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797B1 -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797B1
KR102061797B1 KR1020180091074A KR20180091074A KR102061797B1 KR 102061797 B1 KR102061797 B1 KR 102061797B1 KR 1020180091074 A KR1020180091074 A KR 1020180091074A KR 20180091074 A KR20180091074 A KR 20180091074A KR 102061797 B1 KR102061797 B1 KR 102061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martphone
camera unit
unit
smartphon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경하
Original Assignee
씨앤디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디아이(주) filed Critical 씨앤디아이(주)
Priority to KR102018009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본체; 및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스마트폰 본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분리되는 것을 검출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위한 유선 인터페이스를 무선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전환부;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분리되는 것을 검출하여 상기 스마트폰 본체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자체적으로 내장한 보조 배터리로 전환하는 배터리 인터페이스 전환부; 및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분리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 본체로부터 수신하는 원격 제어 명령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 본체로 무선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 본체는,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위한 유선 인터페이스를 무선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전환부; 상기 카메라 유닛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상기 카메라 유닛이 장착되면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에 내재된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제어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상기 카메라 모듈에 캡처한 영상과 함께 작동 아이콘을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하는 GUI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의 유선 및 무선 연결과 동작을 통합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GUI 제어부를 동작시켜 카메라 앱을 실행시키는 카메라 통합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유닛을 스마트폰 본체에서 분리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카메라 통합 제어부가 GUI 제어부를 동작시켜 카메라 앱(App)을 실행시키고, 카메라 유닛 및 스마트폰 본체 각각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무선 인터페이스로 전환시키며,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카메라 유닛으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여 화면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제어 환경이 쉽고 편리하며, 무선 제어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근접 촬영, 셀프 카메라, 다양한 각도의 촬영 연출 등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SMART PHONE WITH DETACHABLE CAMERA UNIT}
본 발명은 착탈 방식이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유닛이 분리되는 경우 무선으로 카메라 유닛을 제어하여 피사체에 대한 근접 촬영, 셀프 카메라, 다양한 각도의 촬영 연출 등 다양한 용도로 무선 카메라 유닛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스마트폰에 부가되는 장치들 역시 점차 고사양화 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카메라 유닛은 디지털 카메라에 준하는 높은 화소수를 가지고 있으며, 줌(Zoom) 촬영, 3D 촬영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가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의 후방에 장착되는 카메라 유닛은 비교적 높은 화소수를 가지는 고해상도의 카메라이나, 전방에 장착되는 카메라 유닛은 상대적으로 낮은 화소수를 가지는 저해상도의 카메라로 제공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전방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하는 경우 사진의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디스플레이와 카메라 유닛이 일체를 이루고 있어, 피사체에 대한 포커싱을 하면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촬영 대상을 확인해야 하므로, 근본적으로 근접 촬영, 셀프 촬영 등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셀카봉과 같은 도구가 사용되고 있으나, 셀카봉을 이용할 경우 디스플레이를 원거리에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스마트폰을 터치 조작하는 것이 어려워 카메라 유닛에 포함된 다양한 기능들 이용하는 것이 제한적이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9565호는 휴대 단말기의 착탈식 카메라를 제안하고 있다. 동 선행문헌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 가능한 소형 카메라를 구비하여 구석진 곳도 쉽고 정밀하게 촬영하고 사용자 스스로의 모습도 촬영하는 경우에도 액정 표시부를 보면서 편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동 선행문헌은 카메라와 휴대 단말기를 리드선으로 연결하고,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리드선을 감아 보관하는 회전 원통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유선으로 카메라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 사용이 불편하고, 리드선이 끊어지는 경우 카메라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의 스마트폰은 가볍고 얇게 만들고 있는 추세인데, 스마트폰 본체 내에 리드선이 감긴 회전 원통을 설치하게 되면 스마트폰이 지나치게 거대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2346호는 외장형 카메라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안하고 있다. 동 선행문헌을 참조하면, 외장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외장형 카메라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결합하면 병렬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외장형 카메라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을 갖는다.
하지만, 동 선행문헌은 크기가 작은 외장형 카메라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촬영 대상을 확인하는 것이 어려우며, 촬영 대상 확인을 위해 LCD와 같은 표시수단을 외장형 카메라에 설치하는 경우 카메라의 크기가 커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95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2346호
본 발명은 카메라 유닛을 무선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하느 스마트폰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유닛을 스마트폰 본체에서 분리하는 경우 스마트폰 상에서 자동으로 카메라 앱(App)이 실행되어 카메라 제어화면을 활성화 시키며, 촬영 데이터는 근거리 무선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저장할 수 있도록 한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본체; 및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스마트폰 본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분리되는 것을 검출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위한 유선 인터페이스를 무선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전환부;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분리되는 것을 검출하여 상기 스마트폰 본체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자체적으로 내장한 보조 배터리로 전환하는 배터리 인터페이스 전환부; 및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분리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 본체로부터 수신하는 원격 제어 명령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 본체로 무선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 본체는,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위한 유선 인터페이스를 무선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전환부; 상기 카메라 유닛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상기 카메라 유닛이 장착되면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에 내재된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제어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상기 카메라 모듈에 캡처한 영상과 함께 작동 아이콘을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하는 GUI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의 유선 및 무선 연결과 동작을 통합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GUI 제어부를 동작시켜 카메라 앱을 실행시키는 카메라 통합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진단하는 배터리 진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떨어질 경우 상기 카메라 통합 제어부에 배터리 용량 부족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방전라인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카메라 통합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용량 부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배터리 용량 부족을 경고하는 그래픽 이미지 또는 경고 텍스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카메라 유닛에는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분리되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은,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후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는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인접하여 상기 후크 결합을 탄성 해제시키는 분리 버튼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에 따르면, 카메라 유닛을 스마트폰 본체에서 분리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카메라 통합 제어부가 GUI 제어부를 동작시켜 카메라 앱(App)을 실행시키고, 카메라 유닛 및 스마트폰 본체 각각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무선 인터페이스로 전환시키며,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카메라 유닛으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여 화면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제어 환경이 쉽고 편리하며, 무선 제어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근접 촬영, 셀프 카메라, 다양한 각도의 촬영 연출 등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유닛 착탈형 스마트폰의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카메라 유닛이 분리된 상태에서 카메라 제어화면 구성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카메라 유닛과 스마트폰 본체의 카메라 제어 관련 블록을 예시한 블록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카메라 유닛의 보조 배터리 경고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유닛 착탈형 스마트폰의 배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폰 본체(100)의 일측면, 예컨대 배면 상단부에는 카메라 유닛(200)이 장착된다. 배면 중앙 상부에는 전원 버튼(110)이 위치하며 측면에는 음량 조절키(120)가 설치된다.
카메라 유닛(200)은 카메라 모듈(210)과 플래시 모듈(220)이 노출되는 형태를 갖는다. 도시된 예시에서 2개의 카메라 모듈(210)은 피사체의 심도와 사진 편집을 위해 전경과 배경을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물론, 카메라 모듈(210)은 하나일 수도 있고, 3개 이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점선으로 묘사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200)은 스마트폰 본체(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컨대, 카메라 유닛(200)은 스마트폰 본체(100)의 상단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며, 사용자가 카메라 유닛(200)을 상부로 밀어 올려 분리하거나 밀어 넣어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유닛(200)과 스마트폰 본체(1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유닛(200)에 USB 피메일 커넥터가 구비되고, 스마트폰 본체(100)의 대응 위치에 USB 메일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범용 직렬 버스는 데이터 전송, 전력 공급, 핫 스와핑(hot swapping)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버스로서, 최근 출시된 USB 3.1 및 USB type-C 1.0 등의 규격은 10Gbps의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며, 1000mA의 전원 공급 능력을 갖추고 있어 카메라 유닛(200)이 장착된 상태에서 높은 데이터 전송 및 전력 공급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SB 커넥터를 사용함에 따른 장점은 범용화 된 외부 배터리를 카메라 유닛(20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카메라 유닛(200)은 초소형 제품이므로 내재된 보조 배터리(276)의 용량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데, 외부 배터리를 연결함으로써 보조 배터리(276)의 용량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카메라 유닛(200)의 분리와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카메라 유닛(200)의 외부면에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걸림턱에 손가락을 걸어 카메라 유닛(200)을 밀어 올리는 것으로 스마트폰 본체(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서, 카메라 유닛(200)이 스마트폰 본체(100)에 대하여 후크 방식으로 결합되고, 카메라 유닛(20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분리 버튼을 누를 경우 카메라 유닛(200)에 대한 후크 걸림이 탄성 해제되는 방식으로 카메라 유닛(200)을 분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에서 점선으로 묘사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카메라 유닛(200)을 스마트폰 본체(100)로부터 분리할 경우, 카메라 유닛(200)은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카메라 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카메라 유닛이 분리된 상태에서 카메라 제어화면 구성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서 점선으로 묘사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200)이 스마트폰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경우,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 앱(App)이 자동 실행되어 도 2에서와 카메라 제어화면을 활성화 시킨다. 스마트폰 본체(100)의 디스플레이 수단(160)에는 카메라 제어화면(170)이 즉시 표시된다. 카메라 제어화면(170)은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10)에서 촬상되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이미지 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다수의 기능 선택 항목들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각 기능 선택 항목들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실행되거나 실행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제어화면(170)의 상부에는 설정 항목, 모드 선택 항목, 효과 선택 항목, 플래시 선택 항목이 표시되고, 우측 중앙에는 근접 촬영 및 배경 촬영 항목이 표시되고, 하단에는 녹화, 촬영, 갤러리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30은 전면 카메라이고, 140은 근접 센서이고, 150은 수화부이다.
사용자가 카메라 제어화면(170) 상에서 어떤 기능을 선택하거나 촬영 또는 녹화 버튼을 입력할 경우, 카메라 제어 명령이 카메라 유닛(200)으로 무선 송출된다. 카메라 유닛(200)은 자체적으로 내장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250)에 의해 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실행하며,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스마트폰 본체(100)로 무선 송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카메라 유닛과 스마트폰 본체의 카메라 제어 관련 블록을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카메라 유닛의 보조 배터리 경고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카메라 유닛을 무선 제어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유닛(200)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250)과, 카메라 모듈(210)과, 플래시 모듈(220)과, 블루투스 모듈(252)과, 배터리 진단부(254)와, 통신감도 판단부(256)와, 통신 인터페이스 전환부(262)와, 유선 인터페이스(264)와, 무선 인터페이스(266)와, 배터리 인터페이스 전환부(272)와, 배터리 연결단자(274)와, 보조 배터리(276)를 포함한다.
카메라 유닛(200)은 스마트폰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제어에 의해 동작된다. 통신 인터페이스 전환부(262)는 유선 인터페이스(272)를 통해 스마트폰(100)의 카메라 통합 제어부(18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며, 배터리 연결단자(274)가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스마트폰 본체(100)에 설치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한다.
카메라 유닛(200)이 스마트폰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카메라 앱(App)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카메라 유닛(200)이 동작하며, 카메라 앱(App)이 실행될 경우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은 카메라 제어화면(170)이 활성화 될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카메라 유닛(200)을 스마트폰 본체(100)로부터 분리한다면, 카메라 통합 제어부(180)는 스마트폰 본체(100)의 통신 인터페이스 전환부(182)를 동작시켜 카메라 동작을 위한 유선 인터페이스를 무선 인터페이스로 전환한다.
카메라 유닛(200)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250)은 배터리 인터페이스 전환부(272)를 동작시켜 자체적으로 내장한 보조 배터리(276)로 사용전원을 절체하며, 통신 인터페이스 전환부(262)를 동작시켜 스마트폰 본체와 카메라 동작을 위해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유선 인터페이스(264)에서 무선 인터페이스(266)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스마트폰 본체(100)의 블루투스 모듈(184)과 카메라 유닛(200)의 블루투스 모듈(252)이 상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도 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본체(100)에서 카메라 유닛(200)으로 카메라 제어 명령을 전송하며, 카메라 유닛(200)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스마트폰 본체(100)로 전송한다. 도시된 예시에서는 블루투스 모듈(184, 252)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본체(100)와 카메라 유닛(200)이 통신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Wi-Fi 등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마트폰 본체(100)의 카메라 통합 제어부(180)는 카메라 유닛(200)의 유선 및 무선 연결과 동작을 통합 제어하는 수단으로, 카메라 유닛(200)이 스마트폰 본체(100)에서 분리되는 경우 자동으로 GUI 제어부(194)를 동작시켜 카메라 앱(App)을 실행시킨다. 따라서, 도 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200)이 분리되는 경우 곧바로 스마트폰 본체(100)의 디스플레이 수단(160)에 카메라 제어화면(17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카메라 제어화면(170) 상에서 터치 입력 항목들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거나 영상을 녹화할 경우, 카메라 유닛(200)은 스마트폰 본체(100)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을 실행하고, 촬영된 이미지나 영상을 스마트폰 본체(100) 측으로 무선 송신한다. 카메라 통합 제어부(180)는 수신한 이미지나 영상을 저장매체(186)에 저장한다.
도 3에서 충전 제어부(192)는 카메라 유닛(200)이 스마트폰 본체(100)에 장착될 경우, 카메라 유닛(200)에 내재된 보조 배터리(276)를 충전하는 수단이다.
한편, 카메라 유닛(200)은 그 크기가 제한적이므로, 보조 배터리(276)의 용량 역시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카메라 유닛(200)이 분리되어 무선 제어 환경으로 사용될 경우 보조 배터리(276)가 완전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200)은 배터리 진단부(254)를 포함한다. 배터리 진단부(254)는 보조 배터리(276)의 잔여 용량을 진단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250)은 보조 배터리(276)의 잔여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떨어질 경우 스마트폰 본체(100)의 카메라 통합 제어부(180)에 배터리 용량 부족 신호를 무선 송신하고, 모든 동작을 정지시킨다. 예를 들어, 보조 배터리(276)의 방전 라인을 차단하는 것으로 휴면 상태에 접어들 수 있다.
스마트폰 본체(100)의 카메라 통합 제어부(180)는 카메라 유닛(200)으로부터 배터리 용량 부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 수단(160)을 통해 배터리 용량 부족을 경고하는 그래픽 이미지 또는 경고 텍스트를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수단(160)의 상단에 보조 배터리 경고 항목(196)을 표시할 수 있다. 보조 배터리 경고 항목(196)은 카메라 유닛(200)의 보조 배터리 용량 부족을 경고하는 그래픽 이미지로 구성된다. 나아가, 사용자가 카메라 유닛(200)을 장착할 때까지 보조 배터리 경고 항목(196)이 점멸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수단(160)의 중앙에는 경고 문구(198)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경고 문구(198)는 "원격 카메라 제어를 실행할 수 없습니다.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 배터리를 보호하세요."와 같은 텍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은 카메라 유닛(200)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카메라 유닛(200)을 분리하여 사용하다가 분실되거나 도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200)과 스마트폰 본체(100) 간의 거리가 멀어질 경우, 통신감도가 저하되어 카메라 제어 명령 및 촬영 이미지의 전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통신감도가 저하되는 경우 카메라 유닛(200)의 보조 배터리(276) 용량이 빠른 속도로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상황들에 대처하기 위해, 카메라 유닛(200)에는 통신감도 판단부(256)가 더 포함된다. 통신감도 판단부(256)는 스마트폰 본체(1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신호 세기, 카메라 제어 명령의 수신 오류, 스마트폰 본체(100)로의 이미지 전송 지연 등을 판단하여, 통신감도의 양, 불량을 복수의 단계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250)은 통신감도 판단부(25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스마트폰 본체(100)의 카메라 통합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통신감도 판단부(256)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불량 1단계를 나타내는 경우(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의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카메라 통합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수단(160)을 통해 통신감도 불량을 알리는 그래픽 이미지나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감도가 좋지 않습니다. 카메라를 스마트폰에 가깝게 이동시켜 주세요." 등의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감도 판단부(256)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불량 2단계를 나타내는 경우(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의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한계치 미만인 경우), 카메라 통합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수단(160)을 통해 카메라 유닛(200)의 분실이나 도난을 경고하는 그래픽 이미지나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가 지나치게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분실이나 도난에 주의하세요." 등의 텍스트를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감도 판단부(256)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불량 3단계를 나타내는 경우(예컨대, 이미지의 전송 지연 등과 같은 경우), 카메라 유닛(200)의 보조 배터리 용량이 빠른 속도로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유닛(200)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250)은 보조 배터리(276)의 잔여 용량이 충분한 경우라도, 스마트폰 본체(100)의 카메라 통합 제어부(180)에 배터리 용량 부족 신호를 무선 송신하고, 모든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 배터리(276)의 방전 라인을 차단하는 것으로 휴면 상태에 접어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 본체(100)의 카메라 통합 제어부(18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160)을 통해 배터리 용량 부족을 경고하는 그래픽 이미지 또는 경고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스마트폰 본체 110 : 전원 버튼
120 : 음량 조절키 130 : 전면 카메라
140 : 근접 센서 150 : 수화부
160 : 디스플레이 수단 170 : 카메라 제어화면
180 : 카메라 통합 제어부 182 : 통신 인터페이스 전환부
184 : 블루투스 모듈 186 : 저장매체
192 : 충전 제어부 194 : GUI 제어부
196 : 보조 배터리 경고 항목 198 : 경고 문구
200 : 카메라 유닛 210 : 카메라 모듈
220 : 플래시 모듈 250 :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252 : 블루투스 모듈 254 : 배터리 진단부
256 : 통신감도 판단부 262 : 통신 인터페이스 전환부
264 : 유선 인터페이스 266 : 무선 인터페이스
272 : 배터리 인터페이스 전환부 274 : 배터리 연결단자
276 : 보조 배터리

Claims (6)

  1. 스마트폰 본체; 및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스마트폰 본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분리되는 것을 검출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위한 유선 인터페이스를 무선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전환부;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분리되는 것을 검출하여 상기 스마트폰 본체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자체적으로 내장한 보조 배터리로 전환하는 배터리 인터페이스 전환부;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진단하는 배터리 진단부; 및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분리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 본체로부터 수신하는 원격 제어 명령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 본체로 무선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 본체는,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위한 유선 인터페이스를 무선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전환부;
    상기 카메라 유닛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상기 카메라 유닛이 장착되면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에 내재된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제어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상기 카메라 모듈에 캡처한 영상과 함께 작동 아이콘을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하는 GUI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의 유선 및 무선 연결과 동작을 통합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GUI 제어부를 동작시켜 카메라 앱을 실행시키는 카메라 통합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떨어질 경우 상기 카메라 통합 제어부에 배터리 용량 부족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방전라인을 차단하는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통합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용량 부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배터리 용량 부족을 경고하는 그래픽 이미지 또는 경고 텍스트를 출력하는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에는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분리되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대하여 후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는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인접하여 상기 후크 결합을 탄성 해제시키는 분리 버튼이 구비되는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
KR1020180091074A 2018-08-06 2018-08-06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 KR102061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74A KR102061797B1 (ko) 2018-08-06 2018-08-06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74A KR102061797B1 (ko) 2018-08-06 2018-08-06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797B1 true KR102061797B1 (ko) 2020-01-02

Family

ID=6915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074A KR102061797B1 (ko) 2018-08-06 2018-08-06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2706A (zh) * 2022-02-16 2022-04-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参数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2706A (zh) * 2022-02-16 2022-04-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参数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1639B2 (en) Low-profile lens mount
EP3385785A1 (en) Low-profile lens mount
US8891003B2 (en) Imaging apparatus including hot shoe
EP313352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JP2012023723A (ja) 撮像装置
US20050200335A1 (en) Apparatus
US20210127070A1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storage medium
KR102061797B1 (ko) 착탈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스마트폰
US9398241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US11335029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JPWO2020129303A1 (ja) 撮像装置
US9635281B2 (en)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080239098A1 (en) Digital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62207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accessory system
JP6754996B1 (ja) 撮像装置
JP5159474B2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172136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8245109A (ja) 撮影装置
US1167169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40080551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7076994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214683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充電方法
JP2022183847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0020647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電子システム並びにメモリ媒体
JP2015231164A (ja) 撮影画像に付加するgps情報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