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463B1 - 로봇용 툴 체인저 - Google Patents

로봇용 툴 체인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463B1
KR102064463B1 KR1020180054355A KR20180054355A KR102064463B1 KR 102064463 B1 KR102064463 B1 KR 102064463B1 KR 1020180054355 A KR1020180054355 A KR 1020180054355A KR 20180054355 A KR20180054355 A KR 20180054355A KR 102064463 B1 KR102064463 B1 KR 102064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mber
housing
master
slave
bracke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546A (ko
Inventor
안진웅
김현중
이익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54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46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4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provision for the remote detachment or exchange of the head or parts thereof
    • B25J15/0408Connection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는, 로봇팔 및 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마스터부; 및 상기 마스터부에 대하여 장착되고 상기 로봇팔 및 툴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슬레이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부는, 상기 마스터부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1 하우징 부재; 상기 마스터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어,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탈부착에 의해서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봇용 툴 체인저{TOOL CHANGER FOR ROBOT}
본 발명은 로봇용 툴 체인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로봇용 툴 체인저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로봇용 툴 체인저는 크게 마스터 플레이트, 마스터의 인터페이스 플레이트, 툴 플레이트, 툴의 인터페이스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체결 메커니즘은 피스톤이 툴 플레이트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락킹볼이 툴 플레이트의 베어링레이스에 위치하게 된다. 캠과 베어링레이스사이에 락킹볼이 고정되면서 마스터 플레이트와 툴 플레이트가 체결되는 구조이다.
기존의 로봇용 툴 체인저를 적용하기 위해서 마스터와 툴 플레이트용 인터페이스 플레이트가 필요하다. 로봇과 툴에 인터페이스 플레이트를 먼저 장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전장 연결을 위해 마스터사이드와 툴 사이드에 전장모듈이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마스터와 툴을 체결하는 구조적 메커니즘이 복잡하다. 툴 교환장치를 사용하는 중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유지, 보수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이에 개선된 로봇용 툴 체인저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44204호 (2011.07.01. 공고)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하나의 로봇에 다양한 기능성 툴을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고, 툴 부분의 인터페이스 플레이트가 없이도 연결될 수 있는 로봇용 툴 체인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툴 체인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 및 세팅이 용이하게 하고, 전장모듈을 PCB도 대체하여, 설치상 제약 조건을 제거하며, 작동메커니즘을 구동 부재, 샤프트 브라켓 부재, 후크 브라켓 부재 및 그랩 브라켓 부재로 단순화 및 자동화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한 로봇용 툴 체인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슬레이브부를 탈부착이 가능한 복수 개의 하우징 부재로 구성하여 전원이 인가되어야만 툴 교체가 가능한 자동 툴 체인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로봇용 툴 체인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슬레이브부의 기본적인 부품과 구동 부재가 서로 다른 하우징 부재 내에 위치되어, 복수 개의 하우징 부재가 장착되는 경우 마스터부 및 슬레이브부가 자동으로 체결 가능하고 복수 개의 하우징 부재가 탈착되는 경우 마스터부 및 슬레이브부가 수동으로 체결 가능한 로봇용 툴 체인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일반적으로 산업 로봇 분야에서 각종 툴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한 환경에서 사람을 대신해 포탄을 제거하거나, 산소 공급, 지혈, 주사가젯 등의 구난/구호 작업을 하는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로봇용 툴 체인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는, 로봇팔 및 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마스터부; 및 상기 마스터부에 대하여 장착되고 상기 로봇팔 및 툴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슬레이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부는, 상기 마스터부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1 하우징 부재; 상기 마스터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어,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탈부착에 의해서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슬레이브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어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레버 요소; 및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 요소에 의해서 걸림 또는 풀림되는 돌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 요소가 상기 레버 요소에 의해서 풀림되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가 분리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슬레이브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에 의해서 직선운동하는 샤프트 브라켓 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내에서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회전운동하는 후크 브라켓 부재; 및 일단은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부는, 케이싱 부재; 및 상기 케이싱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 브라켓 부재와 체결 가능한 그랩 브라켓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그랩 브라켓 부재는 상기 케이싱 부재에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케이싱 부재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후크 브라켓 부재와 체결 가능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마스터부는, 상기 케이싱 부재 내에 배치된 제1 전장 부재; 및 상기 제1 전장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의 결합 유무을 확인하는 제1 체결 확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상면에서 상기 제1 전장 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전장 부재; 및 상기 제2 전장 부재에서 상기 제1 체결 확인 부재와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의 결합 유무을 확인하는 제2 체결 확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 스위치 및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제2 전장 부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해서 상기 구동 부재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슬레이브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하면에 장착된 플레이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상기 로봇팔 및 툴 중 다른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는, 로봇팔 및 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마스터부; 및 상기 마스터부에 대하여 장착되고 상기 로봇팔 및 툴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슬레이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부는, 상기 마스터부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1 하우징 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어 직선운동하는 샤프트 브라켓 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내에서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회전운동하는 후크 브라켓 부재; 및 일단은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가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가 수동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슬레이브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개방된 일측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 부재; 상기 제2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어,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를 체결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어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레버 요소 및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 요소에 의해서 걸림 또는 풀림되는 돌기 요소를 포함하는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가 자동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에 의하면, 하나의 로봇에 다양한 기능성 툴을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고, 툴 부분의 인터페이스 플레이트가 없이도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에 의하면, 툴 체인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 및 세팅이 용이하게 하고, 전장모듈을 PCB도 대체하여, 설치상 제약 조건을 제거하며, 작동메커니즘을 구동 부재, 샤프트 브라켓 부재, 후크 브라켓 부재 및 그랩 브라켓 부재로 단순화 및 자동화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에 의하면, 슬레이브부를 탈부착이 가능한 복수 개의 하우징 부재로 구성하여 전원이 인가되어야만 툴 교체가 가능한 자동 툴 체인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에 의하면, 슬레이브부의 기본적인 부품과 구동 부재가 서로 다른 하우징 부재 내에 위치되어, 복수 개의 하우징 부재가 장착되는 경우 마스터부 및 슬레이브부가 자동으로 체결 가능하고 복수 개의 하우징 부재가 탈착되는 경우 마스터부 및 슬레이브부가 수동으로 체결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산업 로봇 분야에서 각종 툴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한 환경에서 사람을 대신해 포탄을 제거하거나, 산소 공급, 지혈, 주사가젯 등의 구난/구호 작업을 하는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마스터부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슬레이브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슬레이브부의 제1 하우징 부재 및 제2 하우징 부재가 탈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마스터부의 내부 모습을 도시하고, 도 4는 슬레이브부의 분해도이고, 도 5는 슬레이브부의 제1 하우징 부재 및 제2 하우징 부재가 탈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 또는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10)는,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부(100)는 로봇팔 및 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터부(100)는 케이싱 부재(110), 제1 전장 부재(120), 그랩 브라켓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부재(110)의 상면에는 로봇팔 및 툴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 부재(110)는 슬레이브부(200)의 제1 하우징 부재(210)와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 사이의 결합 또는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 사이의 결합 또는 분리는 로봇에 대한 툴 부분의 교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케이싱 부재(110)에는 제1 전장 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장 부재(120)는 PCB 기판 형태로 마련되어,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고, 케이싱 부재(110)의 상면을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도 3을 참조하여, 케이싱 부재(110)에는 그랩 브라켓 부재(1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그랩 브라켓 부재(130)는 슬레이브부(300)의 후크 브라켓 부재(270)와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랩 브라켓 부재(130)는 후크 브라켓 부재(270)가 걸림 또는 풀림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그랩 브라켓 부재(130)는 케이싱 부재(110)의 상면에서 예를 들어 볼트로 고정되어,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 공간을 통해서 슬레이브부(200)의 후크 브라켓 부재(270)를 향해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그랩 브라켓 부재(130)는 케이싱 부재(110)에 볼트로 고정되어, 그랩 브라켓 부재(130)의 케이싱 부재(110)에 대한 결합 또는 분리 또한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2개의 그랩 브라켓 부재(130)가 제1 전장 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랩 브라켓 부재(130)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후크 브라켓 부재(270)와 효과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한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한편, 제1 전장 부재(120)의 하면에는 제1 체결 확인 부재(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 확인 부재(122)는 케이싱 부재(110) 및 제1 하우징 부재(210) 사이의 체결 유무, 더 나아가서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 사이의 체결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체결 확인 부재(122)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핀으로 마련되고, 제2 전장 부재(240)의 상면에 구비된 제2 체결 확인 부재(242)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핀 접점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핀 및 스프링 핀 접점의 전기적 연결을 통하여 케이싱 부재(110) 및 제1 하우징 부재(210) 사이의 체결 유무, 더 나아가서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 사이의 체결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체결 확인 부재(122) 및 제2 체결 확인 부재(242)의 구성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케이싱 부재(110) 및 제1 하우징 부재(210) 사이의 체결 유무, 더 나아가서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 사이의 체결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전술된 마스터부(100)에는 슬레이브부(2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슬레이브부(200)에는 로봇팔 및 툴 중 다른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부(100)에 로봇팔이 연결된다면, 슬레이브부(200)에는 툴이 연결될 수 있고, 마스터부(100)에 툴이 연결된다면, 슬레이브부(200)에는 로봇팔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도 4를 더 참조하여, 상기 슬레이브부(200)는 제1 하우징 부재(210), 제2 하우징 부재(220), 플레이트 부재(230), 제2 전장 부재(240), 구동 부재(250),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 후크 브라켓 부재(270), 링크 부재(280) 및 탈부착 부재(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10)는 마스터부(100)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 부재(210)는 케이싱 부재(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케이싱 부재(110)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 부재(210)의 상면에는 제2 전장 부재(240)가 장착될 수 있고, 제1 하우징 부재(210)에는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 후크 브라켓 부재(270) 및 링크 부재(280)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제1 하우징 부재(210)의 하부는 플레이트 부재(230)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 부재(210)의 일측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재(210)의 개방된 일측에는 제2 하우징 부재(22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재(210) 및 제2 하우징 부재(220)는 서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된다.
또한, 제1 하우징 부재(210)의 상면에는 케이싱 부재(110)에 장착된 그랩 브라켓 부재(130)가 관통되는 관통홀(212)이 구비될 수 있으며, 관통홀(212)의 하부에는 후크 브라켓 부재(270)가 배치되어, 그랩 브라켓 부재(130)가 관통홀(212)을 통해서 후크 브라켓 부재(270)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 부재(210)의 타측에는 전원 스위치(214)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214)는 제2 하우징 부재(220)의 내부에 수용된 구동 부재(2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원 스위치(214), 제1 전장 부재(120), 제2 전장 부재(240) 및 구동 부재(250) 사이에는 전기적인 연결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원 스위치(214)가 ON으로 되는 경우, 구동 부재(250)가 작동 개시되어,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가 자동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의 결합 또는 분리는 구동 부재(250)의 구동 방향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제1 하우징 부재(210)의 개방된 외측에는 제2 하우징 부재(2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20)는 마스터부(100)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 하우징 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하우징 부재(220)의 상면 중 일부는 제1 하우징 부재(210)의 하면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하우징 부재(210)의 상면 또한 마스터부(100)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 부재(220) 내에는 구동 부재(25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 하우징 부재(210) 및 제2 하우징 부재(220)의 탈부착에 의해서, 구동 부재(250)가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의 결합 또는 분리에 관여하거나 관여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부재(210) 및 제2 하우징 부재(220)가 탈착된 경우, 구동 부재(250)가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 후크 브라켓 부재(270) 및 링크 부재(280)와 기계적으로 분리되어서, 제1 하우징 부재(21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수동으로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 후크 브라켓 부재(270) 및 링크 부재(280)를 구동시켜, 결국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수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전원이 인가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로봇용 툴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다.
반면, 제1 하우징 부재(210) 및 제2 하우징 부재(220)가 장착된 경우, 구동 부재(250)가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 후크 브라켓 부재(270) 및 링크 부재(280)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서, 구동 부재(250)에 의해서 자동으로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 후크 브라켓 부재(270) 및 링크 부재(280)를 구동시켜, 결국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 부재(210)의 하면에는 플레이트 부재(2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 부재(230)에 로봇팔 및 툴 중 다른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부재(230)의 상면에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 후크 브라켓 부재(270) 및 링크 부재(28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 부재(210)에는 제2 전장 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장 부재(240)는 PCB 기판 형태로 마련되어, 제1 하우징 부재(21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고, 제1 전장 부재(120)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전장 부재(240)의 상면에는 스프링 핀 접점으로 마련되어,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의 결합 또는 분리를 확인할 수 있는 체결 확인 부재(242)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하우징 부재(220) 내에는 구동 부재(2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250)는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를 자동으로 체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부재(250)는 서보 모터로 마련될 수 있으며, 구동 부재(250)의 샤프트가 제2 하우징 부재(220) 내에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부재(250)의 샤프트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 후크 브라켓 부재(270) 및 링크 부재(280)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를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는 구동 부재(250)의 샤프트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 후크 브라켓 부재(270) 및 링크 부재(280)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를 자동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 부재(210) 내에는 구동 부재(250)의 구동에 의해서 직선운동하는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 부재(250) 및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 사이에는 구동 부재(250)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로드 부재(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 부재가 구동 부재(25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로드 부재가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를 밀어주거나 당겨줄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 부재(210) 내에서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에 후크 브라켓 부재(27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크 브라켓 부재(27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케이싱 부재(110)에 장착된 그랩 브라켓 부재(120)와 체결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 브라켓 부재(270)는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의 전진 운동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후크 브라켓 부재(270)가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후크 브라켓 부재(270)는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회전운동할 수 있고, 후크 브라켓 부재(270)는 회전운동하여서 그랩 브라켓 부재(120)에 대하여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 및 후크 브라켓 부재(270) 사이에는 링크 부재(280)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 부재(280)의 일단에는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가 연결되고, 링크 부재(280)의 타단에는 후크 브라켓 부재(270)가 연결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후크 브라켓 부재(270)가 구비된 경우, 링크 부재(280) 또한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의 링크 부재(280) 중 하나는,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 및 복수 개의 후크 브라켓 부재(270) 중 하나와 연결되고, 복수 개의 링크 부재(280) 중 다른 하나는,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 및 복수 개의 후크 브라켓 부재(270)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후크 브라켓 부재(270) 및 복수 개의 링크 부재(280)는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의 전진 운동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 부재(280)는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의 직선운동과 연동되어서 후크 브라켓 부재(270)를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10)는 작동메커니즘을 구동 부재,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 후크 브라켓 부재(270) 및 그랩 브라켓 부재(120)로 단순화 및 자동화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부재(210) 및 제2 하우징 부재(220)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1 하우징 부재(210) 및 제2 하우징 부재(220)에는 탈부착 부재(2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부재(290)는 레버 요소(292) 및 돌기 요소(2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요소(292)는 제2 하우징 부재(220)의 상면에 배치되어 수동으로 조작 가능할 수 있고, 상기 돌기 요소(294)는 제1 하우징 부재(210)의 상면에 배치되어, 레버 요소(292)에 의해서 걸림 또는 풀림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 요소(292)를 수동으로 돌려서, 레버 요소(292)에 의해서 돌기 요소(294)가 풀림되면서 제1 하우징 부재(210) 및 제2 하우징 부재(220)가 분리될 수 있다. 반면, 레버 요소(292)를 수동으로 돌려서, 레버 요소(292)에 의해서 돌기 요소(294)가 걸림되면서 제1 하우징 부재(210) 및 제2 하우징 부재(2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버 요소(292) 및 돌기 요소(294)의 결합 또는 분리에 의해서 제1 하우징 부재(210) 및 제2 하우징 부재(220)가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전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용 툴 체인저(10)에서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는 다음과 같이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우선, 전원이 공급되는 상황에서,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가 접촉되도록 배치된 후, 전원 스위치(214)를 켜서 구동 부재(250)를 제1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레버 요소(292)에 의해서 돌기 요소(294)가 걸림되어, 제1 하우징 부재(210) 및 제2 하우징 부재(220)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부재(250)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면,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가 구동 부재(2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링크 부재(280)를 회전시키고, 후크 브라켓 부재(270)를 회전시켜서, 후크 브라켓 부재(270)가 그랩 브라켓 부재(12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장 부재(120)에 구비된 제1 체결 확인 부재(122) 및 제2 전장 부재(240)에 구비된 제2 체결 확인 부재(242)의 접점을 통하여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의 완전 체결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구동 부재(250)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면,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가 구동 부재(2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링크 부재(280)를 회전시키고, 후크 브라켓 부재(270)를 회전시켜서, 후크 브라켓 부재(270)를 그랩 브라켓 부재(1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는 자동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 제1 하우징 부재(210) 및 제2 하우징 부재(2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 요소(292)를 수동으로 돌려서 돌기 요소(294)가 레버 요소(292)로부터 풀리게 할 수 있다. 이때, 제2 하우징 부재(220) 내에 배치된 구동 부재(250) 또한 제2 하우징 부재(220)와 함께 분리될 수 있고,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가 제1 하우징 부재(210)의 개방된 일측으로 통해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를 제1 하우징 부재(210)의 내부를 향하여 밀어주면 링크 부재(280)가 회전되고 후크 브라켓 부재(270)가 회전되어서, 후크 브라켓 부재(270)가 그랩 브라켓 부재(12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장 부재(120)에 구비된 제1 체결 확인 부재(122) 및 제2 전장 부재(240)에 구비된 제2 체결 확인 부재(242)의 접점을 통하여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의 완전 체결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작업자가 샤프트 브라켓 부재(260)를 제1 하우징 부재(210)의 외부를 향하여 당겨주면 링크 부재(280)가 회전되고 후크 브라켓 부재(270)가 회전되어서, 후크 브라켓 부재(270)가 그랩 브라켓 부재(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터부(100) 및 슬레이브부(200)는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고, 따라서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로봇팔에 대하여 툴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 로봇용 툴 체인저.
100: 마스터부
110: 케이싱 부재
120: 제1 전장 부재
130: 그랩 브라켓 부재
122: 제1 체결 확인 부재
200: 슬레이브부
210: 제1 하우징 부재
212: 관통홀
214: 전원 스위치
220: 제2 하우징 부재
230: 플레이트 부재
240: 제2 전장 부재
242: 제2 체결 확인 부재
250: 구동 부재
260: 샤프트 브라켓 부재
270: 후크 브라켓 부재
280: 링크 부재
290: 탈부착 부재
292: 레버 요소
294: 돌기 요소

Claims (9)

  1. 로봇팔 및 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마스터부; 및
    상기 마스터부에 대하여 장착되고 상기 로봇팔 및 툴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슬레이브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부는,
    상기 마스터부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1 하우징 부재;
    상기 마스터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 부재;
    상기 제2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어,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에 의해서 직선운동하는 샤프트 브라켓 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내에서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회전운동하는 후크 브라켓 부재; 및
    일단은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부는,
    케이싱 부재; 및
    상기 케이싱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 브라켓 부재와 체결 가능한 그랩 브라켓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그랩 브라켓 부재는 상기 케이싱 부재에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케이싱 부재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후크 브라켓 부재와 체결 가능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탈부착에 의해서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로봇용 툴 체인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어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레버 요소; 및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 요소에 의해서 걸림 또는 풀림되는 돌기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 요소가 상기 레버 요소에 의해서 풀림되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가 분리되는 로봇용 툴 체인저.
  3. 삭제
  4. 삭제
  5. 로봇팔 및 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마스터부; 및
    상기 마스터부에 대하여 장착되고 상기 로봇팔 및 툴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슬레이브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부는,
    상기 마스터부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1 하우징 부재;
    상기 마스터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 부재;
    상기 제2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어,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에 의해서 직선운동하는 샤프트 브라켓 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내에서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회전운동하는 후크 브라켓 부재;
    일단은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상면에서 제1 전장 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전장 부재; 및
    상기 제2 전장 부재에서 제1 체결 확인 부재와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의 결합 유무을 확인하는 제2 체결 확인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부는,
    케이싱 부재;
    상기 케이싱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 브라켓 부재와 체결 가능한 그랩 브라켓 부재;
    상기 케이싱 부재 내에 배치된 제1 전장 부재; 및
    상기 제1 전장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의 결합 유무을 확인하는 제1 체결 확인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탈부착에 의해서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로봇용 툴 체인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 스위치 및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제2 전장 부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해서 상기 구동 부재에 전원이 공급되는 로봇용 툴 체인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하면에 장착된 플레이트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상기 로봇팔 및 툴 중 다른 하나가 장착되는 로봇용 툴 체인저.
  8. 로봇팔 및 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마스터부; 및
    상기 마스터부에 대하여 장착되고 상기 로봇팔 및 툴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슬레이브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부는,
    상기 마스터부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1 하우징 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어 직선운동하는 샤프트 브라켓 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내에서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회전운동하는 후크 브라켓 부재;
    일단은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개방된 일측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 부재;
    상기 제2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어,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를 체결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어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레버 요소 및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 요소에 의해서 걸림 또는 풀림되는 돌기 요소를 포함하는 탈부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가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샤프트 브라켓 부재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가 수동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슬레이브부가 자동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로봇용 툴 체인저.
  9. 삭제
KR1020180054355A 2018-05-11 2018-05-11 로봇용 툴 체인저 KR102064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355A KR102064463B1 (ko) 2018-05-11 2018-05-11 로봇용 툴 체인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355A KR102064463B1 (ko) 2018-05-11 2018-05-11 로봇용 툴 체인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546A KR20190129546A (ko) 2019-11-20
KR102064463B1 true KR102064463B1 (ko) 2020-02-11

Family

ID=6872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355A KR102064463B1 (ko) 2018-05-11 2018-05-11 로봇용 툴 체인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4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238B1 (ko) * 1990-07-11 1999-06-15 기쿠치 아사오 로보트용 공구 교환장치
JP3419543B2 (ja) 1994-04-22 2003-06-23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平行開閉チャック装置
JP3492566B2 (ja) * 1999-09-20 2004-02-03 株式会社ハーモ ロボットアーム用治工具等の着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204B1 (ko) 2003-12-23 2011-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로봇핸드용 툴체인저의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238B1 (ko) * 1990-07-11 1999-06-15 기쿠치 아사오 로보트용 공구 교환장치
JP3419543B2 (ja) 1994-04-22 2003-06-23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平行開閉チャック装置
JP3492566B2 (ja) * 1999-09-20 2004-02-03 株式会社ハーモ ロボットアーム用治工具等の着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546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6143B2 (ja)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そのハウジング部品
RU2608934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100307279A1 (en) Robust Manual Connector for Robotic Arm End Effector
US20060033253A1 (en) Electrically driven tool
US9948074B2 (en) Circuit breaker arrangement
CN105415077A (zh) 用于加工工件的限制区的设备与方法
US10958014B1 (en) Blind mate mechanism
CN110978060B (zh) 机器人末端工具快速换接装置及换接方法
KR20020060586A (ko) 조작기 및 밸브장치
SK50452010A3 (sk) Auto lock mechanism
CA2620557C (en) Actuator device
KR102064463B1 (ko) 로봇용 툴 체인저
CN111819112B (zh) 用于操纵自动变速器的切换元件的电动马达和带有此电动马达的系统
US8047152B2 (en) Hinge joint for cylinder actuators of watercraft trim tabs, trim tab and trim tab control system
US11602860B2 (en) Tool changing system of robot manipulator
WO2015015291A1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10759061B2 (en) Robotic tool changer having over-center cam and remote power source
CN110335776A (zh) 一种模块化隔离开关操作机构箱
CN108488577B (zh) 一种云台
CN108591290B (zh) 一种动力传动装置和拆装方法
CN103077839B (zh) 电源切断装置
KR102333916B1 (ko) 로봇 머니퓰레이터의 툴 체인징 시스템
JP6743608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EP3989370A1 (en) Housing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operating lever as well as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009060771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