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155B1 -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155B1
KR102064155B1 KR1020187036363A KR20187036363A KR102064155B1 KR 102064155 B1 KR102064155 B1 KR 102064155B1 KR 1020187036363 A KR1020187036363 A KR 1020187036363A KR 20187036363 A KR20187036363 A KR 20187036363A KR 102064155 B1 KR102064155 B1 KR 102064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ignal
telephone
unit
not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033A (ko
Inventor
와타루 후시미
요시타카 오타키
쥰시로 간다
아키히코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7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Abstract

PB 해석 장치(15)는, 감시 대상 기기(21)에 부설된 부설 통보 기기(22)로부터의 발호에 복수의 전화기(11) 중 어느 하나의 전화기(11)가 응답한 후에 부설 통보 기기(22)로부터 송신된, 감시 대상 기기(21)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가청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PB 해석 장치(15)는, 가청 신호를 해석하고, 감시 대상 기기(21)의 식별자를 특정한다. 또한, PB 해석 장치(15)는, 부설 통보 기기(22)로부터의 발호에 응답한 전화기(11)인 응답 전화기에, 가청 신호를 송신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본 발명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격 감시 지원 시스템에서는, 감시 대상 기기의 이상을 깨달은 유저 또는 현장 작업자로부터의 전화를 이용한 통보를 감시 센터의 오퍼레이터가 수신한다. 오퍼레이터에게는, 감시 대상 기기에 붙어 있는 감시 대상 기기의 관리 번호를 유저 또는 현장 작업자(이하, 통보자라고 한다)가 읽어준다. 그리고, 관리 번호에 근거하여, 감시 센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고 있는 감시 대상 기기의 설치 위치나 구성 내용, 메인터넌스 이력 등이 조회되어, 감시 대상 기기의 메인터넌스가 행하여진다.
상기의 원격 감시 지원 시스템에서는, 감시 대상 기기의 관리 번호를 통보자가 읽어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관리 번호가 감시 센터의 오퍼레이터에게 정확하게 전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관리 번호를 확인하는데 수고가 필요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들 문제에 대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감시 대상 기기에 부설된 통보 기기(이하, 부설 통보 기기라고 한다)와 감시 센터가 전화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부설 통보 기기는, 관리 번호를 톤 신호(예컨대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로 전화 회선에 송신한다. 감시 센터에서는, 전화 회선으로부터 수신한 톤 신호로부터 관리 번호가 복원되고, 복원된 관리 번호에 근거하여, 감시 대상 기기의 설치 위치, 구성 내용, 메인터넌스 이력 등의 조회가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의하면, 통보자가 관리 번호를 읽어줄 필요가 없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3-110717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통보자가 부설 통보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톤 신호로 관리 번호를 통지할 수 있다. 그러나, 통보자가, 부설 통보 기기 이외의 통신 수단, 예컨대, 통보자의 휴대 전화기로부터 감시 대상 기기의 이상을 통보하는 경우에는, 톤 신호로 관리 번호를 통지할 수 없으므로, 오퍼레이터에게는 통보자가 관리 번호를 읽어줄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오퍼레이터는, 통보자가 부설 통보 기기를 이용하고 있는지, 부설 통보 기기 이외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고 있는지를 판별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통보자가 이용하고 있는 통신 수단의 종류를 오퍼레이터가 통보자에게 문의하는 것, 또는, 어떤 경우에도 통보자에게 관리 번호를 읽어주도록 의뢰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오퍼레이터의 작업 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오퍼레이터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통신 장치는, 감시 대상 기기에 부설된 부설 통보 기기로부터의 발호에 복수의 전화기 중 어느 하나의 전화기가 응답한 후에 상기 부설 통보 기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감시 대상 기기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가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가청 신호를 해석하고, 상기 감시 대상 기기의 식별자를 특정하는 해석부와, 상기 부설 통보 기기로부터의 발호에 응답한 전화기인 응답 전화기에, 상기 가청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오퍼레이터는 가청 신호가 들린 경우에 부설 통보 기기로부터의 통보인 것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통보자가 이용하고 있는 통신 수단의 종류를 통보자에게 문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부설 통보 기기로부터의 통화임에도 불구하고 통보자에게 관리 번호를 읽어줄 것을 의뢰한다고 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오퍼레이터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원격 감시 지원 시스템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부설 통보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부설 통보 기기의 기능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부설 통보 기기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PB 신호의 파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PB 해석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PB 해석 장치의 기능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PB 해석 장치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원격 감시 지원 시스템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원격 감시 지원 시스템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회선 선택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회선 선택 기기의 기능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회선 선택 기기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PB 신호의 주파수의 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의 형태 1.
***구성의 설명***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원격 감시 지원 시스템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감시 대상 기기(21)에는 식별자인 관리 번호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감시 대상 기기(21)에는, 부설 통보 기기(22)가 부설되어 있다.
통보자는, 감시 대상 기기(21)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부설 통보 기기(22)를 이용하여 감시 센터(1)에 감시 대상 기기(21)의 이상을 통보할 수 있다. 또한, 통보자가 휴대 전화기(30)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는, 통보자는 휴대 전화기(30)를 이용하여 감시 센터(1)에 감시 대상 기기(21)의 이상을 통보할 수 있다.
부설 통보 기기(22) 및 휴대 전화기(30)는, 공중 전화망(3)을 통해서 감시 센터(1) 내의 PBX(Private Branch eXchange)(14)와 접속되어 있다.
감시 센터(1)에는, 복수의 전화기(11)와, 복수의 PC(Personal Computer)(12)와, DB(Database)(13)와, PBX(14)와 PB 해석 장치(15)가 배치되어 있다.
전화기(11)는, 감시 센터(1)의 오퍼레이터가 통보자와의 통화에 이용한다.
PC(12)는, 감시 센터(1)의 오퍼레이터가 감시 대상 기기(21)의 설치 위치, 구성 내용, 메인터넌스 이력 등의 기기 정보의 조회에 이용한다.
DB(13)는, 감시 대상 기기(21)의 기기 정보를 축적한다.
PBX(14)는, 공중 전화망(3)의 전화 회선과 감시 센터(1) 내의 전화 회선의 사이에서 교환 동작을 행한다.
PB 해석 장치(15)는, PBX(14)와 함께, 부설 통보 기기(22)와 전화기(11)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PB 해석 장치(15)는, 통신 장치에 상당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감시 대상 기기(21)의 이상을 발견한 통보자는, 부설 통보 기기(22)를 이용하여 감시 센터(1)에 통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통보자가 부설 통보 기기(22)에 구비되어 있는 수화기를 드는 것에 의해, 부설 통보 기기(22)가 발호하고, 공중 전화망(3), PBX(14), PB 해석 장치(15)를 거쳐서 발호 신호가 전화기(11)에 도달하고, 전화기(11)의 호출음이 울린다. 어느 한 명의 오퍼레이터가 전화기(11)의 수화기를 들면, 전화기(11)의 수화기가 들린 것이 PB 해석 장치(15) 및 PBX(14), 또한 공중 전화망(3)을 통해서 부설 통보 기기(22)에 전해진다. 이것에 의해, 부설 통보 기기(22)와 전화기(11)의 사이에 전화 통신로가 확립된다. 또, 부설 통보 기기(22)로부터의 발호에 응답한 전화기(11), 즉, 부설 통보 기기(22)와의 사이에 전화 통신로가 확립된 전화기(11)를, 응답 전화기(11)라고 한다.
다음으로, 부설 통보 기기(22)는,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통지하는 가청 신호인 PB(Push Button) 신호를 공중 전화망(3)에 송신한다. 부설 통보 기기(22)에는,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감시 센터(1)에서는, PBX(14)를 경유하여 PB 해석 장치(15)가 PB 신호를 수신한다. PB 해석 장치(15)는, PB 신호를 응답 전화기(11)에 전송한다. 또한, PB 해석 장치(15)는, PB 신호를 해석하여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특정한다. 그리고, PB 해석 장치(15)는, 특정한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응답 전화기(11)의 오퍼레이터가 이용하는 PC(12)에 통지한다. 또한, PB 해석 장치(15)는, 특정한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DB(13)에 축적한다.
관리 번호가 통지된 PC(12)는,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PC(12)는, 감시 대상 기기(21)의 기기 정보를 DB(13)로부터 읽어내고, 읽어낸 기기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응답 전화기(11)의 오퍼레이터는 응답 전화기(11)의 수화기에 있어서 PB 신호가 들린 경우에, PB 해석 장치(15)에 있어서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가 특정되었다고 인식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통보자에게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읽어주도록 의뢰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한다. 이후, 오퍼레이터는 PC(12)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기기 정보를 참조하면서, 통보자와 통화한다.
도 2는 부설 통보 기기(22)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103)는, 공중 전화망(3)과의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수화기 인터페이스(104)는, 부설 통보 기기(22)의 수화기와의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프로세서(101)는,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103), 수화기 인터페이스(104)를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101)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프로세서(101)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기억 장치(102)는, 프로세서(101)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기억 장치(102)는,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기억하고 있다. 기억 장치(102)는, 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 HDD(Hard Disk Drive), 플래시 메모리이다.
도 3은 부설 통보 기기(22)의 기능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부(54)는, 공중 전화망(3)에 신호를 송신하고, 공중 전화망(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부(54)는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103)에 의해 실현된다.
수화기 인터페이스부(55)는, 부설 통보 기기(22)의 수화기의 온 훅/오프 훅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후술하는 호 제어부(53)에 통지한다. 수화기 인터페이스부(55)는 수화기 인터페이스(104)에 의해 실현된다.
PB 생성부(52)는,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통지하는 PB 신호를 생성한다. PB 생성부(52)는, 프로세서(101) 및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01)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PB 생성부(52)의 기능을 실현한다.
호 제어부(53)는, 부설 통보 기기(22)에 있어서의 호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수화기 인터페이스부(55)에 의해 수화기의 오프 훅이 통지된 경우에, 호 제어 신호의 하나인 발호 신호를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부(54)를 거쳐서 공중 전화망(3)에 송신한다. 호 제어부(53)는, 프로세서(101) 및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01)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호 제어부(53)의 기능을 실현한다.
관리 번호 기억부(51)는,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기억한다. 관리 번호 기억부(51)는 기억 장치(102)에 의해 실현된다.
도 6은 PB 해석 장치(15)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PBX 인터페이스(114)는, PBX(14)와의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전화기 인터페이스(116)는, 전화기(11)와의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PB 디코더(115)는, PBX 인터페이스(114)로부터 전화기 인터페이스(116)에 흐르는 음성 신호로부터 PB 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PB 디코더(115)는, 추출한 PB 신호를 해석하여,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특정한다.
프로세서(111)는, PBX 인터페이스(114), PB 디코더(115), 전화기 인터페이스(116)를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프로세서(111)는, 예컨대, CPU이다.
기억 장치(112)는, 프로세서(111)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한, 기억 장치(112)는, 오퍼레이터마다, 전화기(11)와 PC(12)의 대응을 기억하고 있다. 기억 장치(112)는, 예컨대 RAM, HDD, 플래시 메모리이다.
또, PBX 인터페이스(114), PB 디코더(115), 전화기 인터페이스(116)는, PBX(14)로부터 전화기(11)에 접속되는 전화 회선마다 존재한다.
도 7은 PB 해석 장치(15)의 기능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PBX 인터페이스부(62)는, PBX(14)에 신호를 송신하고, PBX(14)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PBX 인터페이스부(62)는, PBX 인터페이스(114)에 의해 실현된다. PBX 인터페이스부(62)는 수신부에 상당한다.
전화기 인터페이스부(64)는, 전화기(11)의 수화기의 온 훅/오프 훅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후술하는 제어부(61)에 통지한다. 전화기 인터페이스부(64)는, 전화기 인터페이스(116)에 의해 실현된다. 전화기 인터페이스부(64)는 송신부에 상당한다.
해석부(63)는, PB 신호를 해석하여,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특정한다. 해석부(63)는, PB 디코더(115)에 의해 실현된다.
정보 통지부(65)는, 해석부(63)에 의해 특정된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대응하는 PC(12)에 통지한다. 정보 통지부(65)는, 프로세서(111) 및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11)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정보 통지부(65)의 기능을 실현한다.
제어부(61)는, 전화기 인터페이스부(64)에 의해 전화기(11)의 수화기의 오프 훅이 검출된 경우에, 해석부(63)에 PB 신호의 해석을 지시한다. 제어부(61)는, 프로세서(111) 및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11)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부(61)의 기능을 실현한다.
***동작의 설명***
다음으로, 부설 통보 기기(22)의 동작의 예를,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호 제어부(53)가, 수화기 인터페이스부(55)를 거쳐서, 부설 통보 기기(22)의 수화기가 오프 훅 된 것, 다시 말해, 수화기가 들어 올려진 것을 검지한다(스텝 S11에서 예).
호 제어부(53)는,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부(54)를 거쳐서 공중 전화망(3)에 발호한다(스텝 S12). 다시 말해, 호 제어부(53)는, 발호 신호를 공중 전화망(3)에 송신한다. 또, 발호 목적지는 감시 센터(1)이다.
다음으로, 호 제어부(53)가,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부(54)를 거쳐서, 감시 센터(1)에서 전화기(11)의 수화기가 오프 훅 된 것을 검지한다(스텝 S13에서 예).
다음으로, PB 생성부(52)가, 관리 번호 기억부(51)로부터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읽어내고, 관리 번호에 대응하는 PB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PB 신호를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부(54)를 거쳐서 감시 센터(1)의 전화기(11)에 송신한다(스텝 S14).
그 후, 통보자와 오퍼레이터의 사이의 통화가 종료되어 수화기가 온 훅 되면(스텝 S15에서 예), 부설 통보 기기(22)는, 다시 수화기가 오프 훅 될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
PB 신호는, 일반적으로, 저군에 속하는 4개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와, 고군에 속하는 4개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를 조합함으로써 생성되는 가청 신호이다. PB 신호에서는, 0~9의 숫자와, *, #, A, B, C, D의 기호를 나타낼 수 있다.
PB 신호는, 푸시 버튼식의 전화기에서 전화번호를 송신하는데 이용되고, "피, 포, 파"의 의성어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PB 신호의 주파수의 조합을 도 14에 나타낸다. 예컨대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가 "123"이면, 697㎐의 신호음과 1209㎐의 신호음을 합성한 "1"을 나타내는 PB 신호, 697㎐의 신호음과 1336㎐의 신호음을 합성한 "2"를 나타내는 PB 신호, 697㎐의 신호음과 1477㎐의 신호음을 합성한 "3"을 나타내는 PB 신호가 부설 통보 기기(22)로부터, 도 5와 같이 연속적으로 송신된다.
다음으로, PB 해석 장치(15)의 동작의 예를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PBX(14)가 부설 통보 기기(22)로부터의 발호 신호를 수신하면, PBX(14)는, 감시 센터(1) 내의 전화기(11)의 호출음을 울린다.
PB 해석 장치(15)에서는, 제어부(61)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64)를 거쳐서 전화기(11)의 수화기가 오프 훅 된 것을 검지하고(스텝 S21에서 예), 해석부(63)에 PB 신호의 해석을 지시한다.
해석부(63)는, PBX 인터페이스부(6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로부터 PB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PB 신호의 주파수 해석을 행하여,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얻는다(스텝 S22).
해석부(63)는, PB 신호의 주파수의 조합을 해석함으로써,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특정할 수 있다.
PB 신호는, 전화기 인터페이스부(64)로부터 응답 전화기(11)에 송신된다. 이 결과, 오퍼레이터는, 응답 전화기(11)의 수화기로부터 PB 신호의 신호음을 들을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PB 신호의 신호음이 들린 것, 다시 말해, "피, 포, 파"의 소리가 들린 것에 의해,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가 PB 신호로 통지된 것을 인식한다.
만약, 오퍼레이터가 PB 신호를 인식할 수 없었던 경우, 다시 말해, "피, 포, 파"의 소리가 들리지 않았던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가 통지되고 있지 않다고 이해하고, 통보자에게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읽어줄 것을 의뢰한다. 오퍼레이터가 PB 신호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에는, 부설 통보 기기(22)를 사용하지 않고, 통보자가 소지하는 휴대 전화기(30)나 다른 통신 수단으로 감시 센터(1)에 통보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해석부(63)에 의한 PB 신호의 해석은 규정 시간 동안만 실시된다.
PB 신호의 해석의 개시로부터 규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스텝 S23에서 예), 해석부(63)는, 해석에 의해 얻어진 관리 번호를 정보 통지부(65)를 거쳐서, 응답 전화기(11)와 쌍으로 되어 있는 PC(12)에 송신한다(스텝 S24). 또한, 해석부(63)는, 정보 통지부(65)를 거쳐서 DB(13)에도 관리 번호를 송신한다.
그 후, 통보자와 오퍼레이터의 사이의 통화가 종료되어 응답 전화기(11)의 수화기가 온 훅 되면(스텝 S25에서 예), PB 해석 장치(15)는, 다시 전화기(11)의 수화기가 오프 훅 될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
***실시의 형태의 효과의 설명***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PB 신호의 신호음을 감시 센터의 오퍼레이터에게 들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오퍼레이터는 PB 신호의 신호음이 들린 경우에 부설 통보 기기로부터의 통보인 것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통보자가 이용하고 있는 통신 수단의 종류를 통보자에게 문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부설 통보 기기로부터의 통화임에도 불구하고 통보자에게 관리 번호를 읽어줄 것을 의뢰한다고 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오퍼레이터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구성의 설명***
도 9는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원격 감시 지원 시스템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9에서는, 도 1과 비교하여, IP(Internet Protocol) 망(4)이 추가되어 있다.
IP 망(4)은, 예컨대 인터넷이다. IP 망(4)에서는, IP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도 9에 나타내는 다른 구성 요소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하에서는, 주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은 사항은,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동작의 설명***
부설 통보 기기(22)로부터 응답 전화기(11)와의 사이에서의 전화 통신로의 확립, PB 해석 장치(15)에서의 PB 신호의 해석에 의한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의 특정, PB 해석 장치(15)로부터 PC(12)로의 관리 번호의 통지, 오퍼레이터에 의한 PB 신호의 신호음의 인식은,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PC(12)는, IP 망(4)으로부터 감시 대상 기기(21)의 상태 정보를 리얼타임으로 취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감시 대상 기기(21)의 상태를 리얼타임으로 파악할 수 있어, 통보자에 대하여 적절한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실시의 형태의 효과의 설명***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는, 감시 대상 기기의 상태를 리얼타임으로 알 수 있어, 보다 적절한 오퍼레이터 업무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구성의 설명***
도 10은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원격 감시 지원 시스템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도 9와 비교하여, 회선 선택 기기(23)와 IP 통화 변환 기기(16)가 추가되어 있다.
회선 선택 기기(23)는, 부설 통보 기기(22)로부터 감시 센터(1)로의 통보를 IP 망(4)을 경유하여 행할지 공중 전화망(3)으로 행할지를 선택한다.
IP 통화 변환 기기(16)는, 통보자와 오퍼레이터가 IP 망(4)을 경유하여 통화하는 경우에, IP 망(4)과 PBX(14)의 사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을 행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다른 구성 요소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하에서는, 주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은 사항은,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감시 대상 기기(21)의 이상을 발견한 통보자는, 부설 통보 기기(22)를 이용하여 감시 센터(1)에 통보를 행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보자가 부설 통보 기기(22)에 구비되어 있는 수화기를 들면, 회선 선택 기기(23)는, 부설 통보 기기(22)의 수화기가 들린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회선 선택 기기(23)는, 테스트용의 IP 패킷인 테스트 패킷(예컨대 Ping 패킷)을 감시 센터(1)를 향해 IP 망(4)에 송신하고, IP 망(4)의 통신 품질을 구한다. 회선 선택 기기(23)는, 예컨대, 테스트 패킷을 송신하고 나서 감시 센터(1)로부터 응답 패킷을 수신할 때까지의 왕복 전송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한 왕복 전송 시간을 해석하여 IP 망(4)의 통신 품질을 구한다. 또한, 회선 선택 기기(23)는, 테스트 패킷을 복수 회 송신하고, 테스트 패킷마다 왕복 전송 시간을 측정하고, 복수의 왕복 전송 시간에 있어서의 변동을 해석하여 IP 망(4)의 통신 품질을 구하더라도 좋다. 또한, 회선 선택 기기(23)는, 패킷 손실을 측정하여 IP 망(4)의 통신 품질을 구하더라도 좋다.
측정 결과가 임계치보다 나쁜 경우는, 회선 선택 기기(23)는 IP 망(4)의 통신 품질이 나쁘다고 판정하고, 측정 결과가 임계치보다 좋은 경우는, 회선 선택 기기(23)는, IP 망(4)의 통신 품질이 양호하다고 판정한다.
회선 선택 기기(23)는, IP 망(4)의 통신 품질이 나쁘다고 판정한 경우는, 감시 센터(1)로의 통보를 공중 전화망(3)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을 결정한다. 한편, IP 망(4)의 통신 품질이 양호하다고 판정한 경우는, 회선 선택 기기(23)는, 감시 센터(1)로의 통보를 IP 망(4)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을 결정한다.
회선 선택 기기(23)가 공중 전화망(3)을 선택한 경우의 수순은, 회선 선택 기기(23)가 감시 센터(1)에 발호 신호를 송신한다. 전화기(11)의 수화기가 들어 올려진 후의 수순은,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12)는 IP 망(4)으로부터 감시 대상 기기(21)의 상태 정보를 리얼타임으로 취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감시 대상 기기(21)의 상태를 리얼타임으로 파악할 수 있어, 통보자에 대하여 적절한 지시를 내릴 수 있다.
회선 선택 기기(23)가 IP 망(4)을 선택하면, 회선 선택 기기(23)는, IP 망(4)으로부터 감시 센터(1)에 발호하고, IP 통화 변환 기기(16), PBX(14) 및 PB 해석 장치(15)를 거쳐서 발호 신호가 전화기(11)에 도달하고, 전화기(11)의 호출음이 울린다. 어느 한 명의 오퍼레이터가 전화기(11)의 수화기를 들면, 전화기(11)의 수화기가 들린 것이 PB 해석 장치(15), PBX(14), IP 통화 변환 기기(16) 및 IP 망(4)을 통해서 부설 통보 기기(22)에 전해진다. 이것에 의해, 부설 통보 기기(22)와 전화기(11)의 사이에 전화 통신로가 확립된다.
다음으로, 부설 통보 기기(22)는, 감시 대상 기기(21)의 관리 번호를 통지하는 가청 신호인 PB 신호를 IP 망(4)에 송신한다.
감시 센터(1)에서는, IP 통화 변환 기기(16), PBX(14)를 경유하여 PB 해석 장치(15)가 PB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의 수순은, 회선 선택 기기(23)가 공중 전화망(3)을 선택한 경우의 수순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회선 선택 기기(23)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IP 망 인터페이스(123)는, IP 망(4)과의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부설 통보 기기 인터페이스(124)는, 부설 통보 기기(22)와의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125)는, 공중 전화망(3)과의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프로세서(121)는, IP 망 인터페이스(123), 부설 통보 기기 인터페이스(124),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125)를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121)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프로세서(121)는, 예컨대 CPU이다.
기억 장치(122)는, 프로세서(121)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기억 장치(122)는, 예컨대 RAM, HDD, 플래시 메모리이다.
도 12는 회선 선택 기기(23)의 기능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부(74)는, 공중 전화망(3)에 신호를 송신하고, 공중 전화망(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부(74)는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125)에 의해 실현된다.
IP 망 인터페이스부(72)는, IP 망(4)에 신호를 송신하고, IP 망(4)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IP 망 인터페이스부(72)는 IP 망 인터페이스(123)에 의해 실현된다.
부설 통보 기기 인터페이스부(76)는, 부설 통보 기기(22)의 수화기의 온 훅/오프 훅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후술하는 호 제어부(73)에 통지한다. 부설 통보 기기 인터페이스부(76)는 부설 통보 기기 인터페이스(124)에 의해 실현된다.
호 제어부(73)는, 부설 통보 기기 인터페이스부(76)에 의해 수화기의 오프 훅이 통지된 경우에, 후술하는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에 IP 망(4)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호 제어부(73)는, 감시 센터(1)로의 통보가 공중 전화망(3)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는 경우는, 호 제어 신호의 하나인 발호 신호를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부(74)를 거쳐서 공중 전화망(3)에 송신한다.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는, IP 망(4)의 통신 품질을 측정한다.
음성 IP 패킷 조립 분해부(75)는, 음성 부호화 처리 및 IP 패킷 조립 처리를 행한다.
또, 호 제어부(73),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 및 음성 IP 패킷 조립 분해부(75)는, 프로세서(121) 및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21)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호 제어부(73),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 및 음성 IP 패킷 조립 분해부(75)의 기능을 실현한다.
***동작의 설명***
다음으로, 회선 선택 기기(23)의 동작의 예를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호 제어부(73)가, 부설 통보 기기 인터페이스부(76)를 거쳐서, 부설 통보 기기(22)의 수화기가 오프 훅 된 것, 다시 말해, 수화기가 들어 올려진 것을 검지한다(스텝 S31에서 예).
다음으로, 호 제어부(73)는, IP 망 인터페이스부(72)를 유효하게 하고, 또한,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에 IP 망(4)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도록 지시를 행한다.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는, IP 망(4)의 통신 품질을 측정한다(스텝 S32). 구체적으로는,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는, 감시 센터(1)를 향해, 테스트 패킷, 예컨대 Ping 패킷을 IP 망(4)에 송신한다. 감시 센터(1)는,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면, 응답 패킷을 IP 망(4)에 송신한다.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는 감시 센터(1)로부터의 응답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는, 테스트 패킷의 송신으로부터 응답 패킷의 수신까지의 왕복 전송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한 왕복 전송 시간을 해석하여 IP 망(4)의 통신 품질을 구한다. 또한,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는, 테스트 패킷을 복수 회 송신하고, 테스트 패킷마다 왕복 전송 시간을 측정하고, 복수의 왕복 전송 시간에 있어서의 변동을 해석하여 IP 망(4)의 통신 품질을 구하더라도 좋다. 또한,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는, 패킷 손실을 측정하여 IP 망(4)의 통신 품질을 구하더라도 좋다.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는, IP 망(4)의 통신 품질이 양호한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3).
측정 결과가 임계치보다 나쁜 경우는,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는 IP 망(4)의 통신 품질이 나쁘다고 판정하고, 측정 결과가 임계치보다 좋은 경우는,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는, IP 망(4)의 통신 품질이 양호하다고 판정한다.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가, IP 망(4)의 통신 품질이 양호하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3에서 예)에는, IP 망(4)을 이용하여 감시 센터(1)와의 통신이 행하여진다(스텝 S34). 구체적으로는, 도 4의 스텝 S12~S14의 수순이 IP 망(4)에서 행하여진다.
또, 부설 통보 기기(22)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부설 통보 기기 인터페이스부(76)를 경유하여 음성 IP 패킷 조립 분해부(75)에 입력된다. 음성 IP 패킷 조립 분해부(75)에서 음성 부호화 처리 및 IP 패킷 조립 처리가 행하여지고, IP 망 인터페이스부(72)를 거쳐서 IP 망(4)에 IP 패킷이 송신된다. 역방향의 통신에서는, IP 패킷이 IP 망(4)으로부터 IP 망 인터페이스부(72)를 경유하여 음성 IP 패킷 조립 분해부(75)에 입력된다. 음성 IP 패킷 조립 분해부(75)에서 IP 패킷 분해 처리 및 음성 복호 처리가 행하여지고, 부설 통보 기기 인터페이스부(76)를 거쳐서 부설 통보 기기(22)에 음성 신호가 송신된다.
한편,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71)가, IP 망(4)의 통신 품질이 나쁘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3에서 아니오)에는, 공중 전화망(3)을 이용하여 감시 센터(1)와의 통신이 행하여진다(스텝 S35). 구체적으로는, 도 4의 스텝 S12~S14의 수순이 공중 전화망(3)에서 행하여진다.
또, 부설 통보 기기(22)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부설 통보 기기 인터페이스부(76)를 경유하여 입력되고,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부(74)를 거쳐서 공중 전화망(3)에 출력된다. 역방향의 통신은, 음성 신호가 공중 전화망(3)으로부터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부(74)를 경유하여 입력되고, 부설 통보 기기 인터페이스부(76)를 거쳐서 부설 통보 기기(22)에 출력된다.
그 후, 통보자와 오퍼레이터의 사이의 통화가 종료되어 부설 통보 기기(22)의 수화기가 온 훅 되면(스텝 S36에서 예), 회선 선택 기기(23)는, 다시 부설 통보 기기(22)의 수화기가 오프 훅 될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
***실시의 형태의 효과의 설명***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IP 망을 경유한 통화도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는 공중 전화망을 경유한 통화와 다름없이 취급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 업무를 작업 효율이 높은 업무로 할 수 있다.
또, IP 망으로의 접속 및 공중 전화망으로의 접속은,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그 외***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의 형태 중,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실시하더라도 상관없다.
혹은, 이들 실시의 형태 중, 1개를 부분적으로 실시하더라도 상관없다.
혹은, 이들 실시의 형태 중, 2개 이상을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실시하더라도 상관없다.
또, 본 발명은, 이들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 감시 센터
3 : 공중 전화망
4 : IP 망
11 : 전화기
12 : PC
13 : DB
14 : PBX
15 : PB 해석 장치
16 : IP 통화 변환 기기
21 : 감시 대상 기기
22 : 부설 통보 기기
23 : 회선 선택 기기
30 : 휴대 전화기
51 : 관리 번호 기억부
52 : PB 생성부
53 : 호 제어부
54 :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부
55 : 수화기 인터페이스부
61 : 제어부
62 : PBX 인터페이스부
63 : 해석부
64 : 전화기 인터페이스부
65 : 정보 통지부
71 : IP 망 통신 품질 판정부
72 : IP 망 인터페이스부
73 : 호 제어부
74 :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부
75 : 음성 IP 패킷 조립 분해부
76 : 부설 통보 기기 인터페이스부
101 : 프로세서
102 : 기억 장치
103 :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
104 : 수화기 인터페이스
111 : 프로세서
112 : 기억 장치
114 : PBX 인터페이스
115 : PB 디코더
116 : 전화기 인터페이스
121 : 프로세서
122 : 기억 장치
123 : IP 망 인터페이스
124 : 부설 통보 기기 인터페이스
125 : 공중 전화망 인터페이스

Claims (3)

  1. 감시 대상 기기에 부설된 부설 통보 기기로부터의 발호에 복수의 전화기 중 어느 하나의 전화기가 응답한 후에 상기 부설 통보 기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감시 대상 기기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가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가청 신호를 해석하고, 상기 감시 대상 기기의 식별자를 특정하는 해석부와,
    상기 부설 통보 기기로부터의 발호에 응답한 전화기인 응답 전화기에, 상기 가청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고,
    상기 부설 통보 기기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패킷의 왕복 전송 시간 또는 패킷 손실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IP 망의 통신 품질이 양호하다고 판단하여, 상기 IP 망을 통해 상기 가청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왕복 전송 시간 또는 패킷 손실이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공중 전화망을 통해 상기 가청 신호가 수신되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부는, 상기 응답 전화기를 사용하는 오퍼레이터가 사용하는 컴퓨터에, 상기 감시 대상 기기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통신 장치.
  3. 삭제
KR1020187036363A 2016-07-12 2016-07-12 통신 장치 KR102064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0589 WO2018011897A1 (ja) 2016-07-12 2016-07-12 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033A KR20180137033A (ko) 2018-12-26
KR102064155B1 true KR102064155B1 (ko) 2020-01-08

Family

ID=6095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363A KR102064155B1 (ko) 2016-07-12 2016-07-12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07491B2 (ko)
KR (1) KR102064155B1 (ko)
CN (1) CN109479080B (ko)
DE (1) DE112016006967T5 (ko)
WO (1) WO201801189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0717A (ja) * 2001-09-27 2003-04-11 Japan Tobacco Inc データ通信方法及び自動販売機の遠隔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439A (ko) * 1995-09-14 1997-04-28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직접통화 장치 및 방법
JPH1051517A (ja) * 1996-07-31 1998-02-20 Chescom Internatl Kk 電話転送装置
JPH11205471A (ja) * 1998-01-08 1999-07-30 Hitachi Ltd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2020049A (ja) * 2000-07-07 2002-01-2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2232581A (ja) * 2001-02-02 2002-08-16 Keisoku System Kk 通信システムおよび監視システム
US6998995B2 (en) * 2001-09-28 2006-02-14 Toshiba Elevator Kabushiki Kaisha Elevator remote monitoring apparatus
CN101742012A (zh) * 2009-12-10 2010-06-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动态选择业务承载网络提高语音质量的方法及设备
KR101447438B1 (ko) * 2013-02-07 2014-10-08 (주)오픈벡스 이종 망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CN105306654A (zh) * 2014-07-31 2016-02-03 上海粱江通信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采用双音多频实现网络电话显示来电身份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0717A (ja) * 2001-09-27 2003-04-11 Japan Tobacco Inc データ通信方法及び自動販売機の遠隔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79080A (zh) 2019-03-15
JPWO2018011897A1 (ja) 2018-07-26
DE112016006967T5 (de) 2019-03-07
JP6407491B2 (ja) 2018-10-17
KR20180137033A (ko) 2018-12-26
WO2018011897A1 (ja) 2018-01-18
CN109479080B (zh)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0992B1 (en) Management server and mobile terminal
US7573825B2 (e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testing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system
JP5094377B2 (ja) Kvmスイッチ及び遠隔システム
RU98118996A (ru) Фиксированные беспроволочные терминалы в способе управления сетями, и аппаратура
JP5474503B2 (ja) 呼接続制御装置、電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0239239A (ja) 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障害通知方法、および無線基地局のプログラム
KR100553549B1 (ko) 이동 통신망의 통화 품질 자동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2064155B1 (ko) 통신 장치
CN112492109B (zh) 一种通信方法、装置和系统
CN101287263A (zh) 交换网中继线路测试方法、测试系统及测试服务器
CN100525355C (zh) 一种双音多频数字信号带内和带外的自适应收号方法
US20070293242A1 (en) Communication device location specifying system and location specifying device
JP2005210241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無線通信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圏外位置情報送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67920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enhanced 911 signalling over a digital loop carrier trunk
JP5466202B2 (ja) ファクシミリ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ファクシミリ送受信装置、ファクシミリ送受信方法
KR100599976B1 (ko) VoIP 단말의 장애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VoIP 단말
JP2009246687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解析装置および通信解析方法
KR100639855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 발신자정보표시 데이터 전송 시험 장치및 방법
KR20060037134A (ko) 이동 단말의 성능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002922B1 (ko) 통화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1066786A (ja) 通信装置
KR100912182B1 (ko) 자동 종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유도 잡음 전압 측정방법
JP6063261B2 (ja) 端末網制御装置
KR100637554B1 (ko) Pda를 이용한 운용자 위치정보 확인시스템
JP4733571B2 (ja) 中継端末、及び報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