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489B1 - 저항 점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저항 점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489B1
KR102063489B1 KR1020157010882A KR20157010882A KR102063489B1 KR 102063489 B1 KR102063489 B1 KR 102063489B1 KR 1020157010882 A KR1020157010882 A KR 1020157010882A KR 20157010882 A KR20157010882 A KR 20157010882A KR 102063489 B1 KR102063489 B1 KR 102063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or
spot welding
generator tube
welding
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0194A (ko
Inventor
얀 브뤽크너
마르틴 엡퍼르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50070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1/004Welding of a small piece to a great or broad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8Inserts, e.g. for receiving deposits from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발생기 관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용접 헤드(1)를 포함하여, 증기 발생기 관의 내벽부 상에 터뷸런스 인서트를 고정하기 위한 저항 점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용접 헤드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랜스(11)와, 이 랜스(1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점용접 전극(12)과, 작동 부재(13)와, 반경 방향에서 점용접 전극(12)에 대향하여 위치하여 작동 부재(13)로부터 내벽부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절연체(14)를 포함한다. 이 경우, 랜스(11)는, 용접 헤드 단부로부터 규정된 이격 간격으로 이격되어, 작동 부재(13)가 활성화될 때 절연체(14)와 그에 따른 점용접 전극(12)도 터뷸런스 인서트를 증기 발생기 관의 내벽부 쪽으로 가압하도록 가늘어져 있다. 그에 따라, 용접 전류가 랜스(11)에 인가될 때, 점형태의 용접 전류가 점용접 전극(12)을 경유하여 증기 발생기 관의 외부에 배치된 상대 전극(3) 쪽으로 흐른다.

Description

저항 점용접 장치{RESISTANCE POINT WE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서 증기 발생기 관 내에서 터뷸런스 인서트(turbulence insert)를 고정하기 위한 저항 점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항 용접 동안, 결합할 구조 부재들은 압착되고 구조 부재들 사이의 접촉점에서 용접 전류를 통해 전기 용융된다.
이 경우, 실제로, 용접 집게의 점형태 전극들이 결합할 구조 부재들을 직접 서로 밀착시키는, 저항 점용접이 가장 중요하다. 저항 용접 기술의 필요한 컴포넌트들은, 용접 전극들을 구비한 용접 집게, 용접 변압기를 구비하여 용접 집게와 연결된 용접 전류원뿐만 아니라, 용접 제어 유닛, 및 경우에 따라 용접 공정을 그에 상응하게 제어하기 위한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저항 점용접의 경우, 접합할 부재들은 공압 방식으로 사전 설정된 힘으로 두 용접 전극에 압착된다. 이어서, 용접 시간의 기간 동안 용접 전류가 스위치 온된다. 이 경우, 두 부재 사이의 접촉점에서의 전기 저항은 접합할 부재들의 재료들의 고유 전기 저항보다 훨씬 더 크다. 따라서 그 결과 접촉 저항을 통해 달성되는 점형태의 열전 가열(thermoelectric heating)을 통해, 렌즈 모양의 용융물이 발생한다. 전극력을 통한 동시 밀착은 점형태의 재료 결합식 비분리형 결합을 달성한다. 머무름 시간 동안 전극력은, 기공 형성을 방지하면서 용융물의 냉각을 보장하기 위해 유지된다.
난류 생성용 인서트를 포함한 증기 발생기 관들은, 증기 발생기 관들의 내부 표면에서 유동 매체의 유동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속도가 강요되어야 할 때 적용된다. 이 경우, 상기 내부 리브형 관들의 이용은 다양한 이유들에서 요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컨대 발전소 설비의 전부하 조건에서 증발기의 질량 흐름 밀도가 낮을 때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열속(heat flux)이 높을 때에도, 내부 리브형 관들의 이용이 요구될 수 있다. 요컨대 이 경우 열 비등의 위험이 존재하며, 다시 말하면 증기 발생기 관들의 내면 상에서, 양호하게 완전 혼합된 액체와 달리, 핵 비등 시 높은 단열 효과를 갖는 증기막이 형성된다. 그 결과로, 열속이 변함없을 때, 벽 온도가 강하게 상승할 수 있고, 이는 그 다음 다시 가열 표면들의 파괴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내부 리브형 관들을 통해서는, 정상 부하 운전 모드에서 유동층 형성(수상과 증기상의 분리)이 방지될 수 있다.
EP 2 390 567 A1은, 난류 생성용 인서트가 형판 샤프트(template shaft)의 그루브들 내에 고정되고, 그 다음 형판 샤프트는 인서트와 함께 증기 발생기 관 내로 삽입되고, 형판 샤프트 상에서 인서트의 고정은 분리되며, 이어서 형판 샤프트는 다시 증기 발생기 관에서 제거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EP 2 390 039 A1은 보호 가스 용접을 이용하여 증기 발생기 관 내에 상기 난류 생성용 인서트를 재료 결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증기 발생기 관들 내에 터뷸런스 인서트를 고정하기 위한 저항 점용접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저항 점용접 장치로 해결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저항 점용접 장치에 의해, 보호 가스 용접과 달리, 터뷸런스 인서트의 장착은 더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용접 헤드의 본 발명에 따른 형성을 통해, 증기 발생기 관의 각각의 임의의 위치에서 터뷸런스 인서트는 저항 점용접에 의해 증기 발생기 관의 내벽부와 재료 결합식 및 비분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유압 실린더로서 형성되는) 작동 부재는 비활성화되며, 그럼으로써 용접 헤드는 증기 발생기 관 내에서 후속 점용접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특히 효과적인 점용접을 위해, 저항 점용접 장치의 랜스는 바람직하게는 탁월한 전류 전도 특성을 갖는 구리로 구성되며, 그리고 마모될 수밖에 없는 점용접 전극은 교환될 수 있다.
용접 헤드가 증기 발생기 관 내로 인서트를 삽입하기 위한 형판 샤프트로서 형성된 축부의 단부 상에 동일하게 배치된다면, 증기 발생기 관 내로 인서트를 삽입하는 단계 및 인서트를 고정하는 단계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동일한 저항 점용접 장치로 실행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하기의 도들에 따라서 예시로서 설명된다.
도 1은 용접 헤드를 절단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저항 점용접 장치이다.
증기 발생기 관의 내벽부 상에 터뷸런스 인서트를 고정하기 위한 도 1에 횡단면도로 도시된 용접 헤드는 본 발명에 따라 전기 전도성 재료(바람직하게는 구리)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랜스(11)와, 이 랜스(1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점용접 전극(12)과, 작동 부재(13)와, 반경 방향에서 점용접 전극(12)에 대해 대향하여 위치하여 작동 부재(13)로부터 증기 발생기 관의 내벽부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절연체(14)를 포함한다. 이 경우, 랜스(11)는, 용접 헤드 단부로부터 규정된 이격 간격으로 이격되어, 작동 부재(13)가 활성화될 때 절연체(14)와 그에 따른 점용접 전극(12)도 터뷸런스 인서트를 증기 발생기 관의 내벽부 쪽으로 밀착시키도록 가늘어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작동 부재(13)는 원통형 랜스의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랜스 내에 매입되는 유압 실린더이다. 공급 라인을 통해서는, 유압액이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축압기에서, 또는 유압 펌프에서 공급 라인(15)을 통해 유압 실린더(13) 내로 제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압 실린더 내에 제공된 유압 피스톤이 편향될 수 있다. 유압 피스톤에는 절연체(14)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유압액이 공급 라인(15)을 통해 유압 실린더 내로 펌핑되면, 유압 피스톤은 상기 유압 실린더에서 외부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용접 헤드의 위쪽에 걸쳐 장착되는 증기 발생기 관의 내벽부의 방향으로 절연체(14)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맨 먼저, 앞서 증기 발생기 관 내로 형판 샤프트에 의해 삽입된 터뷸런스 인서트가 절연체(14)에 의해 내벽부 쪽으로 가압된다. 유압 실린더에서 외부로 유압 피스톤의 이동이 증가함에 따라, 이제 랜스(11)도 테이퍼 위치에서 휘어지며, 그에 따라 헤드 단부 상에 점용접 전극(12)을 포함하는 랜스(11)의 부분을 내벽부의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그 결과, 이제 점용접 전극은 절연체(14)에 대향하는 면 상에서도 터뷸런스 인서트를 관 내벽부 쪽으로 가압한다. 그 다음, 랜스(11) 상에 용접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용접 전류는 점용접 전극(12)을 경유하여 증기 발생기 관을 통과하여 증기 발생기 관의 외부에 배치된 상대 전극(3) 쪽으로 흐를 수 있으며(도 2 참조), 그에 따라 점용접 전극(12)이 터뷸런스 인서트 상에 밀착되는 위치에서 터뷸런스 인서트와 증기 발생기 관 사이에 재료 결합식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13)가 압력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통해, 점용접 전극(12)은 용접 접촉 동안 인서트의 액화되어 연화된 재료에 대한 접촉을 잃지 않게 된다. 이런 접촉이 용접 공정 동안 지속되도록 하기 위해, 랜스(11)의 테이퍼부는, 작동 부재(13)를 통해 야기되는, 랜스(11) 및 절연체(14)의 반대되는 편향이 터뷸런스 인서트 쪽으로 점용접 전극(12)의 지속적인 압착을 야기하도록 치수 설계되어야 한다. 용접 공정이 종료되면, 유압액은 다시 유압 실린더(13)에서 제거되고, 유압 피스톤은 다시 유압 실린더(13) 안쪽으로 더욱 많이 잠기며 그에 따라 절연체(14) 및 랜스(11)는 다시 내벽부로부터 이격되는 쪽으로, 그리고 용접 헤드(1)의 축 쪽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 용접 헤드(1)는, 이어서 후속 위치에서 용접 공정을 반복하기 위해, 증기 발생기 관 내에서 상기 후속 위치 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별로 증기 발생기 관들 내에서 터뷸런스 인서트들의 확실한 재료 결합식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저항 점용접 장치의 중요 부품들, 여기서는, 전방에서부터 용접 헤드의 단부면으로부터 증기 발생기 관이 그 위쪽에 걸쳐서 장착될 수 있는 용접 헤드(1)를 포함하는 절연된 축부(2)와, 이 축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결과적으로 용접 공정 동안 점용접 전극과 상대 전극 사이에 확실한 전류 흐름을 보장하기 위해 축부(2) 및 용접 헤드(1)의 위쪽에 걸쳐 장착된 증기 발생기 관과 접촉해야만 하는 평평한 상대 전극(3)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축부(2)의 절연은 용접 헤드(1)를 위한 전기 및 유압 공급 라인들을 에워싸는 절연 관을 통해 수행된다. 이와 동시에, 절연 관은 증기 발생기 관 내에서 용접 헤드(1)를 위한 가이드 라인으로서 이용되며, 그로 인해 대략적으로 터뷸런스 인서트들이 삽입되어 있는 증기 발생기 관들의 자유 내경보다 약간 더 작은 외경을 보유해야만 한다. 그리고 축부의 길이는 적어도 증기 발생기 관들의 길이의 절반에 상응한다.
증기 발생기 관의 내벽부와, 형판 샤프트와 함께 증기 발생기 관 내로 삽입된 터뷸런스 인서트의 용접을 위해, 용접 헤드(1)는, 상대 측으로부터 짧은 이격 간격으로 이격되어 증기 발생기 관에서 회전 인출될 때, 형판 샤프트를 뒤따른다. 터뷸런스 인서트는 바람직하게는, 증기 발생기 관 내로의 삽입을 위해 형판 샤프트의 그루브들 내에 고정되는 와이어 유형의 나선형 구조이다. 이런 구조는 소정의 고유 장력을 보유하고 그에 따라 증기 발생기 관의 내벽부 상에 안착되기 때문에, 터뷸런스 인서트의 위치는 그루브들에서의 회전 인출 직후에도 여전히 작은 공차로 확인된다. 용접 헤드의 삽입시 제1 용접 지점이 결정되면, 모든 추가 용접 지점은 터뷸런스 인서트의 확인된 기하구조에 따라서 용접 헤드의 전진 이동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용접 헤드의 삽입 및 저항 점용접의 실행이 형판 샤프트의 회전 인출과 더불어 동시에 수행되면, 증기 발생기 관 내에서 인서트의 위치의 특히 작은 공차가 기대된다. 그 밖에도, 이런 방식으로, 제조 공정은 촉진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축부가 이미 자체적으로 증기 발생기 관 내로 인서트를 삽입하기 위한 형판 샤프트로서 형성된다면, 형판 샤프트의 인출과 동시에 증기 발생기 관 내에서 터뷸런스 인서트의 용접이 수행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저항 점용접 장치를 통해 하기의 장점들이 제공된다. 기술한 용접 장치에 의해, 증기 발생기 관 내의 임의의 위치들에서, 터뷸런스 인서트는 상기 증기 발생기 관과 용접될 수 있다. 용접 지점의 포지셔닝은 증기 발생기 관의 내부에서 용접 헤드의 위치를 통해서만 수행된다. 터뷸런스 인서트의 위치는 제1 용접 지점의 위치 및 인서트의 기하구조(와이어 및 피치의 개수)에 근거하여 확인된다. 증기 발생기 관 내에서 터뷸런스 인서트의 위치는 확인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는 각각의 용접 공정 전에 정확하게 결정되지 않아도 된다. 보호 가스 용접 방법과 비교하면, 조립 시간의 분명한 단축이 기대된다.

Claims (7)

  1. 증기 발생기 관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용접 헤드(1)를 포함하여, 증기 발생기 관의 내벽부 상에 터뷸런스 인서트를 고정하기 위한 저항 점용접 장치이며, 상기 용접 헤드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져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랜스(11)와, 이 랜스(1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점용접 전극(12)과, 작동 부재(13)와, 반경 방향에서 점용접 전극(12)에 대향하여 위치하여 작동 부재(13)로부터 내벽부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절연체(14)를 포함하는, 저항 점용접 장치이며, 랜스(11)는, 용접 헤드 단부로부터 규정된 이격 간격으로 이격되어, 작동 부재(13)가 활성화될 때 절연체(14)와 그에 따른 점용접 전극(12)도 터뷸런스 인서트를 증기 발생기 관의 내벽부 쪽으로 가압하도록 가늘어져 있으며, 따라서 용접 전류가 랜스(11)에 인가될 때 점형태의 용접 전류가 점용접 전극(12)을 경유하여 증기 발생기 관의 외부에 배치된 상대 전극(3) 쪽으로 흐르는, 저항 점용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13)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랜스(11)는 구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용접 전극(12)은 교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접 헤드(1)는 절연부로 에워싸인 축부(2)의 단부 상에 배치되며, 축부(2)는 용접 헤드를 위한 공급 라인들을 안내하고, 상기 축부의 길이는 적어도 증기 발생기 관들의 길이의 절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증기 발생기 관 내로 인서트를 삽입하기 위한 형판 샤프트가 제공되며, 터뷸런스 인서트에서 형판 샤프트의 회전 인출과 동시에 용접 헤드(1)는 점차로 증기 발생기 관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축부(2)는 증기 발생기 관 내로 인서트를 삽입하기 위한 형판 샤프트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 장치.
KR1020157010882A 2012-10-31 2013-10-17 저항 점용접 장치 KR102063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9898.9 2012-10-31
DE102012219898.9A DE102012219898B4 (de) 2012-10-31 2012-10-31 Widerstandspunktschweißapparat
PCT/EP2013/071762 WO2014067794A1 (de) 2012-10-31 2013-10-17 Widerstandspunktschweissappar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194A KR20150070194A (ko) 2015-06-24
KR102063489B1 true KR102063489B1 (ko) 2020-01-09

Family

ID=4944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882A KR102063489B1 (ko) 2012-10-31 2013-10-17 저항 점용접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464160B2 (ko)
EP (1) EP2888069B1 (ko)
JP (1) JP6069514B2 (ko)
KR (1) KR102063489B1 (ko)
CN (1) CN104755217B (ko)
AU (1) AU2013339632A1 (ko)
DE (1) DE102012219898B4 (ko)
PL (1) PL2888069T3 (ko)
WO (1) WO2014067794A1 (ko)
ZA (1) ZA2015028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6172B (zh) * 2016-07-07 2021-06-08 西门子股份公司 具有涡旋式安装体的蒸汽发生器管
CN110030545B (zh) * 2019-03-27 2023-11-28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防腐耐磨膜式水冷壁结构
CN110788527B (zh) * 2019-10-23 2021-10-08 南华大学 机械钢结构的柔性堆叠增材制造装置及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88929A (fr) * 1971-09-15 1973-01-02 Buchel Eugen Appareil de soudure semi-automatique
JPS5225376B2 (ko) * 1974-02-08 1977-07-07
US4239953A (en) * 1978-11-16 1980-12-16 Bock Corporation Resistance welding apparatus
FR2615966B1 (fr) * 1987-06-01 1992-02-14 Framatome Sa Dispositif de surveillance televisuelle d'une operation de soudage a l'arc
US4761532A (en) * 1987-09-30 1988-08-02 Bock Corporation Resistance welding apparatus
US4788407A (en) * 1987-10-28 1988-11-29 Flater Anders H Spot welding electrode apparatus
US5530218A (en) * 1994-05-30 1996-06-25 Amada Metrecs Company, Limited Spot welding apparatus
US5831235A (en) * 1996-06-24 1998-11-03 Cecil; Dimitrios G. Apparatus and method of welding a tube and bracket assembly
CN2602865Y (zh) * 2003-03-06 2004-02-11 孔祥君 筒状金属件内表面点焊胎具
US8585753B2 (en) * 2006-03-04 2013-11-19 John James Scanlon Fibrillated biodegradable prosthesis
EP2390567A1 (de) 2010-05-31 2011-11-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Dampferzeugerrohren
EP2390039A1 (de) 2010-05-31 2011-11-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stoffschlüssigen Verbinden eines Einbaukörpers in ein Dampferzeugerrohr mit einer exzentrisch bezüglich der Mittelachse des Brennerrohrs angeordneten Schweissdrahtdüse
DE102010042457A1 (de) * 2010-10-14 2012-04-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Punktschweißanlage und zugehörige Punktschweißanlage
JP2012091199A (ja) * 2010-10-27 2012-05-17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配管溶接部の予防保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219898A1 (de) 2014-04-30
CN104755217A (zh) 2015-07-01
EP2888069B1 (de) 2018-11-28
CN104755217B (zh) 2017-05-03
WO2014067794A1 (de) 2014-05-08
AU2013339632A1 (en) 2015-05-07
JP6069514B2 (ja) 2017-02-01
ZA201502871B (en) 2016-01-27
DE102012219898B4 (de) 2014-09-11
EP2888069A1 (de) 2015-07-01
JP2015532892A (ja) 2015-11-16
KR20150070194A (ko) 2015-06-24
US20150290737A1 (en) 2015-10-15
US10464160B2 (en) 2019-11-05
PL2888069T3 (pl)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489B1 (ko) 저항 점용접 장치
DK159722B (da) Fremgangsmaade til sammensvejsning af ledningselementer af termoplastisk materiale samt til udoevelse af fremgangsmaaden egnet indretning
CN102984834B (zh) 带有连接线的电加热装置
CN1790881A (zh) 发电机电枢绕组线棒的铜焊端隔离层和施加隔离层的方法
US20160052081A1 (en) Method for connecting a tubular cable lug to a strand produced from aluminium
JPS60198224A (ja) 電気溶接されるユニオン継手の溶接時間制御方法及び装置
US10186359B2 (en) Method for attaching a metal ring in a frame and induction coil obtained by said method
CN103737136B (zh) 焊接设备
CN102168930B (zh) 热管及其制造方法
CN110936042B (zh) 一种铜管焊接方法
JP5207107B2 (ja) 中空鋼板部品の溶接装置
JP4665194B2 (ja) 小径軸状部品の電気抵抗溶接方法および装置
JP5166201B2 (ja) 圧力容器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圧力容器
WO2019229865A1 (ja) オゾン発生装置
EP1779996A1 (en) Heater unit and thermal fusion apparatus for synthetic resin members and thermal fusion method for synthetic resin members
JP2016101591A (ja) 片側スポット溶接方法
CN115038541A (zh) 双金属适配器
US3997755A (en) Electrode specially for welding studs in heat exchanger tubes
KR102276819B1 (ko) 파이프 요소를 위한 연결 장치
US2604570A (en) Electric conne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9142907A (ja) 熱可塑性樹脂管への穿孔方法及び該方法で用いるホールソー
CN221087586U (zh) 电极组件及焊接设备
CN109500507A (zh) 一种换热器管板与换热管的连接方法
CN202240137U (zh) 一种电极装置
JP2007333156A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