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920B1 - 해양방제장치 - Google Patents
해양방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0920B1 KR102060920B1 KR1020190063075A KR20190063075A KR102060920B1 KR 102060920 B1 KR102060920 B1 KR 102060920B1 KR 1020190063075 A KR1020190063075 A KR 1020190063075A KR 20190063075 A KR20190063075 A KR 20190063075A KR 102060920 B1 KR102060920 B1 KR 1020609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oil
- mobile unit
- wire portion
- photograph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에 있는 오일을 효과적으로 확인하여 해양에 유출된 오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해양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는 상기 제어수단(50)이 상기 이동유닛(60)을 제어하여 이동유닛(60)이 다양한 유치로 이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촬영유닛(30)을 이용하여 수면을 근접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수단(50)이 상기 촬영유닛(3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상기 GPS(62)의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오일이 떠있는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추진수단(11)을 제어하여 본체(10)를 오일이 떠있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방제수단(20)을 이용하여 오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유닛(30)이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지지바(15)에 설치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오일의 위치를 확인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오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는 상기 제어수단(50)이 상기 이동유닛(60)을 제어하여 이동유닛(60)이 다양한 유치로 이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촬영유닛(30)을 이용하여 수면을 근접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수단(50)이 상기 촬영유닛(3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상기 GPS(62)의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오일이 떠있는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추진수단(11)을 제어하여 본체(10)를 오일이 떠있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방제수단(20)을 이용하여 오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유닛(30)이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지지바(15)에 설치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오일의 위치를 확인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오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거리에 있는 오일을 효과적으로 확인하여 해양에 유출된 오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해양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에 오일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될 경우, 신속하게 방제작업을 하여 오일이 넓게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방제작업을 할 때는 오일이 유출된 부위의 둘레부에 오일펜스를 설치한 후, 작업자가 오일펜스의 내부에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사각형의 흡착포를 던져서 흡착포가 오일을 흡수하도록 한 후, 수작업으로 흡착포를 수거하는 방법을 통해 오일을 제거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으로 방제작업을 할 경우, 오일이 유출된 부위에 정확히 흡착포를 던져 넣어야 함으로, 넓은 면적에 분포된 오일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오일을 흡수한 흡착포를 작업자가 수거하야 함으로, 수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이와 같이, 작업자가 흡착포를 수작업으로 수거할 때, 작업자가 오일에 노출되며, 특히, 작업자가 오일에서 증발된 유증기를 흡입하여 건강에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해양방제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해양방제장치는 큰 선박에 설치되어 사용됨으로, 이동이 불편하고, 신속하게 현장에 투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해양방제장치는 선박의 운전자가 육안으로 오일이 떠있는 위치를 확인하고, 선박을 오일의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이 사람이 육안으로 멀리 떠있는 오일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제어하는 방제작업은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육안으로 오일의 위치를 확인하고 선박을 운전할 경우, 운전자가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됨으로, 장시간 지속적으로 방제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거리에 있는 오일을 효과적으로 확인하여 해양에 유출된 오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해양방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면에 부상되며 추진수단(11)에 의해 추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제거하는 방제수단(20)과, 상기 본체(10) 또는 본체(10)와 별도로 마련된 이동유닛(60)에 구비되어 수면을 촬영하는 촬영유닛(30)과, 상기 촬영유닛(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오일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추진수단(11)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본체(10)가 오일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수단(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방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둘레부에는 본체(10)의 주변에 있는 물체를 촬영하는 보조촬영유닛(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보조촬영유닛(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본체(10)가 주변에 있는 물체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할 경우 상기 추진수단(11)을 제어하여 본체(10)가 주변에 있는 물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방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하단에 구비된 회동구동수단(16)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바(15)와, 상기 본체(10) 또는 지지바(15)에 구비되어 본체(10) 또는 지지바(15)의 기울기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17)가 구비되며, 상기 촬영유닛(30)은 상기 지지바(15)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기울기감지센서(17)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상기 회동구동수단(16)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촬영유닛(3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방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동유닛(60)은 상기 본체(10)와 별도로 구성되며 수면에 뜬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5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추진수단추진수단(61)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무선조정 보트를 이용하며, 상기 이동유닛(60)에는 상기 제어수단(50)과 통신가능하게 구성된 GPS(62)가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방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동유닛(60)은 자체의 추진수단추진수단(61)을 이용하여 비행하는 드론을 이용하고, 상기 이동유닛(60)에는 상기 제어수단(50)과 통신가능하게 구성된 GPS(62)가 탑재되며,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81)이 형성된 착륙대(80)와, 상기 착륙대(8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유닛(60)에 연결된 윈치(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치(A)는 상기 관통공(81)을 통과하여 상기 이동유닛(60)에 연결되는 와이어(76)가 둘레면에 권취된 권취드럼(72)과, 상기 권취드럼(72)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73)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76)는 선단부가 상기 이동유닛(60)에 연결된 고정와이어부(76a)와, 상기 고정와이어부(76a)의 후단부에 연결된 연결와이어부(76b)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와이어부(76a)는 상기 연결와이어부(76b)에 비해 지름이 크게 구성되고, 상기 윈치(A)에는 상기 고정와이어부(76a)의 양측면에 밀착되며 보조구동모터(75)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구동되어 고정와이어부(76a)를 풀거나 당기는 한 쌍의 구동휠(74)이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76)가 상기 윈치(A)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와이어부(76a)가 구동휠(74)의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구동휠(74)이 구동되어 상기 와이어(76)를 당김으로써, 상기 이동유닛(60)이 상기 착륙대(80)에 강제로 착륙하도록 하는 해양방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는 상기 제어수단(50)이 상기 이동유닛(60)을 제어하여 이동유닛(60)이 다양한 유치로 이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촬영유닛(30)을 이용하여 수면을 근접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수단(50)이 상기 촬영유닛(3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상기 GPS(62)의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오일이 떠있는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추진수단(11)을 제어하여 본체(10)를 오일이 떠있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방제수단(20)을 이용하여 오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유닛(30)이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지지바(15)에 설치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오일의 위치를 확인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오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지지바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지지바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3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3 실시예의 윈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3 실시예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지지바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지지바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3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3 실시예의 윈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의 제3 실시예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수면에 부상되며 추진수단(11)에 의해 추진되는 본체(10)와, 상기 지지바(15)에 구비되어 수면을 촬영하는 촬영유닛(30)과, 상기 본체(1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본체(10)의 주변에 있는 물체를 촬영하는 보조촬영유닛(40)과, 상기 본체(10)와 촬영유닛(30)과 보조촬영유닛(40) 및 추진수단(11)에 연결된 제어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금속제의 바를 사각형으로 결합하여 구성된 지지프레임(12)과, 상기 지지프레임(12)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지지프레임(12)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13)로 구성된다.
상기 추진수단(11)은 상기 지지프레임(12)의 후측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연장된 구동축에는 프로펠러가 구비된 구동모터를 이용한다.
상기 방제유닛은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 오일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포(22)가 권취된 흡착포공급롤(23)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구동모터(23a)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흡착포공급롤(23)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2)를 권취하는 권취롤(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흡착포(22)가 수면에 잠기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로울러(14)가 구비되어, 상기 흡착포공급롤(23)에서 풀려 나온 흡착포(22)가 상기 가이드로울러(14)를 경유한 후 상기 권취롤(23)에 권취되면서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흡착하여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하단에 구비된 회동구동수단(16)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바(15)와, 상기 지지프레임(12)에 구비되어 본체(10)의 기울기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17)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1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재질의 파이프를 이용한다.
상기 회동구동수단(1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회동브라켓(16a)과, 상기 하부회동브라켓(16a)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지지바(15)의 하단부가 고정결합된 상부회동브라켓(16b)과, 상기 하부회동브라켓(16a)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회동브라켓(16a)을 측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 회동구동모터(16c)와, 상기 상부회동브라켓(16b)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회동브라켓(16b)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 회동구동모터(16d)를 이용한다.
상기 기울기감지센서(17)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상기 회동구동수단(16)에 근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10)가 파도에 의해 전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50)으로 본체(10)가 기울어진 기울기값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촬영유닛(30)은 망원렌즈가 구비된 CCD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지지바(15)의 상단에 구비되어, 방향조절수단(31)을 이용하여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방향조절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방향조절수단(3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15)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촬영유닛(3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라켓(31a)과, 상기 회동브라켓(31a)에 연결되어 회동브라켓(31a)을 측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 구동모터(31b)와, 상기 촬영유닛(30)에 연결되어 촬영유닛(30)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31c)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31b,31c)는 촬영유닛(30)의 측방향 및 전후방향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서버모터를 이용한다.
상기 보조촬영유닛(40)은 상기 지지프레임(12)의 둘레면, 즉,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전후 및 좌우면에 각각 하측으로 경사지게 결합된 4개의 CCD카메라를 이용한다.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촬영유닛(30)과 보조촬영유닛(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프로그램(51)이 구비되어, 상기 촬영유닛(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나타난 오일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보조촬영유닛(40)에 촬영된 영상에 나타난 물체와 본체(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영상분석프로그램(51)은 상기 촬영유닛(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색상이나 빛의 반사상태 등을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수면에 오일이 떠있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촬영유닛(30)의 각도와 방향을 분석하여, 본체(10)를 기준으로 오일이 떠있는 수면의 방향과 거리를 연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해상방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방제장치를 수면에 띄우고, 상기 제어수단(50)을 on시키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추진수단(11)을 제어하여 본체(10)를 전진시키고, 상기 방향조절수단(31)을 제어하여 상기 촬영유닛(30)이 본체(10)의 근거리부터 원거리까지의 수면을 촬영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촬영유닛(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오일이 떠있는 위치가 확인되면, 상기 추진수단(11)을 제어하여 본체(10)가 오일이 떠있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방제수단(20)을 작동시켜 오일이 흡착포(22)에 흡착되어 방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보조촬영유닛(40)에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본체(10)가 바다에 떠있는 물체, 즉, 다른 선박이나 펜스 등에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이 감지되면, 본체(10)가 다른 물체에 더 이상 근접하지 않도록 상기 추진수단(11)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기울기감지센서(17)의 신호를 수신하여, 본체(10)가 파도에 의해 전후 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회동구동수단(16)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바(15)가 항상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촬영유닛(30)이 유동되어 수면을 정확히 촬영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양방제장치는 수면에 부상되며 추진수단(11)에 의해 추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제거하는 방제수단(20)과, 상기 본체(10) 또는 본체(10)와 별도로 마련된 이동유닛(60)에 구비되어 수면을 촬영하는 촬영유닛(30)과, 상기 촬영유닛(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오일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추진수단(11)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본체(10)가 오일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수단(50)으로 구성되어, 수면을 촬영하여 수면에 오일이 떠있는 위치를 확인하고, 자동으로 해당위치로 이동하여 오일을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오일의 위치를 확인하고 선박을 조정하여 이동시키는 종래의 해양방제장치와 달리, 효과적으로 오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장시간 지속적으로 방제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기울기감지센서(17)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기울기감지센서(17)는 상기 지지바(15)에 구비되어, 지지바(15)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구조와, 상기 방제수단(2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촬영유닛(30)은 상기 본체(10)와 별도로 구성된 이동유닛(60)에 구비된다.
상기 이동유닛(60)은 상기 본체(10)와 별도로 구성되며 수면에 뜬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5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추진수단추진수단(61)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무선조정 보트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추진수단추진수단(61)은 무선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50)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제어수단(50)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60)에는 상기 제어수단(50)과 통신가능하게 구성된 GPS(62)가 탑재되어, 상기 제어수단(50)이 상기 이동유닛(6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촬영유닛(30)은 상기 이동유닛(60)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63)의 상단에 수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50)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유닛(60)의 크기는 상기 본체(10)에 비해 작아서, 본체(10)에 비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추진수단추진수단(61)과 촬영유닛(30) 및 GPS(62)와 연결되는 무선통신기(64)가 구비되어, 상기 추진수단추진수단(61)과 촬영유닛(30) 및 GPS(62)가 상기 무선통신기(64)를 통해 제어수단(50)과 무선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양방제장치는 상기 제어수단(50)이 상기 이동유닛(60)을 제어하여 이동유닛(60)이 다양한 유치로 이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촬영유닛(30)을 이용하여 수면을 근접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수단(50)이 상기 촬영유닛(3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상기 GPS(62)의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오일이 떠있는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추진수단(11)을 제어하여 본체(10)를 오일이 떠있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방제수단(20)을 이용하여 오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유닛(30)이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지지바(15)에 설치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오일의 위치를 확인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오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이동유닛(60)은 자체의 추진수단추진수단(61)을 이용하여 비행하는 드론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추진수단추진수단(61)은 무선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50)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제어수단(50)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60)에는 상기 제어수단(50)과 통신가능하게 구성된 GPS(62)가 탑재되어, 상기 제어수단(50)이 상기 이동유닛(6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촬영유닛(30)은 상기 이동유닛(60)의 하측면에 구비된 브라켓(65)에 수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50)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유닛(60)의 크기는 상기 본체(10)에 비해 작아서, 본체(10)에 비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60)에는, 상기 추진수단추진수단(61)과 촬영유닛(30) 및 GPS(62)와 연결되는 무선통신기(64)가 구비되어, 상기 추진수단추진수단(61)과 촬영유닛(30) 및 GPS(62)가 상기 무선통신기(64)를 통해 제어수단(50)과 무선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중앙부에 관통공(81)이 형성된 착륙대(80)와, 상기 착륙대(8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유닛(60)에 연결된 윈치(A)가 더 구비된다.
상기 윈치(A)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71)와, 상기 지지대(7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관통공(81)을 통과하여 상기 이동유닛(60)에 연결되는 와이어(76)가 권취된 권취드럼(72)과, 상기 권취드럼(72)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73)와, 상기 지지대(71)에 구비되며 보조구동모터(75)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휠(74)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76)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가 상기 이동유닛(60)에 연결된 고정와이어부(76a)와, 상기 고정와이어부(76a)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기단부가 상기 권취드럼(72)에 권취된 연결와이어부(76b)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와이어부(76a)는 선단부가 상기 이동유닛(6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연결와이어부(76b)를 통해 상기 권취드럼(72)에 권취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와이어부(76a)는 상기 연결와이어부(76b)에 비해 지름이 크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와이어부(76a)는 3~4m 정도로 짧게 구성되고, 상기 연결와이어부(76b)는 100m 이상으로 충분히 길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76)의 선단부는 강도가 높게 구성되면서, 와이어(76) 전체의 무게는 가볍게 구성된다.
상기 구동휠(74)은 상기 고정와이어부(76a)에 대응되도록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연결와이어부(76b)는 구동휠(74)의 사이를 걸리지 않고 통과하고, 상기 고정와이어부(76a)만 상기 구동휠(74)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양방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이동유닛(60)이 상기 착륙대(80)에 착륙한 상태에서는 상기 윈치(A)가 와이어(76)를 완전히 감아, 이동유닛(60)이 착륙대(8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76)의 고정와이어부(76a)는 상기 구동휠(74)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이동유닛(60)을 제어하여 이동유닛(60)이 다양한 위치로 비행하면서 수면을 근접촬영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구동모터(73)와 보조구동모터(75)를 작동시켜 권취드럼(72)에 권취된 와이어(76)를 풀어냄으로써, 이동유닛(60)이 와이어(76)의 길이범위 내에서 다양한 위치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50)이 상기 촬영유닛(3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상기 GPS(62)의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오일이 떠있는 위치를 확인하고, 본체(10)의 추진수단추진수단(61)을 제어하여 본체(10)가 오일이 떠있는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방제수단(20)을 이용하여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60)을 착륙시킬 때는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이동유닛(60)을 본체(10)의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구동모터(73)와 보조구동모터(75)를 구동시켜 권취드럼(72)과 구동휠(74)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76)의 연결와이어부(76b)가 먼저 권취드럼(72)에 권취된 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와이어부(76a)가 상기 구동휠(74)의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구동휠(74)이 고정와이어부(76a)의 양면을 가압하면서 하측으로 당겨, 이동유닛(60)이 강제로 하강되어 상기 착륙대(80)에 착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양방제장치는 상기 이동유닛(60)을 자체의 추진수단추진수단(61)을 이용하여 비행하는 이동유닛(60)을 이용함으로, 무선조정 보트를 이용하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비해, 더욱 빠르게 촬영유닛(30)을 이동시켜 오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중앙부에 관통공(81)이 형성된 착륙대(80)와, 상기 착륙대(8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유닛(60)에 연결된 윈치(A)를 더 구비되고, 상기 윈치(A)는 상기 관통공(81)을 통과하여 상기 이동유닛(60)에 연결되는 와이어(76)가 둘레면에 권취된 권취드럼(72)과, 상기 권취드럼(72)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73)로 구성되어, 상기 윈치(A)로 와이어(76)를 감아서 이동유닛(60)을 착륙대(80)에 강제로 착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면에 떠있어서 파도에 의해 흔들이는 본체(10)의 상면에 이동유닛(60)을 효과적으로 착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와이어(76)는 선단부가 상기 이동유닛(60)에 연결된 고정와이어부(76a)와, 상기 고정와이어부(76a)의 후단부에 연결된 연결와이어부(76b)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와이어부(76a)는 상기 연결와이어부(76b)에 비해 지름이 크게 구성되고, 상기 윈치(A)에는 상기 고정와이어부(76a)의 양측면에 밀착되며 보조구동모터(75)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구동되어 고정와이어부(76a)를 풀거나 당기는 한 쌍의 구동휠(74)이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76)가 상기 윈치(A)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와이어부(76a)가 구동휠(74)의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구동휠(74)이 구동되어 상기 와이어(76)를 당김으로써, 상기 이동유닛(60)이 상기 착륙대(80)에 강제로 착륙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76) 전체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이동유닛(60)이 와이어(76)에 연결된 상태에서 비행할 때, 와이어(76)의 무게에 의해 이동유닛(60)이 비행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유닛(60)을 착륙시킬 때는, 구동휠(74)로 상기 고정와이어부(76a)를 당겨 이동유닛(60)을 강하게 하강시켜, 이동유닛(60)이 착륙대(80)에 착륙한 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본체 20. 방제수단
30. 촬영유닛 40. 보조촬영수단
50. 제어수단 60. 이동유닛
30. 촬영유닛 40. 보조촬영수단
50. 제어수단 60. 이동유닛
Claims (5)
- 수면에 부상되며 추진수단(11)에 의해 추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수면에 떠있는 오일을 제거하는 방제수단(20)과,
상기 본체(10) 또는 본체(10)와 별도로 마련된 이동유닛(60)에 구비되어 수면을 촬영하는 촬영유닛(30)과,
상기 촬영유닛(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오일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추진수단(11)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본체(10)가 오일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수단(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유닛(60)은 자체의 추진수단추진수단(61)을 이용하여 비행하는 드론을 이용하고,
상기 이동유닛(60)에는 상기 제어수단(50)과 통신가능하게 구성된 GPS(62)가 탑재되며,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81)이 형성된 착륙대(80)와,
상기 착륙대(8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유닛(60)에 연결된 윈치(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치(A)는
상기 관통공(81)을 통과하여 상기 이동유닛(60)에 연결되는 와이어(76)가 둘레면에 권취된 권취드럼(72)과,
상기 권취드럼(72)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73)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76)는 선단부가 상기 이동유닛(60)에 연결된 고정와이어부(76a)와,
상기 고정와이어부(76a)의 후단부에 연결된 연결와이어부(76b)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와이어부(76a)는 상기 연결와이어부(76b)에 비해 지름이 크게 구성되고,
상기 윈치(A)에는 상기 고정와이어부(76a)의 양측면에 밀착되며 보조구동모터(75)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구동되어 고정와이어부(76a)를 풀거나 당기는 한 쌍의 구동휠(74)이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76)가 상기 윈치(A)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와이어부(76a)가 구동휠(74)의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구동휠(74)이 구동되어 상기 와이어(76)를 당김으로써, 상기 이동유닛(60)이 상기 착륙대(80)에 강제로 착륙하도록 하는 해양방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둘레부에는 본체(10)의 주변에 있는 물체를 촬영하는 보조촬영유닛(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보조촬영유닛(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본체(10)가 주변에 있는 물체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할 경우 상기 추진수단(11)을 제어하여 본체(10)가 주변에 있는 물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방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하단에 구비된 회동구동수단(16)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바(15)와,
상기 본체(10) 또는 지지바(15)에 구비되어 본체(10) 또는 지지바(15)의 기울기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17)가 구비되며,
상기 촬영유닛(30)은 상기 지지바(15)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기울기감지센서(17)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상기 회동구동수단(16)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촬영유닛(3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방제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3075A KR102060920B1 (ko) | 2019-05-29 | 2019-05-29 | 해양방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3075A KR102060920B1 (ko) | 2019-05-29 | 2019-05-29 | 해양방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0920B1 true KR102060920B1 (ko) | 2020-02-20 |
Family
ID=6964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3075A KR102060920B1 (ko) | 2019-05-29 | 2019-05-29 | 해양방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092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19782A (zh) * | 2021-07-02 | 2021-11-09 | 上海工程技术大学 | 一种海洋浮油清理快速反应无人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3641B1 (ko) | 2014-12-02 | 2017-05-1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해양오염 방제 장치 |
KR101842275B1 (ko) * | 2017-12-27 | 2018-03-27 | (주)국토해양기술 | 지형변화에 대한 자가 오류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 |
KR20180046400A (ko) * | 2016-10-27 | 2018-05-09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부유물 수거용 자율 수상로봇 |
-
2019
- 2019-05-29 KR KR1020190063075A patent/KR1020609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3641B1 (ko) | 2014-12-02 | 2017-05-1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해양오염 방제 장치 |
KR20180046400A (ko) * | 2016-10-27 | 2018-05-09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부유물 수거용 자율 수상로봇 |
KR101842275B1 (ko) * | 2017-12-27 | 2018-03-27 | (주)국토해양기술 | 지형변화에 대한 자가 오류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19782A (zh) * | 2021-07-02 | 2021-11-09 | 上海工程技术大学 | 一种海洋浮油清理快速反应无人机 |
CN113619782B (zh) * | 2021-07-02 | 2023-10-17 | 上海工程技术大学 | 一种海洋浮油清理快速反应无人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12153B2 (ja) |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 |
KR102060920B1 (ko) | 해양방제장치 | |
WO2016146797A1 (fr) | Equipement d'assistance a une exploration sous-marine et robot sous-marin pour l'equipement | |
JP2002357563A (ja) | 管内点検装置及び管内点検方法 | |
JP4397261B2 (ja) | 浮揚ガスを用いた無人飛行体 | |
KR102181649B1 (ko) | 3자 시점 카메라를 갖는 스마트 수중 드론 시스템 | |
JP2004101762A (ja) | 自動モーションコントロール撮影装置とその撮影方法 | |
CN209414907U (zh) | 一种深水自动探测装置 | |
KR101733641B1 (ko) | 해양오염 방제 장치 | |
JP3240629U (ja) | 橋梁点検装置 | |
JP6957304B2 (ja) | 架線撮影システム及び架線撮影方法 | |
CN111316187B (zh) | 一种云台的控制方法、云台及云台拍摄装置 | |
KR101773685B1 (ko) | 자동설치 및 회수가 가능한 수중 카메라 장치 | |
JP2016173347A (ja) | 構造物の点検装置 | |
JP2012228919A (ja) | 水上無人観察装置 | |
JP2975975B2 (ja) | 水中移動カメラ撮影装置 | |
JPH0694885A (ja) | 水中点検装置及び水中点検方法 | |
CN106973268B (zh) | 一种水下建筑物摄像装置及摄像方法 | |
CN219668457U (zh) | 一种救生圈自动抛射装置 | |
JP7105579B2 (ja) | 検査対象物の点検装置及び点検方法 | |
KR102586497B1 (ko) | 무인 수중 로봇 장치 및 그 제어시스템 | |
JP2004317371A (ja) | 炉内点検装置 | |
KR20190125415A (ko) | 천공 장치 및 천공 방법 | |
CN107329446A (zh) | 一种航道浮标缆绳缠绕物监控处理方法 | |
JPH0736143U (ja) | 航空機搭載用撮影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