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755B1 -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755B1
KR102061755B1 KR1020190076088A KR20190076088A KR102061755B1 KR 102061755 B1 KR102061755 B1 KR 102061755B1 KR 1020190076088 A KR1020190076088 A KR 1020190076088A KR 20190076088 A KR20190076088 A KR 20190076088A KR 102061755 B1 KR102061755 B1 KR 102061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goods
conveyor
storage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삼
김종일
마구야오
Original Assignee
신세계건설(주)
마구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계건설(주), 마구야오 filed Critical 신세계건설(주)
Priority to KR1020190076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1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a code applied to the object which indicates a property of the object, e.g. quality class, contents or incorrect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Abstract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은, 물건이 입고되고, 입고된 물건을 분류 정보에 근거하여 분류하는 입고 구역, 분류된 물건을 운반하는 분류용 무인대차, 분류용 무인대차에 의해 운반된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 구역, 및 수납 구역에서 이동된 물건이 보관되는 보관 구역을 포함하고, 입고 구역은, 물건에 부착된 마크를 인식하는 마크 인식기, 마크 인식기에 의해 인식된 물건을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분류 컨베이어, 분류 컨베이어 상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마크 인식기의 인식 정보에 근거하여 물건이 분류 컨베이어로부터 1차 분류되어 이동하는 지점인 1차 분류지점, 및 분류 컨베이어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며, 1차 분류지점에서 유입된 물건을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버퍼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수납 구역은, 분류용 무인대차에 의해 버퍼 컨베이어에서 운반된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함, 및 수납함을 지지하며 운반하는 무인 운반차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SYSTEM FOR CLASSIFYING AND KEEPING GOODS}
본 발명은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은 공간을 사용하고 인력 투입을 최소로 하면서도 물건 분류 및 보관을 최적화할 수 있는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 쇼핑몰의 성장으로 소비자는 판매점을 직접 방문하여 제품을 직접 보는 대신에, 공급자가 온라인 상에 제공하는 제품 사진에 의존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그러나, 단지 사진만으로 제품 구매 결정을 하다보니, 단순변심, 사이즈 불일치, 불량품 등으로 인해 반품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의류분야의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소비자와의 거래인 B2C 기준으로 20~25%가 반품이 되고, 대리점 또는 기업간의 거래인 B2B에서는 시즌아웃되는 반품이 40%에 달한다.
이러한 반품 처리를 위해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며, 구체적으로 국내의 의류 온라인물류센터를 한 예로 들자면, 반품되는 물품의 종류가 의류일 경우, 의류의 특성상 한제품이 다시 사이즈, 색상별로 재분류 되다보니 하루에 반품처리되야 할 종류가 2,000SKU(Stock Keeping Unit)에 달하고, 시즌아웃된 제품의 반품일 경우에는 하루평균 100,000개의 물품을 처리해야 한다.
이를 처리하기 위하여 현재 약 120명의 인원을 투입하여 반품분류 및 보관을 하게 되는데 이에 소요되는 비용이 공간비(물류센터 기준 20,000/평당 월임대료)와 인건비 120명x3천만원으로 계산하면 연간 반품처리를 위해 투입되는 직접비가 40억원에 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반품 처리 시스템(한국등록특허 제10-1612328호 참조)은 반품의 전수검사를 통해 반품 처리의 정확성 측면만을 강조하고 있을 뿐이며, 적은 공간을 사용하고 인력 투입을 최소로 하면서도 물건 분류 및 보관을 최적화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고려는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은 공간을 사용하고 인력 투입을 최소로 하면서도 물건 분류 및 보관을 최적화할 수 있는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물건의 바코드 인식과 분류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물건을 분류하고, 무인 운반대차와 무인 운반차를 이용하여 분류된 물건을 운송함으로써, 적은 공간을 사용하고 인력 투입을 최소로 하면서도 물건 분류 및 보관을 최적화할 수 있는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은, 물건이 입고되고, 입고된 물건을 분류 정보에 근거하여 분류하는 입고 구역, 분류된 물건을 운반하는 분류용 무인대차, 분류용 무인대차에 의해 운반된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 구역, 및 수납 구역에서 이동된 물건이 보관되는 보관 구역을 포함하고, 입고 구역은, 물건에 부착된 마크를 인식하는 마크 인식기, 마크 인식기에 의해 인식된 물건을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분류 컨베이어, 분류 컨베이어 상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마크 인식기의 인식 정보에 근거하여 물건이 분류 컨베이어로부터 1차 분류되어 이동하는 지점인 1차 분류지점, 및 분류 컨베이어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며, 1차 분류지점에서 유입된 물건을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버퍼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수납 구역은, 분류용 무인대차에 의해 버퍼 컨베이어에서 운반된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함, 및 수납함을 지지하며 운반하는 무인 운반차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건의 바코드 인식과 분류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물건을 분류하고, 무인 운반대차와 무인 운반차를 이용하여 분류된 물건을 운송함으로써, 적은 공간을 사용하고 인력 투입을 최소로 하면서도 물건 분류 및 보관을 최적화할 수 있는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의 개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분류용 무인대차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인 운반차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분류 서버가 수납 구역에 수납함 및 무인 운반차를 배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의 바닥에 사용되는 타일에 각종 QR 코드가 설치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의 수납 구역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의 수납 구역에서 분류용 무인대차가 수납함에 물건을 수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의 개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분류용 무인대차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인 운반차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분류 서버가 수납 구역에 수납함 및 무인 운반차를 배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은, 물품을 분류하고 보관하는 물류 창고 내에서의 시스템일 수 있으며, 입고 구역(I), 분류용 무인대차(50), 수납 구역(R), 포장 구역(P, S) 및 보관 구역(K)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물류 창고는, 입고 구역(I), 수납 구역(R), 포장 구역(P, S) 및 보관 구역(K)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물류 창고 내에서 분류용 무인대차(50) 등이 물건(5)을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은, 처리에 많은 비용이 들고 넓은 공간이 필요한 반품 처리에 적용될 수 있으나, 반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물품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입고 구역(I)은 물건(5)이 입고되고, 입고된 물건(5)을 분류 정보에 근거하여 분류하는 구역일 수 있다. 이러한 입고 구역(I)은 마크 인식기, 분류 컨베이어(20), 1차 분류지점(30) 및 버퍼 컨베이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마크 인식기는 물건(5)에 부착된 마크를 인식하는 기기로서, 예를 들어, 물건(5)에는 바코드가 부착될 수 있으며, 마크 인식기로서 바코드 인식기가 사용되어 물건(5)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마크 인식기는 마크 인식을 통해 물건(5)의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인식 정보는 입고되는 물건(5)의 종류, 물건(5)의 스펙(사이즈, 재질 등), 입고 이유(신제품, 반품 사유 등), 반품 대리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류 컨베이어(20)는 마크 인식기에 의해 인식된 물건(5)을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일 수 있다. 입고 라인(10)으로부터 입고된 물건(5)은 마크 인식기에 의해 인식 과정이 수행되고, 이후 입고된 물건(5)은 분류 컨베이어(20)의 지지를 받으면서 이동하거나 왕복 운동할 수 있다.
1차 분류지점(30)은 분류 컨베이어(2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마크 인식기의 인식 정보에 근거하여 물건(5)이 1차 분류되어 분류 컨베이어(20)로부터 이동하는 지점일 수 있다.
입고된 물건(5)은 마크 인식기에 의한 인식 과정을 거친 후에 분류 컨베이어(20) 상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하는 과정에서 1차 분류지점(30)에 도달할 수 있다.
이후, 1차 분류지점(30)에서 특정 종류의 물건(5)이 분류되도록 컨베이어 경로 변경 방식 등을 통해 특정 종류의 물건(5)이 분류 컨베이어(20)로부터 분기되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은 입고되는 물건(5)의 인식 정보가 저장되는 분류 서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입고되는 물건(5)은 마크 인식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인식 정보는 분류 서버(140)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분류 서버(140)는 1차 분류지점(30)에 도달할 예정인 물건(5)이 어떤 종류의 물건(5)인지 인지할 수 있으며, 이 물건(5)이 1차 분류지점(30)에서 분류될 물건(5)인지 파악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분류 서버(140)는 1차 분류지점(30)에서 컨베이어 등이 조작되어 물건(5)이 분기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르게는, 각 1차 분류지점(30)에서 도달한 물건(5)을 인식하여 도달한 물건(5)이 분류되야할 물건(5)인지 파악한 후 물건(5)을 분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여성 상의, 여성 하의, 남성 상의 등이 입고된 후 이들 물건(5)은 분류 컨베이어(20) 상을 이동할 수 있고, 1차 분류지점(30)에서는 여성 상의가 분류 컨베이어(20)로부터 분기되어 이동할 수 있고, 나머지 물건(5)은 분류 컨베이어(20) 상을 계속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1차 분류지점(30)은 분류 컨베이어(20) 상에서 하나 이상, 특히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각 1차 분류지점(30)은 특정 종류의 물건(5)만이 분기되어 이동하는 지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류 컨베이어(20) 상에 16개의 1차 분류지점(30)이 있을 수 있으며, 첫번째 1차 분류지점(30)은 여성 상의가 분류될 수 있으며, 두번째 1차 분류지점(30)은 여상 하의가 분류될 수 있고, 16번째 1차 분류지점(30)은 남성 양말이 분류될 수 있다.
버퍼 컨베이어(40)는 분류 컨베이어(20)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1차 분류지점(30)으로부터 유입된 물건(5)을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일 수 있다.
1차 분류지점(30)에서 분류된 물건(5)은 버퍼 컨베이어(40)로 이동할 수 있고, 버퍼 컨베이어(40) 상에서 이동하며 또는 일시 정지한 후 이동하면서 후술할 분류용 무인대차(50)로 전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버퍼 컨베이어(40)는 1차 분류지점(30) 하나 당 두개 이상 대응 설치될 수 있다. 즉, 각 1차 분류지점(30)은 두개 이상의 버퍼 컨베이어(40)와 연결될 수 있고, 1차 분류지점(30)에서 분류된 물건(5)은 버퍼 컨베이어(40)로의 이동 경로가 두개 이상일 수 있다.
이럴 경우, 1차 분류지점(30)에서 유입된 물건(5)은, 지난 입고 시점에 마크 인식기가 물건(5)에 대하여 획득한 인식 정보에 근거하여 다시 2차 분류될 수 있고, 분류된 물건(5)은 서로 다른 버퍼 컨베이어(40)에 의해 지지되며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차 분류지점(30)에서 분류되어 이동된 물건(5)은 한번 더 분류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이때 전술한 마크 인식기의 인식 정보를 근거로 분류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2차 분류 결과 물건(5)은 한번 더 분류되어 서로 다른 버퍼 컨베이어(40)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분류지점(30)에서 유입된 여성 상의는 사이즈 별로 2차 분류되어 각 버퍼 컨베이어(40)로 이동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입고 구역(I)에서 물건(5)은 마크 인식기, 분류 컨베이어(20) 및 버퍼 컨베이어(40)에 의해 자동 분류될 수 있으므로 인력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분류 컨베이어(20)와 분류 컨베이어(20)에서 분기된 버퍼 컨베이어(40)의 사용으로, 분류된 물건(5)이 다른 구역으로 이동되는 출구인 분류 출구를 줄여 적은 공간에서 물건(5)의 분류가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컨베이어만을 사용할 경우 물건(5)의 개수만큼 분류 출구를 설치해야 하며, 그에 따라 물류 창고의 공간이 넓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분류용 무인대차(50)는 입고 구역(I)에서 분류된 물건(5)을 수납 구역(R)으로 운반하는 무인대차일 수 있다.
입고 구역(I)으로 들어온 물건(5)은 1차 및 2차 분류를 거쳐 버퍼 컨베이어(4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렇게 버퍼 컨베이어(40)에 물건(5)이 있을 경우, 분류용 무인대차(50)는 버퍼 컨베이어(40)로 이동하여 분류된 물건(5)을 넘겨받을 수 있다.
한편, 분류용 무인대차(50)는 복수개의 운송 컨베이어(53, 57)가 설치되어 한번에 복수개의 물건(5)을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용 무인대차(50)의 일 예로서, 분류용 무인대차(50)의 하단에는 바퀴 내지 무한궤도와 같은 구동 수단이 설치될 수 있고, 상단에는 운송 컨베이어(53, 57)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송 컨베이어(53, 57)는 2개가 있을 수 있다.
아울러, 버퍼 컨베이어(40)에서 분류용 무인대차(50)로 물건(5)이 전달되는 과정을 보면, 분류용 무인대차(50)는 버퍼 컨베이어(40)로 이동하고, 물건(5)은 버퍼 컨베이어(40) 상에서 움직이면서 분류용 무인대차(50)의 운송 컨베이어(53, 57)로 이동할 수 있다.
분류용 무인대차(50)에 운송 컨베이어(53, 57)가 2개 있을 경우 두개의 물건(5)이 버퍼 컨베이어(40)에서 분류용 무인대차(50)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분류용 무인대차(50)의 한번의 움직임으로 2개의 물건(5)을 수납 구역(R)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납 구역(R)은 분류용 무인대차(50)에 의해 운반된 물건(5)이 수납되는 구역일 수 있다. 이러한 수납 구역(R)은 수납함(60, 65, 70) 및 무인 운반차(8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함(60, 65, 70)은 분류용 무인대차(50)에 의해 버퍼 컨베이어(40)에서 운반된 물건(5)이 수납되는 임시 보관함일 수 있다.
이러한 수납함(60, 65, 70)은 상부가 개방되어 물건(5)을 수용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수납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수납함(60, 65, 70)의 일 예로서, 하나의 수납함(60, 65, 70)은 4개의 수납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나의 수납함(60, 65, 70)에 서로 다른 4개의 물건(5)이 수납될 수 있다.
무인 운반차(80)는 수납함(60, 65, 70)을 지지하며 운반하는 운반 수단일 수 있다. 무인 운반차(80)가 수납함(60, 65, 70)을 효과적을 운반하기 위해 무인 운반차(80)는 수납함(60, 65, 70)을 바로 지지하기 보다는 수납함(60, 65, 70)의 하부에 팔레트가 위치할 수 있고, 무인 운반차(80)는 팔레트를 지지하며 운반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납함(60, 65, 70)을 운반할 수 있다.
분류용 무인대차(50)가 수납함(60, 65, 70)에 정해진 수량의 물건(5)을 수납한 후에, 무인 운반차(80)는 수납함(60, 65, 70)을 운반하여 후술할 포장 구역(P, S)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분류 서버(140)는 입고되는 물건(5)의 입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입고 정보는 입고되는 물건(5)의 종류, 송장, 물건(5)의 스펙(사이즈, 재질 등), 입고 이유(신제품, 반품 사유 등), 반품 대리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 서버(140)는 입고 정보에 근거하여 입고되는 물건(5)의 총 개수 및 종류를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될 수납함(60, 65, 70) 및 무인 운반차(80)의 개수를 결정하여 수납함(60, 65, 70) 및 무인 운반차(80)를 수납 구역(R)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함(60, 65, 70)이 4개의 수납 공간을 가지며, 10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물건(5)이 입고된다고 할 경우, 분류 서버(140)는 수납 구역(R)에 최소 3개의 수납함(60, 65, 70) 및 3개의 무인 운반차(80)를 배치할 수 있고, 최대 10개의 수납함(60, 65, 70) 및 10개의 무인 운반차(80)를 배치할 수 있다.
아울러, 분류 서버(140)는 수납함(60, 65, 70)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때, 수납함(60, 65, 70)에 수납될 물건(5)이 대기하고 있는 버퍼 컨베이어(40)의 위치를 고려하여, 수납함(60, 65, 70)과 버퍼 컨베이어(40)의 거리가 가장 가깝도록 수납함(60, 65, 70)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7 을 참조하여, 수납 구역의 바닥 구조 및 수납 구역 내에서의 분류용 무인대차와 무인 운반차의 운행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의 바닥에 사용되는 타일에 각종 QR 코드가 설치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의 수납 구역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의 수납 구역에서 분류용 무인대차가 수납함에 물건을 수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7 을 참조하면, 수납 구역(R)의 바닥은 타일(100)로 형성될 수 있고, 타일(100)에는 무인 운반차(80)의 이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제 1 QR 코드(110) 및 분류용 무인대차(50)의 이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제 2 QR 코드(120, 125, 130, 135)가 설치될 수 있다.
무인 운반차(80) 및 분류용 무인대차(50)는 QR 코드 인식기를 가질 수 있으며, QR 코드 인식기를 통해 타일(100)에 형성된 QR 코드를 인식하면서 이동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QR 코드(110)는 타일(100)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고, 제 2 QR 코드(120, 125, 130, 135)는 타일(100) 내에서 무인 운반차(80)의 폭(W)을 벗어나 설치되고 또한 무인 운반차(80)의 회전 반경(R)을 벗어나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 2 QR 코드(120, 125, 130, 135)의 설치 위치에 대해서 살펴보면, 무인 운반차(80)는 제 1 QR 코드(110)를 인식하면서 타일(100) 상에서 전후진할 수 있으며(도 5 의 A 참조), 또한 타일(10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전후진 및 회전 과정에서 무인 운반차(80)의 바퀴는 타일(100) 상에 설치된 제 2 QR 코드(120, 125, 130, 135)를 손상시킬 수 있다.
제 2 QR 코드(120, 125, 130, 135)의 손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제 2 QR 코드(120, 125, 130, 135)는 타일(100) 상에서 무인 운반차(80)의 폭(W)을 벗어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무인 운반차(80)는 폭(W)의 양단부에 바퀴가 설치될 수 있는바, 제 2 QR 코드(120, 125, 130, 135)가 타일(100) 상에서 무인 운반차(80)의 폭(W)을 벗어난 위치에 설치될 경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QR 코드(120, 125, 130, 135)는 타일(100) 내에서 무인 운반차(80)의 회전 반경(R)을 벗어나 설치될 수 있다.
무인 운반차(80)는 이동 방향의 변경 등을 이유로 타일(100) 상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제 2 QR 코드(120, 125, 130, 135)가 타일(100) 상에서 무인 운반차(80)의 회전 반경(R)을 벗어난 위치에 설치될 경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QR 코드(120, 125, 130, 135)가 타일(100) 상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는바, 정확한 제 2 QR 코드(120, 125, 130, 135)의 인식을 위해서 분류용 무인대차(50) 내에서 QR 코드 인식기는 한쪽으로 치우쳐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전술한 제 1 QR 코드(110) 및 제 2 QR 코드(120, 125, 130, 135)는 물류 창고 내의 다른 구역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분류용 무인대차(50)가 수납함(60, 65, 70)에 물건(5)을 수납하기 위해 운행하는 과정을 보면, 우선 수납 구역(R) 내에서 이웃하는 수납함(60, 65) 사이에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통로는 제 1 QR 코드(110) 및 제 2 QR 코드(120, 125, 130, 135)가 설치된 타일(100)로 되어 있는바, 분류용 무인대차(50) 및 무인 운반차(80)는 이 통로를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분류용 무인대차(50)는 복수개의 운송 컨베이어(53, 57)가 설치되어 한번에 복수개의 물건(5)을 운반할 수 있고, 제 2 QR 코드(120, 125, 130, 135) 각각은 분류용 무인대차(50)가 타일(100) 상의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하여 복수개의 운송 컨베이어(53, 57) 중 특정 운송 컨베이어에 놓인 물건(5)이 수납함(60)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 를 보면, 분류용 무인대차(50)는 타일(100) 상을 이동하면서 첫번째 제 2 QR 코드(135)를 인식한 후 정지할 수 있고, 복수개의 운송 컨베이어(53, 57) 중에서 제 1 운송 컨베이어(57)에 있는 물건(5)이 컨베이어를 따라 수납함(60)의 우상에 위치한 수납공간으로 이동(B)할 수 있다.
도 7(b) 를 보면, 분류용 무인대차(50)는 타일(100) 상을 이동하면서 두번째 제 2 QR 코드(125)를 인식한 후 정지할 수 있고, 제 2 운송 컨베이어(53)에 있는 물건(5)이 컨베이어를 따라 수납함(60)의 우상에 위치한 수납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7(c) 를 보면, 분류용 무인대차(50)는 타일(100) 상을 이동하면서 세번째 제 2 QR 코드(130)를 인식한 후 정지할 수 있고, 제 1 운송 컨베이어(57)에 있는 물건(5)이 컨베이어를 따라 수납함(60)의 좌하에 위치한 수납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d) 를 보면, 분류용 무인대차(50)는 타일(100) 상을 이동하면서 네번째 제 2 QR 코드(120)를 인식한 후 정지할 수 있고, 제 2 운송 컨베이어(53)에 있는 물건(5)이 컨베이어를 따라 수납함(60)의 좌하에 위치한 수납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첫번째 제 2 QR 코드(135) 및 세번째 제 2 QR 코드(130)는 제 1 운송 컨베이어(57)에 있는 물건(5)이 컨베이어를 따라 수납함(60)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두번째 제 2 QR 코드(125) 및 네번째 제 2 QR 코드(120)는 제 2 운송 컨베이어(53)에 있는 물건(5)이 컨베이어를 따라 수납함(60)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 과정은 타일(100) 상의 다른 경로(D 참조)를 통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우측에 위치한 수납함(65)에 물건(5)의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나의 타일(100) 상에서 분류용 무인대차(50)는 양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물건(5)을 수납할 수 있다(C 및 D 참조).
한편, 도 1 의 좌측 부분을 보면, 특정 수납함(70)의 좌측에는 무인 운반차(80)만이 이동하고 분류용 무인대차(50)는 이동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특정 수납함(70)의 하부에 위치한 무인 운반차(80)는 제자리에서 회전하여 특정 수납함(70)의 좌측 수납구역을 우측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며, 특정 수납함(70)의 우측에 위치한 분류용 무인대차(50)는 빈 수납구역에 물건(5)을 수납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는 물건(5)의 분류 및 보관을 위해 인력을 사용하는 대신에 분류용 무인대차(50) 및 무인 운반차(80)를 사용함으로써, 인력 사용을 줄이고, 운송 경로의 최적화를 도출하여 물건(5)의 분류 및 보관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있다.
포장 구역(P, S)은 무인 운반차(80)가 수납함(60, 65, 70)을 통해 운반한 물건(5)을 같은 종류의 물건(5)끼리 모아 포장하는 구역일 수 있다.
무인 운반차(80)는 수납함(60, 65, 70)을 수납 구역(R)에서 포장 구역(P, S)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포장 구역(P, S)에 위치한 작업자 또는 로봇은 이동된 수납함(60, 65, 70)에서 물건(5)을 꺼내어 같은 종류의 물건(5)끼리 모아 포장박스 내지 포장용기에 담을 수 있다.
이후, 같은 종류의 물건(5)이 모인 포장박스 내지 포장용기는 자동 스트랩핑 머신에 의해 3단 바인딩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결속될 수 있다.
한편,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종류의 물건(5)이 포장박스 내지 포장용기에 담기는 작업과 포장박스 내지 포장용기가 스트랩핑되는 작업은 서로 다른 구역에서 진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같은 종류의 물건(5)이 포장박스 내지 포장용기에 담기는 작업이 수행되는 구역은 게더링 구역(P)일 수 있고, 포장박스 내지 포장용기가 자동 스트랩핑 머신에 의해 스트랩핑되는 작업이 수행되는 구역은 스트랩핑 구역(S)일 수 있다. 즉, 포장 구역(P, S)은 게더링 구역(P)과 스트랩핑 구역(S)을 포함하는 구역일 수 있다.
보관 구역(K)은 포장 구역(P, S)에서 포장된 물건(5)을 보관하는 구역일 수 있다.
포장 구역(P, S)에서 스트랩핑된 포장박스 내지 포장용기는 보관 구역(K)으로 이송되어 일정 기간 동안 보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5: 물건 10: 입고 라인
20: 분류 컨베이어 30: 1차 분류지점
40: 버퍼 컨베이어 50: 분류용 무인대차
53, 57: 운송 컨베이어 60, 65, 70: 수납함
80: 무인 운반차 100: 타일
110: 제 1 QR 코드
120, 125, 130, 135: 제 2 QR 코드 140: 분류 서버

Claims (8)

  1. 물건이 입고되고, 입고된 상기 물건을 분류 정보에 근거하여 분류하는 입고 구역;
    분류된 상기 물건을 운반하는 분류용 무인대차;
    상기 분류용 무인대차에 의해 운반된 상기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 구역; 및
    상기 수납 구역에서 이동된 상기 물건이 보관되는 보관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입고 구역은,
    상기 물건에 부착된 마크를 인식하는 마크 인식기;
    상기 마크 인식기에 의해 인식된 상기 물건을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분류 컨베이어;
    상기 분류 컨베이어 상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마크 인식기의 인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물건이 상기 분류 컨베이어로부터 1차 분류되어 이동하는 지점인 1차 분류지점; 및
    상기 분류 컨베이어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1차 분류지점에서 유입된 상기 물건을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버퍼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구역은,
    상기 분류용 무인대차에 의해 상기 버퍼 컨베이어에서 운반된 상기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함; 및
    상기 수납함을 지지하며 운반하는 무인 운반차를 포함하는 것이고,
    입고되는 상기 물건의 입고 정보가 저장되는 분류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류 서버는 상기 입고 정보에 근거하여 입고되는 상기 물건의 총 개수 및 종류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사용될 상기 수납함 및 무인 운반차의 개수를 결정하여 상기 수납함 및 무인 운반차를 상기 수납 구역 내에 배치하는 것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1차 분류지점 하나 당 두개 이상 대응 설치되고,
    상기 1차 분류지점에서 유입되어 상기 마크 인식기의 인식 정보에 근거하여 2차 분류된 상기 물건은 서로 다른 버퍼 컨베이어에 의해 지지되며 이동되는 것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서버는 상기 수납함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때, 상기 수납함에 수납될 물건이 대기하고 있는 상기 버퍼 컨베이어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수납함과 상기 버퍼 컨베이어의 거리가 가장 가깝도록 상기 수납함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은 복수개의 수납 공간으로 구획된 것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구역의 바닥은 타일로 형성되고,
    상기 타일에는 상기 무인 운반차의 이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제 1 QR 코드 및 상기 분류용 무인대차의 이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제 2 QR 코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QR 코드는 상기 타일의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QR 코드는 상기 타일 내에서 상기 무인 운반차의 폭을 벗어나 설치되고 또한 상기 무인 운반차의 회전 반경을 벗어나 설치되는 것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용 무인대차는 복수개의 운송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한번에 복수개의 상기 물건을 운반하고,
    상기 제 2 QR 코드 각각은 상기 분류용 무인대차가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하여 상기 복수개의 운송 컨베이어 중 특정 운송 컨베이어에 놓인 상기 물건이 상기 수납함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운반차가 상기 수납함을 통해 운반한 상기 물건을 같은 종류의 물건끼리 모아 포장하는 포장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 구역은 상기 포장 구역에서 포장된 물건을 보관하는 것인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KR1020190076088A 2019-06-26 2019-06-26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KR102061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088A KR102061755B1 (ko) 2019-06-26 2019-06-26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088A KR102061755B1 (ko) 2019-06-26 2019-06-26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755B1 true KR102061755B1 (ko) 2020-01-02

Family

ID=6915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088A KR102061755B1 (ko) 2019-06-26 2019-06-26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7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0160A (zh) * 2020-06-01 2021-12-17 无锡职业技术学院 大批量拣选型成品立体仓库及发货装备
KR102572411B1 (ko) 2023-07-19 2023-08-29 정우재 인공지능 기반의 물건 보관 시스템, 물건 보관 전략생성 서버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33B1 (ko) * 2014-07-09 2015-05-28 주식회사 레전드힐스 자동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51155B1 (ko) * 2018-09-07 2019-02-21 마영모 무인 운반 시스템
KR101968217B1 (ko) * 2017-12-28 2019-04-11 주식회사 로탈 Qr 코드와 십자마크에 의해 주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33B1 (ko) * 2014-07-09 2015-05-28 주식회사 레전드힐스 자동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68217B1 (ko) * 2017-12-28 2019-04-11 주식회사 로탈 Qr 코드와 십자마크에 의해 주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
KR101951155B1 (ko) * 2018-09-07 2019-02-21 마영모 무인 운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0160A (zh) * 2020-06-01 2021-12-17 无锡职业技术学院 大批量拣选型成品立体仓库及发货装备
KR102572411B1 (ko) 2023-07-19 2023-08-29 정우재 인공지능 기반의 물건 보관 시스템, 물건 보관 전략생성 서버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8736B2 (en) Autonomous mobile picking
US9499349B2 (en) Picking station and method for picking articles
CA2698178C (en) System and method for order picking
JP7007271B2 (ja) 選別ステーションにおいて所望の順序で保管ユニットを保管設備から利用可能にすることによる注文調達方法
CN112512706A (zh) 用于包裹的分拣设施以及用于包裹分拣的方法
KR102061755B1 (ko)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ES2894824T3 (es) Recogida de mercancías soportada por tecnología de transportador
JP3586639B2 (ja) 配送センター
JP2013103836A (ja) 物品仕分設備の物品入出庫方法
JP2018052671A (ja) 仕分け装置
JP4367310B2 (ja) 仕分けシステム
JP7247435B2 (ja) 物流システム
JP4475093B2 (ja) 仕分けシステム
JP2003104563A (ja) 入荷設備
JP7318860B2 (ja) 物流システム
JP5196223B2 (ja) 物品処理システム
CN109606801B (zh) 自动打包装置
JP7247436B2 (ja) 物流システム
CN116477239B (zh) 仓储分拣一体化仓库及配货方法
JP7358690B2 (ja) 仕分けステーション及びそれを備える物品集配システム
WO2022153659A1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ピッキング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220356016A1 (en) Article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at includes an overhead rail network
JP2023094792A (ja) 物流センターにおけるケース仕分とカゴ車積み付けシステム
JP2006143344A (ja) 仕分け装置
JPH01303208A (ja) 物品仕分け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