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982B1 -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 - Google Patents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982B1
KR101663982B1 KR1020160023996A KR20160023996A KR101663982B1 KR 101663982 B1 KR101663982 B1 KR 101663982B1 KR 1020160023996 A KR1020160023996 A KR 1020160023996A KR 20160023996 A KR20160023996 A KR 20160023996A KR 101663982 B1 KR101663982 B1 KR 101663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gnet
unit
magnet unit
perma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국
Original Assignee
김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국 filed Critical 김현국
Priority to KR102016002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5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or operated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4Rotary motion around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두 자석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을 이용하여 여닫이 도어가 정위치에서 정확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힌지유닛을 매개로 문틀에 결합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여닫이 도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여닫이 도어에 의해 출입구가 폐쇄되었을 때, 문틀에 함께 설치된 제2여닫이 도어와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제1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제1자석유닛; 상기 제1,2여닫이 도어에 의해 출입구가 폐쇄될 때, 상기 제1영구자석과 반응하여 인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여닫이 도어에 설치되어 제1,2여닫이 도어가 일정한 위치에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자석유닛; 상기 제1자석유닛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1여닫이 도어의 측면 상단부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제3자석유닛; 및 상기 제2자석유닛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2여닫이 도어의 측면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3자석유닛에 구비된 영구자석과 반응하여 척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제4자석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Bidirectional stopper for hinged door and lock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여닫이 도어가 정위치에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닫이 도어가 닫힌 경우 두 자석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을 이용하여 여닫이 도어가 정위치에 멈추고, 또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여닫이 도어는 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도어로써, 사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건축물에 마련된 출입구에 많이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여닫이 도어는 주로 1개 또는 2개의 도어가 문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목재, 금속, 강화유리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있다.
한편,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는 여닫이 도어의 경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밖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출입자의 식별이 용이한 관계로 불특정한 사람들의 출입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공공장소의 출입구에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여닫이 도어가 주로 시공되고 있다.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여닫이 도어의 경우, 도어 자체의 무게도 상당할 뿐만 아니라, 도어의 일측단부가 힌지유닛에 의해 문틀에 결합되어 외팔보의 형태로 설치되는 특성 상 도어와 문틀을 결합하는 힌지유닛에 큰 부하가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힌지유닛의 노후화가 비교적 빨리 진행되며, 힌지유닛의 노후화로 인하여 내부 유압이 일부 소실되거나 부품간의 마모가 심해진 경우, 힌지유닛으로부터 도어에 가해지는 지지력이 변경됨에 따라 도어의 개폐에 요구되는 힘이 변경되고, 특히 도어가 닫힐 때 도어가 정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정지하게 되거나, 정위치에 정지한 경우에도 바람이나 실내외의 압력차에 의해 쉽게 정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가 정위치로부터 벗어난 경우, 도어와 도어 또는 도어와 문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됨에 따라 냉난방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되고, 실내 환기를 위한 덕트의 가동시 도어가 실내 방향으로 일정 부분 자동으로 열리면서 급격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겨울철에는 상당한 불편함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으로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는 디지털 도어록이 여닫이 도어에 설치된 경우, 상기와 같이 도어가 정위치에서 정지하지 못하게 되면,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으로 인하여 돌출되는 빗장이 홀에 삽입되지 못함에 따라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빗장과 홀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디지털 도어록이 반복적으로 작동하게 되므로, 디지털 도어록에 설치된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고, 관련 부품의 마모도 빨리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특2000-0000007 (2000.01.15.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자석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을 이용하여 여닫이 도어가 정위치에서 정확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외팔보 구조로 설치된 여닫이 도어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여닫이 도어용 앙방향 스토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힌지유닛을 매개로 문틀에 결합되어 힌지유닛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문틀에 의해 형성되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여닫이 도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여닫이 도어의 측면 중, 힌지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1여닫이 도어에 의해 출입구가 폐쇄되었을 때, 문틀에 함께 설치된 제2여닫이 도어와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제1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제1자석유닛; 상기 제1,2여닫이 도어에 의해 출입구가 폐쇄될 때, 상기 제1영구자석과 반응하여 인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여닫이 도어에 설치되어 제1,2여닫이 도어가 일정한 위치에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자석유닛; 상기 제1자석유닛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1여닫이 도어의 측면 상단부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제3자석유닛; 및 상기 제2자석유닛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2여닫이 도어의 측면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3자석유닛에 구비된 영구자석과 반응하여 척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제4자석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유닛은, 제1자석유닛이 위치하는 제1여닫이 도어의 측면 및 상기 측면에 이웃한 제1여닫이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는 3개의 고정면을 포함하는 ㄷ자형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져 제1여닫이 도어의 측면부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제1유닛몸체; 상기 제1유닛몸체에 설치되는 제1영구자석; 및 상기 제1영구자석을 커버하도록 제1유닛몸체에 설치되는 제1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유닛은, 상기 3개의 고정면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면과 제1여닫이 도어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제1고무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2자석유닛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해 제1,2여닫이 도어의 하단부 힌지유닛에 작용하는 모멘트와, 상기 제3,4자석유닛의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에 의해 제1,2여닫이 도어의 하단부 힌지유닛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자석유닛과 힌지유닛의 사이각도와 거리에 기초하여 제1,2자석유닛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의 세기와 제3,4자석유닛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의 세기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여닫이 도어가 닫힐 때, 제1,2자석유닛의 사이에 형성된 인력으로 인하여 제1,2여닫이 도어는 제1,2자석유닛이 가장 근접한 상태로 닫힘에 따라 제1,2여닫이 도어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제1,2여닫이 도어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디지털 도어록의 안정된 작동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디지털 도어록의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제1,2여닫이 도어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가 최소화됨으로써 냉난방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토퍼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토퍼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토퍼가 여닫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토퍼가 여닫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자석유닛과 제4자석유닛이 여닫이 도어에 더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도어 잠금장치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토퍼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토퍼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토퍼가 여닫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토퍼가 여닫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토퍼는 도어의 안쪽방향과 바깥쪽방향에서 열리거나 닫히는 것에 상관없이 여닫이 도어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자석유닛(100)과 제2자석유닛(200)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토퍼는 하나의 문틀에 제1,2여닫이 도어(11,12)가 설치된 양문형 방식의 여닫이 도어와, 하나의 문틀에 하나의 여닫이 도어가 설치된 단문형 방식의 여닫이 도어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토퍼는 상기 제1자석유닛(100)이 제1여닫이 도어(11)에 설치되고, 상기 제2자석유닛(200)이 제2여닫이 도어(12)에 설치되어 제1,2여닫이 도어(11,12)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단문형 방식의 여닫이 도어에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토퍼가 적용되는 경우, 제1자석유닛(100)은 문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여닫이 도어에 설치되고, 제2자석유닛(200)은 문틀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양문형 여닫이 도어에 적용되는 구조를 갖는 제1자석유닛(100)과 제2자석유닛(200)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자석유닛(100)은 제1유닛몸체(110)와 제1영구자석(120) 제1커버(130)로 구성되며, 제1여닫이 도어(11)의 측면 중, 제1여닫이 도어(11)를 문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하는 힌지유닛(21,22)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축(S)과 평행하고, 제1여닫이 도어(11)에 의해 출입구가 폐쇄되었을 때, 문틀에 함께 설치된 제2여닫이 도어(12)와 마주하는 측면(11a)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유닛몸체(110)는 제1자석유닛(100)을 제1여닫이 도어(11)에 고정하는 것으로, 제1자석유닛(100)이 위치하게 되는 제1여닫이 도어(11)의 측면(11a) 및 상기 측면(11a)에 이웃한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는 3개의 고정면(110a,1110b,110c)을 포함하는 ㄷ자형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ㄷ자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제1유닛몸체(110)에는 제1영구자석(120)이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제1자석지지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유닛몸체(110)는 제1여닫이 도어(11)의 측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여닫이 도어(11)의 전면이나 후면 방향에서 제1유닛몸체(110)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제1여닫이 도어(1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자석유닛(200)과 마주하게 되는 제1유닛몸체(110)의 측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구조를 갖는 요입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영구자석(120)은 제1자석유닛(100)과 제2자석유닛(200)이 근접할 때, 제1,2자석유닛(100,200)의 사이에 서로 당기는 인력이 형성되게 하는 것으로, 제1유닛몸체(110)에 형성된 제1자석지지부(11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영구자석(120)은 환형의 링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자석지지부(111)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제1유닛몸체(11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2개의 제1영구자석(120)이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제1유닛몸체(110)에 설치된다.
상기 제1커버(130)는 제1유닛몸체(110)에 형성된 제1자석지지부(111)와, 상기 제1자석지지부(111)에 설치된 제1영구자석(120)을 덮어 불필요한 부분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것으로, 제1유닛몸체(11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커버(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이나 볼팅 등의 다양한 고정방법에 의해 제1유닛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자석유닛(100)에 있어서, 제1유닛몸체(110)가 보다 안정적인 구조로 제1여닫이 도어(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고무패드(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고무패드(140)는 제1유닛몸체(110)에 마련된 3개의 고정면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면과 제1여닫이 도어(1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고무패드(140)는 하나로 구성되고, 제1유닛몸체(110)를 제1여닫이 도어(11)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미도시됨)이 형성된 고정면(110c)의 반대쪽 고정면(110b)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자석유닛(200)은 제1자석유닛(100)과 반응하여 인력을 발생시키도록 제2여닫이 도어(12)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영구자석(120)과 반응하여 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2영구자석(22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와 같이 양문형 여닫이 도어를 기준으로 한 경우, 상기 제2자석유닛(200)은 제2유닛몸체(210), 제2영구자석(220), 제2커버(240), 제2고무패드(240)로 구성된다.
상기 제2유닛몸체(210)는 제2자석유닛(200)을 제2여닫이 도어(12)에 고정하는 것으로, 제2여닫이 도어(12)에 구비된 측면 중, 제1여닫이 도어(11)와 마주하는 측면(12a) 및 상기 측면(12a)에 이웃한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는 3개의 고정면(210a,210b,210c)을 포함하는 ㄷ자형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유닛몸체(210)에는 제2영구자석(220)이 고정되는 제2자석지지부(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여닫이 도어(12)의 측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여닫이 도어(12)의 전면이나 후면 방향에서 제2유닛몸체(210)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제2여닫이 도어(1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유닛몸체(210)의 측면, 보다 구체적으로 제1자석유닛(100)과 마주하는 측면에는 제2유닛몸체(210)에 형성된 요입부(112)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돌출된 돌출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영구자석(220)은 제1영구자석(120)과 반응하여 인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2유닛몸체(210)에 마련된 제2자석지지부(21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영구자석(220)은 환형의 링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자석지지부(211)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제2유닛몸체(21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2개의 제2영구자석(220)이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제2자석지지부(211)에 설치되되, 두 제2영구자석(220) 간의 사이간격은 제1영구자석(120) 간의 사이간격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커버(230)는 제1유닛몸체(210)에 형성된 제2자석지지부(211)와, 상기 제2자석지지부(211)에 설치된 제2영구자석(220)을 덮어 불필요한 부분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것으로, 제2유닛몸체(21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커버(2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이나 볼팅 등의 다양한 고정방법에 의해 제2유닛몸체(2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무패드(240)는 제2유닛몸체(210)에 마련된 3개의 고정면(210a,210b,210c)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면과 제2여닫이 도어(1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우, 제2유닛몸체(210)를 제2여닫이 도어(12)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213)이 형성된 고정면(210c)의 반대쪽 고정면(210b)에 1개의 제2고무패드(24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제1자석유닛(100)과 제2자석유닛(200)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제1자석유닛(100)이 제1여닫이 도어(11)에 설치되고, 제2자석유닛(200)이 제2여닫이 도어(12)에 설치되어 양문형 여닫이 도어에 대한 양방향 스토퍼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자석유닛(100)과 제2자석유닛(200)은 제1여닫이 도어(11)와 제2여닫이 도어(12)가 문틀에 의해 형성되는 출입구를 폐쇄하도록 닫힐 때 상호 반응하여 제1여닫이 도어(11)와 제2여닫이 도어(12)가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인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인력에 의해 제1,2여닫이 도어(11,12)는 안정적으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양문형 방식의 여닫이 도어에 있어서, 출입구의 개폐는 두 여닫이 도어가 함께 열리거나 닫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거나, 어느 한 여닫이 도어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한 여닫이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토퍼는 위 2가지 상황 모두에서 동일하게 작동하면서 제1,2여닫이 도어(11,12)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느 한 여닫이 도어는 닫힌 상태에서 나머지 한 여닫이 도어가 출입구의 폐쇄를 위하여 닫힘 위치로 이동하거나, 열린 상태의 제1,2여닫이 도어(11,12)가 출입구의 폐쇄를 위하여 닫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제1자석유닛(100)과 제2자석유닛(200)의 사이간격은 점차적으로 좁혀지게 되며, 제1,2자석유닛(100,200)의 사이간격이 일정범위 이내로 근접한 경우, 제1영구자석(120)과 제2영구자석(220)이 반응하여 서로 붙으려 함에 따라 제1,2자석유닛(100,200)의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1여닫이 도어(11)와 제2여닫이 도어(12)는 제1,2자석유닛(100,200)이 가장 근접한 닫힘 위치에서 이동을 멈추게 되며, 제1,2자석유닛(100,200)의 사이에 형성된 인력 보다 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제1,2여닫이 도어(11,12)는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토퍼는 자력을 이용하여 여닫이 도어를 정해진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므로, 여닫이 도어를 정해진 위치에 멈추기 위한 물리적인 충돌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1,2여닫이 도어(11,12)가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닫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여닫이 도어(11)에 고정된 제1자석유닛(100)과 제2여닫이 도어(12)에 고정된 제2자석유닛(200)은 동일 수평선상에서 상호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1자석유닛(100)과 제2자석유닛(200)은 인력에 의해 결속되므로, 제1,2여닫이 도어(11,12) 중 어느 한 여닫이 도어에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가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힌지유닛(21,22)에 의해 문틀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여닫이 도어에 있어서, 문틀의 하단부에서 여닫이 도어와 연결된 하부 힌지유닛(21)에는 여닫이 도어의 자중으로 인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2자석유닛(100,200)을 이용하여 제1,2여닫이 도어(11,12)의 사이에 인력을 형성시킨 경우, 상기 하부 힌지유닛(21)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증가함에 따라 여닫이 도어의 처짐이 가속화될 수 있다.
이처럼 제1,2자석유닛(100,200)에 의해 여닫이 도어의 처짐이 가속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자석유닛(300)과 제4자석유닛(4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자석유닛과 제4자석유닛이 여닫이 도어에 더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3자석유닛(300)은 제1자석유닛(100)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1여닫이 도어(11)의 측면(11a)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4자석유닛(400)은 제2자석유닛(200)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2여닫이 도어(12)의 측면(12a) 상단부에 설치되되, 제3자석유닛(300)과 반응하여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3자석유닛(300)과 제4자석유닛(400)은 그 사이에 척력이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제1,2자석유닛(100,200)과 차이가 있을 뿐, 제1,2자석유닛(100,200)과 마찬가지로 유닛몸체와 영구자석 및 커버 그리고 고무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제3,4자석유닛(300,400)의 세부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3,4자석유닛(300,4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은 제1,2자석유닛(100,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해 하부 힌지유닛(21)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상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3,4자석유닛(300,4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에 의해 하부 힌지유닛(21)에 작용하는 모멘트(M2)와, 제1,2자석유닛(100,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해 하부 힌지유닛(21)에 작용하는 모멘트(M2)가 동일하도록 제1,2,3,4자석유닛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의 세기를 결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제1여닫이 도어(11)의 하부 힌지유닛(21)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2자석유닛(100,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하여 하부 힌지유닛(21)에 작용하는 모멘트(M1)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6019532832-pat00001
--------- [수학식 1]
여기서, F1은 제1,2자석유닛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해 제1자석유닛에 작용하는 힘이고, θ1은 하부 힌지유닛과 제1자석유닛을 연결하는 선의 각도이며, L1은 하부 힌지유닛과 제1자석유닛의 최단 직선거리이다.
한편, 제3,4자석유닛(300,4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에 의하여 하부 힌지유닛(21)에 작용하는 모멘트(M2)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6019532832-pat00002
--------- [수학식 2]
여기서, F2은 제3,4자석유닛의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에 의해 제3자석유닛에 작용하는 힘이고, θ2는 하부 힌지유닛과 제3자석유닛을 연결하는 선의 각도이며, L2는 하부 힌지유닛과 제3자석유닛의 최단 직선거리이다.
한편, 인력에 의한 모멘트(M1)은 하부 힌지유닛(21)에 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면, 척력에 의한 모멘트(M2)는 반시계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두 모멘트(M1,M2)가 크기가 동일할 경우, 제1,2자석유닛(100,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으로 인한 여닫이 도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여닫이 도어에 제1,2자석유닛(100,200)을 설치하여 양방향 스토퍼를 구성하고, 제3,4자석유닛(300,400)을 설치하여 여닫이 도어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함에 있어서, 하부 힌지유닛과 자석유닛을 연결하는 선의 각도 및 하부 힌지유닛과 자석유닛의 최단 직선거리는 여닫이 도어의 구조에 따라 결정되는 반면, 제1,2자석유닛(100,200)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의 세기 및 제3,4자석유닛(300,400)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의 세기는 영구자석의 교체를 통해 작업자가 변경할 수 있는 값이므로, 여닫이 도어의 구조와 제1,2,3,4자석유닛(100,200,300,400)의 설치위치를 고려하여 모멘트(M1)과 모멘트(M2)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적절한 세기를 갖는 영구자석을 제1,2,3,4자석유닛(100,200,300,400)에 각각 설치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도어 잠금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도어 잠금장치는 문틀에 설치되는 제1,2여닫이 도어(11,12)에 설치되어 제1,2여닫이 도어(11,12)를 상호 결속함으로써, 제1,2여닫이 도어(11,12)가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잠금부재(510)와 소켓부재(520)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부재(510)는 제1여닫이 도어(11)에 설치되며, 모터의 작동 또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조작력에 의해 제2여닫이 도어(12)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빗장(511)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력을 이용하거나 모터의 작동을 통해 빗장(511)을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도어의 잠금을 구현하는 잠금장치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도어 잠금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된 구조가 요구되는 것도 아니므로, 잠금부재(51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재(510)는 제1자석유닛(100)이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 점에 있어서 종래의 잠금장치와 차이가 있다.
이처럼 잠금부재(510)와 일체화된 제1자석유닛(100)은 잠금부재(510)의 측면, 구체적으로는 소켓부재(520)와 마주하는 측면에 2개의 영구자석을 설치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부재(520)는 잠금부재(510)와 마주하는 구조를 갖도록 제2여닫이 도어(12)에 설치되며, 상기 빗장(511)이 삽입되는 홀(521)이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자석유닛(100)과 반응하여 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2자석유닛(200)이 측면에 설치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자석유닛(200)은 소켓부재(520)의 측면에 영구자석을 설치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도어용 잠금장치의 경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1,2자석유닛(100,200)에 의해 제1,2여닫이 도어(11,12)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닫히게 되므로, 빗장(511)과 홀(521)의 결합과 분리가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자석유닛 110: 제1유닛몸체
120: 제1영구자석 130: 제1커버
140: 제1고무패드 200: 제2자석유닛
300: 제3자석유닛 400: 제4자석유닛
510: 잠금부재 511: 빗장
520: 소켓부재 521: 홀

Claims (8)

  1. 하나 이상의 힌지유닛을 매개로 문틀에 결합되어 힌지유닛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문틀에 의해 형성되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여닫이 도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여닫이 도어의 측면 중, 힌지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1여닫이 도어에 의해 출입구가 폐쇄되었을 때, 문틀에 함께 설치된 제2여닫이 도어와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제1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제1자석유닛;
    상기 제1,2여닫이 도어에 의해 출입구가 폐쇄될 때, 상기 제1영구자석과 반응하여 인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여닫이 도어에 설치되어 제1,2여닫이 도어가 일정한 위치에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자석유닛;
    상기 제1자석유닛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1여닫이 도어의 측면 상단부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제3자석유닛; 및
    상기 제2자석유닛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2여닫이 도어의 측면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3자석유닛에 구비된 영구자석과 반응하여 척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제4자석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2자석유닛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해 제1,2여닫이 도어의 하단부 힌지유닛에 작용하는 모멘트와, 상기 제3,4자석유닛의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에 의해 제1,2여닫이 도어의 하단부 힌지유닛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자석유닛과 힌지유닛의 사이각도와 거리에 기초하여 제1,2자석유닛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의 세기와 제3,4자석유닛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의 세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유닛은,
    제1자석유닛이 위치하는 제1여닫이 도어의 측면 및 상기 측면에 이웃한 제1여닫이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는 3개의 고정면을 포함하는 ㄷ자형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져 제1여닫이 도어의 측면부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제1유닛몸체;
    상기 제1유닛몸체에 설치되는 제1영구자석; 및
    상기 제1영구자석을 커버하도록 제1유닛몸체에 설치되는 제1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유닛은,
    상기 3개의 고정면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면과 제1여닫이 도어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제1고무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23996A 2016-02-29 2016-02-29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 KR101663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96A KR101663982B1 (ko) 2016-02-29 2016-02-29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96A KR101663982B1 (ko) 2016-02-29 2016-02-29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982B1 true KR101663982B1 (ko) 2016-10-12

Family

ID=5717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996A KR101663982B1 (ko) 2016-02-29 2016-02-29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98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1069A (zh) * 2018-02-20 2018-06-08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装饰专用带轴承的平开门虚掩装置
CN109707450A (zh) * 2019-01-17 2019-05-03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电磁门吸的隧道防护门结构
KR20190087813A (ko) 2018-01-17 2019-07-25 김현국 자력을 이용한 처짐방지 및 정위치 고정구조를 갖는 양방향 도어 스토퍼
KR102384235B1 (ko) * 2020-12-09 2022-04-07 김대성 도어 고정장치
KR102460320B1 (ko) * 2021-06-03 2022-10-27 김대성 자성을 이용한 도어 고정장치
US11982113B2 (en) 2022-08-30 2024-05-14 Cortex, LLC Magnetic door clos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841A (ja) * 1994-11-30 1996-06-11 Sugatsune Ind Co Ltd 両開戸の施錠装置
KR20000000007A (ko) 1998-06-24 2000-01-15 남정호 강화유리도어의잠금장치
JP2003314124A (ja) * 2002-04-25 2003-11-06 Mitsumaru:Kk 戸当り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扉構造体
JP2009210742A (ja) * 2008-03-03 2009-09-17 Kyoraku Sangyo Kk 自動扉装置および自動扉装置を用いた広告方法
JP2012202167A (ja) * 2011-03-28 2012-10-22 Sr Engineering Co Ltd 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841A (ja) * 1994-11-30 1996-06-11 Sugatsune Ind Co Ltd 両開戸の施錠装置
KR20000000007A (ko) 1998-06-24 2000-01-15 남정호 강화유리도어의잠금장치
JP2003314124A (ja) * 2002-04-25 2003-11-06 Mitsumaru:Kk 戸当り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扉構造体
JP2009210742A (ja) * 2008-03-03 2009-09-17 Kyoraku Sangyo Kk 自動扉装置および自動扉装置を用いた広告方法
JP2012202167A (ja) * 2011-03-28 2012-10-22 Sr Engineering Co Ltd ロック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813A (ko) 2018-01-17 2019-07-25 김현국 자력을 이용한 처짐방지 및 정위치 고정구조를 갖는 양방향 도어 스토퍼
CN108131069A (zh) * 2018-02-20 2018-06-08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装饰专用带轴承的平开门虚掩装置
CN108131069B (zh) * 2018-02-20 2024-04-12 重庆公共运输职业学院 一种建筑装饰专用带轴承的平开门虚掩装置
CN109707450A (zh) * 2019-01-17 2019-05-03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电磁门吸的隧道防护门结构
CN109707450B (zh) * 2019-01-17 2024-05-24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电磁门吸的隧道防护门结构
KR102384235B1 (ko) * 2020-12-09 2022-04-07 김대성 도어 고정장치
KR102460320B1 (ko) * 2021-06-03 2022-10-27 김대성 자성을 이용한 도어 고정장치
US11982113B2 (en) 2022-08-30 2024-05-14 Cortex, LLC Magnetic door clos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982B1 (ko)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
US20210017802A1 (en) Door operator having an automated roller
US49708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a gate
US6959949B2 (en) Device for securing a door leaf against unintentional deflection
US9371680B2 (en) Sliding door system comprising a locking unit displaceably supported in a transom
CN104196405B (zh) 一种含有内窗扇的窗户以及含有内门扇的门
KR20100011626A (ko) 비상시 개방이 용이한 자동문
KR20190087813A (ko) 자력을 이용한 처짐방지 및 정위치 고정구조를 갖는 양방향 도어 스토퍼
KR200465862Y1 (ko) 문 자동잠금장치
JP3657035B2 (ja) 開放状態引戸用ロック装置
JPH08232536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US10087665B2 (en) Door assembly
JP2010285739A (ja) 開き戸装置
KR102349413B1 (ko)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JP4453913B2 (ja) 自動扉の施錠装置
KR101464290B1 (ko) 자연 환기창
KR20200133408A (ko) 풀오픈형 비상탈출용 자동문
CN201027447Y (zh) 门窗启闭动作的辅助装置
JP5808920B2 (ja) 上下分割ドア
WO2006121275A1 (en) Door opening angle controllable hinge
KR102061878B1 (ko)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KR101583997B1 (ko)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
US20110011138A1 (en) Systems and method for locking sliding doors
KR101668328B1 (ko)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
KR20150011479A (ko) 개폐가능한 고정창을 갖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