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209B1 - 비대칭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대칭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209B1
KR102061209B1 KR1020130102125A KR20130102125A KR102061209B1 KR 102061209 B1 KR102061209 B1 KR 102061209B1 KR 1020130102125 A KR1020130102125 A KR 1020130102125A KR 20130102125 A KR20130102125 A KR 20130102125A KR 102061209 B1 KR102061209 B1 KR 102061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weight
perfume composition
musk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027A (ko
Inventor
간수연
김영봉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
Priority to KR1020130102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209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칭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고 오일로만 구성되어 피부 자극과 건조를 개선하였다. 또한, 머스크와 파우더를 다량 함유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의 경우에도 고온에서 침전과 상 분리 등이 생성되지 않고 안정한 오일들로 구성되어 제품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를 도모한다.

Description

비대칭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comprising asymmetric polar oil}
본 발명은 비대칭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향수는 향료를 알코올 등의 용매에 용해시켜서 만든 화장품이다. 일반적으로는 방향물질 중에서 고형이거나 분말상태의 것을 향료라 하고, 액체상태의 방향물질을 향수라고 일컫는다. 향수ㆍ향료의 사용 범위는 매우 넓다. 화장품으로서의 향수와 향료는 신체 및 의상에 부향시켜 청정감과 함께 정신 미화의 효과를 얻는다.
현대 향수의 발전의 계기는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게 되면서부터이다. 알코올의 장점은 빨리 휘발하면서 날카롭고 상쾌한 탑 노트를 느끼게 해주면서 피부에 신선한 베이스 노트를 남겨주는 데 있다.
여성 향수와 남성 향수는 각각 여성들과 남성들이 선호하는 향의 강도에 따라 제조된다. 같은 향기라도 향이 너무 강할 경우 혐오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게 부향해야 한다. 현재 오 드 뚜알렛과 오 드 코롱 등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방향 화장품(향기를 중심으로 한 화장품)을 부향률(향수 원액에 대한 알콜의 비율)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빠팡/퍼퓸은 20 중량% 이상의 가장 높은 농도를 가지고 있어 가장 풍부하고 완벽한 향을 가지고 있다. 향의 지속 시간은 보통 6~7시간이며 조향사의 창조성을 가장 돋보이게 하는 예술품으로 분류되며 고가이다. 향이 강하기 때문에 조금씩 귀 뒤, 목, 팔목에 포인트로 바른다. 오 드 빠팡/퍼퓸은 보통 12~15 중량%의 농도를 가지고 있으며, 퍼퓸보다는 향의 농도가 낮지만 향수 본래의 풍부한 향을 오래도록 즐길 수 있다. 스프레이 용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 부담이 덜한 편이다. 향수 마니아들이 선호하는 향수 타입이다. 오 드 뚜알렛은 보통 8~10 중량%의 향료를 함유하고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향수의 종류이다. 오드 코롱의 가벼움과 향수의 지속성 두 가지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향수 초보자와 남성들이 선호한다. 스프레이 타입의 용기로 가볍게 사용하기에 좋으며, 지속 시간은 4~5시간으로 상쾌한 향을 즐길 수 있다. 오 드 코롱은 보통 3~5 중량%의 낮은 부향률을 가진 향수타입으로 2~3시간 정도 향이 유지된다. 향의 농도가 강하지 않아 향수를 처음 사용하는 사람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가볍고 상쾌한 향취를 가지고 있어 목욕 후나 운동 후 전신에 사용하기 좋다. 마지막으로 샤워 코롱은 샤워 후에 전신에 사용하여 은은하고 산뜻한 향을 유지해 주고 유지해주고 몸의 악취를 제거해 준다. 강한 향에 거부감을 느끼거나 향수 사용에 익숙하지 않는 사람에게 특히 적당하다.
향수는 마시는 것은 아니지만 그 향수 속의 알코올은 호흡할 때 우리 몸 속으로 들어오게 된다. 또한, 알코올은 수분을 뺏는 성질로 인하여 피부를 건조하게 하며 사람에 따라서는 알코올에 자극을 느끼는 민감한 사람들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코올 외에 다른 용매를 사용하는데 현재 오일이나 크리스탈 에멀젼 등 비알코올성 용매를 이용하여 향수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휘발성이 강하고 자극적인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고 오일로만 구성되어 피부에 자극이 없고 향수를 사용하였을 때 피부 건조를 일으키지 않는 향수 오일 제형을 연구한 결과, 비대칭 구조의 극성 오일이 머스크와 파우더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향료의 용매로 적용 시 고온에서도 침전 및/또는 상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온에서도 안정성이 우수한 향수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고, 비대칭의 극성 오일 및 향료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은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비극성 오일과 탄소와 수소 외에 산소나 규소, 카르보닐기 등을 가지고 있는 극성 오일로 나눌 수 있다.
극성 오일의 경우, 오일의 화학식 구조 상 분자가 대칭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결과적으로 비극성 오일의 성향을 보여 향료를 함께 적용 시 고온에서 침전이나 분리 현상을 일어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의 극성 오일의 경우에는 극성 오일 중에서도 대칭 구조를 가지지 않아 향료와 함께 사용 시 고온에서도 침전이나 상 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고, 비대칭의 극성 오일과 향료를 포함하는 고온 안정성이 확보된 향수 조성물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비대칭의 극성 오일은 구체적으로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isopropyl isostearate) 및 헥실데실미리스토일 메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hexyldecyl myristoyl methyl aminopropi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트리에틸 헥사노인의 구조를 살펴보면, 산소와 카르보닐기를 가지고 있는 극성 오일이며 분자가 대칭 구조로 되어 있지 않다. 상기 프로펠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도 산소와 카르보닐기를 가지고 있는 극성 오일이며 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와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역시 산소와 카르보닐기를 가지고 있는 극성 오일이며, 비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비대칭의 극성 오일은 전체 향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75 내지 9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무 적게 사용하면 향료의 함량이 늘어나 향료의 고온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으며, 향취가 지나치게 강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너무 많이 사용하면 향수로서 너무 향취가 약해져서 향수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향수 조성물로서 사용되는 향료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향수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대중적인 선호도를 확보한 머스크 및 파우더를 포함하는 향료를 선택 사용하였다.
보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향료는 전체 향료 조성 100 중량부에 대하여 머스크 50 내지 80 중량부 및 파우더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머스크 타입의 향취를 구현하기 위한 이유로 바람직하다.
상기 머스크로는 향료로 사용되는 합성 머스크 향료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니트로 머스크(nitro musks), 폴리시클릭 머스크(polycyclic musks), 마크로시클릭 머스크(macrocyclic musks) 및 알리시클릭 머스크(alicyclic musk)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니트로 머스크는 머스크 키톤, 머스크 자일렌, 머스크 암브레트 등이나, 현재 머스크 키톤을 제외하고는 니트로 머스크의 사용은 화장품에서 거의 금지되고 있다. 상기 폴리시클릭 머스크는 갈락솔리드, 픽솔리드, 판톨리드, 트라세올리드, 셀레스톨리드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마크로시클릭 머스크는 무스콘, 암브레톨리드,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하바놀리드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알리시클릭 머스크는 시클로 머스크, 헬베톨리드, 로만돌리드, 무세논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머스크는 대부분 분자량이 크고 무겁게 때문에 알코올에서의 용해도는 문제가 없지만, 오일로 이루어진 용매에서는 용해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머스크 키톤은 크리스탈 고체 형태이며, 픽솔리드는 파우더 형태로 용해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은 퍼퓸 오일 제형에서 너무 많은 향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용성의 문제를 일으킨다.
상기 파우더는 향료로 사용되는, 분말 상태나 크리스탈 상태의 고체 상태로 이루어진 합성 향료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쿠마린, 바닐린, 암브록산, 벤조페논, 캄퍼, 멘톨, 에틸 바닐린, 에베르닐, 에그잘톨리드, 헬리오트로핀, 랩스베리 캡톤, 인돌 및 말톨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향료는 머스크, 파우더 외에 극성 작용기를 갖는 성분, 용매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극성 작용기를 갖는 성분은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케톤류 및 알데하이드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알코올류는 아실릭 테르펜 알코올, 아로마틱 알코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에스테르류는 아로마틱 에스테르, 시클릭 에스테르, 시클로알리파틱 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에테르류는 아로마틱 에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케톤류는 시클릭 테르펜 케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알데하이드류는 알리파틱 알데하이드, 아실릭 테르펜 알데하이드, 시클로알리파틱 알데하이드, 아로마틱 알데하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극성 작용기를 갖는 성분은 전체 향료 조성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벤질 벤조에이트, 이소프롤린 미리스테이트 등이 오일에 용해 가능한 이유로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전체 향료 조성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4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향료는 전체 향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5 중량부 미만 사용할 경우에는 향수로서 향취가 너무 약하여 적당하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25 중량부를 초과 사용할 경우에는 상용성의 문제를 일으켜 고온에서 침전을 일으키거나 오일 용매와 분리가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은 향수 오일 제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고 오일로만 구성되어 피부 자극과 건조를 개선하였다. 또한, 머스크와 파우더를 다량 함유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의 경우에도 고온에서 침전과 상 분리 등이 생성되지 않고 안정한 오일들로 구성되어 제품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를 도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예 : 향료 조성
하기 표 1은 실험에 사용된 파우더리 머스크 향조를 가지고 있는 향료의 구성이다. 파우더리 머스키한 향조는 바디샵 제품의 화이트 머스크 향수가 대표적이며 오랫동안 인기를 끌고 있는 향조이다.
실험에 사용된 파우더리 머스크 향료의 구성을 살펴보면, 니트로 머스크인 머스크 키톤이 0.25 중량%, 폴리시클릭 머스크인 갈락솔리드와 픽솔리드가 58.63 중량%, 마크로시클릭 머스크인 에틸렌 브라실레이트가 2.13 중량% 등 총 머스크 향료가 61.01 중량% 포함되어 있다. 그 외에 파우더인 쿠마린 0.06 중량%, 바닐린 0.05 중량% 등이 포함되어 있다. 파우더는 소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오일 용매와의 침전이나 상 분리의 주된 원인은 머스크 향료로 판단된다.
성분명 조성 분류 성상 중량%
리나롤 아실릭 테르펜 알코올 액체 0.13
메틸 벤조에이트 아로마틱 에스테르 액체 0.01
운데카날 알리파틱 알데하이드 액체 0.01
에스트라골 아로마틱 에테르 액체 0.04
벤질 아세테이트 아로마틱 에스테르 액체 0.01
메틸 이오논 시클릭 테르핀 케톤 액체 0.19
게라니올 아실릭 테르펜 알코올 액체 0.01
페닐 에틸 알코올 아로마틱 알코올 액체 0.16
하이드로시시트로넬랄 아실릭 테르펜 알데하이드 액체 0.07
마잔톨 아로마틱 알코올 액체 0.54
시나밀 아세테이트 아로마틱 에스테르 액체 0.01
세드릴 메틸 케톤 시클릭 테르펜 케톤 액체 0.24
감마 운데카락톤 시클릭 에스테르 액체 0.04
헤디온 시클로알리파틱 에스테르 액체 0.21
갈락솔리드 폴리시클릭 머스크 액체 46.14
이조유제놀 아로마틱 에테르 액체 0.04
헥실 시나믹 알데하이드 아로마틱 알데하이드 액체 0.42
픽솔리드 폴리시클릭 머스크 분말 12.49
쿠마린 파우더 분말 0.06
리랄 시클로 알리파틱 알데하이드 액체 4.59
바닐린 파우더 분말 0.05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마크로시클릭 머스크 액체 2.13
디프로필렌 글리콜 용매 액체 15.00
벤질 벤조에이트 용매 액체 17.16
머스크 키톤 니트로 머스크 분말 0.25
실험예 : 향취 안정성 시험
향수 제품이기 때문에 선호되는 향취가 가장 중요하므로, 오일 용매를 선정함에 있어서 고온에서의 향취 변화를 먼저 테스트하여 향취가 안정한 오일을 선정하였다.
하기 표 2는 11종의 오일들을 상온(25℃), 냉장(4℃), 50℃에서 4주간 향취 안정성을 테스트한 결과이다.
오일 상온 안정성 실험
(4주 진행)
냉장 안정성 실험
(4주 진행)
50℃ 안정성 실험
(4주 진행)
에틸렌 팔미테이트 초기 취 선호도
떨어짐
이상 없음 향취 변함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초기 취 선호도 떨어짐 이상 없음 향취 변함
네오펜틴 글리콜
디에틸 헥사노이트
초기 취 선호도
떨어짐
이상 없음 향취 변함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 에틸 헥사노에이트 초기 취 선호도
떨어짐
이상 없음 향취 변함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상 없음 이상 없음 향취 변함
하이드로 제네이티드 폴리데센 이상 없음 이상 없음 향취 변함
세틸 에틸 헥사노에이트 초기 취 선호도
떨어짐
이상 없음 이상 없음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트리에틸헥사노인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디카프릴릴 에텔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디카프레이트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상기 표 2의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에틸렌 팔미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네오펜틴 글리콜 디에틸 헥사노이트, 펜타 에리스리틸 테트라 에틸 헥사노에이트, 세틸 에틸 헥사노에이트 등의 오일은 초기 취가 좋지 않기 때문에 향수 제품의 향취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배제시켰다. 또한, 4주간의 50℃ 고온 안정 실험 테스트 결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와 하이드로 제네이티드 폴리데션의 오일은 향취가 변했으므로 배제시켰다. 초기 취도 좋고 50 ℃ 고온에도 향취가 안정한 결과를 보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디카프릴릴 에텔,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7 종의 오일들을 선별하였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 향수 제조
하기 표 3은 초기 취도 좋고 50℃ 고온에도 향취가 안정한 결과를 보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디카프릴릴 에텔,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7종 중 하나의 오일과 상기 표 1의 파우더리 머스크 향료를 80 중량% 대 20 중량%로 혼합한 후, 상온, 냉장, 50℃의 고온 안정성을 4주간 테스트하였다.
성분
(중량%)
비교예1 실시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네오펜틸글리콜 디헵타노이트 80 - - - - - -
트리에틸헥사노인 - 80 - - - - -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 - 80 - - - -
디카프릴릴에텔 - - - 80 - - -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 - - - 80 - -
이소프로틸 이소스테아레이트 - - - - - 80 -
헥실데실미리스토일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 - - - - - 80
향료 20 20 20 20 20 20 20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구분 상온 안정성
(4주 진행)
냉장 안전성
(4주 진행)
50℃ 안정성
(4주 진행)
비교예 1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침전 생성
실시예 1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비교예 2 분리됨 분리됨 분리됨
비교예 3 분리됨 분리됨 분리됨
실시예 2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3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4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상온, 냉장, 50℃ 안정성을 4주간 테스트한 결과, 비교예 1의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이드는 50℃ 고온에서 침전을 생성하였다. 또한,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와 디카프릴릴 에텔을 향료와 적용한 비교예 2와 3은 50℃ 고온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보였다. 반면에, 트리에틸헥사노인과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또는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와 향료를 적용한 실시예 1 내지 4는 상온, 냉장, 50℃ 고온 모두에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의 구조를 살펴보면 산소와 카르보닐기를 가지고 있는 극성 오일이기는 하나 분자가 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어 결과적으로는 비극성 오일의 성향을 보이고 있다.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도 산소와 카르보닐기를 가지고 있는 극성 오일이나 카르보닐기를 중심으로 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역시 비극성 오일의 경향을 보인다. 디카프릴릴 에텔도 산소를 하나 포함하고 있는 극성 오일이나 에테르 구조로 산소를 중심으로 완벽한 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역시 비극성 오일의 경향을 보인다.
실시예 5~16: 향수 제조
하기 표 5는 상온, 냉장, 50℃ 고온 모두에서 향료와 안정한 상태를 유지한 트리에틸헥사노인과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헥실데실미리스토일 메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4가지 오일 중 하나와 상기 표 1의 파우더리 머스크 향료를 10 중량% 대 90 중량%, 15 중량% 대 85 중량%로 혼합한 후, 상온, 냉장, 50℃ 고온 안정성을 4주간 테스트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트리에틸 헥사노인 90 - - - - - -
- 85 - - - - - -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 - 90 - - - - -
- - - 85 - - - -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 - - - 90 - - -
- - - - - 85 - -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 - - - - - 90 -
- - - - - - - 85
향료 10 15 10 15 10 15 10 15
테스트한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구분 상온 안정성
(4주 진행)
냉장 안전성
(4주 진행)
50℃ 안정성
(4주 진행)
실시예 5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6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7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8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9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10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11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12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상온, 냉장, 50℃ 안정성을 4주간 테스트한 결과, 트리에틸 헥사노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또는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의 오일과 향료를 10 중량% 대 90 중량%, 15 중량% 대 85 중량%로 적용한 실시예 5 내지 12 모두 상온, 냉장, 50℃ 고온 모두에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상온, 냉장, 50℃ 고온 모두에서 향료와 안정한 상태를 유지한 트리에틸헥사노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헥실데실미리스토일 메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오일 2종 이상 혼합 처방하였다[표 7].
구분
(중량%)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트리에틸헥사노인 40 40 40 20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디카프레이트
40 - - 20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 40 - 20
헥실데실미리스토일 메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 - 40 20
향료 20 20 20 20
하기 표 8 은 4가지의 다른 향수 오일 처방의 안정성 테스트 결과이다.
구분 상온 안정성
(4주 진행)
냉장 안전성
(4주 진행)
50 ℃ 안정성
(4주 진행)
실시예 13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14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15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16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트리에틸헥사노인 40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40 중량% 및 향료 20 중량%으로 구성된 실시예 13과 트리에틸 헥사노인 40 중량%, 이소프로필 이소스트레아레이트 40 중량% 및 향료 20 중량%로 구성된 실시예 14, 트리에틸 헥사노인 40 중량%, 헥실데실미리스토일 메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40 중량% 및 향료 20 중량%로 구성된 실시예 15, 트리에틸헥사노인 20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20 중량%,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20 중량%,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20 중량% 및 향료 20 중량%로 구성된 실시예 16을 상온, 냉장, 50℃ 고온에서 4주간 관찰한 결과 침전이나 분리 현상이 없이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Claims (14)

  1.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고,
    전체 향수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비대칭의 극성 오일 75 내지 95 중량% 및 향료 5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며,
    고온에서 안정성이 확보된 향수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비대칭의 극성 오일은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isopropyl isostearate) 및 헥실데실미리스토일 메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hexyldecyl myristoyl methyl aminopropi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향료는 머스크 및 파우더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향료는 전체 향료 조성 100 중량%에 대하여 머스크 50 내지 80 중량% 및 파우더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머스크는 니트로 머스크, 폴리시클릭 머스크, 마크로시클릭 머스크 및 알리시클릭 머스크(alicyclic mus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향수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파우더는 쿠마린, 바닐린, 암브록산, 벤조페논, 캄퍼, 멘톨, 에틸 바닐린, 에베르닐, 에그잘톨리드, 헬리오트로핀, 랩스베리 캡톤, 인돌 및 말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향수 조성물.
  8. 제 4 항에 있어서,
    향료는 극성 작용기를 갖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극성 작용기를 갖는 성분은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케톤류 및 알데하이드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향수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극성 작용기를 갖는 성분은 전체 향료 조성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인 향수 조성물.
  11. 제 4 항에 있어서,
    향료는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용매는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벤질 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향수 조성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전체 향료 조성 100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40 중량%인 향수 조성물.
  14. 삭제
KR1020130102125A 2013-08-28 2013-08-28 비대칭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KR102061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125A KR102061209B1 (ko) 2013-08-28 2013-08-28 비대칭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125A KR102061209B1 (ko) 2013-08-28 2013-08-28 비대칭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027A KR20150025027A (ko) 2015-03-10
KR102061209B1 true KR102061209B1 (ko) 2019-12-31

Family

ID=5302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125A KR102061209B1 (ko) 2013-08-28 2013-08-28 비대칭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2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692B1 (ko) * 2023-11-30 2024-03-04 윤영애 크림 타입 향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7824A (en) 1976-09-27 1978-01-10 Anheuser-Busch, Incorporated Gelled perfume
US6774101B2 (en) * 2000-10-20 2004-08-10 Firmenich Sa Alcohol-free perfuming composition
JP2008056641A (ja) 2006-09-04 2008-03-13 Kao Corp 皮膚外用剤
US20110092604A1 (en) * 2009-10-19 2011-04-21 Symrise Ag Fragrance substance mixtures comprising isolongifolanol and musk
US20120121525A1 (en) * 2010-11-12 2012-05-17 Conopco, Inc., D/B/A Unilever Antiperspirant compositions containing triethylhexanoi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7824A (en) 1976-09-27 1978-01-10 Anheuser-Busch, Incorporated Gelled perfume
US6774101B2 (en) * 2000-10-20 2004-08-10 Firmenich Sa Alcohol-free perfuming composition
JP4429600B2 (ja) 2000-10-20 2010-03-10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アルコール不含の付香組成物
JP2008056641A (ja) 2006-09-04 2008-03-13 Kao Corp 皮膚外用剤
US20110092604A1 (en) * 2009-10-19 2011-04-21 Symrise Ag Fragrance substance mixtures comprising isolongifolanol and musk
US20120121525A1 (en) * 2010-11-12 2012-05-17 Conopco, Inc., D/B/A Unilever Antiperspirant compositions containing triethylhexanoin
WO2012062541A2 (en) 2010-11-12 2012-05-18 Unilever Plc Antiperspirant compositions containing triethylhexano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027A (ko) 201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53151A1 (fr) Compositions parfumantes
US20020044918A1 (en) Transparent scented solid cosmetic composition
EP2404987B1 (en) Fragrance compositions
KR20190050186A (ko) 피톤치드향을 함유하는 고형 타입의 스틱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1209B1 (ko) 비대칭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CN112569394A (zh) 一种低醇含量透明香薰液及制备方法
US20160303037A1 (en) Composition for a perfume delivery system having a triple-action and a bi-modal release
CN107787217A (zh) 芳香剂组合物及其用途
KR102420260B1 (ko) 개선된 방향 조성물
KR101936426B1 (ko) 향료를 이용한 천연탈취제
KR101159265B1 (ko) 제주 천연 감귤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82150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93375B1 (ko) 로즈마리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CN110882405A (zh) 一种扩香机用除臭香氛油及其制备方法
JP2002060330A (ja) 香り付きの透明な固形化粧料
CN105055254B (zh) 一种香根草香水及其制备方法
KR101608883B1 (ko)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JPH1179967A (ja) アルコール刺激臭マスキング剤、それを含有する香粧品用アルコール及びアルコール含有化粧料
KR102579965B1 (ko) 어진향차 향취 재현 향료 조성물
KR20240062331A (ko) 생강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고형 타입의 스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284618A (ja) 東洋ラン様香料組成物
JP5350656B2 (ja) 抗酸化剤または活性酸素消去剤、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香粧品用香料組成物、化粧料
JPS6267016A (ja) 香料組成物
KR20160128117A (ko) 쑥의 천연 정유 및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디퓨저 방향제 조성물
KR20230091858A (ko) 무수 무알코올 실키 방향제 제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