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803B1 - 기판반전유닛 - Google Patents

기판반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803B1
KR102064803B1 KR1020140055842A KR20140055842A KR102064803B1 KR 102064803 B1 KR102064803 B1 KR 102064803B1 KR 1020140055842 A KR1020140055842 A KR 1020140055842A KR 20140055842 A KR20140055842 A KR 20140055842A KR 102064803 B1 KR102064803 B1 KR 102064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unit
support
reciproca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262A (ko
Inventor
이주석
김종백
한상이
유대연
정태훈
정석진
김남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to KR1020140055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803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5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onveying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기판반전유닛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기판반전유닛은 정역회전을 위한 반전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반전바디부와, 반전바디부에 구비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안착부와, 기판안착부와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반전지지부 및 반전바디부에 구비되어 반전지지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판반전유닛{SUBSTRATE REVERSAL UNIT}
본 발명은 기판반전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을 안정되게 흡착 지지할 수 있고, 흡착된 기판을 원활하게 이송시키거나 반전시킬 수 있는 기판반전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점증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등 다양한 평판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는 두 개의 유리기판을 합착하여 만든다.
평판표시장치는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일부는 이미 여러 장비에서 표시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 중에, 현재 화질이 우수하고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의 특징에 따른 장점으로 인하여 이동형 화상 표시장치의 용도로 CRT(Cathode Ray Tube)를 대체하면서 LCD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노트북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은 이동형의 용도 이외에도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텔레비전 및 컴퓨터의 모니터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표시장치로써, 화상의 품질을 높이는 작업은 상술한 특징 및 장점과 배치되는 면이 많이 있다. 따라서, 액정표시소자가 일반적인 화면 표시장치로서 다양한 부분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경량, 박형, 저소비전력의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고휘도, 대면적 등 고 품위 화상을 얼마나 구현할 수 있는가에 발전의 관건이 걸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가 대형화되면서 유리기판 전체에 균일한 힘을 가하여 합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7460호 (2007. 02. 21. 등록, 발명의 명칭 :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의 진공 합착기)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을 안정되게 흡착 지지할 수 있고, 흡착된 기판을 원활하게 이송시키거나 반전시킬 수 있는 기판반전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은 정역회전을 위한 반전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반전바디부; 상기 반전바디부에 구비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안착부; 상기 기판안착부와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반전지지부; 및 상기 반전바디부에 구비되어 상기 반전지지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왕복구동부는, 왕복 이동을 위해 정역회전되는 왕복모터부; 상기 왕복모터부에 결합되어 상기 왕복모터부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1전환블럭; 상기 제1전환블럭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제1전달스크류; 상기 제1전달스크류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3전환블럭; 및 상기 반전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3전환블럭의 회전력으로 왕복 이동되는 왕복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왕복구동부는, 상기 제1전달스크류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2전환블럭; 및 상기 제2전환블럭의 회전력을 상기 제3전환블럭에 전달하는 한 쌍의 제2전달스크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반전지지부는, 상기 왕복구동부에 결합되는 지지바디부; 상기 지지바디부에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돌부; 및 상기 지지돌부와 상기 기판의 접촉 상태를 감지하는 왕복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부는, 상기 지지바디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설치돌부; 상기 설치돌부에 결합되고, 단부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패드가 구비된 지지패드부; 및 상기 설치돌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패드부를 탄성 지지하는 충격흡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부는, 상기 기판안착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흡착부와 마주보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판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기판을 정렬하는 얼라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반전바디부에 결합되는 하판부; 상기 기판안착부에 결합되는 상판부; 상기 하판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판부를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작동부; 상기 제1작동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하판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판부를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2작동부; 상기 제1작동부와 상기 제2작동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하판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판부를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3작동부; 및 상기 제1작동부 내지 상기 제3작동부의 왕복 이동량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기판의 안착 상태를 감지하는 기판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제1작동부 내지 상기 제3작동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1작동부 내지 상기 제3작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상판부를 이동시키는 작동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작동부 내지 상기 제3작동부는, 왕복 이동량에 따라 작동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부; 상기 작동스크류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드; 상기 하판부와 상기 상판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의 왕복 이동 한계를 설정하는 작동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작동부 내지 상기 제3작동부는,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은 기판을 안정되게 흡착 지지할 수 있고, 흡착된 기판을 원활하게 이송시키거나 반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착된 기판을 흡착 지지할 때, 합착된 기판 사이에 구비되는 씰이 기판에서 분리(씰 터짐 현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의 흡착력을 향상시키고, 기판이 이송되거나 반전되는 과정에서 기판이 기판안착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예방하며,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이 이송되거나 반전될 때, 기판의 편평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을 흡착할 때, 기판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판에 표면에 얼룩(무라, む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의 반전을 용이하게 하고, 기판의 출렁임(기판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며, 기판의 출렁임에 의한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의 반전 동작에서 연결라인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라인의 탈락, 분리, 이탈, 늘어짐, 단선, 피복 벗겨짐 등을 방지하며, 연결라인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베어 갈림 문제를 해결하고, 케이블베어에서 연결라인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탈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에서 기판안착부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에서 반전지지부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에서 왕복구동부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에서 얼라인부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에서 얼라인부와 기판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에서 기판의 지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에서 기판의 반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탈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100)은 합착부(112)를 포함하고, 적층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합착부(112)는 LCD(Liquid Crystal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등 다양한 평판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 또는 태양전지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기판부(101)와 제2기판부(102)를 합착하여 만든다.
이때, 제1기판부(101)와 제2기판부(102) 사이에 삽입되는 씰부(103)가 각각 제1기판부(101)와 제2기판부(102)에 결합될 수 있다. 씰부(103)는 제1기판부(101)와 제2기판부(102) 사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씰부(103)는 제1기판부(101)와 제2기판부(102) 사이를 밀봉하여 상판부(101)와 하판부(102)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적층부(111)는 합착부(112)의 양면에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적층부(111)는 제1기판부(101)의 표면 또는 제2기판부(102)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층부(111)는 제1기판부(101)와 제2기판부(102)를 보호하여 기판(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판(100)은 적층부(111)와, 합착부(112)와, 적층부(111)가 부착된 합착부(112)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00)에는 코너컷(113)이 형성될 수 있다.
코너컷(113)은 적층부(111)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기판(100)의 둘레에 형성된다. 코너컷(113)의 형성에 따라 합착부(112)에서 적층부(111)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은 기판(100)을 안정되게 흡착 지지할 수 있고, 흡착된 기판(100)을 원활하게 이송시키거나 반전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기판반전유닛은 반전바디부(10)와, 기판안착부(20)와, 반전지지부(30)와, 왕복구동부(40)를 포함한다.
반전바디부(10)는 정역회전을 위한 반전구동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반전바디부(10)는 동일선 상에 결합되는 반전축부(12)와 비틀림부(13)를 중심으로 180도 또는 36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반전바디부(10)에는 완충부(14)가 구비되어 왕복구동부(40)의 동작에 따라 반전지지부(30)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전지지부(30)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반전축부(12)에는 반전바디부(10)를 정역회전시키는 반전구동부(11)가 결합된다. 여기서, 반전축부(12)와 비틀림부(13)는 본체(A)에 지지되어 반전바디부(10)의 정역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비틀림부(13)는 기판안착부(20) 또는 반전지지부(30) 또는 얼라인부(5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라인(미도시)이 관통 고정된다. 비틀림부(13)는 연결라인(미도시)의 선 꼬임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연결라인(미도시)을 통합하여 정리하기 위한 케이블베어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케이블베어에서 연결라인(미도시)이 이탈되거나 케이블베어에 의한 연결라인(미도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라인(미도시)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케이블과 흡착력에 따른 유체의 이동을 위한 유체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틀림부(13)에 고정되는 연결라인(미도시)의 비틀림은 반전바디부(10)의 정역 회전 각도인 180도 또는 360도에 대하여 90도 또는 180도로 작아지게 되어 연결라인(미도시)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키고, 연결라인(미도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비틀림부(13)는 연결라인(미도시)이 통과하는 비틀림관통부(미도시)와, 연결라인(미도시)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시키는 비틀림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틀림관통부(미도시)는 본체(A)와 반전바디부(10)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비틀림브라켓부(미도시)와, 한 쌍의 비틀림브라켓부(미도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비틀림베어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림관통부(미도시)와 비틀림고정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연결라인(미도시)이 삽입되는 비틀림홀부(미도시)가 형성된 비틀림지지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비틀림홀부(미도시)에는 연결라인(미도시)이 삽입 지지되는 비틀림소켓부(미도시)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비틀림부(13)를 통해 기판(100)의 반전 동작에서 연결라인(미도시)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라인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기판안착부(20)는 반전바디부(10)에 구비되어 기판(100)을 지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에서 기판안착부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기판안착부(20)는 안착바디부(21)와, 안착프레임부(22)와, 흡착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바디부(21)는 반전바디부(10)에 결합된다. 안착바디부(21)는 흡착부(23))를 배치하기 위한 기초틀로써, 종횡으로 배열되는 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프레임부(22)는 안착바디부(21)에 이격 배치된다. 안착프레임부(22)는 다수 개가 안착바디부(21)에 등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흡착부(23)의 배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안착프레임부(22)는 중공 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흡착부(23)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흡착부(23)는 안착프레임부(22)에 이격 배치되어 기판(100)을 흡착 지지한다. 흡착부(23)는 흡착력에 의해 기판(100)을 흡착 지지함으로써, 기판(100)을 반전시킬 때, 흡착부(23)에서 기판(100)이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착부(23)는 안착프레임부(22)에 고정되어 기판(100)에 흡착력을 전달하는 중공의 흡착관부(231)와, 흡착관부(231)의 단부에 구비되어 전달되는 흡착력에 의해 기판(100)을 흡착 지지하는 흡착판부(232)를 포함하고, 다수 개의 흡착관부(231)를 상호 연결하여 흡착력을 분배 전달하는 분배라인부(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흡착판부(232)의 중심은 중공의 흡착관부(231)와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되고, 기판(100)이 지지되는 흡착판부(232)의 일측면에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흡착홈부(미도시)가 함몰 형성됨으로써, 기판(100)의 흡착력을 안정화시키고, 흡착력에 의해 기판(100)이 변형되거나 제1기판부(101) 또는 제2기판부(102)에서 씰부(10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기판(100)에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착관부(231)는 중공 관 형상의 안착프레임부(22)에 연결되고, 분배라인부(233)는 안착프레임부(22)에 연결됨에 따라 안정된 흡착력을 흡착판부(232)에 전달할 수 있다.
반전지지부(30)는 기판안착부(20)와 마주보도록 기판안착부(20)에서 이격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에서 반전지지부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반전지지부(30)는 지지바디부(31)와, 지지돌부(32)와, 왕복감지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디부(31)는 왕복구동부(40)에 결합된다. 지지바디부(31)는 기판안착부(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왕복구동부(40)에 결합된다. 지지바디부(31)는 지지돌부(32)를 배치하기 위한 기초틀로써, 종횡으로 배열되는 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돌부(32)는 다수 개가 지지바디부(31)에 이격 배치된다. 지지돌부(32)는 기판안착부(20)에 구비되는 다수의 흡착부(23)와 마주보도록 구비됨으로써, 반전된 상태에서 기판안착부(20)가 기판(100)에서 이격될 때, 기판(100)의 처짐을 방지하고, 기판(100)의 출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대형 기판 또는 플렉시블 기판이 적용되는 경우, 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지지돌부(32)는 설치돌부(321)와, 지지패드부(323)와, 충격흡수부(325)를 포함하고, 길이조절부(3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치돌부(321)는 다수 개가 지지바디부(31)에 결합된다. 설치돌부(321)는 상술한 안착프레임부(22)와 같이 다수개 가 지지바디부(31)에 이격 배치됨으로써, 지지패드부(323)의 배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설치돌부(321)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지지패드부(323)에 연통됨으로써, 지지패드부(323)에 흡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패드부(323)는 설치돌부(321)에 결합된다. 지지패드부(323)는 단부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패드(324)가 구비됨으로서, 지지패드부(323)가 기판에 접촉될 때, 기판(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기판(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패드부(323)는 상술한 흡착부(23)와 같이 흡착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기판을 흡착 지지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325)는 설치돌부(321)에 구비되어 지지패드부(323)를 탄성 지지한다. 충격흡수부(325)는 지지돌부(32)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지지돌부(3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지지돌부(32)와 기판(100)의 접속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기판안착부(20)에 기판(10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술한 탄성패드(324) 또는 충격흡수부(325)를 통해 기판(100)을 가압함에 따라 기판안착부(20)에서 기판(100)의 흡착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기판(100)의 반전 동작에서 기판(100)의 미끄러짐 또는 기판(1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327)는 설치돌부(321) 또는 충격흡수부(325)에 구비되어 지지패드부(323)의 돌출 길이를 조절한다. 지지돌부(32)가 기판(100)을 지지할 때, 길이조절부(327)를 통해 지지패드부(323)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지지패드부(323)와 기판(100)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판(100)의 처짐과 기판(100)의 출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왕복감지부(33)는 지지돌부(32)와 기판(100)의 접촉 상태를 감지한다. 왕복감지부(33)는 왕복구동부(40)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지지바디부(31)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지지돌부(32)와 기판(100)의 접촉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왕복감지부(33)는 지지바디부(31)의 왕복 이동 위치를 나타내는 왕복단자부(331)와, 왕복단자부(331)와의 접촉을 통해 왕복단자부(331)의 위치를 감지하는 왕복센싱부(332)를 포함함으로써, 반전지지부(30)가 기판(100)을 지지할 때, 반전지지부(30)가 기판(100)을 가압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지지돌부(32)에 의해 기판(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왕복구동부(40)는 반전바디부(10)에 구비되어 반전지지부(30)를 왕복 이동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에서 왕복구동부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왕복구동부(40)는 왕복모터부(41)와, 제1전환블럭(42)과, 제1전달스크류(43)와, 제3전환블럭(46)과, 왕복지지부(47)를 포함하고, 제2전환블럭(44)과, 제2전달스크류(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왕복모터부(41)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왕복모터부(41)는 변위에 따라 회전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왕복모터부(41)는 반전바디부(10)에 안정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1전환블럭(42)은 왕복모터부(41)에 결합되어 왕복모터부(41)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킨다. 제1전환블럭(42)은 모듈박스 내에서 치합되는 베벨기어의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고, 왕복모터부(41)의 회전력을 정밀하게 전달 전환시킬 수 있다. 제1전환블럭(42)은 반전바디부(10)에 안정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1전달스크류(43)는 제1전환블럭(42)에 결합되어 제1전환블럭(42)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1전달스크류(43)는 제1전환블럭(42)을 통해 전환된 회전력을 제2전환블럭(44) 또는 제3전환블럭(46)에 전달한다. 제1전달스크류(43)는 한 쌍이 제1전환블럭(42)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제1전환블럭(42)의 회전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3전환블럭(46)은 반전바디부(10)에 구비되어 반전지지부(30)를 왕복 이동시킨다. 제3전환블럭(46)은 제1전달스크류(43) 또는 제2전달스크류(45)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왕복지지부(47)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반전지지부(30)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제3전환블럭(46)은 모듈박스 내에서 치합되는 랙피니언기어의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고, 왕복모터부(41)의 회전력을 정밀하게 전달 전환시킬 수 있다. 제3전환블럭(46)은 반전바디부(10)에 안정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왕복지지부(47)는 반전지지부(30)에 결합되고, 제3전환블럭(46)의 회전력으로 왕복 이동된다. 왕복지지부(47)는 제3전환블럭(46)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전환블럭(46)의 동작으로 왕복 이동됨으로써, 반전지지부(30)가 왕복 이동되고, 반전지지부(30)의 지지돌부(32)가 기판(100)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제2전환블럭(44)은 반전바디부(10)에 구비되어 제1전달스크류(43)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킨다. 제2전환블럭(44)은 한 쌍의 제1전달스크류(43)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제2전환블럭(44)은 모듈박스 내에서 치합되는 베벨기어의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고, 왕복모터부(41)의 회전력을 정밀하게 전달 전환시킬 수 있다. 제2전환블럭(44)은 반전바디부(10)에 안정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2전달스크류(45)는 제2전환블럭(44)의 회전력을 제3전환블럭(46)에 전달한다. 제2전달스크류(45)는 제2전환블럭(44)을 통해 전환된 회전력을 제3전환블럭(46)에 전달한다. 제2전달스크류(45)는 한 쌍이 제2전환블럭(44)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제2전환블럭(44)의 회전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은 얼라인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얼라인부(50)는 기판안착부(20)에 안착된 기판(100)을 정렬한다. 얼라인부(50)는 수평 방향에서 제1방향과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기판(100)을 이동시키거나 기판(100)을 평면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에서 얼라인부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에서 얼라인부와 기판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얼라인부(50)는 하판부(51)와, 상판부(52)와, 제1작동부(53)와, 제2작동부(54)와, 제3작동부(55)와, 세 개의 기판감지부(56, 57, 58)를 포함하고, 작동지지부(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판부(51)는 반전바디부(10)에 결합된다. 상판부(52)는 안착바디부(21)에 결합된다.
제1작동부(53)는 하판부(51)에 결합되고, 상판부(52)를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제2작동부(54)는 제1작동부(53)에서 이격되어 하판부(51)에 결합되고, 상판부(52)를 제1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제3작동부(55)는 제1작동부(53)와 제2작동부(54)에서 이격되어 하판부(51)에 결합되고, 상판부(52)를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1작동부(53) 내지 제3작동부(55)는 각각 작동모터부(551)와, 제1가이드(553)와, 제2가이드(554)와, 작동감지부(556)를 포함하고, 회전볼부(5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동모터부(551)는 왕복 이동량에 따라 작동스크류(552)를 회전시킨다. 작동모터부(551)는 작동스크류(55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작동모터부(551)는 변위에 따라 회전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제1가이드(553)는 작동스크류(552)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가이드(554)는 제1가이드(553)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가이드(554)는 하판부(51)와 상판부(52)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작동감지부(556)는 제1가이드(553)의 왕복 이동 한계를 설정한다. 작동감지부(556)는 작동모터부(551)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제1가이드(553)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제1가이드(553)의 왕복 이동 한계를 설정한다. 작동감지부(556)는 제1가이드(553)의 왕복 이동 위치를 나타내는 작동단자부(557)와, 작동단자부(557)와의 접촉을 통해 작동단자부(557)의 위치를 감지하는 작동센싱부(558)를 포함함으로써, 안착된 기판(100)의 왕복 이동량과 평면 상태에서의 기판(100) 회전량을 제한하고, 기판(100)을 정렬할 때, 기판(100)이 반전바디부(10) 또는 본체(A)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며, 기판(100)을 보호할 수 있다.
회전볼부(555)는 제1가이드(553)와 제2가이드(55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볼부(555)는 제1작동부(53) 내지 제3작동부(55)의 연계 동작에서 기판(100)을 평면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볼부(555)가 더 포함됨으로써, 안착된 기판(100)의 왕복 이동량과 평면 상태에서의 기판(100) 회전량을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다.
일예로, 제2가이드(554)가 하판부(51)에 구비되는 경우, 제1가이드(553)는 상판부(52)에 구비되고, 회전볼부(555)가 제1가이드(553)와 제2가이드(55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기판안착부(20)에 안착된 기판(100)을 왕복 이동시키거나 기판(100)을 평면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기판(100)을 안정되게 정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가이드(554)가 상판부에 구비되는 경우, 제1가이드(553)는 하판부(51)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하판부(51)에서 이격 배치되고, 회전볼부(555)가 제1가이드(553)와 제2가이드(55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기판안착부(20)에 안착된 기판(100)을 왕복 이동시키거나 기판(100)을 평면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기판(100)을 안정되게 정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가이드(554)가 하판부(51)와 상판부(52)에 모두 구비되는 경우, 제1가이드(553)는 한 쌍의 제2가이드(554)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안착부(20)에 안착된 기판(100)을 왕복 이동시키거나 기판(100)을 평면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기판(100)을 안정되게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가이드(553)와 제2가이드(554) 사이에는 회전볼부(555)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기판(100)의 왕복 이동이나 기판(100)의 회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기판감지부(56, 57, 58)는 제1작동부(53) 내지 제3작동부(55)에 대응하여 세 개가 구비되고, 제1작동부(53) 내지 제3작동부(55)의 왕복 이동량을 결정하기 위해 기판(100)의 안착 상태를 감지한다. 기판감지부(56, 57, 58)는 제1작동부(53)의 동작을 위해 기판(100)을 감지하는 제1기판감지부(56)와, 제2작동부(54)의 동작을 위해 기판(100)을 감지하는 제2기판감지부(57)와, 제3작동부(55)의 동작을 위해 기판(100)을 감지하는 제3기판감지부(58)로 구분할 수 있다. 기판감지부(56, 57, 58)는 기판(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포토센서로 구성되어 기판(100)의 안착 상태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작동지지부(59)는 제1작동부(53) 내지 제3작동부(55)에서 이격되어 제1작동부(53) 내지 제3작동부(55)의 동작에 따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상판부(52)를 이동시킨다.
작동지지부(59)는 상술한 제1가이드(553)와 제2가이드(554)를 포함하고, 회전볼부(5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동지지부(59)는 제1작동부(53) 내지 제3작동부(55)에서 작동모터부(551)와 작동감지부(556)가 생략된 구성을 통해 제1작동부(53) 내지 제3작동부(55)와 연계되어 하판부(51) 상에서 상판부(52)를 4점 지지하고, 기판(100)의 왕복 이동이나 기판(100)의 회전을 안정화시키며, 기판(100)의 정렬 동작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에서 기판의 지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반전유닛에서 기판의 반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반전지지부(30)를 기판안착부(2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왕복모터부(41)가 동작되면, 왕복모터부(41)의 회전력은 제1전환블럭(42)과, 제1전달스크류(43)와, 제2전환블럭(44)과, 제2전달스크류(45)와, 제3전환블럭(46)을 거쳐 왕복지지부(47)에 전달된다. 그러면, 왕복지지부(47)는 제3전환블럭(46)에서 기판안착부(20)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지지돌부(32)의 지지패드부(323)가 기판안착부(20)에 안착된 기판(10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왕복감지부(33)의 감지 동작으로 왕복모터부(41)가 정지됨으로써, 반전지지부(30)의 지지돌부(32)가 기판안착부(20)에 안착된 기판(100)을 지지하게 된다.
반대로 왕복모터부(41)가 동작되면, 왕복지지부(47)는 제3전환블럭(46)에서 복귀함으로써, 지지돌부(32)의 지지패드부(323)가 기판안착부(20)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왕복감지부(33)의 감지 동작으로 왕복모터부(41)가 정지됨으로써, 반전지지부(30)의 지지돌부(32)가 기판안착부(20)에서 이격될 수 있다. 기판(100)이 반전된 상태에서는 반전지지부(30)의 지지돌부(32)에 기판(100)이 안착된 상태에서 기판(100)이 기판안착부(20)에서 이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반전구동부(11)의 동작에 따라 반전바디부(10)는 반전축부(12)와 비틀림부(13)를 중심으로 정회전됨으로써, 기판(100)이 기판안착부(20)와 반전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기판(100)을 180도 또는 360도 회전시켜 기판(100)을 반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반전구동부(11)의 동작에 따라 반전바디부(10)는 반전축부(12)와 비틀림부(13)를 중심으로 역회전됨으로써, 기판(100)이 기판안착부(20)와 반전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기판(100)을 180도 또는 360도 회전시켜 기판(1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반전구동부(11)의 동작에 따라 반전바디부(10)는 반전축부(12)와 비틀림부(13)를 중심으로 역회전됨으로써, 기판안착부(20)와 반전지지부(30)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반전바디부(10)를 180도 또는 360도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새로운 기판(100)을 투입할 수 있다.
상술한 기판반전유닛에 따르면, 기판(100)을 안정되게 흡착 지지할 수 있고, 흡착된 기판(100)을 원활하게 이송시키거나 반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착된 기판(100)을 흡착 지지할 때, 합착된 기판(100) 사이에 구비되는 씰부(103)가 기판(100)에서 분리(씰 터짐 현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판(100)의 흡착력을 향상시키며, 기판(100)이 이송되거나 반전되는 과정에서 기판(100)이 기판안착부(20)에서 분리되는 것을 예방하며, 기판(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100)이 이송되거나 반전될 때, 기판(100)의 편평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기판(100)을 흡착할 때, 기판(100)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기판(100)에 표면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100)의 반전을 용이하게 하고, 기판안착부(20) 또는 반전지지부(30)에 전달되는 기판(100)의 출렁임을 방지하며, 기판(100)의 출렁임에 의한 기판(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의 반전 동작에서 연결라인(미도시)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라인(미도시)의 탈락, 분리, 이탈, 늘어짐, 단선, 피복 벗겨짐 등을 방지하며, 연결라인(미도시)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케이블베어 갈림 문제를 해결하고, 케이블베어에서 연결라인(미도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 본체 100: 기판 101: 제1기판부
102: 제2기판부 103: 씰부 111: 적층부
112: 합착부 113: 코너컷부
10: 반전바디부 11: 반전구동부 12: 반전축부
13: 비틀림부 14: 완충부 20: 기판안착부
21: 안착바디부 22: 안착프레임부 23: 흡착부
231: 흡착관부 232: 흡착판부 233: 분배라인부
30: 반전지지부 31: 지지바디부 32: 지지돌부
321: 설치돌부 323: 지지패드부 324: 탄성패드
325: 충격흡수부 327: 길이조절부 33: 왕복감지부
331: 왕복단자부 332: 왕복센싱부 40: 왕복구동부
41: 왕복모터부 42: 제1전환블럭 43: 제1전달스크류
44: 제2전환블럭 45: 제2전달스크류 46: 제3전환블럭
47: 왕복지지부 50: 얼라인부 51: 하판부
52: 상판부 53: 제1작동부 54: 제2작동부
55: 제3작동부 551: 작동모터부 552: 작동스크류
553: 제1가이드 554: 제2가이드 555: 회전볼부
556: 작동감지부 557: 작동단자부 558: 작동센싱부
56: 제1기판감지부 57: 제2기판감지부 58: 제3기판감지부
59: 작동지지부

Claims (11)

  1. 정역회전을 위한 반전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반전바디부;
    상기 반전바디부에 구비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안착부;
    상기 기판안착부와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반전지지부;
    상기 반전바디부에 구비되어 상기 반전지지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구동부; 및
    상기 기판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기판을 정렬하는 얼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반전바디부에 결합되는 하판부;
    상기 기판안착부에 결합되는 상판부;
    상기 하판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판부를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작동부;
    상기 제1작동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하판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판부를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2작동부;
    상기 제1작동부와 상기 제2작동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하판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판부를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3작동부; 및
    상기 제1작동부 내지 상기 제3작동부의 왕복 이동량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기판의 안착 상태를 감지하는 기판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반전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구동부는,
    왕복 이동을 위해 정역회전되는 왕복모터부;
    상기 왕복모터부에 결합되어 상기 왕복모터부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1전환블럭;
    상기 제1전환블럭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제1전달스크류;
    상기 제1전달스크류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3전환블럭; 및
    상기 반전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3전환블럭의 회전력으로 왕복 이동되는 왕복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반전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구동부는,
    상기 제1전달스크류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2전환블럭; 및
    상기 제2전환블럭의 회전력을 상기 제3전환블럭에 전달하는 한 쌍의 제2전달스크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반전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지지부는,
    상기 왕복구동부에 결합되는 지지바디부;
    상기 지지바디부에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돌부; 및
    상기 지지돌부와 상기 기판의 접촉 상태를 감지하는 왕복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반전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는,
    상기 지지바디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설치돌부;
    상기 설치돌부에 결합되고, 단부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패드가 구비된 지지패드부; 및
    상기 설치돌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패드부를 탄성 지지하는 충격흡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반전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는,
    상기 기판안착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흡착부와 마주보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반전유닛.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제1작동부 내지 상기 제3작동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1작동부 내지 상기 제3작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상판부를 이동시키는 작동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반전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부 내지 상기 제3작동부는,
    왕복 이동량에 따라 작동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부;
    상기 작동스크류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드;
    상기 하판부와 상기 상판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의 왕복 이동 한계를 설정하는 작동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반전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부 내지 상기 제3작동부는,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반전유닛.
KR1020140055842A 2014-05-09 2014-05-09 기판반전유닛 KR102064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842A KR102064803B1 (ko) 2014-05-09 2014-05-09 기판반전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842A KR102064803B1 (ko) 2014-05-09 2014-05-09 기판반전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262A KR20150129262A (ko) 2015-11-19
KR102064803B1 true KR102064803B1 (ko) 2020-01-13

Family

ID=5484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842A KR102064803B1 (ko) 2014-05-09 2014-05-09 기판반전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8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248A (ja) * 2001-03-30 2002-10-18 Shibaura Mechatronics Corp 基板反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パネル製造装置
JP2005019986A (ja) 2003-06-25 2005-01-20 Dms:Kk 基板の水平及び上下移送装置
KR100653468B1 (ko) 2000-05-31 2006-12-04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 모듈의 반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798B1 (ko) * 2009-10-07 2015-02-02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반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468B1 (ko) 2000-05-31 2006-12-04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 모듈의 반전 장치
JP2002302248A (ja) * 2001-03-30 2002-10-18 Shibaura Mechatronics Corp 基板反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パネル製造装置
JP2005019986A (ja) 2003-06-25 2005-01-20 Dms:Kk 基板の水平及び上下移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262A (ko)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769B1 (ko)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EP3343047B1 (en) Display device
US11044824B2 (en) Connection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CN102910808B (zh) 使用断开板的断开装置
KR102069077B1 (ko) 기판반전장치
KR20110009488A (ko) 기판정렬장치
KR102064803B1 (ko) 기판반전유닛
KR102060078B1 (ko) 가압바유닛
CN104730743B (zh) 真空贴合设备
KR20120127801A (ko) 패널 자세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패널 부착장치
JP2013501256A (ja) パネルの平衡度調節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パネル貼合装置
CN101494091A (zh) 显示器
KR102033336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KR20110111818A (ko) 글라스 연마장치의 위치제어시스템
KR101441976B1 (ko) 반전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판 이송 장치
KR101419347B1 (ko) 라미네이트 장치
CN102914886B (zh) 显示装置
CN215812110U (zh) 一种液晶面板受力测试装置
CN220317635U (zh) 一种切割装置
CN219016742U (zh) 一种屏幕封屏保压治具
CN218200986U (zh) 基板的传送设备
KR101472977B1 (ko) 흡착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기판 이송 장치와 기판 이송 방법
KR101372974B1 (ko) 기판의 합착 방법 및 장치
CN210334802U (zh) 一种新型玻璃面板镭射机
KR101074264B1 (ko) 상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얼라인먼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