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144Y1 - 원터치식 이중조임 파이프 연결소켓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이중조임 파이프 연결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144Y1
KR200356144Y1 KR20-2004-0012085U KR20040012085U KR200356144Y1 KR 200356144 Y1 KR200356144 Y1 KR 200356144Y1 KR 20040012085 U KR20040012085 U KR 20040012085U KR 200356144 Y1 KR200356144 Y1 KR 200356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cking projection
locking
socke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효근
Original Assignee
남효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효근 filed Critical 남효근
Priority to KR20-2004-0012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1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1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식 이중 조임 파이프 연결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제작이 간단한 구조이면서 조작 및 결합이 수월하여 작업시간의 단축과 상당한 원가절감을 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후 이중의 물림구조가 되어 견고함과 기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원터치식 이중물림 파이프 연결소켓에 관한 것이다
즉, 낱개의 파이프(10) 끝단부를 연결소켓(A)으로 상호 연결 고정시킴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A)은 내주면으로 제 1걸림돌기(11)와 요철형상의 제 2 걸림턱(12)을 형성시킨 연결링크(10)와,
상기 연결링크(10)의 제1걸림돌기(11)와 제2걸림턱(12)에 대응하는 제 2걸림돌기(21)와 제 1 걸림턱(22)을 외주면에 형성시킨 연결구(20)를 연결링크(10)에 삽입 고정시킴으로서 파이프(32)간 연결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이중조임 파이프 연결소켓.

Description

원터치식 이중조임 파이프 연결소켓 {An one-touch type doubble tighten pipe linking socket}
본 고안은 원터치식 이중 조임 파이프 연결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제작이 간단한 구조이면서 조작 및 결합이 수월하여 작업시간의 단축과 상당한 원가절감을 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후 이중의 물림구조가 되어 견고함과 기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원터치식 이중물림 파이프 연결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늘리 사용되고 있는 파이프 연결소켓은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끝단부에 원판형의 플랜지 이음을 하거나, 캬플링 이음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플랜지 이음을 하는 경우는 기밀유지를 위해 패킹을 내삽 시킨 다음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 체결함으로서 견고한 고정이 되게 하는데, 이 경우 파이프를 매설하고자 하는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완벽한 조작을 하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매설공간을 넓히면 가능할 수도 있지만 그에 따른 작업지연과 인적 물적 자원의 투입으로 경제적 비용을 감수해야만 가능한 것이기도 했었다.
그리고 캬플링 연결을 할 경우 플랜지 이음보다는 파이프의 매설공간을 최소화하고, 파이프 연결시 조작 및 결합이 수월할 수도 있지만 제작원가가 부담이 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제작원가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소켓 본연의 기능인 파이프와의 연결시 견고함과 기밀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조작 및 시공(결합)을 간편히 할 수 있도록 하여 파이프의 매설공간 작업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소켓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A:연결소켓 10:연결링크
11:제1걸림돌기 12:제2 걸림턱
13:홈 14:고정턱
20:연결구 21:제2걸림돌기
22:제 1걸림턱 23:홈
30:고무패킹 31:단턱
32:파이프 33:파이프삽입홈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에서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결합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원터치식 이중조임 파이프 연결 소켓(A)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낱개의 파이프(10) 끝단부를 연결소켓(A)으로 상호 연결 고정시킴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A)은 내주면으로 제 1걸림돌기(11)를 형성시키고 그 일측에는 내측과 외측을 관통시킨 상태로 일정깊이로 다수개의 홈(13)이 형성되게 한 다음, 내주면의 안쪽으로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패킹(30)과 밀착되는 고정턱(14)이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요철형상의 제 2 걸림턱(12)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파이프(32)를 내삽 시킬 수 있는 파이프삽입홈(33)이 형성된 연결링크(10)와,
상기 연결링크(10)의 제2걸림턱(12)과 대응하는 제 2걸림돌기(21)를 외주면에 형성되게 하고, 그 일측에는 내측과 외측을 관통시킨 상태로 일정깊이로 다수개의 홈(23)이 형성되게 한 다음, 외주면 일측에는 단턱(31)을 형성시켜 고무패킹(30)이 고정되도록 하며, 그 일측에는 연결링크(10)의 제 1걸림돌기(11)에 대응하는 제 1 걸림턱(22)을 요철형상으로 구성시킨 파이프 삽입홈(33)이 형성된 연결구(20)를 연결링크(10)에 삽입 고정시킴으로서 파이프(32)간 연결될 수 있게 한 것이다.
결국 이러한 구성은 제 1걸림돌기(11)와 걸림턱(22)에서 한번 조임(물림)이 되고 제 2걸림돌기(21)와 걸림턱(12)에서 추가 조임(물림)이 되는 이중 조임(물림)구성이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20)의 단턱(31)에 삽입 고정되는 고무패킹(30)은 '??' 형의 원통형으로 구성시킴으로서 연결구(20)와 연결링크(10) 결합시 연결링크(10)의 고정턱(14)에 밀착되어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연결링크(10)의 양끝단부와 연결구(20)의 끝단부 일측에 일정깊이로 다수개 형성되는 홈(13,23)은 연결링크(10)와 연결구(20)의 상호 결합시 걸림돌기(11,21)가 탄성복원력을 갖게 함으로서 좀더 수월한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홈(13,23)을 형성시킬 때는 걸림돌기(11,21)가 형성되는 위치보다 좀더 깊게 형성해주는 것이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원터치식 이중조임 파이프 연결 소켓은 연결구(20)와 연결링크(10)의 파이프 삽입홈(33)에 파이프(32)를 각각 고정시킨 다음, 파이프(32)와 일체형이 된 연결구(20)를 연결링크(10)의 내부에 조금의 가압으로 밀어주기만 하면 제 1, 2 걸림돌기(11,21)와 제 1,2 걸림턱(12,22)이 상호 견고하게 이중조임(물림)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구(20)와 파이프(32)를 고정 구성시킬 때는 통상의 방법인 융착과 플랜지 이음 등 다양하게 구성시켜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걸림돌기(11,21)와 걸림턱(12,22)은 강한 조임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이중으로 구성시키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걸림돌기(11)와 걸림턱(22)만으로도 충분한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파이프(32)를 연결 구성시킴에 있어, 좀더 수월하고 보다 적은 원가로도 단단하고 견고할 뿐만 아니라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이프 연결 소켓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원터치식 이중조임 파이프 연결 소켓은 제작원가를 최소화하여 그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그 본연의 기능인 파이프 연결을 수월하고 견고하게 시공(조작)함은 물론 파이프 매설공간을 확보하고자 할 때에도 최소한의 굴착만 하면 파이프간 연결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인적 물적 자원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바가 실로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2)

  1. 낱개의 파이프(10) 끝단부를 상호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구와 연결링크로 구성되는 연결소켓(A)의 구성에 있어서,
    내주면으로 제 1걸림돌기(11)를 형성시키고 그 일측에는 내측과 외측을 관통시킨 상태로 일정깊이로 다수개의 홈(13)이 형성되게 한 다음, 내주면의 안쪽으로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패킹(30)과 밀착되는 고정턱(14)이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제 2걸림돌기(21)와 대응하는 요철형상의 제 2 걸림턱(12)을 형성시키고, 반대편측으로 파이프(32)를 내삽 시킬 수 있는 파이프삽입홈(33)이 형성된 연결링크(10)와,
    상기 연결링크(10)의 제2걸림턱(12)과 대응하는 제 2걸림돌기(21)를 외주면에 형성되게 하고, 그 일측에는 내측과 외측을 관통시킨 상태로 일정깊이로 다수개의 홈(23)이 형성되게 한 다음, 외주면 일측에는 단턱(31)을 형성시켜 고무패킹(30)이 고정되도록 하며, 그 일측에는 연결링크(10)의 제 1걸림돌기(11)에 대응하는 제 1 걸림턱(22)을 요철형상으로 구성하고 반대편측으로 파이프 삽입홈(32)이 형성된 연결구(20)를 구성하여,
    연결구(20)를 연결링크(10)에 삽입고정 되게 함에 있어 제 1걸림돌기와 제1걸림턱, 제 2걸림돌기와 제 2걸림턱에서 이중으로 조임이 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포함하는 원터치식 이중 조임 파이프 연결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30)은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절단면이 'ㄱ' 형인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원터치식 이중 조임 파이프 연결소켓.
KR20-2004-0012085U 2004-04-30 2004-04-30 원터치식 이중조임 파이프 연결소켓 KR200356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085U KR200356144Y1 (ko) 2004-04-30 2004-04-30 원터치식 이중조임 파이프 연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085U KR200356144Y1 (ko) 2004-04-30 2004-04-30 원터치식 이중조임 파이프 연결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144Y1 true KR200356144Y1 (ko) 2004-07-14

Family

ID=4943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085U KR200356144Y1 (ko) 2004-04-30 2004-04-30 원터치식 이중조임 파이프 연결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1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623B1 (ko) * 2018-04-19 2020-01-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623B1 (ko) * 2018-04-19 2020-01-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343B2 (en) Joint structure for quickly connecting corrugated pipe
RU2213899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A2440286A1 (en) Quick connect coupling
JP4939826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US20040094950A1 (en) Pipe coupling
AU2003255432A1 (en) Plug-in coupling for fluid systems
JP5269178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KR200356144Y1 (ko) 원터치식 이중조임 파이프 연결소켓
JP2003021287A (ja) スピゴット継手
JP2002098276A (ja) 管継手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JP2009133417A (ja) 管継手
KR200302163Y1 (ko) 이중수밀유지용 관
KR200480098Y1 (ko) 관 연결용 체결부재의 슬리브
KR200359261Y1 (ko) 파이프 연결소켓
KR101847777B1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101157190B1 (ko) 관 결합구조
JP2004169829A (ja) 配管継手構造
KR200354982Y1 (ko) 파이프 연결 구조
KR100493329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50076956A (ko) 부식이 방지되는 매립용 파이프 및 이음쇠
KR100786792B1 (ko) 파이프 연결소켓
KR200366801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280086Y1 (ko) 파이프 연결구
JP2005195065A (ja) パイプ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