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194B1 -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194B1
KR102063194B1 KR1020170169300A KR20170169300A KR102063194B1 KR 102063194 B1 KR102063194 B1 KR 102063194B1 KR 1020170169300 A KR1020170169300 A KR 1020170169300A KR 20170169300 A KR20170169300 A KR 20170169300A KR 102063194 B1 KR102063194 B1 KR 102063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cience
sensor
room
determin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995A (ko
Inventor
지용화
Original Assignee
지용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용화 filed Critical 지용화
Priority to KR1020170169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194B1/ko
Priority to PCT/KR2017/014463 priority patent/WO2019117321A1/ko
Publication of KR20190068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정된 과학실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파악된 과학실의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실의 안전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서 과학실의 안전 상태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판단 시, 상기 판단부에서 파악된 과학실의 상태 정보를 과학실 인근의 사용자와 비상대응조직 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제공하는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과학실에서 발생한 사고가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Safety management system of laboratory}
본 발명은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학실의 안전 상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과학실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관리자가 보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발적으로 종래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특정된 하나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과학실과 같이 다양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공간에 적합하지 못하였다.
즉, 종래의 안전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화재관리 시스템과 같이, 어떠한 하나의 특정 사고를 파악하고 이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특정된 하나의 사고에 대해서는 효율적으로 대처 가능하나, 과학실과 같이 화재사고, 유독성 물질 누출사고, 도난사고 등 다양한 사고가 발생 가능한 공간에 적용 시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다시한번 설명하면, 종래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과학실에 적용할 경우 화재사고, 유독성 물질 누출사고, 도난사고 등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화재관리 시스템, 유독성 물질 안전관리 시스템, 도난사고 안전관리 시스템 등 복수개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과학실에 개별 설치 및 관리 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체계가 복잡해져 관리가 어려워지고, 시스템의 설치비용 또한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어, 현재 대다수의 학교에서 단순히 화재관리 시스템만을 도입한 상태이며, 이러한 화재관리 시스템으로는 2017년 12월 15일 포항에서 일어난 포르말린 누출사고와 같은 유해물질 누출사고, 원인 규명이 어려운 과학실 폭발 사고 등을 방지하거나 대처할 수 없으므로, 과학실은 안전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과학실 안전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92766호(2017.11.0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과학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사고, 유독성 물질 누출사고, 도난사고 등을 통합 관리 가능한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안전관리 시스템이 하나의 특정된 사고만을 관리하기 위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과학실에 복수개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치하여야 했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안전관리 시스템의 경우 모든 관리자에게 사고 발생 상황이 안내되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지휘 체계에 혼란이 발생하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파악된 사고 유형에 대응하여 관리자에게 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발생된 사고를 보다 신속하게 해결 가능한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현장으로 출동중인 비상대응조직 담당자와 관리자가 서로 직접 연락할 수 있게 하여, 비상대응조직 담당자가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초동조치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고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정된 과학실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는 감지부(100); 상기 감지부(100)에서 파악된 과학실의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실의 안전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200); 및 상기 판단부(200)에서 과학실의 안전 상태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시, 상기 판단부(200)에서 파악된 과학실의 상태 정보를 과학실 인근의 관리자와 비상대응조직 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제공하는 관리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100)는 화재센서(110)와, 연기센서(120)와, 온도센서(130)와, 동작센서(140)와, 기체성분 분석센서(15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200)는 상기 감지부(100)에서 파악하는 정보의 안전 범위가 저장되어, 저장된 안전 범위를 기반으로 과학실의 안전 상태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과학실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된 관리자를 파악하여, 상기 관리부(300)로 파악된 관리자의 정보를 전송하는 비콘(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체성분 분석센서(150)는 과학실 내부 공간에 위치된 인체유해가스의 농도를 분석하고, 상기 판단부(200)는 상기 기체성분 분석센서(150)에서 분석된 인체유해가스 농도를 안전, 경계, 위험으로 분류하여 관리자에게 과학실의 안전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200)에서 과학실의 상태를 경계 또는 위험으로 분류 시, 상기 관리부(300)를 통하여 경계 또는 위험 상황에 적합한 대응 방법을 과학실 인근의 관리자에게 송신하는, 가이드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부(300)는 상기 판단부(200)에서 과학실의 상태를 위험으로 분류 시, 상기 관리부(300)를 통하여 과학실 인근의 관리자에게 과학실로 출동한 비상대응조직 담당자 연락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과학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상황, 연기 발생 상황, 유독가스 누출 상황, 침입자 발생 상황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하여 관리자 및 비상대응조직이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사고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화재센서, 연기센서, 온도센서, 동작센서, 기체 분석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구비되어, 다양한 사고 발생 상황을 파악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센서가 서로 연동되어 사고 발생 원인 또한 파악 가능하므로, 관리자 및 비상대응 조직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고 발생 상황에 대응 가능한 것이다.
또한, 과학실로부터 일정 지역에 위치된 관리자에게만 선별적으로 과학실에서 발생한 사고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사고 현장 지휘 계통에 혼선이 빚어지는 것을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시각적으로 확인이 어려운 유독 가스 누출 시 누출된 유독가스의 정보를 파악하여, 누출된 유독가스에 대응되는 대처 방법을 관리자 및 비상대응 조직에 전송 가능하므로, 사고를 효과적으로 수습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응급구조대 측에서는 누출된 유독가스 종류에 대응되는 구급약품을 준비할 수 있고, 소방서 측에서는 화재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효율적으로 진화 가능한 소화물질을 준비할 수 있으므로, 정보 부족으로 사고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화재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센서 구비 시)
도 4는 본 발명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센서가 과학실 안에 구비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비콘 구비 시)
도 6은 본 발명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비콘이 관리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을 나타낸 블록도.(가이드부 구비 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정된 과학실(10)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는 감지부(100)와, 상기 감지부(100)에서 파악된 과학실(10)의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실(10)의 안전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200)와, 상기 판단부(200)에서 과학실(10)의 안전 상태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시, 상기 판단부(200)에서 파악된 과학실(10)의 상태 정보를 과학실(10) 인근의 관리자(20)와 비상대응조직(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제공하는 관리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감지부(100)에서 과학실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판단부(200)로 전송하고, 상기 판단부(200)에서 감지부(100)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실의 안전 상태에 문제가 생겼음이 판단되면, 감지부(100)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건 종류를 판단 후, 관리자(20)와 비상대응조직(30)에 파악된 사건 종류를 알려주어, 사고에 적합한 비상대응조직의 조직원(40)들이 출동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관리부(300)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비상대응조직(30)은 상기 판단부(200)에서 판단된 사고 종류에 적합한 비상대응 조직이 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판단부(200)에서 과학실(10) 상에 화재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 시 관리부(300)는 소방서, 응급구조대에 판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는 판단부(200)에서 과학실(10)에서 도난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 시 관리부(300)는 경찰서와 응급구조대에 판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과학실(10)에서 발생한 사고 종류에 적합한 비상대응 조직에 사건 발생을 알림으로서, 불필요한 비상대응 조직의 출동을 방지하여 인적 물적 낭비를 방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리부(30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상기 비상대응조직(30)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과학실(10) 상에 비치된 단말기와 같이 Wi-Fi, LTE와 같은 정보 전달 방식을 이용 가능한 이동통신기기(T)를 통하여 비상대응조직(30)으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감지부(100)는 화재센서(110)와, 연기센서(120)와, 온도센서(130)와, 동작센서(140)와, 기체성분 분석센서(15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화재센서(110)는 자외선 센서와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과학실(10) 상에서 나타나는 빛의 파장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연기센서(120)는 과학실(10) 상에서 발생하는 연기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온도센서(130)는 과학실(10) 상에서 나타나는 대기의 온도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동작센서(140)는 지정되지 않은 시간대에서 나타나는 과학실(10) 안에서의 사물 동작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기체성분 분석센서(150)는 과학실(10) 상의 기체성분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판단부(200)의 안전 상태 파악을 보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판단부(200)는 각각의 센서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실의 안전 상태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판단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서로 다른 센서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과학실의 안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판단부(200)에서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 수신되는 정보만을 이용하여 과학실의 안전 상태를 판단 시, 화재센서(110)와, 연기센서(120)와, 온도센서(130)와, 동작센서(140)와, 기체성분 분석센서(150)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 측정 오류가 발생할 경우 판단부(200)에서 잘못된 판단이 내려질 수 있으므로, 판단부(200)에 과학실(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상황에서 나타나는 빛의 파장, 연기의 양, 온도 수치, 기체성분 종류 등의 안전 범위가 저장되고, 최소 2개 이상의 수신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안전 범위를 초과할 경우 판단부(200)에서 과학실(10) 상에 안전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한 것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화재센서(110)와, 상기 연기센서(120)와, 상기 온도센서(130)와, 상기 동작센서(140) 등은 과학실(10)의 중심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권장하나, 상기 기체성분 분석센서(150)의 설치 높이(L)는 기체성분 분석센서(150)가 위치되는 과학실(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평균 키 미만에 위치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진, 태풍, 외부 충격에 의하여 과학실(10) 상에 비치된 실험용기(12)가 파손되며 과학실(10) 내부의 실험공간(11) 상에 유독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독가스는 단 한번의 흡입만으로 인체에 큰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기체성분 분석센서(150)를 과학실(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평균 키보다 낮게 위치시켜, 과학실(10)에 위치된 사용자가 유독가스를 흡입 전에 분석센서(150)가 유독가스 정보를 판단부(200)로 보내, 관리부(300)에서 정보를 전달받은 관리자가 과학실(10)에 위치된 사용자를 대피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기체성분 분석센서(150)는 상기 화재센서(110), 상기 연기센서(120), 상기 온도센서(130), 상기 동작센서(140)등과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벽 또는 실험용기가 보관되는 보관대에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부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시스템이 내장되어 상기 판단부(200)와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기체성분 분석센서(150)는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염소등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측정 가능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센서는 특히 과학실(10)에 위치하고 있는 과학실 사용자가 시각 또는 후각으로 확인이 어려운 기체를 측정 가능해야 함은 물론이며, 일 실시예로는 가스 흡착에 의한 전기전도도 변화를 이용하여 반도체식 센서, 가스 흡착에 의한 열전도 변화 및 전기전도도 변화를 백금선코일의 양끝에서 본저항치 변화로 측정하는 열선형 센서, 박막 반도체 표면의 가스 흡착에 의해 전기전도도 변화를 측정하는 박막형 센서, 가스 열전도의 차이에 의한 발열체의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기체열전도식 센서, 특정 가스를 정한 뒤 전해하여 생기는 전해전류를 검지하여 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정전위식 센서, 촉매 표면의 가스접촉연소에 의한 백금선 코일의 온도상승(저항치 변화)을 측정하는 접촉연소식 센서, 탄소계저항체의 주된 결합체의 오일 및 유기용제 증기에 대한 팽윤성을 저항치 변화로 측정하는 액체 민감성소자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체성분 분석센서(150)는 특히 가스의 선택성이 뛰어나고 타 가스의 간섭이 최소화된 정전위전해식 센서가 상기 기체성분 분석센서로 사용되는 것을 권장하며, 정전위전해식 센서가 상기 기체성분 분석센서(150)에서 사용될 경우, 상기 관리부(300)에서 측정된 기체성분 정보를 비상대응조직(30)으로 전송하여, 비상대응조직(40)의 조직원들이 출동 시 기체성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적합한 물품을 준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과학실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된 사용자를 파악하여, 상기 관리부(300)로 파악된 사용자의 정보를 전송하는 비콘(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비콘(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서 일정 구역 내에 위치된 관리자(20)의 단말기와 서로 정보를 주고받아 관리자(2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비콘(400)으로 과학실(10) 주위에 위치된 관리자(20)를 파악하고, 비콘(400)에서 파악된 관리자(20) 정보를 관리부(300)로 전송하여, 관리부(300)에서 등록된 관리자(20) 중 과학실(10)에 인접하게 위치된 관리자에게 과학실(10)의 상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판단부(200)에서 과학실(10) 상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하면, 과학실(10)에 인접한 관리자(20)가 신속히 사고에 대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과학실(10)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실질적으로 과학실(10)에서 발생한 사고를 대처할 수 없는 관리자(20)에게 과학실(10)의 사고 정보가 전송되어, 관리자(20)들 간의 연락 체계가 혼선을 빚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기체성분 분석센서(150)는 과학실(10) 내부 공간에 위치된 유독성 가스와 같은 인체유해가스의 농도를 분석하고, 상기 판단부(200)는 상기 기체성분 분석센서(150)에서 분석된 인체유해가스 농도를 안전, 경계, 위험으로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과학실의 안전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부(200)에서 과학실의 상태를 경계 또는 위험으로 분류 시, 상기 관리부(300)를 통하여 경계 또는 위험 상황에 적합한 대응 방법을 과학실 인근의 관리자(20)에게 송신하는, 가이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체 유해가스는 종류가 다양하며 종류에 따라 적합한 대처 방법이 달라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리자(20)가 인체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을 모르는 상태로 과학실(10) 상에 위치된 인체 유해가스를 제거하려 할 경우, 누출된 인체 유해가스가 다른 물질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폭발, 화재가 발생하거나, 인체 유해가스의 누출 범위가 확장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부(500)가 상기 관리부(300)를 통하여 관리자(20)에게 누출된 인체 유해가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전송하여, 사고가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관리부(300)는 상기 판단부(200)에서 과학실의 상태를 위험으로 분류 시 과학실(10) 인근의 관리자(20)에게 과학실로 출동한 비상대응조직 담당자의 연락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재, 화학물질 누출 사고는 사건 현장에서의 초동조치에 대응하여 피해가 급격히 감소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부(300)에서 상기 비상대응조직(30)으로 과학실(10)의 상태 정보를 전송 후, 비상대응조직(30)에서 제공한 출동 조직원(40)의 연락처 정보를 상기 관리자(20)에게 전송하여, 관리자(20)가 출동 조직원(40)과 연락을 통해 관리자(20)가 과학실(10)에서 발생한 사고에 적합한 초동조치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10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험용기(12)가 비치된 실험용기 보관대(13) 상에, 상기 실험용기 보관대(13)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수평도 측정센서(16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도 측정센서(160)는 상기 판단부(200)와 정보를 주고 받아, 상기 판단부(200)에서 상기 보관대(13)의 기울기가 일정 이상으로 기울어져 내부에 비치된 실험용기(12)가 파손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관리부(300)에서 상기 보관대(13)에 형성된 개폐제어부(170)로 상기 판단부(200)에서 판단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개폐제어부(170)가 보관대(13)의 도어를 강제로 잠금상태로 전환하게 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보관대(13)가 기울어져 내부에 비치된 상기 실험용기(12)가 보관대(13) 외측에서 파손될 경우, 실험용기(12)에 저장되어 있는 화학물질이 서로 화학반응을 일으켜 유독성 물질을 형성하거나, 화재 또는 폭발 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보관대(13)에 부착된 수평도 측정센서(160)가 보관대(13)의 각도를 측정하고, 수평도 측정센서(160)에서 측정된 보관대(13)의 기울기를 기반으로 보관대(13)의 위험 상태를 판단부(200)에서 판단 및 대처 가능하게 함으로써, 위험 상황에 보다 신속히 대처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수평도 측정센서(160)에서 보관대(13)가 일정 이상으로 기울었음을 판단하여, 상기 개폐제어부(170)에서 보관대(13)의 도어를 차단 시, 보관대(13) 내부 공간에서 화학물질들이 서로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상기 보관대(13)는 각각의 실험용기(12)를 격리하는 격리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격리된 각각의 공간에 상기 기체 성분 분석센서(150)를 위치시켜 어떠한 화학물질이 보관되는 실험용기(12)가 파손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1000)은 상기 판단부(200)에서 상기 과학실(10) 상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 할 경우, 판단부(200)에서 판단된 정보를 상기 관리부(300)에서 전송받아, 과학실 상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대피정보를 가이드하는 대피정보안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대피정보안내모듈은 화재발생위치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대피정보 안내부와, 화재발생 위치 또는 탈출 방향을 레이저로 표시하는 대피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대피정보 표시부는 레이저를 방출하여 위험 지역을 'X' 표시하고, 사용자가 과학실에서 탈출 가능한 이동 경로를 과학실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 화살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1000)은, 상기 판단부(200)에서 상기 과학실(10) 상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 할 경우, 상기 과학실(10) 내부의 실험공간(11)에 위치된 기체를 흡입하는 보조 덕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덕트부는 과학실(10)의 바닥면과 천장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기체성분 분석센서(150)에서 측정되는 기체성분에 대응하여 실험공간(11)에 위치된 유독성 기체를 상측 또는 하측에서 흡수 가능하며, 이때 사용되는 보조 덕트부를 선택하기 위하여 과학실(10)의 하측과 상측에 개별적으로 기체성분 분석센서(150)가 위치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과학실(10)의 하측에 위치된 기체성분 분석센서(150)에서 유독성 기체가 측정될 경우, 상기 판단부(200)에서 과학실(10)의 하측에 위치된 보조 덕트부를 작동시켜, 유독성 기체가 상측으로 상승하여 과학실(10)에 위치된 사용자가 유독성 기체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과학실(10)의 상측에 위치된 기체성분 분석센서(150)에서 유동성 기체가 측정될 경우, 판단부(200)에서 관리부(300)를 통해 과학실(10)의 상측에 위치된 보조 덕트부를 작동시켜 실험공간(11)에 위치된 유독성 기체를 보다 빨리 제거하며, 과학실(10)의 상측에 위치된 기체성분 분석센서(150)와 하측에 위치된 분석센서 모두에서 유독성 기체가 측정될 경우, 과학실(1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된 보조 덕트부를 모두 작동시켜 보다 신속히 실험공간(11)에 위치된 유독성 기체를 제거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 덕트부는 흡입된 유독성 기체를 외부로 방출 시 보조 덕트부를 통해 방출된 유독성 기체에 의해 다양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흡입된 유독성 기체를 저장 및 중화하는 유독성 기체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독성 기체 처리부는 상기 기체성분 분석센서(150)에서 측정된 기체의 유독성 성분을 중화할 수 있는 용액을 상기 판단부(200)에서 판단 후, 상기 관리부(300)에서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감지부
110 : 화재센서 120 : 연기센서
130 : 온도센서 140 : 동작센서
150 : 기체성분 분석센서
200 : 판단부
300 : 관리부
400 : 비콘
500 : 가이드부

Claims (7)

  1. 과학실의 안전을 관리하는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센서(110)와, 연기센서(120)와, 온도센서(130)와, 동작센서(140)와 과학실 내부 공간에 위치된 인체유해가스의 농도를 분석하는 정전위전해식 기체성분 분석센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지정된 과학실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는 감지부(100);와
    상기 감지부(100)에서 파악하는 정보의 안전 범위가 저장되어, 저장된 안전범위를 기반으로 과학실의 안전 상태를 파악하고, 최소 2개 이상의 안전 범위를 초과할 경우 과학실 상에 안전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기체성분 분석센서(150)에서 분석된 인체유해가스 농도를 안전, 경계, 위험으로 분류하여 관리자(20)에게 과학실의 안전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판단부(200);와
    상기 판단부(200)에서 과학실의 안전 상태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시, 상기 판단부(200)에서 파악된 과학실의 상태 정보를 과학실 인근의 관리자(20)와 비상대응조직(30)에게 제공하고, 상기 판단부(200)에서 과학실의 상태를 위험으로 분류 시, 관리부(300)를 통하여 과학실 인근의 관리자(20)에게 과학실로 출동한 비상대응조직(30) 담당자 연락처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부(300);와
    과학실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된 관리자(20)를 파악하여, 상기 관리부(300)로 파악된 관리자(20)의 정보를 전송하는 비콘(400);과
    상기 판단부(200)에서 과학실의 상태를 경계 또는 위험으로 분류 시, 상기 관리부(300)를 통하여 경계 또는 위험 상황에 적합한 대응 방법을 과학실 인근의 관리자(20)에게 송신하는 가이드부(500);및
    실험용기(12)가 비치된 실험용기 보관대(13) 상에 상기 실험용기 보관대(13)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수평도 측정센서(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부(300)는
    상기 보관대에 형성되어 상기 판단부(200)에서 상기 실험용기 보관대(13)의 기울기가 일정 이상으로 기울어져 내부에 비치된 실험용기(12)가 파손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도어를 강제로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개폐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69300A 2017-12-11 2017-12-11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63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300A KR102063194B1 (ko) 2017-12-11 2017-12-11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PCT/KR2017/014463 WO2019117321A1 (ko) 2017-12-11 2017-12-11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300A KR102063194B1 (ko) 2017-12-11 2017-12-11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995A KR20190068995A (ko) 2019-06-19
KR102063194B1 true KR102063194B1 (ko) 2020-01-07

Family

ID=6681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300A KR102063194B1 (ko) 2017-12-11 2017-12-11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3194B1 (ko)
WO (1) WO20191173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571B1 (ko) * 2019-07-19 2020-05-15 최용범 화장실 선반장치 제어시스템
KR102290688B1 (ko) 2019-09-09 2021-08-19 주식회사 랩시드 실시간 실험실 모니터링 시스템
US11813926B2 (en) 2020-08-20 2023-11-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US11636870B2 (en) 2020-08-20 2023-04-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760170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760169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US11932080B2 (en) 2020-08-20 2024-03-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881093B2 (en) 2020-08-20 2024-01-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US11828210B2 (en) 2020-08-20 2023-11-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CN112304366A (zh) * 2020-10-19 2021-02-02 上海飞域实验室设备有限公司 一种实验室环境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CN113379992B (zh) * 2021-06-04 2023-03-17 大百科实验室设备工程(江苏)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实验室安全风险预警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195Y1 (ko) * 2006-03-03 2006-05-12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가스 경보 장치
KR101752978B1 (ko) * 2015-11-30 2017-07-03 한국도로공사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348A (ko) * 2008-07-18 2010-01-27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스마트 실험실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04008B1 (ko) * 2010-02-10 2012-11-23 허선회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KR20170108271A (ko) * 2016-03-17 2017-09-27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을 활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KR101792766B1 (ko) 2017-01-26 2017-11-01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195Y1 (ko) * 2006-03-03 2006-05-12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가스 경보 장치
KR101752978B1 (ko) * 2015-11-30 2017-07-03 한국도로공사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995A (ko) 2019-06-19
WO2019117321A1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194B1 (ko)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N111341065B (zh) 罐区安全防护系统和方法
EP3125205B1 (en) Individual evacuation plan generation and notification via smart/wearable devices by positioning and predicting emergencies inside a building
CN105185062B (zh) 用于位置标记总人数统计的系统和方法
US9830804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lementing situational control processes
KR100846829B1 (ko)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US6590496B2 (en) Rapid threat response for minimizing human casualties within a facility
KR101478691B1 (ko) 인텔리전트 빌딩의 화재 확산 지연 시스템 및 방법
CN201832302U (zh) 建筑火灾态势评估与人员疏散指示系统
US20100218962A1 (en) Fire containment and monitoring system
KR102229617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US20200135001A1 (en) Safety card based on wireless mesh network
CN111178828A (zh) 一种建筑消防安全预警的方法和系统
KR102266545B1 (ko)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81712B1 (ko)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US20190371155A1 (en) Fire type detection and notification
KR102229620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101999206B1 (ko) 스마트펜스를 사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33045B1 (ko)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US10957180B2 (en) Confined space failsafe access system
KR102526571B1 (ko)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센서 기반의 밀폐공간 질식사고 예방 시스템
WO2024107150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ed explosion early warning tracking system and method in storage areas of flammable and combustible chemical liquids
KR102266547B1 (ko)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KR102513316B1 (ko) 조업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