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208B1 -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208B1
KR102066208B1 KR1020180040013A KR20180040013A KR102066208B1 KR 102066208 B1 KR102066208 B1 KR 102066208B1 KR 1020180040013 A KR1020180040013 A KR 1020180040013A KR 20180040013 A KR20180040013 A KR 20180040013A KR 102066208 B1 KR102066208 B1 KR 102066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gi3
leu
ala
s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6870A (ko
Inventor
김동석
윤혜영
김인욱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20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GI3 및/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를 촉진하여 건강한 각질층을 형성시켜 피부의 기계적 보호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건선 치료제가 갖는 부작용 없이 과증식성 염증성 피부질환인 건선의 예방, 치료, 및 개선이 가능하다. 이에 본발명의 조성물은 건선 치료를 위한 의약용, 의약외용, 화장료용, 향장소재용 조성물 등 다양한 방면으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psoriasis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peptide derived from LGI3 or LGI3}
본 발명은 LGI3 및/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건선(psoriasis)은 피부 표피의 과도한 증식과 진피의 염증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난치성 피부 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건선으로 고통 받는 인구가 1억 명이 넘고, 국내 환자도 약 50만 명에 달한다. 10대 보다는 20대 30대에 많이 발생하며 계절적인 영향도 많이 받아 봄과 여름보다 가을과 겨울에 많이 발생된다.
건선은 통상적으로 피부의 면역학적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T세포의 활동성이 불분명한 원인에 의해 증가하면서 과다하게 분비된 사이토카인이 피부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를 자극하여 과다하게 세포를 증식시켜 염증과 발진, 비정상적인 각질을 발생시킨다.
건선 환자에서는 각질형성세포가 정상적인 각질화 과정을 거치지 아니하고 증식만을 반복하여 겹겹이 쌓이게 되고, 피부 표면에 은백색의 인설이 형성된다. 이러한 증상은 팔꿈치·무릎·두피 등에서 흔하게 나타난다. 이렇게 정상적인 분화과정 없이 증식만 하는 각질형성세포에 의해 각질층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피부가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보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여러 가지 감염에 의한 염증과 합병증을 유발하여 환자들의 일상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건선 치료는 병변에 약제를 바르는 국소치료, 광선을 이용한 광치료, 경구 투여를 이용한 전신치료, 및 생물학적 제제를 활용한 치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치료법은 건선의 정도와 활성도, 병변 형태, 발생 부위, 환자 나이, 동반 질환 등을 고려해 정한다. 가벼운 건선이면 주로 바르는 약을 쓰며, 중등도 이상이면 자외선B를 쬐는 광선 치료를 하거나 과도한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약제를 처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소 치료제로는 타르제제, 스테로이드, 레티노이드, Vitamin D의 유도체등을 이용하지만 이러한 국소치료는 피부를 얇아지게 하거나 화상 및 자극을 주고 특히 스테로이드는 내성을 유발하여 이후 치료가 힘들어 질 수도 있다. 또한, 광치료 같은 경우는 자외선 A 를 광감작제를 투여한 후 조사하여 반응하게 하는 치료인데 자외선이 바탕이 되는 치료 방법이라 화상 혹은 피부암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신치료제로는 T 세포등의 면역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염증을 완화시키는 cyclosporine 같은 면역조절제가 있다. 이 경우 장기 연용하는 경우 신장 독성 혹은 고혈압을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세포의 과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Methotrexate 같은 항암제를 건선의 치료에 이용한다. 세포 분열을 억제하여 과증식을 억제하는 원리로 사용되지만 장기간 투여할 경우 간독성으로 간경화가 발생한다. 아울러, 많이 사용되는 치료제중 calcitriol이나 calcipotriol과 같은 활성화된 Vitamin D의 유도체가 있는데 효과가 어느 정도 좋으나, 과칼슘혈증, 피부 벗겨짐, 피부염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나타낸다.
기존 건선 치료제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 새로운 건선 치료에 접근 방법이 부단히 시도되고 있으며, 적절한 분화 없이 오로지 과도하게 증식만 하는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증식 및 분화를 유도하면서도 그 독성이 없거나 적고, 부작용을 줄이는 새로운 건선치료제 개발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나온 치료제들은 부작용이 크면서도 만족할 만한 증상의 호전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한편, LGI는 LGI1~4번까지 Family가 존재하며 chromosome 8p21.3에 위치하고 있다. 그 중 LGI1과 LGI3가 주로 뇌에서 많이 발현되는 사이토카인으로서 인간의 뇌와 관련된 실험이 주로 연구되어 왔고 지방세포(adiopocyte)에서도 LGI3가 연관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Int J Mol Med. 2017 Jul;40(1):251-259. doi: 10.3892/ijmm.2017.2988.). 하지만 피부세포에서 LGI3의 역할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LGI3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건선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표피의 주요세포인 각질형성세포에서 LGI3이 발현됨을 확인하고, LGI3와 LGI3 유래의 합성 펩타이드가 각질형성세포의 적절한 분화를 촉진시킴을 확인하여, LGI3과 LGI3 유래 합성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아닌, 미분화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정상적인 각질층으로 성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건선 치료제의 부작용과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건선을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건선 치료제가 갖는 독성과 부작용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피부의 표피의 주요세포인 각질형성세포에서 LGI3가 발현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던 중 LGI3를 knock out 시킨 쥐 조직에서 대표적인 분화 표지자인 Involucrin과 Filaggrin의 발현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각질형성세포에 LGI3를 농도별로 처리해본 결과 농도가 높아질수록 분화 표지자들의 발현이 증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적절한 분화 없이 증식만 계속하는 각질형성세포의 적절한 분화를 유도 및/또는 촉진하여 건강한 표피를 발생시킴으로써 피부가 방어벽으로서의 보호기능을 온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과증식성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가 가능하게 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개체에 투여하여 건선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의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LGI3은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LGI3 유래 펩타이드는 3 내지 30 mer의 길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LGI3 유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3 내지 3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LGI3 유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40 내지 4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Akt를 활성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Akt를 활성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표피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구성세포인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를 촉진하여, 건강한 각질층을 형성시키고 피부의 기계적 보호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과증식성 염증성 피부질환인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표피세포의 정상적인 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건선 치료제가 과증식된 표피세포를 직접적으로 사멸시키는 것과 달리 부작용이 없거나 적은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LGI3 및 LGI3 유래 펩타이드는 건선 치료를 위한 의약용, 의약외용, 화장료용, 향장소재용 조성물 등 다양한 방면으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LGI3 knock out 마우스에서 각질형성세포(KS)의 분화 마커인 Involucrin 및 Filaggrin의 발현이 wild type 각질형성세포(WS)보다 감소됨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2는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마커 단백질(A)과 mRNA(B)의 발현 수준이 LGI3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3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관련 신호 전달 기전 중 Akt가 LGI3의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화됨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4는 각질형성세포에 Akt 신호전달경로의 억제제인 LY294002를 처리하였을 때 분화 마커의 발현이 모두 감소됨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5는 LGI3를 siRNA를 사용하여 knock down 시켰을 때 LGI3와 관련된 분화표지자들의 발현이 모두 억제됨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6은 LGI3 유래의 15mer 길이의 펩타이드 37종을 제작하고 다양하게 혼합하여 그 혼합물을 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의 이동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7은 LGI3 유래의 펩타이드 6을 다시 5mer 길이의 펩타이드로 나누어 세포에 처리하여 그 이동과 분화마커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한 도면이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건선 치료제가 갖는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하여 건선 치료에 새로운 방향으로 접근하고자 예의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각질형성세포의 과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건선에 있어서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를 촉진하는 것에 의해 과증식성 피부질환인 건선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특히 각질형성세포에서 발현되는 LGI3은 각질형성세포가 정상적인 분화과정을 밟을 수 있도록 하며, LGI3 처리에 따라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및 그 이동이 촉진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LGI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미분화된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피부의 각질층을 정상적으로 유지 시켜줌으로서 기존에 알려진 세포증식억제제의 부작용과 독성 없고, 정상적인 각질층을 형성함으로서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2차 감염을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GI3는 각질형성세포에서 효과적으로 분화를 촉진시키므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피부의 각질층을 형성하여 건선의 증상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LGI3(leucine-rich glioma inactivated 3)은 주로 대뇌 피질(cerebral cortex)에서 발현되는 플라스마 단백질(plasma protein)로서 갑상선(thyroid gland), 부신(adrenal gland), 폐, 및 피부에서도 발현됨이 알려져 있으나, 피부에서의 LGI3의 기능은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건선(psoriasis)'이란 표피의 과도한 증식과 진피의 염증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난치성 피부 질환으로서 '과증식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라고도 하며, 건선의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각질형성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keratinocyte hyperproliferation)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는 표피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구성세포로서 여러 단계의 분화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표피내 위치에 따라 모양과 구조, 세포내 특징이 변화하며 기저층 바로 위쪽 극세포는 둥근핵을 가진 다면체의 모양을 갖고, 세포가 분화됨에 따라 표피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점점 편평해지고 층판과립이라고 불리는 세포기관이 발달한다. 각질형성세포는 분화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세포핵이 없는 두껍고 단단한 각질층(horny layer)을 형성한다. 각질층은 피부의 기계적 보호 및 수분손실에 대한 장벽역할을 하는데, 건선 환자는 각질형성세포가 정상적인 분화과정 없이 증식만을 반복하여 방어기능을 수행하는 각질층의 형성 없이 두꺼운 표피를 발생시킴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LGI3 knock out 마우스에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마커인 Involucrin와 Filaggrin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고,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LGI3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LGI3의 농도를 달리하여 세포에 처리한 결과 LGI3의 농도 의존적으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마커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및 2 참조). 상기 결과로부터 LGI3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Akt (a protein cloned from the v-akt oncogene of retrovirus AKT8)는 protein kinase B (PKB)라고도 알려져 있는 세린/트레오닌 특이적 단백질 인산화효소 (serine/threonine-specific protein kinase)로서, 세포의 증식(proliferation), 전사(transcription), 및 이주(migration) 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각질형성세포에서 세포의 분화(differentiation)를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LGI3이 각질형성세포에서 분화를 촉진하는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LGI3을 처리하고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ERK, p38, JNK, 및 Akt 의 활성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LGI3의 처리에 따라 인산화된 Akt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여 LGI3이 Akt를 활성화 하여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kt 활성 억제제인 LY294002를 처리하여 동일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LY294002 처리에 따라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마커의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여, LGI3이 각질형성세포에서 Akt를 활성화하여 Akt 신호전달 기전을 통해 그 분화를 촉진함을 재검증하였다(실시예 3 참조).
이에, LGI3 단백질은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과, 그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LGI3 단백질은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548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단백질로서, 그 크기가 커서 피부에 적용시키는 것에 다소 무리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Akt를 활성화시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LGI3의 절편을 분별해내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LGI3 유래의 15 mer 길이의 펩타이드를 합성(37종)하여 어떤 펩타이드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에 가장 적절한지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LGI3은 각질형성세포의 이동(migration)을 촉진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는바, 이에 착안하여 LGI3 유래 합성펩타이드를 세포에 처리하고 그 이동의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어떤 펩타이드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에 가장 적절한지 확인하였다(실시예 5 참조).
또한, 상기에서 최적의 펩타이드로 선정된 15 mer의 LGI3 유래 펩타이드로부터 다시 5mer의 펩타이드를 제작하여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고, 5 mer의 LGI3 유래 펩타이드의 처리에 따라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마커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6 참조).
이에, 본 발명은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LGI3 유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GI3 단백질로부터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서, LGI3 단백질을 조각내어 획득한 것일 수도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펩타이드 합성방법에 의해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은 마우스로부터 획득된 LGI3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고,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은 인간으로부터 획득된 LGI3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마우스의 LGI3 아미노산 서열과 인간의 아미노산 서열은 97% 상동성을 가지며, 각각의 LGI3 유래의 펩타이드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LGI3 단백질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는 Akt를 활성화하여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유도 및/또는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GI3 유래 펩타이드는 LGI3 유래의 펩타이드라면 그 길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mer,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mer 일 수 있다. 펩타이드의 길이가 너무 길면 그 적용에 어려움이 있고, 너무 짧으면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GI3 및/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는 건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1 pg 내지 30g w/v%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개체’란 각질형성세포를 포함하는 표피를 갖는 포유류라면 제한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각질형성세포의 과증식 또는 그에 따른 염증성 피부질환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각질형성세포의 과증식 또는 그에 따른 염증성 피부질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선”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각질형성세포의 과증식 또는 그에 따른 염증성 피부질환과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담체 (carrier)"란 비이클 (vehicle)이라고도 불리우며,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단백질 또는펩타이드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사이드 (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많은 유기물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본 발명에서 "희석제 (diluent)"란 대상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를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용액의 염 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여기에 사용된 아젤라산을 함유하는 화합물들은 인간 환자에게 그 자체로서, 또는 결합 요법에서와 같이 다른 성분들과 함께 또는 적당한 담체나 부형제와 함께 혼합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GI3 및/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LGI3 단백질 및/또는 LGI3 유래의 펩타이드는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품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제형이 로션,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LGI3 단백질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는 건선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은 기능성 식품 및 건강기능성 식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는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20g, 바람직하게는 약 0.04-0.10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쥐 조직 실험
1-1. LGI3 knock out 마우스의 준비
LGI3 knockout 마우스는 ㈜ 마크로젠 (서울, 대한민국)에 의뢰하여 제작하였다. 마우스의 genotyping 은 PCR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sense (5′GTCCACCAGCCCCGGCAGCCA3′) 와 antisense (wild type allele, 5′CGTAGCCCGGCCATGACTCCTGCAG3′; knockout allele, 5′TGAGCCCGCCCCTGAGCCCG3′) 프라이머를 사용하였다.
1-2. LGI3 knock out에 따른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마커의 발현 수준 확인
마우스의 조직을 Carnoy 용액(ethanol/chloroform/acetic acid 6:3:1)에 30분간 고정하여 파라핀블럭으로 만들었다. 파라핀블럭 섹션을 5 ㎛ 의 두께로 자르고, 형태학적 분석을 위하여 hematoxylin과 eosin (H&E)으로 염색하였다. 또한, 면역조직화학 분석을 위하여 상기 섹션을 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 기법(DAKO, Glostrup, Denmark)을 통하여 처리하였다. Filaggrin (H-300) 항체는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Santa Cruz, CA, USA)에서, Involucrin (I9018) 항체는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에서 각각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LGI3를 knock out시킨 쥐의 조직에서 대표적인 분화 마커(markers of keratinocyte terminal differentiation)인 Involucrin과 Filaggrin의 발현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LGI3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각질형성세포에서 LGI3 처리에 따라 분화 마커의 발현 증가 확인
LGI3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LGI3을 각질형성세포에 처리하여 분화마커의 발현수준을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질형성세포를 5%의 CO2, 37℃ 하에서 10%의 태아소혈청(FBS), 50 ㎍/mL의 스트렙토마이신, 및 50 ㎍/mL의 페니실린을 첨가한 DMEM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각질형성세포에 LGI3를 0, 1, 5, 10 ng/ml 농도별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Lysis buffer를 이용해 액체 질소에서 냉동과 해동을 반복하여 세포를 분쇄하여 단백질을 추출하고, 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상기 LGI3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그 결과, 도 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에 처리한 LGI3의 농도 의존적으로 각질형성세포 분화 마커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어서, 각질형성세포에 LGI3를 0, 1, 5, 10 ng/ml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RNA prep 키트를 이용하여 mRNA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질형성세포 분화에 가장 대표적인 마커인 Involucrin 과 Transglutaminase-1의 mRNA 발현 수준이 처리한 LGI3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각질형성세포에서 MAPK와 Akt pathway 확인
Akt(a protein cloned from the v-akt oncogene of retrovirus AKT8)가 활성화되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가 일어난다는 연구가 보고된 바가 있다 (Calautti E et al., J Biol Chem, 2005;280(38): 32856-32865). 이에, LGI3가 각질형성세포에서 분화를 촉진시키는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배양된 각질형성세포에 LGI3를 10 ng/ml 처리한 후 0, 2, 10, 30, 60, 180, 및 360 분이 경과함에 따른 3종류의 MAPK (ERK, p38, JNK)와 Akt 활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질형성세포에 LGI3를 처리한 후 30분 경과한 후 Akt만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어서, LGI3이 Akt를 활성화 시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을 재 확인하기 위하여, Akt 신호전달경로의 억제제인 LY294002를 처리하여 상기와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LY294002 처리에 따라 Akt가 억제되는 경우 다른 분화 마커의 발현이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LGI3는 Akt 신호전달경로를 통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LGI3 knock down 각질형성세포에서 분화 마커의 발현 확인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배양된 각질형성세포에 transfection reagent인 Lipofectamine 2000을 이용하여 LGI3를 knock down 시키는 LGI3 siRNA 200 nM을 주입하였다. 또한 세포 안에 RNA를 주입하는 것 자체가 세포에 영향을 줄 것을 감안하여 기능을 하지 못하는 scrambled RNA를 주입하여 Negative control로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세포를 분쇄하여 LGI3가 knock down 세포, control, 및 negative control의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LGI3가 knock down 세포는 control 및 negative control과 비교하여 모든 분화마커의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로부터, LGI3는 각질형성세포가 분화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고 이것이 건선 환자에 적용되는 경우 피부장벽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5. LGI3의 15mer 짜리 펩타이드 37종으로부터 최적의 펩타이드를 도출
LGI3가 각질형성세포의 이동을 촉진한다는 연구가 보고된바 있다(Jeong JM et al., Wound Repair Regen. 2013;21(4):634-40). 한편, LGI3는 아래와 같이 548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단백질로 크기가 커서 실제로 피부에 적용시키기에는 제조 및 사용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LGI3의 아미노산 배열대로 15mer씩 펩타이드를 합성하여 총 37종의 펩타이드 중 어떠한 것이 최적의 펩타이드인지를 검증하고자,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배양된 각질형성세포에 상기 37종의 펩타이드를 1-10, 11-20, 21-30, 및 31-37으로 묶어서 처리하였다. 상기 15mer의 LGI3 유래 합성 펩타이드의 정보는 하기 표 1과 같다.
LBP- Sequence Working 10-peptide mix(~3x10-7 M) 서열번호
1 MAGLRARRGPGRRLL Mix (1-10) 3
2 VLSTLGFCLMLQVSA 4
3 KRPPKTPPCPPSCSC 5
4 TRDTAFCVDSKSVPK 6
5 NLPSEVISLTLVNAA 7
6 FSEIQDGAFSHLPLL 8
7 QFLLLNSNKFTLIGD 9
8 NAFIGLSHLQYLFIE 10
9 NNDIWALSKFTFRGL 11
10 KSLTHLSLANNNLQT 12
11 LPRDIFRPLDILSDL Mix (11-20)  13
12 DLRGNALNCDCKVKW 14
13 LVEWLAHTNTTVAPI 15
14 YCASPPRFQEHKVQD 16
15 LPLREFDCITTDFVL 17
16 YQTLSFPAVSAEPFL 18
17 YSSDLYLALAQPGAS 19
18 ACTILKWDYVERQLR 20
19 DYDRIPAPSAVHCKP 21
20 MVVDGQLYVVVAQLF 22
21 GGSYIYHWDPNTTRF Mix (21-30) 23
22 TKLQDIDPQRVRKPN 24
23 DLEAFRIDGDWFFAV 25
24 ADSSKAGATSLYRWH 26
25 QNGFYSHQALHAWHR 27
26 DTDLEFVDGEGKPRL 28
27 IVSSSSQAPVIYQWS 29
28 RSQKQFVAQGEVTQV 30
29 PDAQAVKHFRAGRDS 31
30 YLCLSRYIGDSKILR 32
31 WEGTRFSEVQALPSR Mix (31-37) 33
32 GSLALQPFLVGGHRY 34
33 LALGSDFSFTQIYQW 35
34 DEGRQKFVRFQELAV 36
35 QAPRAFCYMPAGDAQ 37
36 LLLAPSFKGQTLVYR 38
37 HVVVDLSA 39
그 결과, 도 6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LGI3를 처리한 세포의 이동이 가장 활발하였고, 펩타이드 1-10 혼합액을 처리한 세포의 이동이 이와 유사하게 활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LGI3 유래 합성펩타이드 중에서도 어떤 서열의 펩타이드가 세포의 이동에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확인된 펩타이드 1-10을 다시 1-5 혼합액 및 6-10 혼합액으로 분리하여 각질형성세포에 처리한 결과,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펩타이드 6-10 혼합액이 효과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펩타이드 5, 6, 및 7을 각각 또는 5-6을 혼합하여 각질형성세포에 처리한 결과,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펩타이드 6번(FSEIQDGAFSHLPLL) 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관찰되어 최적의 펩타이드로 선정하였다.
실시예 6. LGI3의 15mer 짜리 펩타이드 6번으로부터 최적의 펩타이드 도출
상기 실시예 5에서 펩타이드 6번을 최적의 펩타이드로 도출하였으나 아미노산의 개수를 더 줄이기 위하여 5mer 짜리 펩타이드를 3개 제작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은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다.
그 결과, 도 7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펩타이드 6-1(FSEIQ: 서열번호 40), 6-2(DGAFS: 서열번호 41), 6-3(HLPLL: 서열번호 42) 모두 세포의 이동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상기 3종의 펩타이드의 처리에 따라, 각질형성세포의 분화가 촉진되는지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배양한 각질형성세포에 상기 3종의 펩타이드를 각각 처리하여 배양한 후 PBS로 세척하고, Lysis buffer를 이용해 액체 질소에서 냉동과 해동을 반복하여 세포를 분쇄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여 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7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펩타이드 6-1(FSEIQ), 6-2(DGAFS), 6-3(HLPLL)를 처리한 세포 모두에서 분화 마커인 involucrin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는바, 상기 결과로부터 펩타이드 6-1 내지 6-3의 LGI3 유래 펩타이드의 처리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킴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Chung-Ang University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psoriasis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peptide derived from LGI3 or LGI3 <130> MP18-046 <160> 45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48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 Met Ala Gly Leu Arg Ala Arg Arg Gly Pro Gly Arg Arg Leu Leu Val 1 5 10 15 Leu Ser Thr Leu Gly Phe Cys Leu Met Leu Gln Val Ser Ala Lys Arg 20 25 30 Pro Pro Lys Thr Pro Pro Cys Pro Pro Ser Cys Ser Cys Thr Arg Asp 35 40 45 Thr Ala Phe Cys Val Asp Ser Lys Ser Val Pro Lys Asn Leu Pro Ser 50 55 60 Glu Val Ile Ser Leu Thr Leu Val Asn Ala Ala Phe Ser Glu Ile Gln 65 70 75 80 Asp Gly Ala Phe Ser His Leu Pro Leu Leu Gln Phe Leu Leu Leu Asn 85 90 95 Ser Asn Lys Phe Thr Leu Ile Gly Asp Asn Ala Phe Ile Gly Leu Ser 100 105 110 His Leu Gln Tyr Leu Phe Ile Glu Asn Asn Asp Ile Trp Ala Leu Ser 115 120 125 Lys Phe Thr Phe Arg Gly Leu Lys Ser Leu Thr His Leu Ser Leu Ala 130 135 140 Asn Asn Asn Leu Gln Thr Leu Pro Arg Asp Ile Phe Arg Pro Leu Asp 145 150 155 160 Ile Leu Ser Asp Leu Asp Leu Arg Gly Asn Ala Leu Asn Cys Asp Cys 165 170 175 Lys Val Lys Trp Leu Val Glu Trp Leu Ala His Thr Asn Thr Thr Val 180 185 190 Ala Pro Ile Tyr Cys Ala Ser Pro Pro Arg Phe Gln Glu His Lys Val 195 200 205 Gln Asp Leu Pro Leu Arg Glu Phe Asp Cys Ile Thr Thr Asp Phe Val 210 215 220 Leu Tyr Gln Thr Leu Ser Phe Pro Ala Val Ser Ala Glu Pro Phe Leu 225 230 235 240 Tyr Ser Ser Asp Leu Tyr Leu Ala Leu Ala Gln Pro Gly Ala Ser Ala 245 250 255 Cys Thr Ile Leu Lys Trp Asp Tyr Val Glu Arg Gln Leu Arg Asp Tyr 260 265 270 Asp Arg Ile Pro Ala Pro Ser Ala Val His Cys Lys Pro Met Val Val 275 280 285 Asp Gly Gln Leu Tyr Val Val Val Ala Gln Leu Phe Gly Gly Ser Tyr 290 295 300 Ile Tyr His Trp Asp Pro Asn Thr Thr Arg Phe Thr Lys Leu Gln Asp 305 310 315 320 Ile Asp Pro Gln Arg Val Arg Lys Pro Asn Asp Leu Glu Ala Phe Arg 325 330 335 Ile Asp Gly Asp Trp Trp Phe Ala Val Ala Asp Ser Ser Lys Ala Gly 340 345 350 Ala Thr Ser Leu Tyr Arg Trp His Gln Asn Gly Phe Tyr Ser His Gln 355 360 365 Ala Leu His Ala Trp His Arg Asp Thr Asp Leu Glu Phe Val Asp Gly 370 375 380 Glu Gly Lys Pro Arg Leu Ile Val Ser Ser Ser Ser Gln Ala Pro Val 385 390 395 400 Ile Tyr Gln Trp Ser Arg Ser Gln Lys Gln Phe Val Ala Gln Gly Glu 405 410 415 Val Thr Gln Val Pro Asp Ala Gln Ala Val Lys His Phe Arg Ala Gly 420 425 430 Arg Asp Ser Tyr Leu Cys Leu Ser Arg Tyr Ile Gly Asp Ser Lys Ile 435 440 445 Leu Arg Trp Glu Gly Thr Arg Phe Ser Glu Val Gln Ala Leu Pro Ser 450 455 460 Arg Gly Ser Leu Ala Leu Gln Pro Phe Leu Val Gly Gly His Arg Tyr 465 470 475 480 Leu Ala Leu Gly Ser Asp Phe Ser Phe Thr Gln Ile Tyr Gln Trp Asp 485 490 495 Glu Gly Arg Gln Lys Phe Val Arg Phe Gln Glu Leu Ala Val Gln Ala 500 505 510 Pro Arg Ala Phe Cys Tyr Met Pro Ala Gly Asp Ala Gln Leu Leu Leu 515 520 525 Ala Pro Ser Phe Lys Gly Gln Thr Leu Val Tyr Arg His Val Val Val 530 535 540 Asp Leu Ser Ala 545 <210> 2 <211> 548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Met Ala Gly Leu Arg Ala Arg Gly Gly Pro Gly Pro Gly Leu Leu Ala 1 5 10 15 Leu Ser Ala Leu Gly Phe Cys Leu Met Leu Gln Val Ser Ala Lys Arg 20 25 30 Pro Pro Lys Thr Pro Pro Cys Pro Pro Ser Cys Ser Cys Thr Arg Asp 35 40 45 Thr Ala Phe Cys Val Asp Ser Lys Ala Val Pro Arg Asn Leu Pro Ser 50 55 60 Glu Val Ile Ser Leu Thr Leu Val Asn Ala Ala Phe Ser Glu Ile Gln 65 70 75 80 Asp Gly Ala Phe Ser His Leu Pro Leu Leu Gln Phe Leu Leu Leu Asn 85 90 95 Ser Asn Lys Phe Thr Leu Ile Gly Asp Asn Ala Phe Thr Gly Leu Ser 100 105 110 His Leu Gln Tyr Leu Phe Ile Glu Asn Asn Asp Ile Trp Ala Leu Ser 115 120 125 Lys Phe Thr Phe Arg Gly Leu Lys Ser Leu Thr His Leu Ser Leu Ala 130 135 140 Asn Asn Asn Leu Gln Thr Leu Pro Arg Asp Ile Phe Arg Pro Leu Asp 145 150 155 160 Ile Leu Asn Asp Leu Asp Leu Arg Gly Asn Ser Leu Asn Cys Asp Cys 165 170 175 Lys Val Lys Trp Leu Val Glu Trp Leu Ala His Thr Asn Thr Thr Val 180 185 190 Ala Pro Ile Tyr Cys Ala Ser Pro Pro Arg Phe Gln Glu His Lys Val 195 200 205 Gln Asp Leu Pro Leu Arg Glu Phe Asp Cys Ile Thr Thr Asp Phe Val 210 215 220 Leu Tyr Gln Thr Leu Ala Phe Pro Ala Val Ser Ala Glu Pro Phe Leu 225 230 235 240 Tyr Ser Ser Asp Leu Tyr Leu Ala Leu Ala Gln Pro Gly Val Ser Ala 245 250 255 Cys Thr Ile Leu Lys Trp Asp Tyr Val Glu Arg Gln Leu Arg Asp Tyr 260 265 270 Asp Arg Ile Pro Ala Pro Ser Ala Val His Cys Lys Pro Met Val Val 275 280 285 Asp Ser Gln Leu Tyr Val Val Val Ala Gln Leu Phe Gly Gly Ser Tyr 290 295 300 Ile Tyr His Trp Asp Pro Asn Thr Thr Arg Phe Thr Arg Leu Gln Asp 305 310 315 320 Ile Asp Pro Gln Arg Val Arg Lys Pro Asn Asp Leu Glu Ala Phe Arg 325 330 335 Ile Asp Gly Asp Trp Tyr Phe Ala Val Ala Asp Ser Ser Lys Ala Gly 340 345 350 Ala Thr Ser Leu Tyr Arg Trp His Gln Asn Gly Phe Tyr Ser His Gln 355 360 365 Ala Leu His Pro Trp His Arg Asp Thr Asp Leu Glu Phe Val Asp Gly 370 375 380 Glu Gly Lys Pro Arg Leu Ile Val Ser Ser Ser Ser Gln Ala Pro Val 385 390 395 400 Ile Tyr Gln Trp Ser Arg Thr Gln Lys Gln Phe Val Ala Gln Gly Glu 405 410 415 Val Thr Gln Val Pro Asp Ala Gln Ala Val Lys His Phe Arg Ala Gly 420 425 430 Arg Asp Ser Tyr Leu Cys Leu Ser Arg Tyr Ile Gly Asp Ser Lys Ile 435 440 445 Leu Arg Trp Glu Gly Thr Arg Phe Ser Glu Val Gln Ala Leu Pro Ser 450 455 460 Arg Gly Ser Leu Ala Leu Gln Pro Phe Leu Val Gly Gly Arg Arg Tyr 465 470 475 480 Leu Ala Leu Gly Ser Asp Phe Ser Phe Thr Gln Ile Tyr Gln Trp Asp 485 490 495 Glu Gly Arg Gln Lys Phe Val Arg Phe Gln Glu Leu Val Val Gln Ala 500 505 510 Pro Arg Ala Phe Cys Tyr Met Pro Ala Gly Asp Ala Gln Leu Leu Leu 515 520 525 Ala Pro Ser Phe Lys Gly Gln Thr Leu Val Tyr Arg His Ile Val Val 530 535 540 Asp Leu Ser Ala 545 <210> 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1 <400> 3 Met Ala Gly Leu Arg Ala Arg Arg Gly Pro Gly Arg Arg Leu Leu 1 5 10 15 <210> 4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2 <400> 4 Val Leu Ser Thr Leu Gly Phe Cys Leu Met Leu Gln Val Ser Ala 1 5 10 15 <210> 5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3 <400> 5 Lys Arg Pro Pro Lys Thr Pro Pro Cys Pro Pro Ser Cys Ser Cys 1 5 10 15 <210> 6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4 <400> 6 Thr Arg Asp Thr Ala Phe Cys Val Asp Ser Lys Ser Val Pro Lys 1 5 10 15 <210> 7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5 <400> 7 Asn Leu Pro Ser Glu Val Ile Ser Leu Thr Leu Val Asn Ala Ala 1 5 10 15 <210> 8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6 <400> 8 Phe Ser Glu Ile Gln Asp Gly Ala Phe Ser His Leu Pro Leu Leu 1 5 10 15 <210> 9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7 <400> 9 Gln Phe Leu Leu Leu Asn Ser Asn Lys Phe Thr Leu Ile Gly Asp 1 5 10 15 <210> 10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8 <400> 10 Asn Ala Phe Ile Gly Leu Ser His Leu Gln Tyr Leu Phe Ile Glu 1 5 10 15 <210> 1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9 <400> 11 Asn Asn Asp Ile Trp Ala Leu Ser Lys Phe Thr Phe Arg Gly Leu 1 5 10 15 <210> 12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10 <400> 12 Lys Ser Leu Thr His Leu Ser Leu Ala Asn Asn Asn Leu Gln Thr 1 5 10 15 <210> 1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11 <400> 13 Leu Pro Arg Asp Ile Phe Arg Pro Leu Asp Ile Leu Ser Asp Leu 1 5 10 15 <210> 14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12 <400> 14 Asp Leu Arg Gly Asn Ala Leu Asn Cys Asp Cys Lys Val Lys Trp 1 5 10 15 <210> 15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13 <400> 15 Leu Val Glu Trp Leu Ala His Thr Asn Thr Thr Val Ala Pro Ile 1 5 10 15 <210> 16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14 <400> 16 Tyr Cys Ala Ser Pro Pro Arg Phe Gln Glu His Lys Val Gln Asp 1 5 10 15 <210> 17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15 <400> 17 Leu Pro Leu Arg Glu Phe Asp Cys Ile Thr Thr Asp Phe Val Leu 1 5 10 15 <210> 18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16 <400> 18 Tyr Gln Thr Leu Ser Phe Pro Ala Val Ser Ala Glu Pro Phe Leu 1 5 10 15 <210> 19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17 <400> 19 Tyr Ser Ser Asp Leu Tyr Leu Ala Leu Ala Gln Pro Gly Ala Ser 1 5 10 15 <210> 20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18 <400> 20 Ala Cys Thr Ile Leu Lys Trp Asp Tyr Val Glu Arg Gln Leu Arg 1 5 10 15 <210> 2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19 <400> 21 Asp Tyr Asp Arg Ile Pro Ala Pro Ser Ala Val His Cys Lys Pro 1 5 10 15 <210> 22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20 <400> 22 Met Val Val Asp Gly Gln Leu Tyr Val Val Val Ala Gln Leu Phe 1 5 10 15 <210> 2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21 <400> 23 Gly Gly Ser Tyr Ile Tyr His Trp Asp Pro Asn Thr Thr Arg Phe 1 5 10 15 <210> 24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22 <400> 24 Thr Lys Leu Gln Asp Ile Asp Pro Gln Arg Val Arg Lys Pro Asn 1 5 10 15 <210> 25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23 <400> 25 Asp Leu Glu Ala Phe Arg Ile Asp Gly Asp Trp Phe Phe Ala Val 1 5 10 15 <210> 26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24 <400> 26 Ala Asp Ser Ser Lys Ala Gly Ala Thr Ser Leu Tyr Arg Trp His 1 5 10 15 <210> 27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25 <400> 27 Gln Asn Gly Phe Tyr Ser His Gln Ala Leu His Ala Trp His Arg 1 5 10 15 <210> 28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26 <400> 28 Asp Thr Asp Leu Glu Phe Val Asp Gly Glu Gly Lys Pro Arg Leu 1 5 10 15 <210> 29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27 <400> 29 Ile Val Ser Ser Ser Ser Gln Ala Pro Val Ile Tyr Gln Trp Ser 1 5 10 15 <210> 30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28 <400> 30 Arg Ser Gln Lys Gln Phe Val Ala Gln Gly Glu Val Thr Gln Val 1 5 10 15 <210> 3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29 <400> 31 Pro Asp Ala Gln Ala Val Lys His Phe Arg Ala Gly Arg Asp Ser 1 5 10 15 <210> 32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30 <400> 32 Tyr Leu Cys Leu Ser Arg Tyr Ile Gly Asp Ser Lys Ile Leu Arg 1 5 10 15 <210> 3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31 <400> 33 Trp Glu Gly Thr Arg Phe Ser Glu Val Gln Ala Leu Pro Ser Arg 1 5 10 15 <210> 34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32 <400> 34 Gly Ser Leu Ala Leu Gln Pro Phe Leu Val Gly Gly His Arg Tyr 1 5 10 15 <210> 35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33 <400> 35 Leu Ala Leu Gly Ser Asp Phe Ser Phe Thr Gln Ile Tyr Gln Trp 1 5 10 15 <210> 36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34 <400> 36 Asp Glu Gly Arg Gln Lys Phe Val Arg Phe Gln Glu Leu Ala Val 1 5 10 15 <210> 37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35 <400> 37 Gln Ala Pro Arg Ala Phe Cys Tyr Met Pro Ala Gly Asp Ala Gln 1 5 10 15 <210> 38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36 <400> 38 Leu Leu Leu Ala Pro Ser Phe Lys Gly Gln Thr Leu Val Tyr Arg 1 5 10 15 <210> 39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37 <400> 39 His Val Val Val Asp Leu Ser Ala 1 5 <210> 40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6-1 <400> 40 Phe Ser Glu Ile Gln 1 5 <210> 41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6-2 <400> 41 Asp Gly Ala Phe Ser 1 5 <210> 42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GI3 derived peptide 6-3 <400> 42 His Leu Pro Leu Leu 1 5 <210> 4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_F <400> 43 gtccaccagc cccggcagcc a 21 <210> 4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_R_wild type allele <400> 44 cgtagcccgg ccatgactcc tgcag 25 <210> 4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_R_knockout allele <400> 45 tgagcccgcc cctgagcccg 20

Claims (15)

  1. 서열번호 40 내지 4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kt(a protein cloned from the v-akt oncogene of retrovirus AKT8)를 활성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서열번호 40 내지 4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kt(a protein cloned from the v-akt oncogene of retrovirus AKT8)를 활성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180040013A 2018-04-05 2018-04-05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66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013A KR102066208B1 (ko) 2018-04-05 2018-04-05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013A KR102066208B1 (ko) 2018-04-05 2018-04-05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870A KR20190116870A (ko) 2019-10-15
KR102066208B1 true KR102066208B1 (ko) 2020-01-14

Family

ID=68209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013A KR102066208B1 (ko) 2018-04-05 2018-04-05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2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844B1 (ko) * 2019-11-22 2023-04-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동석,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 LGI3의 피부에서의 작용 연구',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최종(결과)보고서(2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870A (ko)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KR20090130584A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05386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30062112A (ko) 향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조성물
JPWO2015015816A1 (ja) 繊維芽細胞賦活剤
KR102066208B1 (ko) Lgi3 또는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776755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KR102012078B1 (ko)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WO2015005642A1 (ko)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10056884A (ko)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map) 및 메틸설포닐메탄(msm)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20130062111A (ko) 홍화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조성물
KR20130062113A (ko) 형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20064341A (ko) 2b4 효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20085369A (ko) 대추 또는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KR100761329B1 (ko)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장생도라지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정제 분획물들을함유하는 피부외용 조성물
KR102374382B1 (ko) 용안육 포함 조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slp 억제 및 염증성 피부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외용조성물
KR102351515B1 (ko)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폡타이드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23370B1 (ko) 피부 보습 및 항균효과를 갖는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3030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작두콩 추출물의 정제방법
KR20150050631A (ko)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773406B1 (ko)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ch 조성물
KR20110131784A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3548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WO2007032561A1 (ja) 新規血管内皮増殖因子発現阻害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