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838B1 - 전기/전자 부품용 부품 캐리어 - Google Patents

전기/전자 부품용 부품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838B1
KR102060838B1 KR1020157020239A KR20157020239A KR102060838B1 KR 102060838 B1 KR102060838 B1 KR 102060838B1 KR 1020157020239 A KR1020157020239 A KR 1020157020239A KR 20157020239 A KR20157020239 A KR 20157020239A KR 102060838 B1 KR102060838 B1 KR 102060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conductor
substructure
component carrier
mot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888A (ko
Inventor
아스무스 코흐
잉가 하인젠
잔 파쎌
잔 수크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50100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2Adjusting aerodynamic properties of the blades
    • F03D7/0224Adjusting blade p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2Adjusting aerodynamic properties of the blades
    • F03D7/0224Adjusting blade pitch
    • F03D7/0228Adjusting blade pitch of the blade tips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2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 H05K3/2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using self-supporting metal foil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026Multiple connections sub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70Adjusting of angle of incidence or attack of rotating blades
    • F05B2260/79Bearing, support or actuation arrang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02E10/72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요소(4) 그리고 개별적인 금속성 스트립 트랙(6, 7)으로 이루어지고 캐리어 요소(4)에 연결될 수 있는 도체 트랙 구조물(6, 7)을 포함하는, 전기/전자 부품(1, 2, 3)을 위한, 예를 들어 록 하우징(4)과의 결합을 위한 또는 차량 도어 록의 록 하우징(4)의 부품으로서의 부품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도체 트랙 구조물(6, 7)은 적어도 2개의 도체 트랙 부분 구조물(6; 7)로 이루어지며, 각 도체 트랙 부분 구조물은 관련된 도체 트랙(6, 7)의 다른 재료 두께(s1; s2)를 갖는다.

Description

전기/전자 부품용 부품 캐리어{Component carrier}
본 발명은 캐리어 요소 그리고 개별적인 금속성 스트립 도체로 이루어지고 캐리어 요소에 연결될 수 있는 스트립 도체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기/전자 부품을 위한, 예를 들어 래치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또는 차량 도어 래치의 래치 하우징의 부품으로서의 부품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DE 10 2005 049 975 C5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위에서 언급된 구조의 부품 캐리어는 차량 도어 래치의 래치 하우징이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요소를 포함한다.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주석판으로 제조되며, 0.5㎜까지의 두께를 갖는 냉간 압연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5㎛의 백색 시머링 주석 코팅부(white shimmering tin coating)가 전기분해식으로 도포된다. 이 방식에서, 비용 면에서 효과적이고 견고한 구조의 부품 캐리어가 제공된다.
유사한 부품 캐리어가 DE 101 39 356 A1에 또는 DE 20 2010 009 708 U1에 개시된다.
예전과 같이, 부품 캐리어는 전기 및/또는 전자 부품을 캐리어 요소 상에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리고 도체 구조물의 도움으로 부품을 서로 연결 또는 원격 제어 유니트에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이 맞추어지면,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전체 부품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주조 화합물로 둘러싸인다.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다른 스트립 도체를 결합하는 그리고 그들의 연결 생산을 허용하는 리드 프레임이다. 완성되면, 캐리어 요소 또는 전기/전자 부품과 함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주로 또는 전체적으로 주조 화합물로 둘러싸인다. 이 절차는 일반적으로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비용의 이유로, 선행 기술의 실시예 또는 실제적인 적용은 일반적으로 사용된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재료 두께를 가능한 한 유지하는 목표를 갖는다. DE 10 2005 049 975 C5에 개시된 일반적인 기술은 이 시점에서 단지 0.5㎜까지의 두께를 갖는 주석판을 이용한다. 재료를 절약하고 그리고 얇은 재료 두께를 이용하는 경향은 그러나 증가하는 설치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모터 또는 다른 크고 무거운 부품 그리고 전자 전기 부품을 스트립 도체 구조물에 연결할 때,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각이진 러그가 의도하지 않게 구부러질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모터의 불가피한 이동의 결과로서 이 문제는 작동 동안에도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실제 적용에서 접촉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특정 열림 시간 후에 문제가 되며 그리고 개선하기 어렵다.
본 발명이 목적은 이를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의 그리고 앞으로의 접촉 문제가 기본적으로 더 이상 발생하지 않고 그리고 영구적인 정확한 기능이 보장되는 방식으로 위의 부품 캐리어를 더 발전시키는 기술적 문제점을 기반으로 한다.
이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포괄적인 부품 캐리어를 제안하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관련된 스트립 도체의 다른 재료 두께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된다. 대부분의 경우, 적어도 2개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이 제공되며, 각각은 관련된 스트립 도체의 다른 재료 두께를 갖는다. 2개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은 유리하게는 설정된 재료 두께를 갖는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 그리고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보다 큰 재료 두께를 갖는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이는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각 스트립 도체가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스트립 도체보다 더 큰 재료 두께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반적으로, 구조는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스트립 도체 그리고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스트립 도체가 일정한 균일한 재료 두께를 갖는 것이다. 원칙적으로,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 내에서 다른 재료 두께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는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스트립 도체는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스트립 도체보다 얇은 재료 두께를 갖는 것이다.
이 구조는 설치 그리고 작동 동안에 다른 기계적인 응력을 겪는다.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작동 동안에 이동하지 않는 스위치, 센서, 릴레이 또는 다른 저중량 그리고 소형의 전기/전자 부품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스트립 도체가 보통 0.5㎜ 이하, 또는 대부분의 경우에 0.4㎜ 또는 더 적은 재료 두께를 가지면 족하다.
대조적으로,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보다 큰 중량(重量)의 특히 작동 중에 이동하는, 특히 전기 모터와 같은 부품과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 시점에서, 러그 또는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이러한 견고한 구조를 갖는 것이 그리고 러그는 굽어지고 깨지는 등이 경향이 없는 것이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스트립 도체와 비교하여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스트립 도체는 전형적으로 2배의 재료 두께를 갖는다. 재료 두께는 주로 약 0.8㎜ 이상이다.
이렇게 하여, 2개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 또는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 그리고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을 갖는 본 발명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이, 연결될 전기/전자 부품에 개별적으로 맞추어진다. 결과적으로, 이동이 없는 낮은 무게의 전기/전자 장치는 전형적으로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에 의하여 연결되며, 약 0.4㎜ 내지 0.5㎜의 범위 내의 얇은 재료 두께가 이용되고 그리고 이용될 수 있음에 따라 이 구조는 이 목적을 위하여 유리하다. 예를 들어 약 0.8㎜의 재료 두께를 갖는 스트립 도체로 이루어진 스트립 도체 구조물과 비교하여, 이는 현저한 재료 절감을 야기한다.
대조적으로, 분리된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전형적으로 0.7㎜ 이상 그리고 특히 0.8㎜ 그리고 그 이상의 더욱 큰 재료 두께를 갖는 스트립 도체를 갖는다. 그 결과,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현저한 강도를 가지며, 그리고 특히 러그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를 연결할 때 굽어지거나 파손되는 경향이 없다. 작동 동안에 러그는 굽어지거나 깨지는 경향이 없으며 따라서 전형적으로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에 연결된 전기 모터의 연결이 존재하며 그리고 전체 수명 동안에 영구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유지(set up)된다.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전형적으로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영역의 배수인 영역에 걸쳐 연장된다. 이는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래치의 래치 하우징과 결합된 또는 이의 부품으로서의 부품 캐리어가 다수의 스위치, 센서, 등을 수용하고 있는 반면에, 일반적으로 단지 하나 또는 2개의 모터가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에 의하여 연결되어야 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재료 두께와 비교하여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더 큰 재료 두께는 사실상 무시해도 될 정도이며, 그리고 본 발명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이전의 스트립 도체 구조물과 유사한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는 반면에 개선된 그리고 더 영구적인 기능성을 제공한다.
이는 2개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이 전형적으로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는 환경의 도움을 받는다.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의 생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황동과 같은 보통의 냉간 성형 재료를 권장한다. 이렇게 하여,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로 스위치, 센서 등을 위한 접촉 그리고 이들의 연결이 쉽게 달성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전형적으로 주석판과 같은 열간 성형 가능한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그 결과, 각 러그의 굽혀짐, 깨짐 등이 없이 특히 전기 모터를 연결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현저한 그리고 충분한 강도를 제공한다. 사용된 주석판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5㎛의 주석 코팅부를 포함하는 냉각 압연 강판이다. DE 10 2005 049 975 C5에 개시된 포괄적인 선행 기술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주석층은 전기분해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황동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이 갖는 그리고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을 위하여 주석 코팅부에 의하여 제공된, 전반적으로 필요한 부식 방지 구조를 갖는다. 다른 이점은 주석 코팅부의 결과로서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이 중성 플럭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용접될 수 있다는 것이며, 따라서 전기 모터는 쉽게 그리고 영구적으로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황동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을 위하여, 어떠한 부가적인 공정 단계, 코팅 등이 없이 어쨌든 이 구조가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양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스탬핑에 의하여 제조된다. 2개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공동으로 제조되는 경우, 2개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결합된 완전한 스트립 도체 구조물이며, 이는 이후에 부품 캐리어와 결합된다. 2개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이 개별적으로 제조되는 경우, 각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을 부품 캐리어와 개별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권장된다.
설명된 그리고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과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을 위하여 사용된 다른 재료를 고려해볼 때, 다른 두께 또한 제공된다. 보통 황동으로 제조된 스위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약 35 내지 200 HB의 브리넬 경도를 갖는다. 대조적으로, 예를 들어 주석판으로 제조된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48 내지 56 HB의 록크웰 경도를 갖는다. 이 다른 구조는 또한 모터 스트립 도체 구조물이 특히 견고한 그리고 내구성있는 구조를 갖는 반면에 스트립 도체 구조물이 상당한 재료 절감에 유리한 그리고 연결 및 작동 동안에 낮은 기계적 응력으로 인하여 더욱 정교한 구조를 갖는다는 점을 나타낸다. 이 조합 효과 그리고 실제 적용 목적으로의 각각의 조정은 중요한 재료 절감 그리고 상당한 신뢰성을 야기한다. 이들이 본 발명의 주요 이점이다.
이하, 단지 하나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차량 도어 래치의 래치 하우징 형태의 전기/전자 부품을 위한 본 발명의 부품 캐리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트립 도체의 세부 사항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은 전기/전자 부품(1, 2, 3)을 위한 부품 캐리어를 도시한다. 예에서, 부품 캐리어는 캐리어 요소(4)로서 작용하는, 차량 도어 래치의 래치 하우징(4)의 도시되지 않은 부품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부품 캐리어는 또한 래치 하우징(4) 내에 배치된 또는 위치된 개별적인 독립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도시되지 않는다. 이는 실시예에서 캐리어 요소(4)와 래치 하우징(4)이 동일하거나 또는 부품 캐리어가 차량 도어 래치의 래치 하우징(4)의 부분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며, 래치 하우징(4)이 전체로서 또는 부분적으로 부품 캐리어의 캐리어 요소(4)로서의 역할을 한다.
전기/전자 부품(1, 2, 3)은 전기 모터 시트 또는 모터 트로프(trough) 내에 위치된, 단지 도시된 전기 모터(1)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도시되지 않은 컨넥터를 위하여 제공된 소켓(2)의 부품을 도시하며, 소켓의 도움으로 전기/전자 부품(1, 2, 3)은 단지 지시된 원격 제어 유니트(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전기 또는 전자 부품(3)은 예로서 마이크로 스위치(3)이며, 마이크로 스위치는, 예를 들어 차량 도어 래치의 기계적인 부품의 개별적인 위치를 감지한다. 위에서 설명된 그리고 단지 예로서 제공된 그리고 도시되지 않고 완전하게 설명되지 않은 전기/전자 부품(1, 2, 3)은 래치 하우징(4) 상에서 지지되고 또는 수용되며 캐리어 요소(4)로서 작동한다.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된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캐리어 요소(4)에 연결될 수 있다.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은 개별적인 스트립 도체(6' 또는 7')를 포함한다.
래치 하우징 또는 캐리어 요소(4)와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 간의 연결은 래치 하우징(4) 내에 위치된 또는 삽입되고 그 후 주조 화합물에 의하여 또는 접착제 사용에 의하여 예비적으로 고정된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에 의하여 일반적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예비적 고정 후에, 전기/전자 부품(1, 2, 3)은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 또는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에서 연장된 러그(6" 또는 7")에 연결된다(도 2 참조). 이는 콘택트의 간단한 밀림 또는 솔더링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러그(6" 또는 7")가 설치 동안에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작동 동안에 굽혀지거나 또는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금속성 스트립 도체(6', 7')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각 스트립 도체(6', 7')의 다른 재료 두께(s1, s2)를 갖는 2개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을 포함한다. 실제로, 제1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의 재료 두께(s1)는 전형적으로 0.7mm 이상이며,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약 0.8㎜이다. 그에 반하여, 제2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7)의 재료 두께(s2)는 전형적으로 0.5㎜ 이하이며,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약 0.4㎜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은 모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 제1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 또는 모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의 도움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모터(1)가 연결됨에 따라, 구조물은 모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로 불린다. 각 모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의 0.7㎜ 이상의 영역 내의 비교적 큰 재료 두께(s1)의 결과로서, 관련된 러그(6")의 어떠한 접힘, 굽힘 또는 절단이 본 발명에 의하여 방지된다.
또한 모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의 이와 같이 달성된 연구는 전기 모터(1)가 작동 동안에 이동하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따라서 예를 들어 구동 워엄을 선회시킨다는 이동한다는 점을 고려한다. 각 모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의 의미있는 재료 두께(s1)로 인하여 각 러그(6")가 굽혀지거나 찢어짐 등이 없이 전기 모터(1)의 이러한 운동은 -작동 동안에도- 쉽게 흡수된다.
이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이 주석판과 같은 열 성형 가능한 재료로 제조된다는 것에 기여한다. DE10 2005 O49 975 C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0.7㎜의 특정 재료 두께(s1)를 갖는 냉간 압연 강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어떠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는 또한 적어도 5㎛ 두께의 주석층을 포함한다. 설명된 차량 도어 래치의 전체 사용 수명에 동안에 신뢰할 수 있는 기능이 또한 보장된다.
대조적으로, 제2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7)은 전형적으로 0.5㎜보다 얇은 재료 두께(s2)를 가지며,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약 0.4㎜이다. 이러한 얇은 재료 두께(s2)로 인하여, 제2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은 예를 들어 황동과 같은 냉간 성형 재료로 자주 제조되는 스위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7)이다. 따라서 필요할 때 각 러그(7") 또한 손으로 (약간) 굽혀질 수 있다. 그 결과, 예에서 마이크로 스위치(3)는 예를 들어 러그(7")에 쉽게 연결되고 납땜될 수 있다.
도 2는 2개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이 결합된 완전한 스트립 도체 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캐리어 요소(4)에 연결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는 캐리어 요소(4)에 연결 가능한, 개별적으로 제조된 2개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을 포함한다. 이는 각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이 먼저 캐리어 요소(4)에 연결되고 그리고 그 후 예비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기 부품(1, 2, 3)은 그 후 모든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 또는 각각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모든 부품 캐리어가 그 후 주조 화합물로 덮여지며 그리고 단단하게 실링된다.

Claims (12)

  1. 전기/전자 부품(1, 2, 3)을 위한 것으로,
    캐리어 요소(4) 및 캐리어 요소(4)에 연결될 수 있는 스트립 도체 구조물을 포함하되,
    스트립 도체 구조물은 적어도 2개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은 개별적인 금속성 스트립 도체(6'; 7')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두께(s1; s2)를 갖고,
    전기/전자 부품(3)은 마이크로 스위치(3)이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7)에서 연장된 러그(7")에 연결되고,
    전기/전자 부품(1)은 전기 모터(1)이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에서 연장된 러그(6")에 연결되고,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7)은 설정된 두께(s2)를 갖는 스위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로서 설계되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은 접힘, 굽힘 또는 절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두께(s2)보다 큰 두께(s1)를 갖는 모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캐리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은 다른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7)은 황동과 같은 냉간 성형 금속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모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은 주석판과 같은 열 성형 가능한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캐리어.
  6. 제1항에 있어서, 모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의 두께는 스위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7)의 두께의 2배(s1 = 2 s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캐리어.
  7. 제1항에 있어서, 모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의 두께(s1)는 적어도 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캐리어.
  8.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7)의 두께(s2)는 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캐리어.
  9.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은 스탬핑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캐리어.
  10. 제1항에 있어서, 모터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은 48HR 내지 56HR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캐리어.
  11.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7)은 35HR 내지 200HR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캐리어.
  1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스트립 도체 부분 구조물(6; 7)은 서로 결합되어 부품 캐리어(4)와 연결되거나 각각 별도로 부품 캐리어(4)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캐리어.
KR1020157020239A 2012-12-27 2013-12-23 전기/전자 부품용 부품 캐리어 KR102060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2105073.0U DE202012105073U1 (de) 2012-12-27 2012-12-27 Komponententräger
DE202012105073.0 2012-12-27
PCT/DE2013/000822 WO2014106502A2 (de) 2012-12-27 2013-12-23 Komponententrä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888A KR20150100888A (ko) 2015-09-02
KR102060838B1 true KR102060838B1 (ko) 2019-12-30

Family

ID=5049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239A KR102060838B1 (ko) 2012-12-27 2013-12-23 전기/전자 부품용 부품 캐리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596759B2 (ko)
EP (2) EP2938797B1 (ko)
JP (1) JP6398122B2 (ko)
KR (1) KR102060838B1 (ko)
CN (1) CN105073213B (ko)
BR (1) BR112015015607A8 (ko)
CA (1) CA2902380A1 (ko)
DE (1) DE202012105073U1 (ko)
MX (1) MX2015008414A (ko)
RU (1) RU2652579C2 (ko)
WO (1) WO20141065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0294A1 (de) * 2014-01-15 2015-07-16 Kiekert Aktiengesellschaft Seitentür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112181A1 (de) 2016-07-04 2018-01-18 Kieker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komponententrägers für automobile Anwendungen
DE102017212610B4 (de) 2017-07-21 2023-10-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ehäuse zum Aufnehmen und Verkleiden von elektrischen oder elektronischen Bauteilen eines Kraftfahrzeugs, Kraftfahrzeug mit einem derartigen Gehäus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erartigen Gehäuses
DE102019131175A1 (de) * 2019-11-19 2021-05-20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echnischer Komponententräger für elektrische/elektronische Bauteile
DE102022202928A1 (de) 2022-03-24 2023-09-28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Elektronikeinheit für einen elektromotorischen Kältemittelverdichter
DE102022107938A1 (de) 2022-04-04 2023-10-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Antriebseinheit für kraftfahrzeug-technische Anwendung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3316B2 (ja) * 1990-05-29 1996-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ブスバ―配線板
JP2010129604A (ja) * 2008-11-25 2010-06-10 Fujikura Ltd 回路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9601A (en) * 1989-06-16 1993-01-12 Hitachi, Ltd. Method of manufacturing circuit structure by insert molding of electric and/or optical transmission medium
DE4323827C1 (de) 1993-07-15 1994-12-08 Siemens Ag Steckbare Baugruppe
JPH07320543A (ja) * 1994-04-01 1995-12-08 Whitaker Corp:The 異方導電性接着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948491B2 (ja) * 1994-11-21 1999-09-13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ロック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
JPH09289360A (ja) * 1996-04-19 1997-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配線板とその製造方法
JPH10196182A (ja) * 1997-01-16 1998-07-28 Denso Corp ターミナル装置の製造方法
EP0982978B1 (de) * 1998-08-25 2005-05-25 Kiekert Aktiengesellschaft Gehäuse, insbesondere Schlossgehäuse mit elektrischen Anschlusseinrichtungen
US6399882B1 (en) * 1998-10-02 2002-06-04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Dual-hinged door for a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busway
DE19944383A1 (de) * 1999-09-16 2001-04-19 Ticona Gmbh Gehäuse für elektrische ode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mit integrierten Leiterbahnen
DE10139356A1 (de) 2001-08-17 2003-02-27 Kiekert Ag Elektrische Bauelementanordnung
US6988749B2 (en) * 2003-06-09 2006-01-24 Shiroki Corporation Door locking system for motor vehicle
DE102005049975C5 (de) 2005-10-17 2011-07-28 Kiekert AG, 42579 Komponententräger mit einem Leiterbahngebilde
DE102006017830A1 (de) * 2006-04-13 2007-10-18 Kiekert Ag 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mit Komponententräger
DE202006009247U1 (de) * 2006-06-09 2006-08-24 Kiekert Ag Gehäuse für ein Türschloss mit Anschlussadapter
GB0714033D0 (en) * 2007-07-18 2007-08-29 Deepstream Technologies Ltd An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DE102008057478A1 (de) * 2008-11-14 2010-05-20 Kiekert Ag Trägerelement für Elektrokomponenten
DE202008015696U1 (de) * 2008-11-27 2010-04-15 Kiekert Ag Komponententräger für im Wesentlichen elektrische Bauelemente
DE102009002902A1 (de) * 2009-05-07 2010-11-11 Kiekert Ag Von außen in ein Schloss-Gehäuse eingelegtes Stanzgitter
DE202010009708U1 (de) 2010-06-30 2011-10-04 Kiekert Ag Komponententräger,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3316B2 (ja) * 1990-05-29 1996-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ブスバ―配線板
JP2010129604A (ja) * 2008-11-25 2010-06-10 Fujikura Ltd 回路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6502A3 (de) 2015-07-23
RU2015130281A (ru) 2017-01-30
US20150382462A1 (en) 2015-12-31
KR20150100888A (ko) 2015-09-02
DE202012105073U1 (de) 2014-03-31
CN105073213A (zh) 2015-11-18
US9596759B2 (en) 2017-03-14
EP2938797A2 (de) 2015-11-04
CA2902380A1 (en) 2014-07-10
MX2015008414A (es) 2015-12-07
JP2016503132A (ja) 2016-02-01
EP3663494A1 (de) 2020-06-10
JP6398122B2 (ja) 2018-10-03
CN105073213B (zh) 2017-08-25
EP2938797B1 (de) 2020-04-15
RU2652579C2 (ru) 2018-04-26
EP3663494B1 (de) 2021-08-11
WO2014106502A2 (de) 2014-07-10
BR112015015607A2 (pt) 2017-07-11
BR112015015607A8 (pt)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838B1 (ko) 전기/전자 부품용 부품 캐리어
CN101897232B (zh) 具有电气带状连接元件的窗玻璃
CN100565742C (zh) 按压开关
JP6272936B2 (ja) 接続エレメント
WO2008085858A3 (en) Connector assembly for end mounting panel members
US20160270159A1 (en) Disc having at least two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s and connecting conductors
JP2009064579A (ja) 導電機能付板状体の端子構造体及び導電機能付板状体
TW201244267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pparatus
US20150345184A1 (en) Component carrier for electrical/electronic components
US8202132B2 (en) Contact spring for vehicular antenna/amplifier connection
WO2010063540A3 (de) Solarzellensystem, solarzellen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arzellensystems
EP3206257A1 (en) Window glass structure for vehicle
US20080242119A1 (en) Bus connector with at least two cable connections for bus lines
WO2009109542A3 (en) Bus bar and panel of laminated glass
JP2007073758A (ja) 板金部品の結合構造
US7773380B2 (en) Electrical configuration as heat dissipation design
CN103594829A (zh) 接线端子及其制造方法
JP2013196923A (ja) 電磁継電器およびその接点構造
JP2013135108A (ja) 半導体装置
CA2666483C (en) Rf terminating resistor of flanged construction
JP2009187833A (ja) 電線接続装置
CN104283022B (zh) 连接器
CN102348519A (zh) 金属接合件、金属接合方法以及金属接合装置
JP2012243571A (ja) 端子金具の接続構造
JP2013073888A (ja) 防水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