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781B1 -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781B1
KR102065781B1 KR1020180013527A KR20180013527A KR102065781B1 KR 102065781 B1 KR102065781 B1 KR 102065781B1 KR 1020180013527 A KR1020180013527 A KR 1020180013527A KR 20180013527 A KR20180013527 A KR 20180013527A KR 102065781 B1 KR102065781 B1 KR 102065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 truck
sewage
storage tank
sewage storag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749A (ko
Inventor
심희주
Original Assignee
심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희주 filed Critical 심희주
Priority to KR102018001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7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60P3/2215Mounting of tanks to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5Arrangements for hoses, tubes, or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2003/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tank of the refus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후방 추돌사고시에 소형차량이 덤프트럭의 적재대 하부로 밀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안전대가 적재물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수의 저장을 위한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로 형성됨에 따라 적재물에 함유된 오수의 노면 낙하 또는 오수의 비산이 공간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는 덤프트럭의 차체 후방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고 후방 추돌사고시에 소형차량이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대 하부로 밀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에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와,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대의 후방에 형성되어 적재물에 함유된 오수가 집수되는 집수트렌치와, 상기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와 상기 집수트렌치를 연결하는 집수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WATER STORAGE APPARATUS FOR DUMP TRUCK}
개시된 내용은 덤프트럭의 적재대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수가 노면에 낙하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은 토목, 건축현장에 사용될 토사를 현장으로 반입하거나, 현장에서 배출되는 건설폐토 등을 외부로 반출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큰 적재량을 가진다.
덤프트럭의 적재대은 수분을 거의 함유하지 않는 고체상의 토사의 운반에 적합하지만, 수분이 다량으로 함유된 굴삭토나, 해양 또는 하천의 준설현장에서 배출되는 준설토 등이 적재되어 운반될 경우에는 굴삭토 또는 준설토에 함유된 오수가 적재대의 간극을 통해 유출되면서 노면을 오염시키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주행 중인 다른 차량에 튀어 민원을 유발하여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11588호(2004.02.05. 공개)에는 덤프카의 전후방향을 따르는 좌우측판 및 저판의 후단 개구부를 폐쇄하는 개폐문이, 후단 개구부 상방을 지지점으로 하여, 일측 개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부 액밀구조에 있어서, 후단 개구부에 개폐문을 가압 걸어맞춤시키는 후크편을 갖고, 이 후크편은, 그 후단부가 차폭방향을 축중심방향으로 하는 회동 지지축에 장착되며, 그 회동 지지축의 축중심방향과 직교하여 설치된 구동샤프트의 축중심방향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그 선단부가 이 회동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후단 개구부에 개폐문을 가압 걸어맞춤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 액밀구조가 개시된다.
전술한 덤프트럭의 개폐부 액밀구조는 물이 외부로 새지 않게 적재대에 가두는 형태로 액밀 구조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상당한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해결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995-0030333호(1995.11.20. 공개)에는 데크의 최선단부에 오수호름방지막을 착설하고 내측양단에 배출공을 형성하여 필터를 덮고 데크의 하단부로 코크를 설치하여 고무호스로 연결하여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에 집수되게 하며,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의 하부는 오수배출코크를 설치하고 측면상단부는 오버플로우용 호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차량의 오수집수장치가 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의 경우에는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를 덤프트럭의 적재대 후방 하측에 별도로 고정설치해야 하므로 이를 부가설치하는 데 상당한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통상 덤프트럭의 적재대의 후방 하측에는 후방 추돌사고시에 승용차와 같은 소형차량이 덤프트럭의 적재대 하부로 밀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방안전대까지 설치되어야 하므로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를 설치할 공간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11588호(2004.02.05. 공개)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995-0030333호(1995.11.20. 공개)
적재물에 함유된 오수의 노면 낙하 또는 오수의 비산이 공간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는, 덤프트럭의 차체 후방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고 후방 추돌사고시에 소형차량이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대 하부로 밀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에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와,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대의 후방에 형성되어 적재물에 함유된 오수가 집수되는 집수트렌치와, 상기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와 상기 집수트렌치를 연결하는 집수관을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는, 후방 추돌사고시에 소형차량이 덤프트럭의 적재대 하부로 밀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안전대가 적재물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수의 저장을 위한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로 형성됨에 따라 적재물에 함유된 오수의 노면 낙하 또는 오수의 비산이 공간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의 상세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의 상세구조도를 도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덤프트럭의 차체 후방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10)와, 수직지지대(10)의 하단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고 후방 추돌사고시에 소형차량이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대(3) 하부로 밀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에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와, 덤프트럭의 적재대(3)의 후방에 형성되어 적재물에 함유된 오수가 집수되는 집수트렌치(30)와,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와 집수트렌치(30)를 연결하는 집수관(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직지지대(10)는 덤프트럭의 차체 후방에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덤프트럭의 차체 후방에 다수개, 특히 2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지지대(10)는 고도의 강성이 발휘되도록 H빔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직지지대(10)의 하단에는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의 외주면에 부분적으로 면적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브래킷(11)이 구비된다.
연결브래킷(11)은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의 외주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의 원형의 횡단면을 가질 경우에 연결브래킷(11)은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의 상부면 일부에 면접되도록 반원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수직지지대(10)의 하단, 즉 연결브래킷(11)에는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가 고정되어 수평으로 연장된다.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는 후방 추돌사고시에 소형차량이 덤프트럭의 적재대(3) 하부로 밀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안전대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적재물에 함유된 오수가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한다.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는 후방안전대의 역할에 적합하도록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소정의 강성이 발휘되도록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의 하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오수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코크(21)가 별도 구비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의 상부에는 오버플로우관이 별도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덤프트럭의 적재대(3)의 후방에는 집수트렌치(30)가 형성된다. 집수트렌치(30)는 적재물에 함유된 오수가 1차적으로 노면으로 낙하되거나 비산되지 않도록 집수하는 일종의 집수로에 해당하는 것으로, 덤프트럭의 적재대(3)의 후방에 전체 폭에 걸쳐 길게 설치된다.
집수트렌치(30)는 이물질의 유입 방지를 위한 필터체(31)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단과,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로 제공될 오수가 집수되는 하부단으로 이루어지는 2단 구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부단은 덤프트럭의 적재대(3)의 후방에 전체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반면에, 하부단은 집수효율을 위해 상부단의 중앙에만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와 전술한 집수트렌치(30)는 집수관(40)에 의해 연결된다. 집수관(40)은 집수트렌치(30)의 하부단에 집수된 오수가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로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것으로, 적재대(3)의 승강작동에 관계없이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집수트렌치(30)의 하부단에 연결되는 집수관(40)의 상단부와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에 연결되는 집수관(40)의 하단부는 패킹재를 포함한 수밀관연결부속에 의해 수밀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1)가 덤프트럭의 차체 후방에설치될 경우에, 덤프트럭의 적재물에 함유된 오수가 집수트랜치(30)를 거쳐 최종적으로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로 저장되었다가 선택적으로 배수처리됨에 따라 주행중에 덤프트럭의 적재물에 함유된 오수가 노면에 낙하되거나 다른 차량으로 비산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에 따른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1)가 덤프트럭의 차체 후방에설치될 경우에, 수직지지대(10)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20)가 후방 추돌사고시에 소형차량이 덤프트럭의 적재대(3) 하부로 밀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안전대로 작용함과 동시에 적재물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수의 저장을 위한 저장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오수의 저장을 위한 별도의 저수탱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적재물에 함유된 오수의 노면 낙하 또는 오수의 비산이 공간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
3 : 적재대
10 : 수직지지대
11 : 연결브래킷
20 :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
21 : 배수코크
30 : 집수트렌치
31 : 필터체
40 : 집수관

Claims (3)

  1. 덤프트럭의 차체 후방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고 추돌사고시에 소형차량이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대 하부로 밀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안전대로 작용하며 내부에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대의 후방에 상기 덤프트럭의 적재대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어 적재물에 함유된 오수가 집수되는 집수트렌치; 및
    상기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와 상기 집수트렌치를 연결하는 집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안전대 겸용 오수저장탱크에는 배수코크가 설치되고, 상기 집수트렌치의 상측에는 이물질의 유입 방지를 위한 필터체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집수관은 상기 적재대의 승강작동에 관계없이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13527A 2018-02-02 2018-02-02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 KR102065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527A KR102065781B1 (ko) 2018-02-02 2018-02-02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527A KR102065781B1 (ko) 2018-02-02 2018-02-02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749A KR20180021749A (ko) 2018-03-05
KR102065781B1 true KR102065781B1 (ko) 2020-01-13

Family

ID=61726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527A KR102065781B1 (ko) 2018-02-02 2018-02-02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395B1 (ko) * 2018-08-17 2020-10-30 주식회사 피앤비 도어외측 배수차단벽과 배수부를 갖는 배수처리장치용 연장수트형 덤프트럭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070Y1 (ko) * 1983-06-20 1985-02-09 윤여형 자동차 적재함의 집수장치
KR900003141Y1 (ko) * 1987-07-03 1990-04-14 장수철 오수수집탱크를 갖춘 쓰레기 수거운반차
KR950030333U (ko) 1994-04-14 1995-11-20 적재용 차량의 오수집수장치
JP3532189B2 (ja) 2003-01-15 2004-05-31 稔 新谷 液密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749A (ko) 201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5223B2 (en) Fuel tank trailer
US10543980B1 (en) Roll-off tub style container
JP4695037B2 (ja) 雨水貯留槽
US6743354B1 (en) Drain guard catch basin
KR102065781B1 (ko) 덤프트럭용 오수저장장치
JP7086255B2 (ja) 塵芥車における排出汚水の案内装置
JP4832246B2 (ja) 塵芥車の汚水漏れ防止装置
JP6292924B2 (ja) 塵芥収集車
US7128831B2 (en) Pollutant containment system
KR20090014689A (ko) 맨홀 커버장치
KR102036528B1 (ko) 침출수 유출 방지형 적재함
KR102050593B1 (ko) 덤프 트럭
KR101077132B1 (ko) 도로용 빗물받이
US6149026A (en) Secondary containment tub
US9242757B1 (en) Rail car unloading catch pan system
US5238033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liquid leakage
DE3937822A1 (de) Abstellplatz fuer container
US7735675B2 (en) Environmentally safe fluid washout container
US7004062B2 (en) Elevator pit receptacle with float valve assembly
JP4387255B2 (ja) 路面の難処理物流出防止用貯留枡
CN218808166U (zh) 一种垃圾运输车的废水收集装置
KR102172395B1 (ko) 도어외측 배수차단벽과 배수부를 갖는 배수처리장치용 연장수트형 덤프트럭
KR101408350B1 (ko) 해상구조물의 드레인 장치
CN111778846A (zh) 一种桥梁初期雨水废液收集系统
JPH10280366A (ja) 排水システムの防塵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