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878B1 -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878B1
KR102061878B1 KR1020180102398A KR20180102398A KR102061878B1 KR 102061878 B1 KR102061878 B1 KR 102061878B1 KR 1020180102398 A KR1020180102398 A KR 1020180102398A KR 20180102398 A KR20180102398 A KR 20180102398A KR 102061878 B1 KR102061878 B1 KR 102061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losing rod
windo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일이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일이엘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일이엘티
Priority to KR1020180102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2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4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여닫이 타입으로 개폐되는 배연창의 창문 또는 창틀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개폐 로드,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부재,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중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개폐 로드,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배연창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가까워지는 개방 방향 또는 상기 고정부재에서 멀어지는 폐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개폐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SMOKE EXHAUSTION WINDOW OF DOOR HINGE TYPE}
본 발명은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을 간단하고 안정적인 구조로 개폐할 수 있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연 설비는 건축물의 화재시에 화재 발생원에서 피난 경로로 연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설비로서, 방연벽, 배연구, 배연 덕트, 배연기, 배연창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배연 설비는 건물의 화재시에 피난 및 소화 활동을 원활하게 추진함과 동시에 질식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축물의 배연설비는 화재시 피난대책으로 설치하고 있다. 즉, 건축물 내에서 발생한 화재는 연기를 동반하는데, 화재 자체보다도 그 화재로 발생하는 연기가 사람들의 대피와 인명피해 등에 더 큰 영향을 준다. 예를 들면,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위층에 불길이 번지지 않더라도 아래층에서 발생한 연기가 급속히 상승하여 사람들의 피난동선을 가려 인명피해로 연결되므로, 건축물에서 사람들의 피난이나 소화 활동 등에 장애가 되는 화재의 연기는 신속하게 실외로 배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국내의 건축법에서는 6층 이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건축물이나, 혼자 힘으로 대피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는 사람들이 이용하는 용도의 건축물에는 반드시 배연설비를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배연창은 화재의 발생시 유독가스의 배출 또는 환기를 목적으로 자동적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배연창에는 화재의 발생시 배연창을 자동 개폐하기 위한 배연창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배연창 개폐장치는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 소방 시스템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이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최근에는 여닫이 타입 또는 미닫이 타입의 배연창을 자동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배연창 개폐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1667호(발명의 명칭: 배연창의 개폐장치, 등록일: 2006.07.07)에는 체인 구조의 배연창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체인 구조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을 개폐하는 장치로서, 창문과 창틀에 연결된 체인을 감거나 풀어서 배연창을 여닫는 구조이다. 그런데, 체인 구조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체인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서 체인을 감거나 푸는 과정에서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작동의 안정성 및 장치의 내구성 등에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7705호(발명의 명칭: 배연창 개폐장치, 등록일: 2011.12.23)에는 스크류 구조의 배연창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스크류 구조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미닫이 타입의 배연창을 개폐하는 장치로서, 스크류를 창틀에 배치하고 그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를 창문에 배치하여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배연창을 슬라이딩 개폐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스크류 구조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미닫이 타입의 배연창에 간편하게 적용 가능하지만,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에는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크류 방식의 개폐 구조를 이용하여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을 간단하고 원활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닫이 방식의 배연창 개폐 구조를 단순하게 구성하고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여닫이 타입으로 개폐되는 배연창의 창문 또는 창틀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개폐 로드,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부재,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중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개폐 로드,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배연창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가까워지는 개방 방향 또는 상기 고정부재에서 멀어지는 폐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개폐 기구를 포함하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기구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 기구를 구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폐 기구 연결부, 및 상기 고정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개폐 로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 로드는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바 타입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 로드 연결부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슬롯 형상으로 상기 고정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폭 방향 회전을 안내하는 제1 슬롯안내홈부, 및 상기 제1 슬롯안내홈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형상으로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와 힌지 연결되는 제1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상기 고정 부재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폐 로드는 고강도와 고탄성의 탄소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제3 개폐 로드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개폐 로드 연결부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슬롯 형상으로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폭 방향 회전을 안내하는 제3 슬롯안내홈부, 및 상기 제3 슬롯안내홈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형상으로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와 힌지 연결되는 제3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몸체, 상기 이동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기구의 타측부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 기구 연동부, 및 상기 이동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개폐 로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 로드는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바 타입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 로드 연결부는, 상기 이동 몸체의 측면부에 장착된 장착 프레임,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슬롯 형상으로 상기 장착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폭 방향 회전을 안내하는 제2 슬롯안내홈부, 및 상기 제2 슬롯안내홈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형상으로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와 힌지 연결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 로드와 상기 장착 프레임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개폐 로드는 고강도와 고탄성의 탄소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고정 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작동력을 제공하는 개폐 구동부, 상기 개폐 구동부와 상기 고정 부재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중간부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개폐 구동부의 작동력에 의해서 상기 개방 방향 또는 상기 폐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이동 부재를 이송시키는 개폐 연동부, 및 상기 개폐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구동부는 개폐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연동부는 상기 개폐 모터와 상기 고정 부재에 양단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 부재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봉 형상의 개폐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스크류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동 부재에는 상기 개폐 스크류의 수나사부와 연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3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고정 부재에 형성된 제1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중간부에 형성된 제4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이동 부재에 형성된 제2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3 힌지부를 향해 제1 설정 각도로 절곡된 제1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 힌지부를 향해 제2 설정 각도로 절곡된 제2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설정 각도 및 상기 제2 설정 각도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상선에 대하여 45도 이상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3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곡부에는 상기 제4 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개폐 로드는 상기 제2 힌지부와 상기 제4 힌지부 사이에 설정 곡률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개폐 로드의 설정 곡률은 제2 개폐 로드의 일단부가 상기 배연창의 개폐 방향을 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개폐 기구가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의 동작에 의해서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을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 기구에 스크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간편하게 적용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기존의 체인 방식으로 형성된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 구조보다 구조가 단순해질 뿐만 아니라 작동 안정성과 제품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고정 부재에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와 개폐 기구의 일측부를 연결함과 아울러 이동 부재에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와 개폐 기구의 타측부를 연결한 구조이므로, 제1,2 개폐 로드 및 개폐 기구가 고정 부재와 이동 부재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체적인 구조 및 작동 방식도 매우 단순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제1 슬롯안내홈부와 제3 슬롯안내홈부가 제1 개폐 로드의 양단부를 폭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바 타입의 판재로 형성된 제1 개폐 로드의 회전 작동이 제1 개폐 로드의 폭 방향으로만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슬롯안내홈부가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를 폭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바 타입의 판재로 형성된 제2 개폐 로드의 회전 작동이 제2 개폐 로드의 폭 방향으로만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제1 개폐 로드의 양단부에 제1,2 절곡부를 경사지게 형성함과 아울러 제2 개폐 로드를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한 구조이므로, 제1,2 개폐 로드는 이동 부재의 작동력을 배연창의 개폐 작동에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2 개폐 로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10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100)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 부재(12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부재(14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부재(14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2 개폐 로드(110, 1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100)은 제1 개폐 로드(110), 고정 부재(120), 제2 개폐 로드(130), 이동 부재(140), 및 개폐 기구(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100)는 화재 발생시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10)을 개폐시키는 장치로서, 여닫이 타입으로 개폐되는 배연창(10)의 창문(12)과 창틀(1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10)은 창문(12)의 개수, 창문(12)의 여닫는 방향, 창문(12)의 회전축 위치, 창문(12)의 개방 각도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창문(12)의 좌측부가 창틀(14)의 좌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방으로 개방되는 구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개의 창문(12)이 창틀(14)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창문(12)과 창틀(14)의 좌측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창문(12)은 창문(12)과 창틀(14)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창문(12)에서 전방으로 여닫는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배연창 개폐장치(100)가 배연창(10)의 창문(12)과 창틀(14) 중에서 창문(12)과 창틀(14)의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연창 개폐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창문(12)과 창틀(14)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 개폐 로드(110)는 여닫이 타입으로 개폐되는 배연창(10)의 창문(12)과 창틀(14)에 양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개폐 로드(110)는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바 타입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폐 로드(110)는 고탄성과 고강도의 탄소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는 창문(12) 또는 창틀(14)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는 창문(12) 또는 창틀(14) 중 다른 하나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가 창문(12)의 하부에 형성된 제3 개폐 로드 연결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가 창틀(14)의 하부에 배치된 고정 부재(120)의 제1 개폐 로드 연결부(12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 및 제3 개폐 로드 연결부(20)의 연결구조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 및 제1 개폐 로드 연결부(126)의 연결구조는 고정 부재(120)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12)의 하부에는 제3 개폐 로드 연결부(20)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18)이 배치될 수 있고, 지지 프레임(18)에는 제3 개폐 로드 연결부(20)가 고정될 수 있으며, 제3 개폐 로드 연결부(20)에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개폐 로드 연결부(20)는, 지지 프레임(18)에서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지지 브래킷(22),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가 삽입되는 슬롯 형상으로 지지 브래킷(22)에 형성되고 제1 개폐 로드(110)의 폭 방향(B) 회전을 안내하는 제3 슬롯안내홈부(24), 및 제3 슬롯안내홈부(24)에 형성되고 제1 개폐 로드(110)를 폭 방향(B)으로 회전시키는 형상으로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와 힌지 연결되는 제3 힌지부(H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브래킷(22)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 브래킷(22)은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에서 제공되는 부하를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슬롯안내홈부(24)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슬롯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가 제3 슬롯안내홈부(24)에 삽입된 상태로 제3 힌지부(H3)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제3 슬롯안내홈부(24)에 의해 제1 개폐 로드(110)의 폭 방향(B) 회전이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개폐 로드(110)의 폭 방향(B)은 제1 개폐 로드(110)의 길이 방향과 두께 방향에 모두 직교하는 방향이다. 제1 개폐 로드(110)는 넓은 면적의 평면을 상하 방향으로 배치한 구조로 설치되고, 제1 개폐 로드(110)의 폭 방향(B)은 평면과 평행하면서 제1 개폐 로드(110)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고정 부재(120)는 창틀(14)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 부재(120)에는 개폐 기구(150)의 일측부가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20)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개폐 기구(150)를 구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 부재(120)는 이동 부재(140) 및 개폐 기구(150)와 함께 창틀(14)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 기구 수용부(1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체결 부재 또는 용접 등에 의해서 개폐 기구 수용부(16)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 부재(120)는 고정 몸체(122), 개폐 기구 연결부(124), 및 제1 개폐 로드 연결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몸체(122)는 창틀(14)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 기구 수용부(16)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몸체(122)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형을 이용한 주물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 몸체(122)는 체결 부재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개폐 기구 수용부(16)의 내부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개폐 기구 연결부(124)는 고정 몸체(12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개폐 기구(150)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폐 기구 연결부(124)는 개폐 기구(150)의 일측부를 구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개폐 기구 연결부(124)는 후술하는 개폐 기구(150)의 개폐 스크류(154)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 기구 연결부(124)의 내부에 베어링이 배치되어 개폐 스크류(154)의 단부가 원활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개폐 로드 연결부(126)는 고정 몸체(122)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개폐 로드 연결부(126)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가 삽입되는 슬롯 형상으로 고정 몸체(122)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1 개폐 로드(110)의 폭 방향(B) 회전을 안내하는 제1 슬롯안내홈부(128), 및 제1 슬롯안내홈부(128)에 형성되고 제1 개폐 로드(110)를 폭 방향(B)으로 회전시키는 형상으로 제1 개폐 로드(110)의 타단부와 힌지 연결되는 제1 힌지부(H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롯안내홈부(128)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슬롯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가 제1 슬롯안내홈부(128)에 삽입된 상태로 제1 힌지부(H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제1 슬롯안내홈부(128)에 의해 제1 개폐 로드(110)의 폭 방향(B) 회전이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6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2 개폐 로드(130)는 창틀(14)과 제1 개폐 로드(11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개폐 로드(130)는 제1 개폐 로드(110)와 동일하도록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바 타입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폐 로드(130)도 제1 개폐 로드(110)와 동일한 고탄성과 고강도의 탄소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폐 로드(120)의 제3 단부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는 이동 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개폐 로드(120)의 제3 단부가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에 형성된 제4 힌지부(H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가 창틀(14)의 하부에 배치된 이동 부재(140)의 제2 개폐 로드 연결부(14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제2 개폐 로드(130)의 제3 단부 및 제4 힌지부(H4)의 연결구조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제2 개폐 로드(130)의 제4 단부 및 제2 개폐 로드 연결부(146)의 연결구조는 이동 부재(140)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에는 제4 힌지부(H4)가 배치되기 위한 홀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개폐 로드(130)의 제3 단부에도 제4 힌지부(H4)가 배치되기 위한 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힌지부(H4)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 및 제2 개폐 로드(130)의 제3 단부에 형성된 홀부에 체결되는 구조로서,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 및 제2 개폐 로드(130)의 제3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4 힌지부(H4)를 중심으로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30)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창틀(14)을 향해 180도 이하의 각도가 형성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30)가 배치될 경우에만, 이동 부재(140)의 이동시 배연창(10)의 개방 동작이 안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2,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부재(140)는 창틀(14)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개폐 로드(130)의 제4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동 부재(140)에는 개폐 기구(150)의 타측부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이동 부재(140)는 제2 개폐 로드(130)의 제4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개폐 기구(150)의 작동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배연창(10)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 부재(140)는 고정 부재(120) 및 개폐 기구(150)와 함께 창틀(14)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 기구 수용부(1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140)는 고정 부재(12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개폐 기구(150)에 의해 고정 부재(120)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이동 부재(140)는 이동 몸체(142), 개폐 기구 연동부(144), 및 제2 개폐 로드 연결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몸체(142)는 창틀(14)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 기구 수용부(16)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몸체(142)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즉, 이동 몸체(142)는 상부 이동 몸체(142a)와 하부 이동 몸체(142b)로 각각 제조될 수 있고, 상부 이동 몸체(142a)와 하부 이동 몸체(142b)는 후술하는 개폐 기구(150)의 개폐 스크류(154)를 가운데 배치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개폐 기구 연동부(144)는 이동 몸체(14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개폐 기구(150)의 개폐 스크류(154)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폐 기구 연동부(144)는 개폐 기구(150)의 개폐 스크류(154)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개폐 기구 연결부(124)는 개폐 기구(150)의 개폐 스크류(154)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관통홀부 형상으로 이동 몸체(142)에 형성될 수 있다. 개폐 기구 연결부(124)의 관통홀부에는 개폐 기구(150)의 개폐 스크류(154)의 외주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54a)와 결합되는 암나사부(144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폐 로드 연결부(146)는 이동 몸체(142)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개폐 로드(130)의 제4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개폐 로드 연결부(146)는, 이동 몸체(142)의 측면부에 장착된 장착 프레임(147), 제2 개폐 로드(130)의 제4 단부가 삽입되는 슬롯 형상으로 장착 프레임(147)에 형성되고 제2 개폐 로드(130)의 폭 방향 회전을 안내하는 제2 슬롯안내홈부(148), 및 제2 슬롯안내홈부(148)에 형성되고 제2 개폐 로드(130)를 폭 방향(B)으로 회전시키는 형상으로 제2 개폐 로드(130)의 제4 단부와 힌지 연결되는 제2 힌지부(H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프레임(147)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형을 이용한 주물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착 프레임(147)의 일단부에는 제2 슬롯안내홈부(148)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몸체(142)를 금속 소재보다 내구성이 작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하더라도, 장착 프레임(147)을 금속 소재로 형성하여 이동 부재(140)의 내구성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2 슬롯안내홈부(148)는 제2 개폐 로드(130)의 제4 단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슬롯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개폐 로드(130)의 제4 단부가 제2 슬롯안내홈부(148)에 삽입된 상태로 제2 힌지부(H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제2 슬롯안내홈부(148)에 의해 제2 개폐 로드(130)의 폭 방향(B) 회전이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개폐 기구(150)는 제2 개폐 로드(130)의 제4 단부와 연결된 이동 부재(140)를 이동시켜 배연창(10)을 개폐시키는 장치이다. 개폐 기구(150)는 창틀(14)의 하부에 배치된 개폐 기구 수용부(16)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폐 기구(150)는 이동 부재(140)와 고정 부재(120)에 연결될 수 있다. 개폐 기구(150)는 고정 부재(120)에 가까워지는 개방 방향(D1) 또는 고정 부재(120)에서 멀어지는 폐쇄 방향(D2)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부재(1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개폐 기구(150)는 개폐 구동부(152), 개폐 연동부(154), 및 개폐 제어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구동부(152)는 고정 부재(120)와 마주보도록 개폐 기구 수용부(16)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개폐 구동부(152)는 이동 부재(140)의 작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일례로, 개폐 구동부(152)는 개폐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연동부(154)의 일단부는 개폐 구동부(152)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고, 개폐 연동부(154)의 타단부는 고정 부재(120)의 개폐 기구 연결부(12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개폐 연동부(154)의 중간부에는 이동 부재(140)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개폐 연동부(154)는 개폐 모터(152)와 고정 부재(120)에 양단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이동 부재(140)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봉 형상의 개폐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폐 연동부(154)는 개폐 구동부(152)의 작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개방 방향(D1) 또는 폐쇄 방향(D2)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부재(140)를 이송시킬 수 있다.
개폐 제어부(156)는 개폐 구동부(15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개폐 구동부(152)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개폐 로드(110, 130)는 배연창(10)의 개폐 동작에 필요한 작동력을 창문(12)에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폐 로드(110)의 구조를 살펴보면,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에는 제3 힌지부(H3)를 향해 제1 설정 각도(A1)로 절곡된 제1 절곡부(112)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에는 제1 힌지부(H1)를 향해 제2 설정 각도(A2)로 절곡된 제2 절곡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에는 제1 절곡부(112)와 제2 절곡부(114)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3 절곡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정 각도(A1) 및 제2 설정 각도(A2)는 제1 개폐 로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상선에 대하여 45도 이상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절곡부(116)에는 제4 힌지부(H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개폐 로드(110)가 형성되면,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절곡부(112)가 제3 힌지부(H3)에 작용하는 작동력이 창문(12)의 표면에 최대한 수직하게 작용하는 구조이므로, 배연창(10)의 개폐시 제1 개폐 로드(110)의 작동력이 더 효율적으로 창문(12)에 전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절곡부(112)는 배연창(10)의 닫힘시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와 제3 개폐 로드 연결부(20)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절곡부(114)는 배연창(10)의 개폐시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와 고정 부재(120)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제2 개폐 로드(130)의 구조를 살펴보면, 제2 개폐 로드(130)는 제2 힌지부(H2)와 제4 힌지부(H4) 사이에 설정 곡률(C)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개폐 로드(130)의 설정 곡률(C)은 제2 개폐 로드(130)의 일단부가 배연창(10)의 개폐 방향을 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개폐 로드(130)가 형성되면, 제2 개폐 로드(130)의 제3 단부가 제4 힌지부(H4)에 작용하는 작동력이 창문(12)의 표면에 최대한 수직하게 작용하는 구조이므로, 배연창(10)의 개폐시 제2 개폐 로드(130)의 작동력이 더 효율적으로 제1 개폐 로드(110)에 전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개폐 로드(130)가 배연창(10)의 닫힘 상태에서도 배연창(10)을 여는 방향으로 제1 개폐 로드(110)에 항상 작동력을 전달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100)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 발생 신호 또는 연기 발생 신호가 개폐 제어부(156)에 전달되면, 개폐 제어부(156)는 개폐 구동부(152)의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개폐 구동부(152)가 개폐 연동부(154)의 개폐 스크류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개폐 스크류(154)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개폐 스크류(140)가 이동 부재(140)를 개방 방향(D1)으로 강제 이동시키고, 이동 부재(140)가 개방 방향(D1)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개폐 로드(130)의 제4 단부도 개방 방향(D1)으로 강제 이동한다.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폐 로드(130)의 제4 단부가 이동 부재(140)와 함께 개방 방향(D1)으로 강제 이동되면, 제2 개폐 로드(130)의 제4 단부는 제2 힌지부(H2)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개폐 로드(130)의 제3 단부는 창문(12)의 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제2 개폐 로드(130)의 제3 단부는 제4 힌지부(H4)를 창틀(1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내고, 제1 개폐 로드(110)는 제2 개폐 로드(130)의 제3 단부에서 전달된 작용력에 의해서 제1 힌지부(H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30)의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작아지면서 배연창(10)의 창문(12)을 창틀(14)에서 밀어 낸다.
즉, 제1 개폐 로드(1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가 연결된 제3 힌지부(H3)와 함께 창문(12)이 회전하여 배연창(10)을 개방시킨다.
따라서, 배연창(10)을 통해서 건물의 내부에 발생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연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한다.
한편, 배연창(10)의 개방이 불필요한 상황으로 판단되면, 개폐 제어부(156)는 개폐 구동부(152)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고, 개폐 구동부(152)가 개폐 연동부(154)의 개폐 스크류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개폐 스크류(154)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개폐 스크류(154)가 이동 부재(140)를 폐쇄 방향(D2)으로 강제 이송시키고, 이동 부재(140)가 폐쇄 방향(D2)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개폐 로드(130)의 제4 단부도 폐쇄 방향(D2)으로 강제 이동한다.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폐 로드(130)의 제4 단부가 이동 부재(140)와 함께 폐쇄 방향(D2)으로 강제 이동되면, 제2 개폐 로드(130)는 제2 힌지부(H2)를 중심으로 이동 부재(140)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로 인해서, 제2 개폐 로드(130)의 제3 단부는 제4 힌지부(H4)를 창틀(1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고, 제1 개폐 로드(110)는 제2 개폐 로드(130)의 제3 단부에서 전달된 작용력에 의해서 제1 힌지부(H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30)의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증가하면서 배연창(10)의 창문(12)을 창틀(14)에 당겨 넣는다.
즉, 제1 개폐 로드(110)가 반시계 반향으로 회전되면,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가 연결된 제3 힌지부(H3)와 함께 창문(12)이 회전하여 배연창(10)을 폐쇄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배연창
20: 제3 개폐 로드 연결부
100: 배연창 개폐장치
110: 제1 개폐 로드
120: 고정 부재
126: 제1 개폐 로드 연결부
130: 제2 개폐 로드
140: 이동 부재
146: 제2 개폐 로드 연결부
150: 개폐 기구
D1: 개방 방향
D2: 폐쇄 방향

Claims (14)

  1. 여닫이 타입으로 개폐되는 배연창의 창문 또는 창틀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개폐 로드;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부재;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중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개폐 로드;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배연창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가까워지는 개방 방향 또는 상기 고정부재에서 멀어지는 폐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기구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 기구를 구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폐 기구 연결부; 및 상기 고정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개폐 로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 로드는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바 타입의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 연결부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슬롯 형상으로 상기 고정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폭 방향 회전을 안내하는 제1 슬롯안내홈부; 및 상기 제1 슬롯안내홈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형상으로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와 힌지 연결되는 제1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상기 고정 부재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는 고강도와 고탄성의 탄소강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제3 개폐 로드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개폐 로드 연결부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슬롯 형상으로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폭 방향 회전을 안내하는 제3 슬롯안내홈부; 및 상기 제3 슬롯안내홈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형상으로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와 힌지 연결되는 제3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6. 삭제
  7. 여닫이 타입으로 개폐되는 배연창의 창문 또는 창틀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개폐 로드;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부재;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중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개폐 로드;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배연창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가까워지는 개방 방향 또는 상기 고정부재에서 멀어지는 폐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몸체; 상기 이동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기구의 타측부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 기구 연동부; 및 상기 이동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개폐 로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개폐 로드는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바 타입의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개폐 로드 연결부는, 상기 이동 몸체의 측면부에 장착된 장착 프레임;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슬롯 형상으로 상기 장착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폭 방향 회전을 안내하는 제2 슬롯안내홈부; 및 상기 제2 슬롯안내홈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형상으로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와 힌지 연결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 로드와 상기 장착 프레임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는 고강도와 고탄성의 탄소강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고정 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작동력을 제공하는 개폐 구동부;
    상기 개폐 구동부와 상기 고정 부재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중간부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개폐 구동부의 작동력에 의해서 상기 개방 방향 또는 상기 폐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이동 부재를 이송시키는 개폐 연동부; 및
    상기 개폐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부는 개폐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연동부는 상기 개폐 모터와 상기 고정 부재에 양단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 부재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봉 형상의 개폐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스크류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에는 상기 개폐 스크류의 수나사부와 연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11. 여닫이 타입으로 개폐되는 배연창의 창문 또는 창틀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개폐 로드;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 부재;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중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개폐 로드;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배연창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가까워지는 개방 방향 또는 상기 고정부재에서 멀어지는 폐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3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고정 부재에 형성된 제1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중간부에 형성된 제4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이동 부재에 형성된 제2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3 힌지부를 향해 제1 설정 각도로 절곡된 제1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 힌지부를 향해 제2 설정 각도로 절곡된 제2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설정 각도 및 상기 제2 설정 각도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상선에 대하여 45도 이상의 각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3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절곡부에는 상기 제4 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 로드는 상기 제2 힌지부와 상기 제4 힌지부 사이에 설정 곡률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설정 곡률은 제2 개폐 로드의 일단부가 상기 배연창의 개폐 방향을 향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KR1020180102398A 2018-08-30 2018-08-30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KR102061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398A KR102061878B1 (ko) 2018-08-30 2018-08-30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398A KR102061878B1 (ko) 2018-08-30 2018-08-30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878B1 true KR102061878B1 (ko) 2020-01-02

Family

ID=69154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398A KR102061878B1 (ko) 2018-08-30 2018-08-30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8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1459A (ja) 2013-10-23 2015-04-27 中央発條株式会社 窓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1459A (ja) 2013-10-23 2015-04-27 中央発條株式会社 窓開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0276A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KR101663982B1 (ko)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
KR100946398B1 (ko) 배연창의 개폐장치
JP2007508480A (ja) 施錠装置
KR102061878B1 (ko)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KR101256450B1 (ko)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폐쇄력 보충장치
ITMI20012372A1 (it) Armadio di distribuzione
JP2011006888A (ja) トンネル用避難扉
KR100706196B1 (ko) 전동 도어 수동 조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동 도어
KR200465862Y1 (ko) 문 자동잠금장치
CA2265402A1 (en) Door system for a mine stopping
KR102573888B1 (ko) 하이브리드 밸런싱 도어장치
US20190242173A1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KR101804523B1 (ko) 틈새 차단기능을 구비한 폴딩도어
JP3963858B2 (ja) 扉閉鎖順位調整器
KR101145843B1 (ko)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US3510984A (en) Control linkage for biswinging door
KR101464290B1 (ko) 자연 환기창
JP2005104668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EP1908905A1 (en) Catching device
JP4375936B2 (ja) 高層建物の非常侵入口扉の施錠装置
KR100579591B1 (ko) 건물용 셔터
KR20100005504U (ko) 배연창호 개폐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
JP3609717B2 (ja) 巻取式網戸
RU65067U1 (ru) Каркас лю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