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623B1 -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 - Google Patents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623B1
KR102061623B1 KR1020180045537A KR20180045537A KR102061623B1 KR 102061623 B1 KR102061623 B1 KR 102061623B1 KR 1020180045537 A KR1020180045537 A KR 1020180045537A KR 20180045537 A KR20180045537 A KR 20180045537A KR 102061623 B1 KR102061623 B1 KR 102061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cket
hollow
pilla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980A (ko
Inventor
손인수
김성욱
신한기
김지영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5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62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에 관한 발명으로, 원통 형상의 제1 파이프부; 상기 제1 파이프부와 동일한 중심축을 지니는 원통 형상의 제2 파이프부; 중심부를 향하여 상기 제1 파이프부 및 상기 제2 파이프부가 삽입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와 상기 제1 파이프부 또는 상기 제2 파이프부 사이에 위치되는 한쌍의 오링부; 상기 소켓부의 단부와 상기 제1 파이프부 또는 상기 제2 파이프부가 동시에 삽입되는 한 쌍의 캡부; 상기 소켓부의 단부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캡부에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Pipe fittings for water pipes}
본 발명은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 형상의 제1 파이프부와 제1 파이프부와 동일한 형상을 지닌 제2 파이프부를 양 방향에서 소켓부 중심부를 향하여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삽입하고, 제2 파이프부와 소켓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오링부 및 캡부를 삽입하여 제1 파이프부와 제2 파이프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및 하수도와 같은 유체를 수송하는데는 폴리에틸렌(PE) 수도용 파이프가 주로 사용된다. 폴리에틸렌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수명이 길기 때문이다.
이러한 폴리에틸렌 파이프가 길게 설치되어야 하거나 방향이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여러 개의 파이프를 잇는 이음관이 필요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에 관한 도면이다.
종래의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은 소켓(11), 오링(15), 푸셔(14), 홀더(13), 캡(12)로 구성된다. 시공 방법을 살펴보면, 파이프를 소켓(11) 안으로 관통시켜 밀착시킨 후, 오링(15), 푸셔(14), 홀더(13), 캡(12) 순서대로 밀어 넣는다.
다음으로, 캡(12)을 돌리면서 홀더(13), 푸셔(14) 및 오링(15)을 소켓(11)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푸셔(14)가 오링(15)을 밀어 오링(15)이 소켓(11)과 푸셔(14) 사이에서 고정되어 기밀성이 증대된다.
캡(12)을 지속적으로 돌려 캡(12) 내부의 테이퍼진 부분과 소켓(11)의 테이퍼진 부분을 맞물리게 하면, 캡(12)과 소켓(11)이 상호 결합되어 파이프를 해당 위치에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부품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립과정에서 부품이 분실될 우려가 있다.
또한, 캡(12)과 소켓(11)이 맞물리기 위해서는 전용조임구(16)를 통해 단단히 조여야 하므로 별도로 전용조임구(16)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준 이상의 수압이 발생되는 경우, 홀더(13)가 밀리면서 파이프가 이탈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었고, 맞물림 방식이므로 파손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규격이 비슷한 부품을 혼동하는 일이 빈번하여 규격착오로 인한 작업의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그에 따른 작업시간 증대와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 되고 있다.
따라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에 대한 부품과 결합방식의 단순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9805호
본 발명은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 형상의 제1 파이프부와 제1 파이프부와 동일한 형상을 지닌 제2 파이프부를 양 방향에서 소켓부 중심부를 향하여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삽입하고, 제2 파이프부와 소켓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오링부 및 캡부를 삽입하여 제1 파이프부와 제2 파이프부를 연결하여 종래의 복잡한 파이프 이음 방식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은 원통 형상의 제1 파이프부; 상기 제1 파이프부와 동일한 중심축을 지니는 원통 형상의 제2 파이프부; 중심부를 향하여 상기 제1 파이프부 및 상기 제2 파이프부가 삽입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와 상기 제1 파이프부 또는 상기 제2 파이프부 사이에 위치되는 한쌍의 오링부; 상기 소켓부의 단부와 상기 제1 파이프부 또는 상기 제2 파이프부가 동시에 삽입되는 한 쌍의 캡부; 상기 소켓부의 단부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캡부에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상기 소켓부에는, 상기 소켓부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 중공부; 상기 제1 중공부의 양 단부에 각각 인접되는 한 쌍의 제2 중공부; 및 상기 제2 중공부의 단부에 각각 인접되는 한 쌍의 제3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파이프부 및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측면은 상기 제2 중공부의 내측면과 맞닿고, 상기 제3 중공부의 내측면과 폭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상기 오링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파이프부 및 상기 제2 파이프부의 외측면과 맞닿고, 상기 오링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3 중공부의 내측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상기 캡부에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1 기10둥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제2 기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기둥부의 내측면은 상기 소켓부의 외측면과 맞닿고, 상기 제2 기둥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3 중공부의 내측면과 맞닿고, 상기 제2 기둥부의 내측면은 상기 제1 파이프부 및 상기 제2 파이프부의 외측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상기 돌기부에는, 상기 소켓부의 양 단부에서 상기 소켓부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둥부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돌기부와 암수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상기 돌기부의 단면에는, 상기 소켓부의 양 단부로 갈수록 수직방향의 높이가 낮아지는 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상기 소켓부의 단부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는 보조캡부; 및 상기 보조캡부에 삽입되는 금속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이프부 및 상기 제2 파이프부는 상기 보조캡부 및 상기 금속링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돌기부 및 돌기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녀 암수 결합이 가능한 홈부의 구성으로 인해 원터치(one-touch) 결합 방식으로 제1 파이프부 및 제2 파이프부를 이을 수 있어 조립 편의성 및 분리 편의성이 증대되고,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적은 부품만으로 파이프를 이어 부품의 분실 우려가 적게 된다.
또한, 제1 파이프부 또는 제2 파이프부와 제3 중공부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 오링부가 삽입되고, 오링부가 캡부의 제2 기둥부, 소켓부 및 제1 파이프부 또는 제2 파이프부로 둘러쌓여 기밀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수도의 누출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금속링부의 구성으로 인해, 제1 파이프부 및 제2 파이프부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결합력 및 지지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으며, 금속링부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라운딩된 면과 라운딩 되지 않은 면을 지닌 날 고정부의 구성으로 인해, 제1 파이프부 또는 제2 파이프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의 이탈을 제한하여 작업 효율이 증대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이음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소켓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돌기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소켓부 내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캡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제2 기둥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홈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금속링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금속링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상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이음관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소켓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돌기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소켓부 내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전체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캡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제2 기둥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홈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금속링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의 금속링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은 제1 파이프부(100), 제2 파이프부(200), 소켓부(300), 오링부(400), 캡부(500), 보조캡부(600), 돌기부(700), 홈부(800), 금속링부(900)를 포함한다.
제1 파이프부(100) 및 제2 파이프부(200)는 일정한 두께를 지니고, 중공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파이프부(100)와 제2 파이프부(200)는 동일한 지름을 지닌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중심축(A)을 지닌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수도가 단차 없이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다.
제2 파이프부(200)와 제1 파이프부(100)는 동일한 원리로 소켓부(300) 등에 결합되므로, 이하에서는, 중복설명을 방지 하기 위해 제1 파이프부(100)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소켓부(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소켓부(300)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으로 중심축(A)을 지니고, 제1 파이프부(100)와 제2 파이프부(200) 사이에 위치됨과 동시에 제1 파이프부(100)와 제2 파이프부(200)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소켓부(300)의 중심부에는 중심축(A)을 지니되, 제1 파이프부(100)의 내경 지름과 동일한 길이의 제1 중공부(310)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중공부(310)의 양 단부에는 제1 파이프부(100)의 외경 지름과 동일한 한 쌍의 제2 중공부(320)가 각각 제1 중공부(310)에 인접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 중공부(320)의 각각의 단부에는 한 쌍의 제3 중공부(330)가 인접되도록 형성된다.
소켓부(300)의 내부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1 중공부(310)가 위치되고, 제1 중공부(31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제2 중공부(320)가 제1 중공부(310) 양 단부에 위치되고, 각각의 제2 중공부(320)의 양 단부에 한 쌍의 제3 중공부(330)가 인접하여 위치된다. 또한, 소켓부(300)의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지름이 확대되는 형상을 지닌다.
따라서, 제1 파이프부(100)와 제1 중공부(310)의 내경 지름이 동일하므로, 내부에 삽입되는 수도가 단차 없이 원활하게 흘러 갈 수 있어 수도의 흐름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파이프부(100)의 외측면과 제2 중공부(320)의 내측면이 맞닿아 밀착됨으로써, 제1 파이프부(100)와 소켓부(300)의 고정력 및 지지력이 증대되어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3 중공부(330)의 지름은 제1 파이프부(100)의 외경 지름과 오링부(400)의 지름을 합한 길이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파이프부(100)의 외측면은 제2 중공부(320)의 내측면과 맞닿아 밀착되고, 제3 중공부(330)의 내측면은 제1 파이프부(100)의 외측면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있어 오링부(400)가 삽입되는 공간이 확보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오링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오링부(400)는 소켓부(300) 내부에 삽입되되, 제1 파이프부(100)의 외측면과 맞닿고, 제3 중공부(330)의 내측면과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오링부(400)에서 제2 중공부(320)와 맞닿는 면을 일면이라 가정하면, 타면은 후술할 캡부(500)의 제2 기둥부(520)의 단부에 맞닿게 된다.
제2 기둥부(520)를 오링부(400)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면, 오링부(400)는 제2 중공부(320)의 단부와 제2 기둥부(520)의 단부 사이에 밀착된다. 따라서, 도 6을 기준으로, 오링부(400)를 기준으로 좌측에는 제2 중공부(320), 우측에는 제2 기둥부(520), 상측에는 제3 중공부(330)의 내측면, 하측에는 제1 파이프부(100)의 외측면이 밀착되어 오링부(400)의 주위를 근방의 부품들이 감싸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오링부(400)의 기밀성이 증대되며, 오링부(400)의 이탈 가능성이 낮아지게 되어 이음관의 수명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돌기부(7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돌기부(700)는 소켓부(300)의 양 단부에서 외측면 및 내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돌기부(700)는 외측면 및 내측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7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캡부(500)에는 돌기부(700)와 암수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홈부(800)가 형성된다. 이에 관련한 효과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돌기부(700)는 소켓부(300)의 양 단부로 갈수록 소켓부(300)의 외측면으로부터 수직방향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며, 폭 방향으로 돌기부(700)를 보았을 때,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돌기부(700)에서 경사진 면을 경사면(710), 소켓부(300)의 외측면과 수직한 면을 수직면(720)이라 지칭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경사면(710)에 대응되는 홈부(800)의 경사진 부분과 돌기부(700)의 경사면은 서로 맞닿아 슬라이딩 하여 돌기부(700)가 홈부(800)에 수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많은 힘을 가하지 않고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돌기부(700)를 홈부(800)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수직면(720)이 수직면(720)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닌 홈부(800)의 수직된 부분에 걸리게 되면, 도 9를 기준으로 돌기부(700)의 좌,우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인접한 홈부(800)로 넘어가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소켓부(300)와 캡부(500)의 결합력 및 지지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캡부(5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캡부(500)는 중심축(A)을 지니고 중공부를 포함한 일정한 두께를 가진 원형 형상이 바람직하고, 제1 기둥부(510)와 제2 기둥부(520)를 구비한다.
제1 기둥부(510)는 중심축(A)을 지니고, 소정의 두께를 지니며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기둥부(520)는 제1 기둥부(5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제2 기둥부(520)는 중심축(A)을 지니고, 소정의 두께를 지니며,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기둥부(520)의 두께는 제1 기둥부(510)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후술할 내용과 같이 소켓부(300)가 캡부(50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한 쪽으로 하중이 치우치지 않고, 소켓부(300)와 결합에 있어서 동일한 힘으로 마찰에 대응 하기 위함이다.
제1 기둥부(510)의 내측면과 소켓부(300)의 외측면이 맞닿고, 제2 기둥부(520)의 외측면과 제3 중공부(330)의 내측면이 맞닿는 형상으로 소켓부(300)가 캡부(500)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기둥부(510)의 내측면 및 제2 기둥부(520)의 외측면에는 전술한 돌기부(700)를 수용하는 홈부(800)가 형성되며, 홈부(800)는 돌기부(7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3 중공부(330)로 제2 기둥부(520)가 삽입되고, 돌기부(700)가 홈부(800)에 수용되어, 제1 파이프부(100), 소켓부(300), 오링부(400) 및 캡부(500)가 상호 맞물리게 되는 구조가 형성되며, 제1 파이프부(100)와 제2 파이프부(200)가 해당 위치에서 고정되어 제1 파이프부(100) 및 제2 파이프부(200)를 이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돌기부(700)와 홈부(800)의 암수 결합으로 원터치 결합이 가능함
에 따라 종래에 비해 적은 부품으로도 파이프를 이을 수 있어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립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임식 이음관에서 전용조임구(16)를 따로 사용함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길었던 점을 보완하여 작업 시간을 축소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링부(400)의 좌,우,상,하를 모두 감싸는 구조가 형성되므로, 기밀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돌기부(700)의 형상으로 인해, 돌기부(700)와 홈부(800)의 결합력 및 지지력이 증대되어 파이프부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벌어진 부분으로 인한 수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제2 기둥부(520)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2 기둥부(520)의 외측면은 제3 중공부(330)의 내측면과 맞닿고, 제2 기둥
부(520)의 내측면은 제1 파이프부(100)의 외측면과 맞닿는다. 또한, 소켓부(300)와 결합되는 방향의 제2 기둥부(520)의 단부는 오링부(400)와 맞닿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때, 오링부(400)와 맞닿는 제2 기둥부(520)의 단부는 오목하게 파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평면 형상의 단부와는 달리, 오링부(400)를 수용하는 형상으로 인해 오링부(400)와의 밀착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기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보조캡부(6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보조캡부(600)는 소켓부(300)와 결합되는 캡부(500)의 반대 방향으로 캡부(500)에서 돌출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캡부(600)는 길이 방향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음관을 정면으로 보았을 때, 반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조캡부(600) 내부에는 링 형상의 금속링부(900)를 삽입 할 수 있는 링 삽입부(610)가 형성된다.
제1 파이프부(100)는 금속링부(900)를 관통함과 동시에, 금속링부(900)의 내측면과 제1 파이프부(100)의 외측면과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금속링부(900)는 제1 파이프부(100)를 고정하게 되므로, 제1 파이프부(100)의 이음관으로부터의 이탈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캡부(600)는 길이 방향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음관을 정면으로 보았을 때, 반원 형상이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금속링부(900)를 삽입하고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이음관 조립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고, 분리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금속링부(9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금속링부(900)는 일 실시 예에 의한 금속링부(9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날 고정부(910)의 구성을 더 포함한다.
날 고정부(910)는 금속링부(900)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내측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날 고정부(910)는 금속링부(900)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만곡되는 곡면부(911)와 곡면부(911)의 단부와 금속링부(900)의 내측면을 잇되, 금속링부(900)의 내측면과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각도부(912)를 구비한다.
위와 같은 날 고정부(910)의 구성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곡면부(911)에서 각도부(912) 방향으로 제1 파이프부(100)가 금속링부(900)에 삽입되므로, 곡면부(911)의 라운딩된 형상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 간편하게 끼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 방향으로 제1 파이프부(100)를 이동시킬 경우(도 11의 화살표 방향)에는, 라운딩된 형상이 부재한 각도부(912)는 곡면부(911)에 비해 마찰력이 커지므로, 제1 파이프부(100)가 움직이기 어렵게 된다. 즉, 도 11을 기준으로 제1 파이프부(100)의 좌측 방향으로의 삽입은 용이하나, 우측 방향으로의 탈거는 어렵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조립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제1 파이프부(100)의 이탈 가능성을 낮추어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고, 결합력 및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이음관의 조립 과정을 서술한다.
먼저, 보조캡부(600)의 링 삽입부(610)에 금속링부(900)를 삽입하고, 소켓부(300)에 제1 파이프부(100) 및 제2 파이프부(200)를 삽입시킨다. 이후, 제1 파이프부(100) 또는 제2 파이프부(200)와 제3 중공부(330) 사이의 공간에 오링부(400)를 삽입시킨다.
이후, 캡부(500)의 제1 기둥부(510)와 제2 기둥부(520) 사이에 소켓부(300)가 위치되도록 캡부(500)를 소켓부(300)의 중심부 방향으로 밀어넣는다. 이때, 제2 기둥부(520)와 오링부(400)가 맞닿을 때 까지 캡부(500)를 밀어 넣은 다음, 해당 위치에서 돌기부(700)를 홈부(800)에 삽입시킨다.
위와 같이, 종래에 비해 적은 부품 및 간단한 조립만으로 제1 파이프부(100)와 제2 파이프부(200)를 이을 수 있어 조립 용이성 및 분리 용이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으며,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부품 간 결합력 및 지지력이 전술한 구성요소들로 인해 증대되어 수도가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제1 파이프부, 200:제2 파이프부,
300:소켓부, 310:제1 중공부,
320:제2 중공부, 330:제3 중공부,
400:오링부, 500:캡부,
510:제1 기둥부, 520:제2 기둥부,
600:보조캡부, 610:링 삽입부,
700:돌기부, 710:경사면,
720:수직면, 800:홈부,
900:금속링부, 910:날 고정부,
911:곡면부, 912:각도부,
A:중심축.

Claims (7)

  1. 원통 형상의 제1 파이프부;
    상기 제1 파이프부와 동일한 중심축을 지니는 원통 형상의 제2 파이프부;
    중심부를 향하여 상기 제1 파이프부 및 상기 제2 파이프부가 삽입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와 상기 제1 파이프부 또는 상기 제2 파이프부 사이에 위치되는 한쌍의 오링부;
    상기 소켓부의 단부와 상기 제1 파이프부 또는 상기 제2 파이프부가 동시에 삽입되는 한 쌍의 캡부;
    상기 소켓부의 단부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캡부에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부는,
    상기 소켓부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 중공부;
    상기 제1 중공부의 양 단부에 각각 인접되는 한 쌍의 제2 중공부; 및
    상기 제2 중공부의 단부에 각각 인접되는 한 쌍의 제3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파이프부 및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측면은 상기 제2 중공부의 내측면과 맞닿고, 상기 제3 중공부의 내측면과 폭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오링부의 내측면은,
    상기 제1 파이프부 및 상기 제2 파이프부의 외측면과 맞닿고,
    상기 오링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3 중공부의 내측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캡부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1 기둥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제2 기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기둥부의 내측면은 상기 소켓부의 외측면과 맞닿고,
    상기 제2 기둥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3 중공부의 내측면과 맞닿고,
    상기 제2 기둥부의 내측면은 상기 제1 파이프부 및 상기 제2 파이프부의 외측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소켓부의 양 단부에서 상기 소켓부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둥부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돌기부와 암수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기부의 단면은,
    상기 소켓부의 양 단부로 갈수록 수직방향의 높이가 낮아지는 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켓부의 단부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는 보조캡부; 및
    상기 보조캡부에 삽입되는 금속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이프부 및 상기 제2 파이프부는 상기 보조캡부 및 상기 금속링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금속링부는,
    상기 금속링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만곡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와 상기 금속링부의 내측면을 잇되, 상기 금속링부의 내측면과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각도부로 구비되는 날 고정부를 구비하되,
    라운딩 형상의 상기 곡면부로 인하여 상기 제1 파이프부 또는 상기 제2 파이프부의 삽입이 용이하고,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상기 각도부로 인하여 상기 제1 파이프부 또는 상기 제2 파이프부의 탈거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45537A 2018-04-19 2018-04-19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 KR102061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537A KR102061623B1 (ko) 2018-04-19 2018-04-19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537A KR102061623B1 (ko) 2018-04-19 2018-04-19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980A KR20190121980A (ko) 2019-10-29
KR102061623B1 true KR102061623B1 (ko) 2020-01-02

Family

ID=6842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537A KR102061623B1 (ko) 2018-04-19 2018-04-19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6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281B2 (ja) * 1995-02-23 2000-07-1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油圧ジャッキの接続方法および接続装置
KR200356144Y1 (ko) * 2004-04-30 2004-07-14 남효근 원터치식 이중조임 파이프 연결소켓
JP2012220007A (ja) 2011-04-14 2012-11-12 Bridgestone Corp 管継手及び配管用ヘッダ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805B1 (ko) 2013-02-27 2013-11-15 주식회사 워터테이크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281B2 (ja) * 1995-02-23 2000-07-1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油圧ジャッキの接続方法および接続装置
KR200356144Y1 (ko) * 2004-04-30 2004-07-14 남효근 원터치식 이중조임 파이프 연결소켓
JP2012220007A (ja) 2011-04-14 2012-11-12 Bridgestone Corp 管継手及び配管用ヘッダ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66281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980A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8922B2 (en) Quick connector
US20120104749A1 (en) Tube coupling
EP3771855B1 (en)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US6986533B2 (en) Pipe coupling
US20150316187A1 (en) Holding device for pipe joint and pipe joint using same
RU195324U1 (ru) Гнездовой штуцер соединения, позволяющий вставку штыревого штуцера с уменьшенной силой
EP3636976B1 (en) Pipe coupler having function of covering pipe
KR20200079172A (ko) 급격한 휨 기술을 사용한 금속 시일 끼워맞춤
JP4703044B2 (ja) スピゴット継手
KR102061623B1 (ko)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JP4781164B2 (ja) 継手体の接続方法
KR20130074394A (ko) 파이프 연결구
KR101688194B1 (ko) 해상풍력발전 플랜트의 하부구조물용 트러스의 분기부 노드
JP5818855B2 (ja) 管継手
EP3140583B1 (en) Compression fitting with coupled ferrule
KR101420641B1 (ko) 파이프 회전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
KR101906327B1 (ko) 슬리브 일체형 연결구
KR101977210B1 (ko) 신축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조체
KR102121837B1 (ko) 폴리에틸렌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JP6662099B2 (ja) パイプ継手
KR102158112B1 (ko) 일체형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KR102164806B1 (ko) 성분들을 다른 성분들에 정착적으로 그리고 밀봉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커플링 및 접합부
JP6990575B2 (ja) 継手
JP3121362U (ja) 収納棚の環形式中空管組立て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