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180B1 - 물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물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180B1
KR102064180B1 KR1020170052238A KR20170052238A KR102064180B1 KR 102064180 B1 KR102064180 B1 KR 102064180B1 KR 1020170052238 A KR1020170052238 A KR 1020170052238A KR 20170052238 A KR20170052238 A KR 20170052238A KR 102064180 B1 KR102064180 B1 KR 102064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link
supply sour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931A (ko
Inventor
이종환
박찬정
정웅
김현구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180B1/ko
Priority to EP18791239.9A priority patent/EP3613701B1/en
Priority to CN201880025319.6A priority patent/CN110536859B/zh
Priority to PCT/KR2018/004437 priority patent/WO2018199533A1/ko
Priority to JP2019557803A priority patent/JP6929965B2/ja
Priority to US16/607,288 priority patent/US11370647B2/en
Publication of KR20180118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49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65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drinking cups or g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4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물배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배출장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본체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2본체와 함께 이동하며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로가 밀봉되게 연결되도록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배출장치{WATER DIS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물공급원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배출장치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물공급원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물배출장치는, 예컨대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수처리장치에서 처리된 물인 정수 등의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한편, 물배출장치는 수처리장치 등의 물공급원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는 자기 자신 또는 사용목적에 알맞게 물배출장치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물배출장치를 통해 물공급원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종래, 이와 같이 물배출장치가 수처리장치 등의 물공급원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 물배출장치와 수처리장치 등의 물공급원은 물배출장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플렉시블관으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플렉시블관이 구비되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공간을 차지하였다. 또한, 플렉시블관은 대개 곡선으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관의 구부러진 부분에 이물질이 침착되어 사용자에게 이물질이 포함된 물을 공급하였다. 그리고, 장기간 사용하면 플렉시블관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물배출장치를 통해 물공급원으로부터 외부로의 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플렉시블관을 사용하지 않고도 물배출장치가 이동가능하면서 물공급원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비교적 작은 공간으로도 물배출장치가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배출장치의 위생성을 향상시켜서 사용자에게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배출장치를 통한 물공급원으로부터 외부로의 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물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배출장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본체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2본체와 함께 이동하며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로가 밀봉되게 연결되도록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로가 형성되며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 일측의 링크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급원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원연결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 일부의 링크부재에는 각각 제1회전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 일부의 링크부재에는 각각 상기 제1회전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제1회전연결부와 제2회전연결부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연결부에 상기 제2회전연결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연결부에는 상기 제1회전연결부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는 상기 공급원연결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원연결부재와 제1링크부재 및 제3링크부재에는 각각 상기 제1회전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에는 각각 상기 제2회전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 타측의 링크부재와 상기 제2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타측의 링크부재의 유로와 외부에 연결되는 배출로가 형성되는 배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에는 부재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에는 상기 부재관통구멍을 관통하는 이동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본체에는 이동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부재관통구멍 측의 상기 제1본체의 부분은 상기 이동가이드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제2본체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동가이드구멍과, 상기 제1본체에 형성되는 본체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본체에는 상기 배출부재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끼워져서 연결되는 끼움연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시블관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개의 링크부재를 사용하여, 물배출장치가 이동가능하면서 물공급원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적 작은 공간으로도 물배출장치가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배출장치의 위생성을 향상시켜서 사용자에게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배출장치를 통한 물공급원으로부터 외부로의 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전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후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본체부를 분해한 상태의 물배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배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배출부의 유로와 배출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물배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전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후면사시도이다.
또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본체부를 분해한 상태의 물배출장치의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배출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배출부의 유로와 배출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100)의 일실시예는 본체부(200)와, 배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00)는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본체(210)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의 장치본체(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물공급원은, 예컨대 정수기의 등의 수처리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본체(210)는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장치본체에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본체(210)는 수처리장치의 장치본체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물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공급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본체(210)가 물공급원의 장치본체, 예컨대 수처리장치의 장치본체에 연결되는 구성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장치본체에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1본체(21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관통구멍(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본체(210)에는 복수개의 구멍형성부(211)가 제1본체(210)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개의 구멍형성부(211) 각각에 부재관통구멍(21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부재관통구멍(211a)이 제1본체(210)에 형성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부재관통구멍(211a)에는 제2본체(220)에 구비되는 후술할 이동가이드부재(224)가 관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본체(210)의 부재관통구멍(211a) 측의 부분, 예컨대 제1본체(210)의 구멍형성부(211)는 제2본체(220)에 형성되는 후술할 이동가이드구멍(222a)을 통과하여 제2본체(2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제2본체(220)가 이동가능하게 제1본체(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본체(220)가 이동가능하게 제1본체(2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1본체(210)에는 본체관통구멍(212)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관통구멍(212)을, 제2본체(220)에 연결되는 배출부(300)가 관통하여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본체(220)가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예컨대 승강하더라도, 배출부(300)는 물공급원에 계속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본체(220)의 이동위치에 관계없이 물공급원의 물이 배출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본체(220)는 제1본체(21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본체(220)에는 이동가이드부재(224)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본체(220)에는 부재연결구멍(222c,223a)이 형성되고 부재연결구멍(222c,223a)에 이동가이드부재(224)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이동가이드부재(224)가 제2본체(22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본체(220)에는 이동가이드구멍(22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본체(210)의 부재관통구멍(211a) 측의 부분, 예컨대 구멍형성부(211)가 이동가이드구멍(222a)을 통과하여 제2본체(2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가이드부재(224)가 제1본체(210)의 부재관통구멍(211a)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본체(220)가 제1본체(21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이동가이드부재(224)와 이동가이드구멍(222a)에 의해서 제2본체(220)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이동가이드구멍(222a)의 길이에 따라 제2본체(220)의 이동거리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본체(220)가 제1본체(21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본체(220)에는 끼움연결구멍(222b)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연결구멍(222b)에는 배출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배출부재(35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끼워져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출부(300)가 제2본체(220)에 연결되어, 제2본체(22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본체(2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형성부재(221), 후면하면형성부재(222) 및, 상면형성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형성부재(221)는 제2본체(22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하면형성부재(222)는 제2본체(220)의 후면과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형성부재(221)와 후면하면형성부재(222)가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제2본체(220)의 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면형성부재(223)가 전면형성부재(221)와 후면하면형성부재(222)에 연결되어 제2본체(22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형성부재(221)에는 배출부(300)로부터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버튼(BT)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면하면형성부재(222)에는 전술한 이동가이드구멍(222a)과 끼움연결구멍(222b) 및 부재연결구멍(222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면형성부재(223)에는 부재연결구멍(22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본체(22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본체(21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배출부(300)가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본체(220)에는 배출가이드부재(225)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가이드부재(225)에 의해서 배출부(30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물이 가이드될 수 있다. 배출가이드부재(225)는, 예컨대 끼움연결구멍(222b) 주위의 후면하면형성부재(222) 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가이드부재(225)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출부(30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가이드할 수 있는 위치라면 제2본체(220)의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배출부(300)는 본체부(200)의 제2본체(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출부(300)는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제2본체(220)의 이동에 따라 제2본체(2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300)는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부(300)는, 예컨대 본체부(200)의 제2본체(220)의 이동가이드구멍(222a)과 제1본체(210)의 본체관통구멍(212)을 관통하여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본체부(200)의 제2본체(220)가 이동하더라도 배출부(300)는 물공급원에 계속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200)의 제2본체(220)의 이동위치, 즉 제2본체(220)와 함께 이동하는 배출부(300)의 이동위치에 관계없이 물공급원의 물이 배출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부(300)는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유동하는 유로(RF)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는 유로(RF)가 밀봉되게 연결되도록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200)의 제2본체(220)의 이동에 의해서 배출부(300)가 제2본체(2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물공급원의 물이 배출부(300)의 이동위치에 관계없이 배출부(300)의 유로(RF)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관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를 사용하여, 배출부(300)가 본체부(200)의 제2본체(220)와 함께 이동하면서도, 물공급원의 물이 배출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공간으로도 물배출장치(100)가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 각각은 플렉시블관과 같이 곡선으로 구부러진 부분이 없기 때문에, 이물질이 침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배출장치(100)의 위생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에게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장기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기 때문에, 물배출장치(100)를 통한 물공급원으로부터 외부로의 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는 제1링크부재(320), 제2링크부재(330) 및, 제3링크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제1링크부재(320)는 배출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공급원연결부재(3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부재(330)는 제1링크부재(3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링크부재(340)는 제2링크부재(3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배출부(300)는 공급원연결부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원연결부재(310)에도 유로(RF)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급원연결부재(310)는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급원연결부재(310)에는 유로(RF)가 연장형성되며 연결관(도시되지 않음) 또는 직접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연결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은 연결구(312)를 통해 공급원연결부재(310)의 유로(RF)에 유입되어 공급원연결부재(310)의 유로(RF)를 유동할 수 있다.
공급원연결부재(310)에는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 중 일측의 링크부재(320), 예컨대 제1링크부재(32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공급원연결부재(310)와,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 중 일부의 링크부재(320,340)에는 각각 제1회전연결부(311,321,341)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원연결부재(310)와 제1링크부재(320) 및 제3링크부재(340)에 각각 제1회전연결부(311,321,3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 중 일부의 링크부재(320,330)에는 제1회전연결부(311,321,34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연결부(322,331)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부재(320)와 제2링크부재(330)에 각각 제2회전연결부(322,3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링크부재(330)에는 제2회전연결부(331)만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원연결부재(310)와 복수개의 링크부재(32O,330,340) 각각의 유로(RF)는 공급원연결부재(310)와 복수개의 링크부재(32O,330,340)의 제1회전연결부(311,321,341)와 제2회전연결부(322,331)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2회전연결부(322,331)에는 밀봉부재(OR)가 구비되어, 제2회전연결부(322,331) 각각이 각각의 제1회전연결부(311,321,341)에 삽입되었을 때, 제2회전연결부(322,331)와 제1회전연결부(311,321,341) 사이가 밀봉부재(OR)에 의해서 밀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공급원연결부재(310)와,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 예컨대 제1 내지 제3링크부재(320,330,340)가, 유로(RF)가 밀봉되게 연결되도록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급원연결부재(310)와,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가, 유로(RF)가 밀봉되게 연결되도록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배출부(300)는 배출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재(350)는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 중 타측의 링크부재(340)와 본체부(200)의 제2본체(2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배출부재(350)는 제3링크부재(340)에 끼워맞춤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재(350)가 본체부(200)의 제2본체(220)의 끼움연결구멍(222b)에 끼워져서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배출부재(350)가 본체부(200)의 제2본체(2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부재(350)가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 중 타측의 링크부재(340)에 연결되는 구성과, 배출부재(350)가 본체부(200)의 제2본체(22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배출부재(350)에는 배출로(RD)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로(RD)는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 중 타측의 링크부재(340), 예컨대 제3링크부재(340)의 유로(RF)와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원연결부재(310)의 연결구(312)를 통해 공급원연결부재(310)의 유로(RF)에 유입된 물은,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의 유로(RF)를 유동한 후, 배출부재(350)의 배출로(R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공급원연결부재(310)와 복수개의 링크부재(320,330,340)의 유로(RF)의 개방된 부분은 플러그부재(PG)에 의해서 막힐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를 사용하면, 플렉시블관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개의 링크부재를 사용하여, 물배출장치가 이동가능하면서 물공급원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비교적 작은 공간으로도 물배출장치가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고, 물배출장치의 위생성을 향상시켜서 사용자에게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물배출장치를 통한 물공급원으로부터 외부로의 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배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물배출장치 200 : 본체부
210 : 제1본체 211 : 구멍형성부
211a : 부재관통구멍 212 : 본체관통구멍
220 : 제2본체 221 : 전면형성부재
222 : 후면하면형성부재 222a : 이동가이드구멍
222b : 끼움연결구멍 222c, 223a : 부재연결구멍
223 : 상면형성부재 224 : 이동가이드부재
225 : 배출가이드부재 300 : 배출부
310 : 공급원연결부재 311, 321, 341 : 제1회전연결부
312 : 연결구 320 : 제1링크부재
322, 331 : 제2회전연결부 330 : 제2링크부재
340 : 제3링크부재 350 : 배출부재
RF : 유로 RD : 배출로
OR : 밀봉부재 PG : 플러그부재
BT : 버튼

Claims (12)

  1.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본체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2본체와 함께 이동하며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로가 밀봉되게 연결되도록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에는 부재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본체에는 상기 부재관통구멍을 관통하는 이동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본체에는 이동가이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부재관통구멍 측의 상기 제1본체의 부분은 상기 이동가이드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제2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동가이드구멍과 상기 제1본체에 형성되는 본체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로가 형성되며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 일측의 링크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급원연결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 타측의 링크부재와 상기 제2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타측의 링크부재의 유로와 외부에 연결되는 배출로가 형성되는 배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본체관통구멍과 이동가이드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2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원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동가이드구멍과 본체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물배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원연결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 일부의 링크부재에는 각각 제1회전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 일부의 링크부재에는 각각 상기 제1회전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제1회전연결부와 제2회전연결부까지 연장형성되는 물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연결부에 상기 제2회전연결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물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연결부에는 상기 제1회전연결부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가 구비되는 물배출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는
    상기 공급원연결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부재
    를 포함하는 물배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원연결부재와 제1링크부재 및 제3링크부재에는 각각 상기 제1회전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에는 각각 상기 제2회전연결부가 형성되는 물배출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에는 상기 배출부재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끼워져서 연결되는 끼움연결구멍이 형성되는 물배출장치.
KR1020170052238A 2017-04-24 2017-04-24 물배출장치 KR102064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238A KR102064180B1 (ko) 2017-04-24 2017-04-24 물배출장치
EP18791239.9A EP3613701B1 (en) 2017-04-24 2018-04-17 Water discharge device
CN201880025319.6A CN110536859B (zh) 2017-04-24 2018-04-17 排水装置
PCT/KR2018/004437 WO2018199533A1 (ko) 2017-04-24 2018-04-17 물배출장치
JP2019557803A JP6929965B2 (ja) 2017-04-24 2018-04-17 水排出装置
US16/607,288 US11370647B2 (en) 2017-04-24 2018-04-17 Water dischar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238A KR102064180B1 (ko) 2017-04-24 2017-04-24 물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931A KR20180118931A (ko) 2018-11-01
KR102064180B1 true KR102064180B1 (ko) 2020-01-09

Family

ID=6392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238A KR102064180B1 (ko) 2017-04-24 2017-04-24 물배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70647B2 (ko)
EP (1) EP3613701B1 (ko)
JP (1) JP6929965B2 (ko)
KR (1) KR102064180B1 (ko)
CN (1) CN110536859B (ko)
WO (1) WO20181995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956A (ko) 2022-03-04 2023-09-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509B1 (ko) * 2019-05-10 2021-03-05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출수부 모듈이 이동하는 경우 유로가 유지되는 수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38817A (en) 1934-08-15 1935-11-25 Thomas Hall Improvements in cellar equipments for drawing beer
US2240392A (en) * 1938-12-23 1941-04-29 B S Allen Nozzle
US3666179A (en) * 1970-09-28 1972-05-30 Peschcke Andreas P Adjustable shower apparatus
US3726318A (en) * 1971-10-28 1973-04-10 Pryde Inc Faucet
US4437497A (en) * 1981-09-23 1984-03-20 Enander Frederick A Ultrasonic control of filling a container
JP3441669B2 (ja) 1999-03-12 2003-09-02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切替コック
DE10239595B4 (de) * 2002-08-28 2006-02-09 Niro-Plan Ag Abgabevorrichtung für Getränke
EP1472963B1 (de) * 2003-05-02 2008-12-10 M. Schaerer AG Einrichtung zur Ausgabe von Milch und/oder Milchschaum
FR2879426B1 (fr) 2004-12-21 2007-02-23 Seb Sa Machine a cafe munie d'une buse vapeur
DE202005011476U1 (de) * 2005-07-21 2005-10-27 Eugster/Frismag Ag Kaffeeautomat mit einer höhenverstellbaren und arretierbaren Auslaufeinheit
KR101051775B1 (ko) 2009-08-11 2011-07-26 손종채 회전식 분수 구동장치
KR101106580B1 (ko) 2009-09-21 2012-01-19 임동원 유로어댑터
KR20120070286A (ko) 2010-12-21 2012-06-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EP2599412A1 (en) * 2011-12-01 2013-06-05 Nestec S.A.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US9568132B2 (en) * 2012-07-13 2017-02-14 Kohler Co. Clutched joint for articulating faucet
KR101988946B1 (ko) 2012-09-06 2019-06-12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출수유닛의 이동구조
EP2965671B1 (en) * 2014-07-07 2018-02-28 De'Longhi Appliances S.r.l. Milk container that can be associated with a coffee machine and coffee machine having such a milk container
KR102307150B1 (ko) * 2014-09-12 2021-10-05 코웨이 주식회사 음료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956A (ko) 2022-03-04 2023-09-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3701A4 (en) 2020-04-15
US20200384390A1 (en) 2020-12-10
US11370647B2 (en) 2022-06-28
JP2020517540A (ja) 2020-06-18
WO2018199533A1 (ko) 2018-11-01
CN110536859B (zh) 2021-06-25
EP3613701B1 (en) 2021-06-02
CN110536859A (zh) 2019-12-03
EP3613701A1 (en) 2020-02-26
KR20180118931A (ko) 2018-11-01
JP6929965B2 (ja)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180B1 (ko) 물배출장치
ATE377994T1 (de) Milchschäumvorrichtung mit bläschenformer
US2149930A (en) Nozzle for spraying devices
DE112013002337T5 (de) Oberflächenreinigungsvorrichtung mit Zerstäubungs- oder Sprühfunktion
SG151305A1 (en) Improved nozzle
JP2007167831A (ja) 霧噴射機能を備えた散水ノズル
US790353A (en) Irrigator for urethral or other cavities.
JPWO2016059919A1 (ja) 挿入機器の洗浄具
US1142249A (en) Discharging-nozzle for water-closets.
WO2007057426A3 (en)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particles into a stream
JP2000170682A5 (ko)
JONATHAN &
EP2255868A3 (en) Mixing device for mixing fluids
KR102220089B1 (ko) 송풍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EP1783287A3 (en) Waste water separator device
DE3871917D1 (de) Geraet zum versetzen eines untergetauchten gegenstandes.
DE202015006382U1 (de) Mischkopf für eine Schaummaschine
KR102504982B1 (ko) 온수배출장치
KR101842035B1 (ko) 해파리용 수조
JP6909992B2 (ja) 水栓装置
KR101852004B1 (ko) 비데용 노즐팁
DE102010006179B4 (de) Modellbahn-Rauchdampferzeuger
CN210104896U (zh) 一种坐便器清洗机构
DE10205303B4 (de) Inhalationsgerät mit Schalldämpfer
NL9201326A (nl) Uitstroommondstuk voor een fluidum alsmede bad voorzien van een dergelijk uitstroommondstu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