에서 높은 흡수파장 세기 및 높은 형광파장 세기를 나타내었고 흡수파장 위치도 차이를 나타내는 등, pH에 따라 광학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체내 pH의 변화를 관측할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우수한 성능을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체내의 pH 변화는 세포의 증식, 세포사멸, 근육 수축 등의 현상과 관계가 깊으므로, pH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내 인터널리제이션 경로(cellular internalization pathways)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암세포 및 알츠하이머와 같은 질병에서도 비정상적인 pH 변화의 관측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형광 화합물은 큰 장점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형광 화합물은 알킬카르복시아미노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치환기가 시아닌 발색단에 치환된 구조로, 종래의 시아닌 염료에 비하여 파장 범위가 좁으면서도 낮은 농도에서 높은 형광 강도를 나타내면서, 세포 독성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500 내지 700 nm의 좁은 영역의 파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 600 내지 800 nm의 좁은 파장 영역에서 현저히 향상된 형광강도를 나타내므로, 생체 분자의 자체 형광영역과 중첩되지 않아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생체 내 영상화용 조영제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형광 화합물과 표지대상 물질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합물 표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지 대상 물질은 섬유, 생체분자, 나노입자 또는 유기화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생체분자는 단백질, 펩타이드, 탄수화물, 당, 지방, 항체, 프로테오글라이칸, 글라이코프로틴 및 siRNA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표지는 용매로서 포스페이트 완충액, 카보네이트 완충액 및 트리스 완충액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완충액,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메탄올, 에탄올 및 아세토니트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유기 용매, 또는 물을 사용하고, pH 5 내지 12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기 생체 분자, 나노 입자 또는 유기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반응은 20 내지 8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48시간 동안이면 충분하다.
한편, 생체 분자의 경우 포장 단위에서부터 이미 정해진 완충액에 용해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생체 분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별도의 완충액 또는 pH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서 변수로 조절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수용성 조건에서 높은 안정성을 가져 장시간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다양한 완충액, 반응 온도, pH 조건 등에서 단백질과 용이하게 반응하여 형광을 발현하므로, 생체 분자 표지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핵산 등을 분석하기 위한 형광 화합물은 생체분자의 DNA, RNA 등의 핵산과의 결합효율이 매우 우수하고, 아울러 형광 특성 및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분만 아니라, 온도 및 수분 등의 보관 안정성 및 생체안전성 측면에서도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형광 화합물은 인체에 무해한 용매인 증류수에 용해가 가능하고 특정 세포 및 생체조직의 분석에 국한되지 않고 넓은 범위의 분석에 응용시킬 수 있다는 다양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비교물질(화학식 12의 화합물)을 이용한 시약을 사용하여 DNA 합성 검출을 실시한 형광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는 비교물질(화학식 12의 화합물)을 이용한 시약을 사용하여 DNA 합성 검출을 실시한 실험의 melt curve를 나타낸다.
도 3은 비교물질(화학식 12의 화합물)을 이용한 시약을 사용하여 DNA 합성 검출을 실시할 때의 형광신호와 Cq값을 나타낸다.
도 4는 화학식 4 내지 6의 화합물을 이용한 시약을 사용하여 DNA 합성 검출을 실시한 형광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는 화학식 4 내지 6의 화합물을 이용한 시약을 사용하여 DNA 합성 검출을 실시한 실험의 melt curve를 나타낸다.
도 6은 화학식 4 내지 6의 화합물을 이용한 시약을 사용하여 DNA 합성 검출을 실시할 때의 형광신호와 Cq값을 나타낸다.
도 7은 비교물질과 화학식 4 내지 6의 화합물을 이용한 시약을 사용하여 혈구의 염색 정도를 실험한 APC 파장 분석을 나타낸다.
도 8은 비교물질과 화학식 4 내지 6의 화합물을 이용한 시약을 사용하여 혈구를 염색한 후의 형광 강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9는 비교물질과 화학식 4 내지 6의 화합물을 이용한 시약을 사용하여 세포를 염색한 것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형광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본 발명의 화합물의 형광 효율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34263483-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산소 또는 황이고,
R은 아래의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8034263483-pat00005
[화학식 3]
Figure 112018034263483-pat00006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m 및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2는 메틸, 아민(NH2), 메틸 치환된 아민(N(CH3)2), 카르복실산(CO2H), 설폰산(SO3H) 또는 설폰산나트륨염(-SO3Na)이다.
본 발명에 속하는 구체적인 화합물로는 아래의 화학식 4, 화학식 5 및 화학식 6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8034263483-pat00007
[화학식 5]
Figure 112018034263483-pat00008
[화학식 6]
Figure 112018034263483-pat00009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서술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기의 화학식 7 내지 화학식 10으로 표현되는 중간체 화합물을 먼저 제조하여야 한다.
실시예 . 화학식 4 내지 6의 화합물의 제조
<합성예 1. 화학식 4 내지 6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화학식 7 내지 10의 화합물의 제조>
1) 화학식 7 화합물의 합성
2-메틸벤조티아졸 (2-methylbenzothiazole) (1 g, 6.7 mmol, 1 eq) 와 아이오도메탄 (Iodomethane) (2.38 g, 16.8 mmol, 2.5 eq)을 아세토니트릴 15 ml 에 완용 후 12시간 동안 가열환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감압건조를 진행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건조된 화합물을 디에틸이더 (Diethyl Ether)를 사용하여 수차례 세척한 후 건조하여 화학식 7 화합물을 얻었다. (1.04 g, 94.5 %)
Rf = 0.5 (실리카겔, MC/MeOH 9:1 v/v)
[화학식 7]
Figure 112018034263483-pat00010
2) 화학식 8 화합물의 합성
화학식 7 화합물(1.7 g, 10.4 mmol, 1 eq) 과 N,N-디페닐포름아미드 (N,N-diphenylformamide) (2.03 g, 10.4 mmol, 1 eq) 을 아세트산 (Acetic acid) 10 ml 와 함께 교반시킨다. 90℃에서 4시간동안 교반시킨 후, 상온 냉각한다. 반응액을 동결건조하여 화학식 8화합물을 얻었다. (19 g, 100%)
Rf = 0.6 (실리카겔, MC/MeOH 9:1 v/v)
[화학식 8]
Figure 112018034263483-pat00011
3) 화학식 9 화합물의 합성
레피딘 (Lepidine) (2 g, 13.9 mmol, 1 eq) 과 6-아미노헥사노익 산 (6-Aminohexanoic acid) (4.07 g, 20.9 mmol, 1.5 eq)을 아세토니트릴 20 ml 에 완용한 후 가열환류 반응을 진행한다. 반응액을 감압건조한 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학식 9 화합물을 얻었다. (2.52 g, 70.4 %)
Rf = 0.4 (실리카겔, MC/MeOH 9:1 v/v)
[화학식 9]
Figure 112018034263483-pat00012
4) 화학식 10 화합물의 합성
화학식 8 화합물(2.78 g, 10.4 mmol. 1 eq)과 화학식 9 화합물(5.05 g, 19.6 mmol, 1.9 eq)을 피리딘 100 ml 에 투입한 후, 9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상온 냉각한다. 감압건조를 진행하여 피리딘을 제거한 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학식 10 화합물을 얻었다. (1.3 g, 31.3 %)
Rf = 0.5 (실리카겔, MC/MeOH 9:1 v/v)
LC/MS, 계산치 C26H26N2O2S 430.56, 측정치 431.2
[화학식 10]
Figure 112018034263483-pat00013
<합성예 2. 화학식 4의 화합물 제조>
[화학식 4]
Figure 112018034263483-pat00014
화학식 10 화합물(330 mg, 0.765 mmol, 1 eq)을 DMF 30 ml 에 완용시킨다. 디(N-숙신이미딜)카보네이트 (Di(N-succinimidyl)Carbonate) (587 mg, 2.295 mmol, 3 eq)을 투입한 후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N-diisopropylethylamine) (1.33 ml, 7.65 mmol, 10 eq)을 첨가하고 40℃에서 3시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 완료 후 디에틸이더를 투입하여 입자를 석출시킨 후, 여과하여 얻어진 입자를 감압건조 시킨다.
건조 후 얻어진 화합물을 DMF 20 ml 에 완용시킨 후, 2-(2'-클로로에틸술포닐)에틸아민 염산염 (131 mg, 0.765 mmol, 1 eq)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666 ul, 3.83 mmol) 을 투입한 후 40℃에서 3시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 완료 후, 디에틸이더를 투입하여 입자를 석출시킨 후 여과하여 얻어진 입자를 감압건조 시킨다. 건조 후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학식 4 화합물을 얻었다(74 mg, 17.6 %).
Rf = 0.5 (실리카겔, MC/MeOH 5:1 v/v)
LC/MS, 계산치 C30H34N3O3S2 + 548.74, 측정치 548.2
<합성예 3. 화학식 5의 화합물 제조>
[화학식 5]
Figure 112018034263483-pat00015
화학식 10 화합물(330 mg, 0.765 mmol, 1 eq)을 DMF 30 ml 에 완용시킨다. 디(N-숙신이미딜)카보네이트 (Di(N-succinimidyl)Carbonate) (587 mg, 2.295 mmol, 3 eq)을 투입한 후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N-diisopropylethylamine) (1.33 ml, 7.65 mmol, 10 eq)을 첨가하고 40℃에서 3시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 완료 후 디에틸이더를 투입하여 입자를 석출시킨 후, 여과하여 얻어진 입자를 감압건조 시킨다.
건조 후 얻어진 화합물을 DMF 20 ml 에 완용시킨 후, N,N-디메틸-1,3-디아미노프로판 (N,N-Dimethyl-1,3-diaminopropane) (78 mg, 0.765 mmol, 1 eq)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666 ul, 3.83 mmol) 을 투입한 후 40℃에서 3시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 완료 후, 디에틸이더를 투입하여 입자를 석출시킨 후 여과하여 얻어진 입자를 감압건조 시킨다. 디에틸이더를 사용하여 수차례 세척한 후 건조하여 화학식 5 화합물을 얻었다. (117 mg, 29.7 %)
Rf = 0.1 (실리카겔, MC/MeOH 5:1 v/v)
LC/MS, 계산치 C31H39N4OS+ 515.73, 측정치 515.3
<합성예 4. 화학식 6의 화합물 제조>
[화학식 6]
Figure 112018034263483-pat00016
화학식 10 화합물(330 mg, 0.765 mmol, 1 eq)을 DMF 30 ml 에 완용시킨다. 디(N-숙신이미딜)카보네이트 (Di(N-succinimidyl)Carbonate) (587 mg, 2.295 mmol, 3 eq)을 투입한 후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N-diisopropylethylamine) (1.33 ml, 7.65 mmol, 10 eq)을 첨가하고 40℃에서 3시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 완료 후 디에틸이더를 투입하여 입자를 석출시킨 후, 여과하여 얻어진 입자를 감압건조 시킨다.
건조 후 얻어진 화합물을 DMF 20 ml 에 완용시킨 후, 옥틸아민 (Octylamine) (99 mg, 0.765 mmol, 1 eq)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666 ul, 3.83 mmol) 을 투입한 후 40℃에서 3시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 완료 후, 디에틸이더를 투입하여 입자를 석출시킨 후 여과하여 얻어진 입자를 감압건조 시킨다. 건조 후 얻어진 화합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학식 6 화합물을 얻었다. (161 mg, 38.8 %)
Rf = 0.8 (실리카겔, MC/MeOH 5:1 v/v)
LC/MS, 계산치 C34H44N3OS+ 542.8, 측정치 542.3
비교예. 화학식 12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12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화학식 11의 화합물 제조>
레피딘 (Lepidine) (0.757 g, 5.29 mmol, 1 eq) 과 1-아이오도옥탄 (1-iodooctane) (1.65 g, 6.88 mmol, 1.3 eq)을 아세토니트릴 8 ml 에 완용한 후 가열환류 반응을 진행한다. 반응액을 감압건조한 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아래의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얻었다. (1.9 g, 98 %)
Rf = 0.6 (실리카겔, MC/MeOH 9:1 v/v)
[화학식 11]
Figure 112018034263483-pat00017
<화학식 12의 화합물 제조>
화학식 8의 화합물(130 mg, 0.487 mmol. 1 eq)과 화학식 11의 화합물 (187 mg, 0.487 mmol, 1 eq)을 피리딘 100 ml 에 투입한 후, 9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상온 냉각한다. 감압건조를 진행하여 피리딘을 제거한 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아래의 화학식 12로 표현되는 화합물를 얻었다. (51 mg, 24.4 %)
Rf = 0.6 (실리카겔, MC/MeOH 9:1 v/v)
LC/MS, 계산치 C28H33N2S+ 429.64, 측정치 429.3
[화학식 12]
Figure 112018034263483-pat00018
실험예 1 : 화학식 4 내지 6의 화합물을 이용한 시약 제조
(1) 혈액 분석용 시약 제조
화학식 4의 화합물 2 mg을 methanol 3 mL 에 용해시킨 후 ethylene glycol 96.9 mL을 추가한다. 화학식 5 및 화학식 6의 화합물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시약을 제조하고 비교물질로서 화학식 12(비교물질)의 화합물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비교시약을 제조한다.
(2) 실-시간 PCR 분석용 시약 제조
화학식 4의 화합물 548.74 mg을 dimethyl sulfoxide 1 mL의 용해 시켜 1 mM의 시약을 제조 한다. 화학식 5의 화합물 515.74 mg, 화학식 6의 화합물 542.8 mg, 비교물질 429 mg을 각각 dimethyl sulfoxide 1 mL 용해 시켜 1 mM의 시약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 실-시간 PCR을 통한 화학식 4 내지 6의 화합물의 형광분석
이중 가닥 DNA 결합 염료를 이용하는 방법인 intercalating 방법을 통해 비교물질과 화학식 4, 화학식 5 및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실-시간 PCR을 통해 비교 검증하였다. HeLa cell에서 추출한 cDNA를 이용하였으며, 프라이머는 b-actin(Forward 5'-ATCTGGCACCACACCTTCTA-3' , Reverse 5'-CGTCATACTCCTGCTTGCTG-3')을 사용하였다. 실-시간 PCR 반응은 CFX96 touch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 (BIO-RAD)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PCR 혼합물은 Forward 프라이머 2 uL, Reverse 프라이머 2 uL, 10 uL의 PCR 마스터 믹스 (TAKARA), 비교물질과 각각의 화합물(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1 uL, 1 uL의 템플레이트 cDNA를 포함하는 총 20 uL의 반응액으로 구성된다. PCR 조건은 다음과 같다 : (a) 전-변성 (pre-denaturing) 단계 95℃에서 1분 (b) 30 사이클 95℃에서 15초, 55℃에서 30초 및 72℃에서 1분으로 구성된 1 사이클로 구성되며 72℃에서 1분의 사이클에서 650 nm의 형광 파장을 검출한다.
비교물질은 DNA 합성 검출을 불가능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비교물질에서는 도 1 및 도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DNA합성 형광 신호가 전혀 관찰 되지 않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q값 또한 전혀 확인 되지 않았다.
반면 화학식 4의 화합물과 화학식 5의 화합물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DNA 증폭 시 DNA와 결합하여 형광을 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Cq값도 검출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화학식 6의 화합물의 경우에는 위의 화학식 4 및 화학식 5의 화합물과 같이 월등한 형광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적절한 정도의 형광을 나타내었다. 도 5(melt curv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4 내지 6의 화합물은 위의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 혈구 염색 시약을 통한 핵산 염색 염료 분석
FACS 분석
비교 물질과 화학식 4, 화학식 5 및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혈구 염색 시약을 검증하기 위해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이하 FACS)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 하였다. 샘플은 Sysmex사의 점도관리시약인 E-check (고농도)에 sysmex-4DL을 이용하여 적혈구를 용혈 시키고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제거하여 남은 백혈구를 이용하여 샘플을 제조 하였다. 제조 된 샘플에 각 화합물들로 만들어진 혈구 염색 시약을 처리하고 FACS 분석을 진행하였고 대조군으로 혈구 염색 시약을 처리하지 않은 백혈구와 비교물질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Thermo fisher 사의 Attune NxT 장비를 사용하였고 FSC 180, SSC 320, BL1 180, RL1 150, RL2 165, YL1 200의 조건 하에 측정 하였고, APC 파장에서 분석 하였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4 내지 6의 화합물로 제조된 혈구 염색 시약은 모두 염색이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비교물질 또한 약간의 염색이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지만, 혈구 염색 시약을 처리 한 후 형광 강도의 변화를 확인하면 비교물질에 비하여 화학식 4 내지 6의 화합물을 이용한 염색 시약의 형광 강도의 세기가 월등히 강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8).
실험예 4 : 세포 실험을 통한 핵산 염색 염료 확인
생 세포를 통한 형광현미경 분석
Dulbeco’Modified Eagle’Media(이하 DMEM), 10% FBS, 1% Penicillin/Streptomycin 의 배지 환경에서 배양 한 HeLa 세포주를 형광 현미경 분석을 위해 1x105개의 HeLa 세포 주를 confocal dish에 분주하였다. 분주 후 24시간이 지난 뒤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배지를 교체 한 뒤 DMSO에 녹여 제조한 대조군인 비교물질과 화학식 4, 화학식 5 및 화학식 6의 화합물을 각각 2.5uM이 되도록 처리하고, pH 7.4 10 mM Phosphate buffered saline(이하 1X PBS) 으로 세척을 한 후 phenol free DMEM 배지로 교체하고 형광현미경 분석을 하였다. 분석은 Nikon ECLIPSE Ti-U 로 X200, Cy5 filter 설정 하에 분석 하였다. 도 9에 제시된 분석 결과로부터 대조군인 비교물질의 경우 세포핵이 아닌 핵 외부의 세포질에 염색이 되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화학구조를 개질한 염색염료 3종의 화합물(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은 모두 핵에 염색이 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그 중 화학식 5의 화합물이 핵에 염색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그외에 다양한 생물학적, 화학적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고,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형광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95347664-pat00019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산소 또는 황이고,
    R은 아래의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95347664-pat00020

    [화학식 3]
    Figure 112019095347664-pat00021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m 및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2는 메틸, -NH2, -N(CH3)2, -CO2H, -SO3H 또는 -SO3Na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화합물
    [화학식 4]
    Figure 112018034263483-pat00022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5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화합물
    [화학식 5]
    Figure 112018034263483-pat00023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화합물
    [화학식 6]
    Figure 112018034263483-pat00024
  5. 제1항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 화합물로서, 상기 중간체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10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10]
    Figure 112019095347664-pat00025
  6.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형광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생체분자 표지용 조영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95347664-pat00026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산소 또는 황이고,
    R은 아래의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95347664-pat00027

    [화학식 3]
    Figure 112019095347664-pat00028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m 및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2는 메틸, -NH2, -N(CH3)2, -CO2H, -SO3H 또는 -SO3Na 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조영제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112018034263483-pat00029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5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조영제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112018034263483-pat00030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조영제 조성물
    [화학식 6]
    Figure 112018034263483-pat00031
  10.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형광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영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키트
    [화학식 1]
    Figure 112019095347664-pat00032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산소 또는 황이고,
    R은 아래의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95347664-pat00033

    [화학식 3]
    Figure 112019095347664-pat00034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m 및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2는 메틸, -NH2, -N(CH3)2, -CO2H, -SO3H 또는 -SO3Na 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분자는 DNA 또는 R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키트
KR1020180040099A 2018-04-06 2018-04-06 핵산표지를 위한 신규한 형광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6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099A KR102066344B1 (ko) 2018-04-06 2018-04-06 핵산표지를 위한 신규한 형광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099A KR102066344B1 (ko) 2018-04-06 2018-04-06 핵산표지를 위한 신규한 형광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058A KR20190117058A (ko) 2019-10-16
KR102066344B1 true KR102066344B1 (ko) 2020-01-14

Family

ID=6842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099A KR102066344B1 (ko) 2018-04-06 2018-04-06 핵산표지를 위한 신규한 형광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3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263B1 (ko) * 2019-12-26 2021-03-19 (주)바이오액츠 핵산표지를 위한 신규한 인터컬레이팅 형광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9376B (zh) 2014-07-01 2015-12-30 浙江大学 一种不对称菁染料化合物及其应用
US9850382B1 (en) 2016-12-05 2017-12-26 Laiqiang Ying Unsymmetrical cyanine dyes and their appl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465B1 (ko) * 2013-10-31 2016-10-07 (주)바이오액츠 생체 분자 표지를 위한 시아닌 염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1360A (ko) * 2016-02-26 2017-09-06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
KR20170105662A (ko) * 2016-03-09 2017-09-20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9376B (zh) 2014-07-01 2015-12-30 浙江大学 一种不对称菁染料化合物及其应用
US9850382B1 (en) 2016-12-05 2017-12-26 Laiqiang Ying Unsymmetrical cyanine dyes and their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058A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3086B2 (en) Fluorescent compounds - labeling dyes
DK2964612T3 (en) POLYMETHIN COMPOUNDS AND USE THEREOF AS FLUORESCING LABELS
AU2017203855A1 (en) Application of reduced dyes in imaging
JP2022522553A (ja) 環外アミン置換クマリン化合物およびそれらの蛍光標識としての使用
CN102459469A (zh) 用取代的花青染料进行荧光成像
AU6874698A (en) Glycoconjugated fluorescent labeling reagents
CN108473505B (zh) 聚芴并[4,5-cde]氧杂环庚三烯偶联物及其在分析物检测方法中的用途
KR20240031282A (ko) 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
TWI622580B (zh) 多次甲基化合物及其作爲螢光標記之用途
KR101944912B1 (ko) 형광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049292A1 (en) Multiplexed fluorescent detection of analytes
KR102066344B1 (ko) 핵산표지를 위한 신규한 형광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0263B1 (ko) 핵산표지를 위한 신규한 인터컬레이팅 형광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0292B1 (ko) 형광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3763A (ko) 물질 표지용 벤즈인도시아닌 화합물, 그 제조 중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21662B1 (ko) 형광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2719B1 (ko) 형광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1965B1 (ko) 형광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복합체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228985A1 (en) Fluorescent composition for detecting biological material
KR20240077254A (ko) 면역조직화학염색용 형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 진단 조성물
KR102150803B1 (ko) 전혈분석을 위한 신규 형광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0713B1 (ko) 히드록시 치환된 트리아진을 포함하는 형광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72854A (ko) 생체 분자 표지를 위한 신규 시아닌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53819B1 (ko) 생체 분자 표지를 위한 신규 시아닌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40556A (ko) 생체 분자 표지를 위한 신규 시아닌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