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504U - 배연창호 개폐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 - Google Patents

배연창호 개폐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504U
KR20100005504U KR2020080015459U KR20080015459U KR20100005504U KR 20100005504 U KR20100005504 U KR 20100005504U KR 2020080015459 U KR2020080015459 U KR 2020080015459U KR 20080015459 U KR20080015459 U KR 20080015459U KR 20100005504 U KR20100005504 U KR 201000055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closing device
window
opening
f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헌배
Original Assignee
박헌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헌배 filed Critical 박헌배
Priority to KR2020080015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504U/ko
Publication of KR201000055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4Worm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6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개폐장치에 의해 배연창이 90°이상의 둔각으로 안전하게 개폐 가능하다. 따라서, 충분히 연통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공간을 통해 신속한 배출 및 비상시 탈출구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배연창호 개폐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호 개폐장치는, 외측하우징의 내측 일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웜과, 웜과 맞물려 있고 관통구멍으로 축이 노출되도록 설치된 웜기어를 구비한 내측하우징과, 내측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며 웜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설치된 모터와, 모터가 설치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봉에 의해 설치된 지지판과, 내측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웜의 단부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이 설치된 회전나사봉과, 회전나사봉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양단부에 서로 마주보고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을 구비한 구동수단과, 외측하우징의 관통구멍으로 노출된 웜기어의 축에 일단이 설치된 링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러한 배연창호 개폐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를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 웜기어, 리미트스위치, 구동수단, 링크수단

Description

배연창호 개폐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OPEN AND SHUT SYSTEM FOR THE SMOKE DISCHARGE WINDOW}
본 고안은 배연창호 개폐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개폐장치에 의해 배연창이 90°이상의 둔각으로 안전하게 개폐 가능한다. 따라서, 충분히 연통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공간을 통해 신속한 배출 및 비상시 탈출구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배연창호 개폐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개폐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배연창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배연창은 평상시에는 실내를 환기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화재발생시에는 건물 내의 연기 및 유독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질식사고에 의한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배연창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는, 체인 타입, 와이어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 중 체인 타입을 갖는 종래 배연창의 개폐장치는, 모터에 의해 케이스에 내장된 체인이 인출되면서 배연창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너 플레이터(inner plate)와 아웃터 플레이트(outer plate)와 롤러(roller) 및 핀(pin) 등 각각의 부품이 링크 조립되어 구성된 체인은, 특성상 길게 인출되면 체인의 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연창은 예각으로만 개폐가 가능하다. 따라서, 배연창이 충분히 개방되지 못하기 때문에 환기에 따른 배출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연창이 90°보다 작은 예각으로만 개폐되기 때문에 화재발생시와 같은 위급한 경우 건물 내에서 탈출하거나, 건물 외측에서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하기위해 침투시 방해가 된다. 따라서, 신속하게 진압하기 위해서는 배연창을 깨트리거나 해야함으로 작업이 지연되고 위험이 따르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배연창을 둔각으로 개방하게 되면 체인의 처짐으로 인해 작동이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링크구조를 갖는 체인을 사용함으로 배연창이 큰 경우에는 안정적으로 체인에 힘을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배연창을 열고 닫을 때 불완전하고 경우에 따라 작동이 되지 않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다른 구조인 와이어 타입의 배연창의 개폐장치는, 모터와 모터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가 회전하면서 와이어의 끝단에 고정된 배연창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배연창을 90°이상의 둔각으로 반복적으로 개폐하거나, 배연창이 열 린 상태로 오랜 시간 동안 유지하게 되면 와이어는 내구성이 약하기 때문에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 타입은 보통 배연창의 중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화재발생시와 같은 위급한 경우 건물 내에서 탈출하거나, 건물 외측에서 화재를 진압하여 인명을 구하기 위해 연통된 공간을 침투시 방해가 된다. 특히, 와이어는 가늘기 때문에 화재 등의 연기에 의해 식별이 곤란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배연창 개폐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배연창호의 창문을 여닫기 위해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작동 및 유지가 가능한 배연창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개선된 배연창호 개폐장치에 의해 손쉽고 용이하게 배연창호의 창문을 90°이상의 둔각으로 개폐 가능하고, 이와 같은 개폐에 따라 건물 외부와의 연통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화재발생에 따른 비상시 탈출구로 사용할 수 있는 배연창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창문이 과도하게 개폐되는 것을 방지하고, 여닫을 시 충격에 의해 링크수단이나 개폐수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리미트스위치 및 완충스프링을 구비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연창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연창호 개폐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호 개폐장치는, 일측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측하우징과, 상기 외측하우징의 내측 일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웜과, 상기 웜과 맞물려 있고 상기 관통구멍으로 축이 노출되도록 설치된 웜기어를 구비한 내측하우징과, 상기 내측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웜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가 설치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봉에 의해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내측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웜의 단부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이 설치된 회전나사봉과, 상기 회전나사봉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양단부에 서로 마주보고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을 구비한 구동수단과, 상기 외측하우징의 관통구멍으로 노출된 웜기어의 축에 일단이 설치된 링크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웜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며 타단에 슬라이드 베어링이 설치된 암과,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에 맞물려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조절봉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웜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암과, 상기 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나사홈이 형성된 연결봉과, 상기 나사홈에 맞물려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조절봉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회전나사봉이 삽입된 웜의 단부에 삽입 설치된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봉은, 상기 지지판에 고정된 단부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각각 스프링이 더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호는, 일측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측하우징과, 상기 외측하우징의 내측 일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웜과, 상기 웜과 맞물려 있고 상기 관통구멍으로 축이 노출되도록 설치된 웜기어를 구비한 내측하우징과, 상기 내측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웜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가 설치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봉에 의해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내측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웜의 단부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이 설치된 회전나사봉과, 상기 회전나사봉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양단부에 서로 마주보고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을 구비한 구동수단과, 상기 외측하우징의 관통구멍으로 노출된 웜기어의 축에 일단이 설치된 링크수단을 포함하는 배연창호 개폐장치와, 상기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외측하우징의 타측면이 사각틀 형상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배연창틀과, 상기 링크수단의 타단이 고정되며, 링크수단의 작동에 따라 90°이상의 둔각까지 개폐 작동되도록 상기 배연창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연창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개선된 개폐장치에 의해 배연창호의 창문을 여닫을 경우 안정적으로 작동 및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창문이 과도하게 개폐되는 것을 방지하고, 리미트스위치 및 완충스프 링을 구비하여 창문의 개폐에 따른 충격에 의해 링크수단이나 개폐수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연창호의 창문을 90°이상의 둔각으로 개폐 가능하다. 따라서, 건물 외부와의 연통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넓은 공간을 통해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여 배기 및 환기효율이 향상되고, 비상시 탈출구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호 개폐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구동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호 개폐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구동수단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호는, 배연창틀(210)과 배연창문(220)을 포함하는 배연창호와, 배연창문(220)을 90°이상의 둔각까지 여닫을 수 있도록 작동하기 위해 설치된 배연창호 개폐장치(100,100')를 포함한다.
상기 배연창호는, 건물의 실내 및 실외의 공기가 통하도록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심이 관통된 사각틀 형상의 배연창틀(210)과 배연창틀(210)의 사 각틀 내측에 밀착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선택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연창문(22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일 실시예인 제1개폐장치(100)는, 제1구동수단(110)과 제1링크수단(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수단(110)은, 배연창틀(210)의 우측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좌측면을 향하는 일측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측하우징(111)과, 외측하우징(111)의 내측 일단에 설치된 외측하우징(112)을 포함한다. 내측하우징(112)의 내측에는 웜(114)과 외측하우징(111)으로 관통구멍으로 일단의 축(115a)이 노출된 웜기어(115)가 맞물려 있으며, 웜(114)은 내측하우징(112)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113)에 의해 회전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웜(114)은 맞물린 웜기어(115)를 회전시키며, 웜(114)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내측하우징(112)의 양단에 각각 제1 및 제2베어링(B1,B2)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113)의 단부에 설치된 제1기어(G1)로부터 모터(113)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제1기어(G1)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웜(114) 제2기어(G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웜(114)의 단부는 모터(113)가 설치된 내측하우징(112)의 외측으로 일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외측하우징(111)에 내측하우징(112)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하우징(112)의 모터(113)가 설치된 단부에 복수의 고정봉(119)에 의해 고정된 지지판(119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노출된 웜(114)의 단부와 지지판(119a) 사이에 회전나사봉(116)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나사봉(116)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116a)이 설치되어 있어서, 모터(113)의 회전하면 웜(114)이 동 시에 회전하고, 이와 같이 회전하는 웜(114)에 의해 동시에 회전나사봉(116)이 회전한다. 이때, 회전되는 회전나사봉(116)의 나사산이 형성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판(116a)이 움직인다. 이와 같이 이동되는 이동판(116a)의 이동거리에 따라서 배연창문(220)이 여닫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이동판(116a)의 전후면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제1 및 제2리미트스위치(LS1,LS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1 및 제2리미트스위치(LS1,LS2)는, 제1 및 제2스톱퍼(B1,B2)에 설치되고, 각각의 리미트스위치(LS1,LS2)의 이동을 조절하거나 안전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및 제2가이드봉(117,118)에 의해 지지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배연창문(220)을 여닫을 때 배연창문(220)의 하중에 의해 제1구동수단(110)에 강한 충격이 전달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웜(114)과 회전나사봉(116) 및 제1가이드봉(117)과 제2가이드봉(118) 사이에 각각 완충작용을 하는 제1 내지 제3스프링(S1,S2,S3)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링크수단(120)은, 슬라이드 베어링(123)이 설치된 제1암(121)과 슬라이드봉(124)과 제1조절봉(125) 및 제1고정브라켓(126)을 포함한다.
제1암(121)은, 제1구동수단(110)의 외측하우징(111)의 관통구멍으로 노출된 웜기어(115)의 축(115a)에 일단이 설치되어 있고, 타단에는 슬라이드 베어링(12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베어링(123)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베어링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되는 슬라이드봉(1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봉(124)의 단부에는 나사홈(미도시 됨)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홈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인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조절봉(12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조절봉(125)에는 배연창문(220)에 고정되기 위한 제1고정브라켓(126)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배연창문(220)이 배연창틀(210)에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닫혀진 상태로 있을 때, 배연창문(220)을 90°이상의 둔각으로 열기 위해서, 제1구동수단(110)에 설치된 버튼(130)을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113)가 회전하면 제1 및 제2기어(G1,G2)가 맞물려 동시에 웜(114)이 회전한다. 그리고 웜(114)가 맞물린 웜기어(115)가 회전하게 되고 웜기어(115)의 축(115a)에 고정 설치된 제1암(121)을 기준으로 슬라이드 베어링(124)이 설치된 제1암(121)의 타단 반경방향 즉, 건물의 실내에서 건물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암(121)의 타단에 설치된 슬라이드 베어링(124)의 관통홀에 삽입된 슬라이드봉(124)이 슬라이딩 인출되면서 슬라이드봉(124)의 단부에 설치된 제1고정브라켓(1126)이 배연창문(220)을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건물의 외측방향으로 90°이상의 둔각까지 개폐한다. 이때, 개폐되는 배연창문(220)의 개방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제1구동수단(110)의 제1 및 제2리미트스위치(LS1,LS2)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과, 제1링크수단(120)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제1조절봉(125) 조절하는 방법이 있으므로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배연창문(220)이 상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부방향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배연창문(220) 이 좌측이나 우측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배연창문(220)이 개폐될 경우 제1링크수단(120)에 의해 보다 더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배연창문(220)은 90°이상의 둔각까지 여닫을 수 있어서, 충분히 연통된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며, 이 공간을 통해 신속한 환기 및 비상시 건물 내에 있던 작업자들이 탈출구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배연창호가 클 경우에는 하나의 제1개폐장치(100) 만으로는 효과적으로 개폐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제1개폐장치(100)가 설치된 마주보는 배연창틀(210)의 내측면에 제1개폐장치(100) 중 모터가 제외된 제2구동수단(11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1링크수단(120)을 설치한 후, 제1링크수단(120)의 각각의 제1암(121)의 일단에 설치된 제1연결홈(122)에 연결바(15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개폐장치가 배연창문(220)의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원활한 개폐 작동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의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배연창호 제2개폐장치(100')는, 제1개폐장치(100)와 구동수단은 동일하고 배연창문(220)을 여닫는 링크수단이 다르다.
본 고안에 따른 제2개폐장치(100')는 제1구동수단(110)과 제2링크수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수단(110)은 제1개폐장치(100)의 제1구동수단(110)과 작동 및 구성이 동일하게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링크수단(140)은, 제2암(141)과 체결부재(143) 및 연결봉(144)과 제2조절봉(145)과 제2고정브라켓(146)을 포함한다.
제2암(141)의 일단은 웜기어(115)의 축(115a)에 설치되며 타단에는 직각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봉(144)의 일단은 제2암(141)의 돌기에 체결부재(14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에는 단부에 나사홈(미도시 됨)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홈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인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조절봉(14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조절봉(145)에는 배연창문(220)에 고정되기 위한 제2고정브라켓(14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제2링크수단(140)을 구비한 제2개폐장치(100')는 제1링크에서와 같이 90°이상 둔각까지 폭넓게 배연창문(220)을 개폐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1링크보다 구조가 간단하여 관리 및 조립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호 개폐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구동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호 개폐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구동수단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의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100' 제1 및 제2개폐장치 110,110' 제1 및 제2구동수단
111 외측하우징 112 내측하우징
113 모터 114 웜
115 웜기어 116 회전나사봉
117 제1가이드봉 118 제2가이드봉
119 고정봉 120,140 제1 및 제2링크수단
121, 141 제1 및 제2암 122,142 제1 및 제2연결홈
123 슬라이드 베어링 124 슬라이드봉
125, 145 제1 및 제2조절봉 126,146 제1 및 제2고정브라켓
130 스위치 150 연결바
210 배연창틀 220 배연창

Claims (6)

  1. 일측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측하우징과,
    상기 외측하우징의 내측 일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웜과, 상기 웜과 맞물려 있고 상기 관통구멍으로 축이 노출되도록 설치된 웜기어를 구비한 내측하우징과,
    상기 내측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웜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가 설치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봉에 의해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내측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웜의 단부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이 설치된 회전나사봉과, 상기 회전나사봉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양단부에 서로 마주보고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을 구비한 구동수단과,
    상기 외측하우징의 관통구멍으로 노출된 웜기어의 축에 일단이 설치된 링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호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웜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며 타단에 슬라이드 베어링이 설치된 암과,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에 맞물려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조절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호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웜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암과, 상기 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나사홈이 형성된 연결봉과, 상기 나사홈에 맞물려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조절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호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나사봉이 삽입된 웜의 단부에 삽입 설치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호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봉은, 상기 지지판에 고정된 단부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각각 스프링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호 개폐장치.
  6. 일측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측하우징과,
    상기 외측하우징의 내측 일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웜과, 상기 웜과 맞물려 있고 상기 관통구멍으로 축이 노출되도록 설치된 웜기어를 구비한 내측하우징과,
    상기 내측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웜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설치 된 모터와, 상기 모터가 설치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봉에 의해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내측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웜의 단부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이 설치된 회전나사봉과, 상기 회전나사봉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양단부에 서로 마주보고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을 구비한 구동수단과,
    상기 외측하우징의 관통구멍으로 노출된 웜기어의 축에 일단이 설치된 링크수단을 포함하는 배연창호 개폐장치와,
    상기 배연창호 개폐장치의 외측하우징의 타측면이 사각틀 형상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배연창틀과,
    상기 링크수단의 타단이 고정되며, 링크수단의 작동에 따라 90°이상의 둔각까지 개폐 작동되도록 상기 배연창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연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호.
KR2020080015459U 2008-11-20 2008-11-20 배연창호 개폐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 KR201000055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459U KR20100005504U (ko) 2008-11-20 2008-11-20 배연창호 개폐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459U KR20100005504U (ko) 2008-11-20 2008-11-20 배연창호 개폐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04U true KR20100005504U (ko) 2010-05-28

Family

ID=4445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459U KR20100005504U (ko) 2008-11-20 2008-11-20 배연창호 개폐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50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196B1 (ko) * 2012-06-07 2014-04-10 (주) 금강씨에스 창호용 창문 보강장치
KR101973938B1 (ko) 2018-11-08 2019-05-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배연유로 확보하여 배연성능이 향상된 배연창 및 그 배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196B1 (ko) * 2012-06-07 2014-04-10 (주) 금강씨에스 창호용 창문 보강장치
KR101973938B1 (ko) 2018-11-08 2019-05-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배연유로 확보하여 배연성능이 향상된 배연창 및 그 배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3556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KR101789664B1 (ko) 구동부 및 감속부를 개선한 창문 폐쇄 장치
KR101638406B1 (ko) 빌딩의 화재 확산지연을 위한 제연 시스템
KR101389159B1 (ko) 실내 압력 조절 장치
CN106152316A (zh) 百叶窗式空调外挂机
KR20100005504U (ko) 배연창호 개폐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배연창호
CN201810499U (zh) 风力发电机机舱罩自动百叶窗
KR101331033B1 (ko) 과압배출장치
KR102047329B1 (ko) 소방용 급배기구 개폐장치
CN114215576B (zh) 一种地铁隧道减震降噪型通风系统
JP2011179743A (ja) 自然換気装置
KR200405830Y1 (ko) 화재 시 온도 감지를 할 수 있는 자동화 댐퍼
KR100728799B1 (ko)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CN114336313A (zh) 一种自带灭火功能的机电设备
JP2018524552A (ja) ダンパー開閉器
KR102555585B1 (ko) 청소 및 환기가 용이한 창호 시스템
KR102061878B1 (ko)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 개폐장치
JP7072934B1 (ja) ルーバーユニット
JP7089417B2 (ja) 開閉装置
KR200478209Y1 (ko) 고중량 도어의 레일장치
CN112274832B (zh) 一种快速逃生灭火装置
CN219548741U (zh) 一种消防用机械自动泄压设备
CN212027578U (zh) 快速安全门装置
JP2014211023A (ja) 建具及び換気弁操作部品
KR200322426Y1 (ko) 배연창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