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712B1 -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712B1
KR102081712B1 KR1020190091683A KR20190091683A KR102081712B1 KR 102081712 B1 KR102081712 B1 KR 102081712B1 KR 1020190091683 A KR1020190091683 A KR 1020190091683A KR 20190091683 A KR20190091683 A KR 20190091683A KR 102081712 B1 KR102081712 B1 KR 102081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uilding
path
location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범진
Original Assignee
(주)세이프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이프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세이프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9009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내 화재 등의 재난 발생 시 건물내 위치한 각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대피 경로를 각각 생성하여 제공하고, 대피 경로 중 건물 외부로 이동 가능한 경로외에 구호 장비를 보관하는 보관함이 위치한 장소에 대한 경로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대피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건물에서 탈출하지 못한 각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분석하고, 건물 내부 지도와 연동되는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위험 상태 정보를 표시시키거나 외부 구조 기관으로 제공함으로써 위험 상태에 처한 사용자에 대한 우선적인 구조가 가능하게 되어 재난 발생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DISASTER SAFETY INTEGRATION SYSTEM}
본 발명은 화재 등의 재난 대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등과 같은 재난 상황 발생 시 사용자를 보다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위험 상태에 처한 사용자를 식별하여 신속히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층으로 구분되는 건물의 경우 큰 규모와 복잡한 구조로 인해 화재 등과 같이 건물 외부로 긴급한 대피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건물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가 건물 외부로 신속히 대피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화재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은 일반 사람들이 자주 경험하기 어려우므로, 처음으로 이러한 재난 현장을 경험하게 되는 사람들은 건물 구조와 자신의 위치 정보 등을 신속하게 제공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 대피로를 잘못 선택하여 유독 가스에 질식되는 등과 같이 치명적인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구조 활동에 있어서도 복잡한 건물 구조와 건물내 위치한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는 구조 효율이 떨어져서 신속한 구조 활동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인명 피해 규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 일반 오피스 빌딩, 관공서 등의 건물에는 화재 등의 재난 상황 발생시 사용자에게 긴급하게 구호 장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방독면, 재세동기 등의 구호 장비를 구비되어 있는 구호 장비 보관함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호 장비 보관함은 화재를 포함한 재난 상황 발생시 유독 가스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방독면, 화재대피 손수건이나, 심장마비가 발생한 사용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재세동기 등의 장비를 단순히 보관하고 있는 역할을 수행할 뿐, 재난 상황 발생 시 보다 능동적으로 건물 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되어 있지 않아 실질적인 효과가 그리 크지는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283896호(등록일자 2013년 07월 03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등과 같은 재난 상황 발생 시 사용자를 보다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위험 상태에 처한 사용자를 식별하여 신속히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은, 복수의 구호 장비를 보관하는 보관함과,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통신부와, 상기 시스템의 각종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내 화재 발생 여부와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상기 건물내 존재하는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설정된 일정 시간 주기에 따라 확인하고, 상기 건물내 화재 발생 시에는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와,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건물의 내부 지도와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화재 발생 위치를 우회하도록 각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건물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경로와 상기 보관함이 위치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경로를 사용자별로 각각 생성하는 안전 경로 생성부와, 상기 화재 발생 이후,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각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분석하는 사용자 위험도 분석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전송하고, 상기 분석된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각 사용자가 상기 건물내 위치한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위험도 분석부는, 상기 각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변화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상기 각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며, 일정 단위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상기 각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른 이동 거리가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위험도 분석부는, 상기 위험 상태로 분석된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상태를 우선 구조가 필요한 긴급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 상태로 분석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표시부상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설정된 식별 표식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 상태로 분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구조 대원이 이동 중인 사실과 상기 구조 대원이 근접한 거리 정보를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각 사용자의 상기 건물 내 위치 정보와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재난 관련 외부 기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건물내 각 영역에 설치되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비콘 신호를 송수신하는 비콘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위치 확인부는, 상기 비콘 장치로부터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비콘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위치 확인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비콘 기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상 서버에 접속하여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비콘 기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비콘 기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위치 확인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LBS 기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상 서버에 접속하여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LBS 기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LBS 기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위치 확인부는, 상기 건물내 구조 대원이 진입하는 경우, 상기 건물내 진입한 구조 대원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조 대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조 대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경로 또는 상기 제2 경로상에 실시간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건물내 각 통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독가스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 경로 생성부는,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유독가스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건물내 각 통로의 유독가스 분포량을 기반으로 상기 유독가스 분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통로에 대해서는 해당 통로를 우회하도록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건물내 각 통로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경로 안내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 경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에 대응되게 상기 경로 안내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건물내 각 통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독가스 측정 센서를 제어하는 상기 건물내 중앙 관제 센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중앙 관제 센터로부터 상기 건물내 각 통로 중 상기 유독가스 분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통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유독가스 분포량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통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안전 경로 생성부로 제공하며, 상기 안전 경로 생성부는, 상기 유독가스 분포량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통로에 대해서는 해당 통로를 우회하도록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건물내 각 통로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경로 안내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안전 경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 정보를 상기 중앙 관제 센터로 전송하여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에 대응되게 상기 경로 안내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건물내 각 통로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경로 안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건물내 중앙 관제 센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안전 경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 정보를 상기 중앙 관제 센터로 전송하여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에 대응되게 상기 경로 안내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보관함을 잠그거나 또는 오픈시키는 도어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건물내 위치한 각 사용자가 상기 구호 장비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락을 해제시켜 상기 보관함을 오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보관함내 상기 구호 장비의 이탈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도어락을 해제시킨 후, 상기 구호 장비가 각 사용자에 의해 인출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보관함으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구호 장비의 수를 인식하고, 상기 제2 경로상 표시되는 상기 보관함의 위치에 상기 구호 장비의 보유 현황 정보를 함께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평상시에는 상기 구호 장비의 사용법을 반복적으로 재생하며, 상기 건물내 화재 발생 시 상기 건물에서 탈출하지 못한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건물의 내부 지도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스템과 연동되는 재난 대비 안내 프로그램 어플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의 실행을 통해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여 상기 건물내 관리 대상 사용자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구호 장비를 탑재하고,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경로 또는 상기 제2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자율 주행 이송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율 주행 이송 장치는, 상기 제1 경로 또는 상기 제2 경로를 따라 자율 이동하면서 상기 건물내 위치한 각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에게 근접하여 상기 구호 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율 주행 이송 장치는, 일측면에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사용자에게 기설정된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상 상기 구호 장비를 배포하기 위한 장치임을 알리는 문구를 표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내 화재 등의 재난 발생 시 건물내 위치한 각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대피 경로를 각각 생성하여 제공하고, 대피 경로 중 건물 외부로 이동 가능한 경로외에 구호 장비를 보관하는 보관함이 위치한 장소에 대한 경로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대피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관함이 위치한 장소에 대한 경로 정보와 함께 해당 보관함내 구호 장비의 현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위험에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보관함에 보관되고 있는 구호 장비의 제고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구호 장비가 존재하지 않는 장소로 불필요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시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에서 탈출하지 못한 각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분석하고, 건물 내부 지도와 연동되는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위험 상태 정보를 표시시키거나 외부 구조 기관으로 제공함으로써 위험 상태에 처한 사용자에 대한 우선적인 구조가 가능하게 되어 재난 발생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내로 진입한 구조 대원의 위치 정보를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대피 경로상에 표시시키거나 위험 상태에 있는 사용자에게는 구조 대원이 이동 중인 사실과 구조 대원이 근접한 거리 정보를 푸쉬 메시지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조 대원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위험에 처한 사용자가 구조 대원이 구하러 오고 있다는 정보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자기 방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호 장비를 구비하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의 정면 외관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지점을 우회하도록 생성되는 제1 경로 및 제2 경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독 가스 지역을 우회하도록 생성되는 제1 경로 및 제2 경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경로에 대응되게 점등된 경로 안내등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재난 안전 통합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상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00, 102, 104)은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위치한 건물(110) 내 화재 발생 등과 같은 재난 상황 발생 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으로부터 건물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경로 또는 방독면, 재세 동기(자동심장 충격기) 등의 구호 장비가 보관된 보관함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경로 등의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제1 경로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서 건물내 사용자별 위치 정보룰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치에서 건물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내부 지도상 생성한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경로는 사용자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치에서 건물내 배치된 구호 장비 보관함의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내부 지도상 생성한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경로 및 제2 경로는 사용자별로 각각 생성될 수 있으며, 건물 내부 지도상 식별이 용이한 색깔 등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상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으로부터 위와 같은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를 제공받기 위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 사전 등록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소지된 사용자 단말(100)이 건물내 진입 시 자동으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서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에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과 접속되어 연동될 수 있는 재난 대비 안내 프로그램 어플(application)이 미리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각 사용가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이 설치된 특정 건물에 진입하여 해당 어플을 실행시키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 의해 인식되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과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위와 같은 재난 대비 안내 프로그램 어플은 모바일(mobile) 또는 웹서비스(web service)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근거리 통신(지그비, 블루투스, RF 송/수신 모듈, WIFI 등) 또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웨어러블 장치 등과 같은 이동성을 가지는 장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서 비콘 기반 위치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건물내 사무실, 통로 등을 포함하는 건물 내부 곳곳의 각 구역에 설치되는 비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비콘 서비스 어플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비콘 서비스 어플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0)은 건물 내부를 이동하게 되는 경우 건물내 곳곳에 설치된 비콘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를 이동통신망상 비콘 매니저 서비스 서버(160)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비콘 신호에는 해당 비콘 장치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특정 ID 정보가 포함될 수 있어 비콘 매니저 서비스 서버(160) 등에서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비콘 신호에 포함된 특정 ID 정보와 비콘 신호 수신 세기 정보 등을 인식하여 건물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위와 같은 이동통신망상 비콘 매니저 서비스 서버(160)와 연동하는 경우 비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건물내 설치된 비콘 장치와 직접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이거나 비콘 장치와 직접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어플이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건물내 진입하여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 접속되는 경우, 건물내 비콘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의 전파세기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비콘 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직접 연결되거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또한 비콘 장치는 사용자 단말(1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근거리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이 설치되는 건물은 관공서, 영화관 등의 일반 상업용 건물, 빌딩, 지하철 등의 공공 시설 등이 될 수 있으며, 해당 건물내 임의의 장소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앙 관제 센터(120)는 건물(110)내 설치되는 각종 설비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서버(server)일 수 있으며, 건물 운영자의 관리실 등에 설치되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의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과 연동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안 관제 센터(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물내 각 통로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경로 안내등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 안내등은 종래 비상구가 위치한 방향을 알려주는 비상등과는 달리, 건물내 각 층별 각 통로상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비상등의 수보다 휠씬 많은 수의 등이 촘촘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종래 비상등은 통로상 하나 정도가 설치되고 비상구 방향에 맞게 화살표가 형성되어 있어서 화재 발화 지점이나 해당 비상구로의 경로상 유독가스가 존재하여 사람이 통과가 불가한 경우에도 기설정된 방향의 비상구로만 안내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등은 통로별로 촘촘하게 복수개가 설치되어 화재 발화 지점이나 유독가스가 존재하는 영역을 우회하도록 대피 경로가 설정되는 경우 해당 대피 경로에 대응되게 점등되어 건물내 사용자가 경로 안내등을 따라가게 되면 화재 발화 지점이나 유독가스가 분포된 위험 지역을 우회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로 안내등의 점등 제어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 의해 직접 제어될 수도 있으며,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서 화재 발화 지점과 통로별 유독가스 유무를 고려한 대피 경로를 생성하여 중앙 관제 센터(120)에 제공하는 경우,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과 중앙 관제 센터(120)의 연동을 통해 중앙 관제 센터(120)에 의해 점등이 제어될 수도 있다.
재난 관련 외부 기관 서버(140)는 재난 발생 시 재난 발생 현장으로 구조 대원을 파견하거나 재난 복구 장비를 제공하는 소방서, 경찰서, 시도별 재난 안전 대책 본부 등에 설치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러한, 재난 관련 외부 기관 서버(14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의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과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재난 관련 외부 기관 서버(140)는 예를 들어 소방서에 설치된 서버일 수 있으며, 소방서에서 재난이 발생한 건물내 구조 대원을 파견하는 경우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과 연동하여 재난 발생 건물로 파견되는 구조 대원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서는 구조 대원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조 대원의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고 구조 대원이 건물내로 진입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통해 구조 대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건물내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건물내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재난 관련 외부 기관 서버(140) 및 건물내 위치한 사용자에게 재난 발생을 알리고, 건물 외부로 이동하거나 구호 장비가 보관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를 사용자별로 각각 생성하여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건물의 중앙 관제 센터(120), 재난 관련 외부 기관 서버(140) 또는 건물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 102, 104) 등과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화재 발생 등과 같은 재난 발생 시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구호 장비를 보관하는 보관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재난 발생 시에는 보관함의 도어락(door lock)을 자동으로 해제시켜 건물내 위치한 사용자가 구호 장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호 장비에 대해서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화재 등과 같은 재난 발생 시 건물내 위치한 사용자에게 대피 경로를 포함한 다양한 안전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각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00, 102, 104)에 대한 정보를 각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관리 대상 사용자 단말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등록에 있어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특정 건물내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 대비 안내 프로그램 어플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유도하고, 재난 대비 안내 프로그램 어플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위와 같이 등록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건물내 존재하는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설정된 일정 시간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건물내 화재 발생 등과 같은 재난 발생 시에는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또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무선통신모듈(지그비, 블루투스, WIFI, RF 송/수신 모듈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하여 필요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건물내 각 층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비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함에 있어서, 비콘 장치는 건물 내부 곳곳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130)과 통신하게 된다. 그러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비콘 장치를 통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를 입력받고, 비콘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건물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로 추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비콘 장치와 직접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이거나, 비콘 장치와 직접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어플이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또는, 건물내 진입 시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재난 대비 안내 프로그램 어플상에 비콘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이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비콘 장치로부터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를 입력받고, 비콘 신호의 세기 즉, 사용자 단말(100)의 전파세기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추정하여 건물내 각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함에 있어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이동 통신망상 사용자 단말(100)의 비콘 기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상 비콘 매니저 서비스 서버(160) 등에 접속하여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비콘 기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비콘 기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에는 비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비콘 서비스 어플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비콘 서비스 어플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0)은 건물 내부를 이동하게 되는 경우 건물내 곳곳에 설치된 비콘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를 이동통신망상 비콘 매니저 서비스 서버(160) 등으로 전송한다. 이때, 비콘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비콘 신호에는 해당 비콘 장치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특정 ID 정보가 포함될 수 있어 비콘 매니저 서비스 서버(16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비콘 신호에 포함된 특정 ID 정보와 비콘 신호 수신 세기 정보 등을 인식하여 건물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은(130)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위와 같은 이동통신망상 비콘 매니저 서비스 서버(160) 등과 연동하는 경우 비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함에 있어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이동 통신망상 사용자 단말(100)의 LBS 기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상 LBS 서버(150) 등에 접속하여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LBS 기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LBS 기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도 있다.
또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화재 발생 시 건물의 내부 지도와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위치를 우회하도록 각 사용자의 위치에서 건물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경로와 구호 장비가 보관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경로를 사용자별로 각각 생성하여 각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제1 경로는 건물내 사용자별 위치 정보룰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치에서 건물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내부 지도상 생성된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경로는 사용자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치에서 건물내 배치된 구호 장비 보관함의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내부 지도상 생성된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부 지도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중앙 관제 센터(120)와 연동하여 중앙 관제 센터(12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생성함에 있어서, 건물내 각 통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독가스 측정 센서를 통해 각 통로에 존재하는 유독가스 분포량을 파악하고, 유독가스 분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통로에 대해서는 해당 통로를 우회하도록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유독가스 측정 센서는 건물내 중앙 관제 센터(120)에 의해 제어 및 관리가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중앙 관제 센터(120)로부터 건물내 각 통로별 유독가스 분포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통로별 유독가스 분포량을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위와 같이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생성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건물내 통로별 설치된 경로 안내등을 제1 경로 및 제2 경로에 맞게 점등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각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확인하지 못했거나, 사용자 단말(100)의 작동 불능 또는 분실 등의 경우에도 경로 안내등을 통해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쉽게 확인하고 화재 발화 지점이나 유독가스 위험 지역을 우회하여 대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위와 같은 경로 안내등은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구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깔 등으로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로는 초록색, 제2 경로는 적색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로 안내등의 색깔 등을 구별하여 제1 경로 및 제2 경로 중 원하는 경로로 대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경로 안내등의 색깔과 경로별 매칭 정보는 사전에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건물내 구조 대원이 진입하는 경우, 건물내 진입한 구조 대원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구조 대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구조 대원의 위치 정보를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상에 실시간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함에 있어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제1 경로 및 제2 경로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화재 발생 이후,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각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고,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건물 내 화재 등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 각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의 변화에 따라 각 사용자의 위치 변화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각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한다.
이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일정 단위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각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른 이동 거리가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기준 거리는 사용자 정상적인 컨디션일 때 움직일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단위는 예를 들어 초단위, 분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사용자가 일정 단위 시간 동안 기준 거리 이상을 이동하지 못한 경우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해당 사용자가 유독 가스에 의한 실신, 기타 부상 등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위험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위와 같이 위험 상태에 있다고 판단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건물 지도와 연동되게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 구비되는 표시부상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 내 진입한 구조 대원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의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및 위험 상태에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각 사용자의 건물 내 위치 정보와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재난 관련 외부 기관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난 관련 외부 기관 서버(140)에서는 건물내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별 위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구조 계획 등을 수립하거나, 건물내 투입되는 구조 대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도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위와 같이 위험 상태에 있다고 판단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구조작업을 위해 건물내로 진입한 구조 대원의 사용자 단말로 건물 지도와 연동되는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구조 대원이 현재 위험 상태에 있는 사용자를 쉽게 파악할 수도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 대원은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의 표시부를 확인하지 못하였더라도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위험 상태에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위험 상태로 분석된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상태를 우선 구조가 필요한 긴급 상태로 분석하고, 긴급 상태로 분석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 구비된 표시부상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설정된 식별 표식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위험 상태로 분석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구조 대원이 건물내 진입한 경우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로 구조 대원이 이동 중인 사실과 구조 대원이 근접한 거리 정보를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 대원이 이동 중인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가 구조 대원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위험에 처한 사용자가 구조 대원이 구하러 오고 있다는 정보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자기 방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어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화재 발생 시 건물내 위치한 각 사용자가 안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구호 장비를 보관하며, 화재시 구호 장비가 각 사용자에 의해 이탈되는 경우, 이탈되는 구호 장비의 수를 인식한다. 이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제2 경로상 표시되는 구호 장비를 보관하고 있는 시스템(130)의 위치에 구호 장비의 보유 현황 정보를 함께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각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 보관되고 있는 구호 장비의 제고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구호 장비가 존재하지 않는 장소로 불필요하게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보관함(210)은 건물내 화재 발생 등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건물내 위치한 사용자가 자신의 안전 또는 옆 사람의 안전을 위해 긴급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구호 장비를 보관한다.
도 3은 구호 장비를 구비하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의 정면 외관을 예시한 것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보관함(210)에 구비되는 구호 장비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의 보관함(210)에는 예를 들어, 자동심장 충격기, 화재 대피용 손수건, 화재 대피 마스크, 응급처치 키트, 스프레이 소화기 등의 다양한 구호 장비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이러한 보관함(210)의 전면부에는 구호 장비의 불법적인 이탈을 방지시키기 위한 도어(door)와 제어부(232)의 제어에 따라 해당 도어를 잠그거나 오픈시키는 도어락(door lock)(212)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락(212)은 평소에는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키고 있다가 화재 발생 등과 같이 건물내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232)의 제어에 따라 해제되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킨다.
또한, 보관함(210)의 내부에는 구호 장비가 이탈되는 경우 이탈된 구호 장비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부(214)가 포함될 수 있다.
센서부(214)는 보관함(210)의 내부에 구비된 각 구호 장비의 이탈을 감지하며, 구호 장비가 이탈되는 경우 이탈되는 구호 장비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여 제어부(232)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32)는 보관함(210)에 구비되는 구호 장비의 이탈을 인식하여 보관함(210)내 구호 장비의 현황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구호 장비의 제고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구호 장비가 존재하지 않는 장소로 불필요하게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표시부(216)는 제어부(232)의 제어에 따라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의 각종 동작 상태 정보, 재난 발생 시 건물내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보관함(210)내 구비되는 각종 구호 장비의 사용 설명 등의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이때, 표시부(216)는 평상시에는 보관함(210)내 구비되는 각종 구호 장비의 사용법을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재생하여 건물내 사용자가 구호 장비의 사용법을 숙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화재 등 재난 발생 시에는 건물내 위치한 사용자별 위치 정보와 사용자별 위험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구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각종 구호 장비의 사용법과 관련된 데이터는 구호 장비 정보 DB(227)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구호 장비 정보 DB(227)에는 보관함(210)에 구비되는 각 구호 장비에 대한 상세 스펙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218)는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중앙 관제 센터(120), 재난 관련 외부 기관 서버(140), 사용자 단말(100, 102, 104) 등과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며, 또한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LBS 서버(150), 비콘 매니저 서비스 서버(160) 등과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218)는 무선통신모듈(지그비, 블루투스, WIFI, RF 송/수신 모듈 등)을 탑재하여 건물내 사용자 단말(100) 또는 비콘 장치(222)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재 감지부(220)는 건물내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32)로 제공한다.
이러한, 화재 감지부(220)는 주위 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차동식 감지기, 주위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작동되며 바이메탈을 이용하는 정온식 감지기, 또는 일정 농도 이상의 연기를 포함한 공기의 유입으로 광전소자에 접하는 광량의 변화에 의해 작동되는 광전식 감지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감지기는 건물의 사용 형태 등에 따라 적합한 방식이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콘 장치(222)는 건물 내부 곳곳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100)로 비콘 신호를 송신하거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위치 확인부(22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비콘 장치(222)는 사용자 단말(100)과의 통신을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비콘 장치(2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 포함되어 사용자 위치 확인부(224)에 의해 제어되어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러한 비콘 장치(222)는 건물내 중앙 관제 센터(120)에 의해서도 제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과 중앙 관제 센터(120)간 연동을 통해 비콘 장치(222)와 사용자 단말(100)간 송수신되는 비콘 신호가 중앙 관제 센터(120)를 통해 사용자 위치 확인부(224)로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위치 확인부(224)는 사용자 정보 DB를 참조하여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 등록된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정보를 읽어들인다. 이어, 사용자 위치 확인부(224)는 건물내 위치한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건물(110)내 존재하는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설정된 일정 시간 주기에 따라 확인하며, 건물내 화재 발생 등과 같은 재난 발생 시에는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또한, 사용자 위치 확인부(224)는 화재 발생에 따라 건물내 구조 대원이 진입하는 경우, 건물내 진입한 구조 대원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구조 대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이때 사용자 위치 확인부(224)는 건물내 진입하는 구조 대원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구조 대원을 파견한 재난 관련 외부 기관 서버(140) 등으로부터 미리 제공받아 구조 대원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 확인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건물내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함에 있어서, 사용자 위치 확인부(224)는 통신부(218)를 통해 건물내 각 층별 곳곳에 설치되는 비콘 장치(222)와 통신을 수행하여, 비콘 장치(222)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비콘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어, 사용자 위치 확인부(224)는 입력받은 비콘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건물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로 추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비콘 장치(222)와 직접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이거나, 비콘 장치(222)와 직접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어플이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재난 대비 안내 프로그램 어플상에 비콘 장치(222)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 사용자 위치 확인부(224)는 비콘 장치(222)로부터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를 입력받고, 비콘 신호의 세기 즉, 사용자 단말(100)의 전파세기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추정하여 건물내 각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함에 있어서, 사용자 위치 확인부(224)는 통신부(218)를 통해 유무선 통신망상 사용자 단말(100)의 비콘 기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상 비콘 매니저 서비스 서버(160) 등에 접속하여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비콘 기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비콘 기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에는 비콘 장치(222)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비콘 서비스 어플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비콘 서비스 어플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0)은 건물 내부를 이동하게 되는 경우 건물내 곳곳에 설치된 비콘 장치(222)로부터 발생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를 이동 통신망상 비콘 매니저 서비스 서버(160) 등으로 전송한다. 이때, 비콘 장치(222)로부터 발생되는 비콘 신호에는 해당 비콘 장치(222)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특정 ID 정보가 포함될 수 있어 비콘 매니저 서비스 서버(16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비콘 신호에 포함된 특정 ID 정보와 비콘 신호 수신 세기 정보 등을 인식하여 건물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 위치 확인부(224)는 통신부(218)를 통해 이동 통신망상 비콘 매니저 서비스 서버(160) 등에 접속하고 이동 통신망상 비콘 매니저 서비스 서버(160)와 연동하는 경우 비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함에 있어서, 사용자 위치 확인부(224)는 통신부(218)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LBS 기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상 LBS 서버(150) 등에 접속하고, LBS 서버(150)와 연동하는 경우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LBS 기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LBS 기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도 있다.
안전 경로 생성부(228)는 화재 발생 시 건물 정보 DB(230)에 저장된 건물의 내부 지도와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지점을 우회하도록 각 사용자의 위치에서 건물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경로와 구호 장비가 보관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경로를 사용자별로 각각 생성하여 각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제1 경로는 건물내 사용자별 위치 정보룰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치에서 건물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내부 지도상 생성된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경로는 사용자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치에서 건물내 배치된 구호 장비 보관함(210)의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내부 지도상 생성된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부 지도는 건물 정보 DB(23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중앙 관제 센터(120)와 연동하여 중앙 관제 센터(12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지점을 우회하도록 하는 제1 경로 및 제2 경로의 생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안전 경로 생성부(228)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화재 지점을 우회하도록 건물 내부 지도상 제1 경로(400)와 제2 경로(410)를 생성하게 되며, 이러한 제1 경로(400) 및 제2 경로(410)는 건물 내부에 각 사용자가 위치한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450), 제2 사용자(470)별로 대응되게 각각 생성되어 각 사용자(450, 470)의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안전 경로 생성부(228)는 제1 경로(400) 및 제2 경로(410)를 생성함에 있어서, 건물내 각 통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독가스 측정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각 통로에 존재하는 유독가스 분포량을 파악하고, 유독가스 분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유독가스 지역으로 판단된 통로에 대해서는 해당 통로를 우회하도록 제1 경로(400) 및 제2 경로(410)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독 가스 지역을 우회하도록 하는 제1 경로 및 제2 경로의 생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안전 경로 생성부(228)는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경로(400) 및 제2 경로(410)를 생성함에 있어서, 화재 지점을 우회하는 것 뿐만 아니라 유독가스 지역을 우회하도록 건물 내부 지도상 제1 경로(400)와 제2 경로(410)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사용자(450)의 제1 경로(400)가 도 4에서 보여진 경로와는 달리 유독가스 지역으로 판단된 A 통로를 우회하여 출구1의 방향이 아닌 출구2의 방향으로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2 사용자(470)의 제2 경로(410)가 도 4에서 보여진 경로와는 달리 유독가스 지역으로 판단된 B 통로를 우회하여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유독가스 측정 센서(도시하지 않음)는 건물내 중앙 관제 센터(120)에 의해 제어 및 관리가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안전 경로 생성부(228)는 중앙 관제 센터(120)로부터 건물내 각 통로별 유독가스 분포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통로별 유독가스 분포량을 파악할 수도 있다.
한편, 안전 경로 생성부(228)를 통해 위와 같이 제1 경로(400) 및 제2 경로(410)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부(2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건물내 통로별 설치된 경로 안내등을 제1 경로 및 제2 경로에 맞게 점등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각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확인하지 못했거나, 사용자 단말(100)의 작동 불능 또는 분실 등의 경우에도 경로 안내등을 통해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쉽게 확인하고 화재 발화 지점이나 유독가스 위험 지역을 우회하여 대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경로(400)가 경로 안내등으로 표시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제어부(232)는 도 4에서와 같이 안전 경로 생성부(228)에서 도 4에서와 같이 각 사용자에게 맞게 제1 경로(400)가 생성된 경우, 통로상 설치된 경로 안내등(600)을 점등을 제어하여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경로(400)에 대응되게 경로 안내등(600)을 점등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제1 경로(400)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경로 안내등(600)을 통해 제1 경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화재 발화 지점이나 유독가스 위험 지역을 우회하여 안전하게 대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위 도 6에서는 제1 경로(400)에 대응되게 경로 안내등(600)이 점등되도록 제어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2 경로에 대응되게 경로 안내등(600)을 점등시키는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제1 경로(400) 및 제2 경로(410)에 대응되는 경로 안내등은 서로 구분되어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위험도 분석부(236)는 화재 발생 이후,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각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고,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위험도 분석부(236)는 건물 내 화재 등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 각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의 변화에 따라 각 사용자의 위치 변화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각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한다.
이어, 사용자 위험도 분석부(236)는 일정 단위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각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른 이동 거리가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기준 거리는 사용자 정상적인 컨디션일 때 움직일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단위는 예를 들어 초단위, 분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사용자가 일정 단위 시간 동안 기준 거리 이상을 이동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위험도 분석부(236)는 해당 사용자가 유독 가스에 의한 실신, 기타 부상 등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위험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위험도 분석부(236)는 위험 상태로 분석된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상태를 우선 구조가 필요한 긴급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이송 장치(234)는 복수의 구호 장비를 탑재하고, 화재 발생 시 제어부(232)의 제어에 따라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를 따라 자율 이동하면서 건물내 위치한 각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에게 접근한 후, 구호 장비를 제공한다. 이러한 자율 주행 이송 장치(234)는 일측면에 표시부를 구비하며, 건물에서 탈출하지 못한 각 사용자에게 기설정된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표시부에 구호 장비를 배포하기 위한 장치임을 알리는 문구를 표시시킬 수 있다.
제어부(232)는 메모리부(238)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32)는 화재 등과 같은 재난 발생 시 건물내 위치한 사용자에게 대피 경로를 포함한 다양한 안전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각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정보를 각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관리 대상 사용자 단말로 등록하고, 사용자 정보 DB(226)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등록에 있어서, 제어부(232)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특정 건물내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 대비 안내 프로그램 어플을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재난 대비 안내 프로그램 어플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2)는 안전 경로 생성부(228)에서 생성된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통신부(218)를 통해 건물내 위치한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32)는 제1 경로 및 제2 경로가 생성되는 경우 건물내 통로별 기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경로 안내등(600)을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경로 및 제2 경로에 맞게 점등시킴으로써, 건물내 위치한 각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확인하지 않더라도 건물 외부로 이동하는 제1 경로 또는 구호 장비가 보관된 보관함(210)으로 이동하는 제2 경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32)는 사용자 위험도 분석부(236)를 통해 위험 상태에 있다고 판단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건물 지도와 연동되게 표시부(216)상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 내 진입한 구조 대원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의 표시부(216)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및 위험 상태에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232)은 건물내 구조 대원이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 위치 확인부(224)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구조 대원의 위치 정보를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상에 실시간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2)는 각 사용자의 건물 내 위치 정보와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재난 관련 외부 기관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난 관련 외부 기관 서버(140)에서는 건물내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별 위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구조 계획 등을 수립하거나, 건물내 투입되는 구조 대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도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2)는 위와 같이 위험 상태에 있다고 판단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구조작업을 위해 건물내로 진입한 구조 대원의 사용자 단말로 건물 지도와 연동되는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구조 대원이 현재 위험 상태에 있는 사용자를 쉽게 파악할 수도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 대원은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의 표시부(216)를 확인하지 못하였더라도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위험 상태에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32)는 사용자 위험도 분석부(236)를 통해 긴급 상태로 분석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 구비된 표시부(216)상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설정된 식별 표식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 대원 등이 식별 표식을 보고 위험 상태에 있는 사용자 중에서도 가장 긴급한 구조가 필요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장 긴급한 사용자부터 우선적으로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32)는 위험 상태로 분석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구조 대원이 건물내 진입한 경우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로 구조 대원이 이동 중인 사실과 구조 대원이 근접한 거리 정보를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 대원이 이동 중인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가 구조 대원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위험에 처한 사용자가 구조 대원이 구하러 오고 있다는 정보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자기 방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어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2)는 보관함(210)에 구비되는 구호 장비의 이탈을 인식하여 보관함(210)내 구호 장비의 현황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구호 장비의 제고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구호 장비가 존재하지 않는 장소로 불필요하게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건물내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표시부(216)상 보관함(210)에 구비된 각종 구호 장비의 사용 설명을 반복적으로 재생한다(S700). 이때, 이러한 사용 설명은 비디오 클립 등으로 제작되어 구호장비 정보 DB(227)에 저장될 수 있다.
이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건물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건물내 존재하는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설정된 일정 시간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S702).
이때,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화재 등과 같은 재난 발생 시 건물내 위치한 사용자에게 대피 경로를 포함한 다양한 안전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각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정보를 각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관리 대상 사용자 단말로 등록한 후, 등록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등록에 있어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특정 건물내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 대비 안내 프로그램 어플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도록 유도하고, 재난 대비 안내 프로그램 어플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할 수 있다.
이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건물내 화재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S704).
이때 만일, 건물내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재난 발생 시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구호 장비를 보관하는 보관함(210)의 도어락(door lock)을 자동으로 해제시켜 건물내 위치한 사용자가 구호 장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S706).
이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위와 같이 보관함(210)의 도어락이 해제된 후 사용자에 의해 이탈되는 구호 장비를 인식하고, 보관함(210)내 구호 장비 보유 현황을 실시간으로 체크한다(S708). 이와 같이 체크된 구호 장비 보유 현황 정보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로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가 전송될 때, 보관함(210)별 현재 남아 있는 구호 장비 보유 현황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건물내 위치한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S710).
이때,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함에 있어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건물 내부 곳곳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130)과 통신을 수행하는 비콘 장치(222)를 통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를 입력받고, 비콘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건물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로 추정할 수 있다.
이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화재 발생 시 건물의 내부 지도와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위치를 우회하도록 각 사용자의 위치에서 건물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경로와 구호 장비가 보관된 보관함(210)이 위치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경로를 사용자별로 각각 생성하고(S712),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714).
이때, 위와 같은 제1 경로는 건물내 사용자별 위치 정보룰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치에서 건물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내부 지도상 생성된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경로는 사용자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치에서 건물내 배치된 구호 장비 보관함의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내부 지도상 생성된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생성함에 있어서, 건물내 각 통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독가스 측정 센서를 통해 각 통로에 존재하는 유독가스 분포량을 파악하고, 유독가스 분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통로에 대해서는 해당 통로를 우회하도록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위와 같이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생성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건물내 통로별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경로 안내등을 제1 경로 및 제2 경로에 맞게 점등시킨다(S716).
이에 따라, 각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확인하지 못했거나, 사용자 단말(100)의 작동 불능 또는 분실 등의 경우에도 경로 안내등을 통해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쉽게 확인하고 화재 발화 지점이나 유독가스 위험 지역을 우회하여 대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위와 같은 경로 안내등은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구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깔 등으로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경로는 초록색, 제2 경로는 적색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로 안내등의 색깔 등을 구별하여 제1 경로 및 제2 경로 중 원하는 경로로 대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화재 발생 이후,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각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고,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분석한다(S718).
이때,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분석함에 있어서,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건물 내 화재 등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 각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의 변화에 따라 각 사용자의 위치 변화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각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한다.
이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일정 단위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각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른 이동 거리가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분석한다. 이때, 기준 거리는 사용자 정상적인 컨디션일 때 움직일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단위는 예를 들어 초단위, 분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사용자가 일정 단위 시간 동안 기준 거리 이상을 이동하지 못한 경우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해당 사용자가 유독 가스에 의한 실신, 기타 부상 등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위험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위와 같이 위험 상태에 있다고 판단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건물 지도와 연동되게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에 구비되는 표시부(216)상 표시시킨다(S720). 이에 따라 건물 내 진입한 구조 대원 등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의 표시부(216)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및 위험 상태에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각 사용자의 건물 내 위치 정보와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재난 관련 외부 기관 서버(140)로 전송한다(S722). 이에 따라 재난 관련 외부 기관 서버(140)에서는 건물내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별 위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구조 계획 등을 수립하거나, 건물내 투입되는 구조 대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도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구조 대원이 건물내 진입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724).
이때 만일, 구조 대원이 건물내 진입하는 경우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구조 대원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여 구조 대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S726).
이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130)은 구조 대원의 위치 정보를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상에 실시간으로 표시시킨다(S728). 이에 따라, 각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제1 경로 및 제2 경로 등의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구조 대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건물의 외부로 탈출하거나 구호 장비로 접근이 어려운 경우 구조 대원이 위치한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게 됨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내 화재 등의 재난 발생 시 건물내 위치한 각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대피 경로를 각각 생성하여 제공하고, 대피 경로 중 건물 외부로 이동 가능한 경로외에 구호 장비를 보관하는 보관함이 위치한 장소에 대한 경로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대피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에서 탈출하지 못한 각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분석하고, 건물 내부 지도와 연동되는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위험 상태 정보를 표시시키거나 외부 구조 기관으로 제공함으로써 위험 상태에 처한 사용자에 대한 우선적인 구조가 가능하게 되어 재난 발생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내로 진입한 구조 대원의 위치 정보를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대피 경로상에 표시시키거나 위험 상태에 있는 사용자에게는 구조 대원이 이동 중인 사실과 구조 대원이 근접한 거리 정보를 푸쉬 메시지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조 대원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위험에 처한 사용자가 구조 대원이 구하러 오고 있다는 정보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자기 방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30 :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210 : 보관함
212 : 도어락 214 : 센서부
216 : 표시부 218 : 통신부
220 : 화재 감지부 222 : 비콘 장치
224 : 사용자 위치 확인부 226 : 사용자 정보 DB
227 : 구호 장비 정보 DB 228 : 안전 경로 생성부
230 : 건물 정보 DB 232 : 제어부
234 : 자율 주행 이송 장치 236 : 사용자 위험도 분석부
238 : 메모리부

Claims (21)

  1.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구호 장비를 보관하는 보관함과,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통신부와,
    상기 시스템의 각종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내 화재 발생 여부와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상기 건물내 존재하는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설정된 일정 시간 주기에 따라 확인하고, 상기 건물내 화재 발생 시에는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와,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건물의 내부 지도와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화재 발생 위치를 우회하도록 각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건물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경로와 상기 보관함이 위치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경로를 사용자별로 각각 생성하는 안전 경로 생성부와,
    상기 화재 발생 이후,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각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분석하는 사용자 위험도 분석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전송하고, 상기 분석된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각 사용자가 상기 건물내 위치한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건물내 각 영역에 설치되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비콘 신호를 송수신하는 비콘 장치와,
    상기 건물내 각 통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독가스 측정 센서와,
    상기 건물내 각 통로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경로 안내등과,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보관함을 잠그거나 또는 오픈시키는 도어락과,
    상기 보관함내 상기 구호 장비의 이탈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복수의 구호 장비를 탑재하고,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경로 또는 상기 제2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자율 주행 이송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위험 상태로 분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구조 대원이 이동 중인 사실과 구조 대원이 근접한 거리 정보를 메시지로 전송하고, 각 사용자의 상기 건물 내 위치 정보와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재난 관련 외부 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위치 확인부는, 상기 비콘 장치로부터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비콘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며,
    상기 사용자 위치 확인부는, 상기 건물내 구조 대원이 진입하는 경우, 상기 건물내 진입한 구조 대원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조 대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조 대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경로 또는 상기 제2 경로상에 실시간으로 표시시키며,
    상기 안전 경로 생성부는,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유독가스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건물내 각 통로의 유독가스 분포량을 기반으로 상기 유독가스 분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통로에 대해서는 해당 통로를 우회하도록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 경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에 대응되게 상기 경로 안내등을 점등시키되, 상기 제1 경로에 대응되는 경로 안내등과 상기 제2 경로에 대응되는 경로 안내등을 서로 다른 색깔로 점등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건물내 위치한 각 사용자가 상기 구호 장비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락을 해제시켜 상기 보관함을 오픈시킨 후, 상기 구호 장비가 각 사용자에 의해 인출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보관함으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구호 장비의 수를 인식하고, 상기 제2 경로상 표시되는 상기 보관함의 위치에 상기 구호 장비의 보유 현황 정보를 함께 표시시키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평상시에는 상기 구호 장비의 사용법을 반복적으로 재생하며, 상기 건물내 화재 발생 시 상기 건물에서 탈출하지 못한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건물의 내부 지도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표시시키고,
    상기 자율 주행 이송 장치는, 일측면에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경로 또는 상기 제2 경로를 따라 자율 이동하면서 상기 건물내 위치한 각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에게 근접하여 상기 구호 장비를 제공하고, 상기 각 사용자에게 기설정된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상 상기 구호 장비를 배포하기 위한 장치임을 알리는 문구를 표시시키는
    를 포함하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험도 분석부는,
    상기 각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변화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상기 각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며,
    일정 단위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상기 각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른 이동 거리가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분석하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험도 분석부는,
    상기 위험 상태로 분석된 각 사용자의 위험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상태를 우선 구조가 필요한 긴급 상태로 분석하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 상태로 분석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표시부상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설정된 식별 표식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치 확인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비콘 기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상 서버에 접속하여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비콘 기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비콘 기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치 확인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LBS 기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상 서버에 접속하여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LBS 기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LBS 기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건물내 각 통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독가스 측정 센서를 제어하는 상기 건물내 중앙 관제 센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중앙 관제 센터로부터 상기 건물내 각 통로 중 상기 유독가스 분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통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유독가스 분포량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통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안전 경로 생성부로 제공하며,
    상기 안전 경로 생성부는,
    상기 유독가스 분포량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통로에 대해서는 해당 통로를 우회하도록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생성하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스템과 연동되는 재난 대비 안내 프로그램 어플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의 실행을 통해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여 상기 건물내 관리 대상 사용자로 등록하는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20. 삭제
  21. 삭제
KR1020190091683A 2019-07-29 2019-07-29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KR102081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83A KR102081712B1 (ko) 2019-07-29 2019-07-29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83A KR102081712B1 (ko) 2019-07-29 2019-07-29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712B1 true KR102081712B1 (ko) 2020-05-29

Family

ID=7091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683A KR102081712B1 (ko) 2019-07-29 2019-07-29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7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2162A (zh) * 2020-11-19 2021-02-19 赛搏盾(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轨道交通仿真演练平台系统
CN116337104A (zh) * 2023-05-29 2023-06-27 佳都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区域路径导航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683A (ko) * 2010-09-15 2012-03-23 백종태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KR101283896B1 (ko) 2012-12-14 2013-07-16 (주)위니텍 실내 측위용 비콘 모듈을 구비한 화재 감지기 및 피난 유도등과 이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KR101602482B1 (ko) * 2015-08-13 2016-03-21 (주)아이넷테크 지리정보를 이용한 소방 관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97757B1 (ko) * 2017-06-19 2018-10-31 주식회사 지에프에스 화재분석을 통한 최적의 피난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46616B1 (ko) * 2018-05-14 2019-02-11 주식회사 알티자동화 지능형 화재인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683A (ko) * 2010-09-15 2012-03-23 백종태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KR101283896B1 (ko) 2012-12-14 2013-07-16 (주)위니텍 실내 측위용 비콘 모듈을 구비한 화재 감지기 및 피난 유도등과 이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KR101602482B1 (ko) * 2015-08-13 2016-03-21 (주)아이넷테크 지리정보를 이용한 소방 관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97757B1 (ko) * 2017-06-19 2018-10-31 주식회사 지에프에스 화재분석을 통한 최적의 피난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46616B1 (ko) * 2018-05-14 2019-02-11 주식회사 알티자동화 지능형 화재인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2162A (zh) * 2020-11-19 2021-02-19 赛搏盾(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轨道交通仿真演练平台系统
CN116337104A (zh) * 2023-05-29 2023-06-27 佳都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区域路径导航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6337104B (zh) * 2023-05-29 2023-08-18 佳都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区域路径导航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JP6550497B2 (ja) 位置特定システム、その装置及び方法
US9836939B2 (en) Emergency services system and method comprising a mesh communications network,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and a plurality of personal tags
KR102124097B1 (ko)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81712B1 (ko) 재난 안전 통합 시스템
CN111815922A (zh) 一种智慧消防疏散方法以及实现该方法的系统
KR20150122415A (ko) 재난 현장 무선 통합 지휘 시스템
KR20190061974A (ko) 위치정보에 기반한 피난경로 제공 방법 및 피난경로 제공 시스템
KR102133442B1 (ko)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102362295B1 (ko)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KR20170025436A (ko) 아이씨티 기반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TWI442345B (zh) Intelligent fire escape system
KR102424174B1 (ko) 양방향 비콘의 위치 기반을 이용한 스마트 방향 지시 유도등을 구비하는 대피 경로 유도 제어 시스템
KR101650774B1 (ko) 안전 대피 경로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95986B1 (ko) 화재 조기 감지 및 안전 대피 유도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90003938A (ko) 센서 네트워크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피난 장치 및 그 방법
KR102237688B1 (ko) 현장인력의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CN111915823A (zh) 消防系统、服务器及移动终端设备
CN111640277A (zh) 一种火灾情况显示系统
Wu et al. A framework of intelligent evacuation guidance system for large building
KR101897757B1 (ko) 화재분석을 통한 최적의 피난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42129B1 (ko) 재난대피 통제 방법
CN115662027A (zh) 铁路车站应急事件的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2233045B1 (ko)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