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090B1 - 벨트 콘베이어의 선단커버 - Google Patents

벨트 콘베이어의 선단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090B1
KR102060090B1 KR1020180122735A KR20180122735A KR102060090B1 KR 102060090 B1 KR102060090 B1 KR 102060090B1 KR 1020180122735 A KR1020180122735 A KR 1020180122735A KR 20180122735 A KR20180122735 A KR 20180122735A KR 102060090 B1 KR102060090 B1 KR 10206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moving
space
belt memb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준
Original Assignee
(주)대명크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크라샤 filed Critical (주)대명크라샤
Priority to KR1020180122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08Pro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에 설치된 롤러에 걸쳐진 벨트부재를 회전시켜 화물을 이동시키는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롤러가 설치된 프레임의 선단에 육면이 뚫린 형태의 커버체를 고정시키되 벨트부재의 선단이 커버체의 내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커버체의 상측은 그물망을 설치하는 한편 커버체의 하측은 벨트부재를 타고 이동하는 화물이 낙하되게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체의 양측면에는 롤러가 회전되게 결합된 이동체가 이동하는 이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체는 이동공간의 상하측에 형성된 레일에 끼워진 채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이동체의 일측에는 텐션조절볼트를 체결하되 상기 텐션조절볼트는 커버체를 관통되게 설치하고, 상기 커버체의 이동공간은 그물망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벨트 콘베이어의 선단커버{TAIL COVER OF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부재를 회전시켜 원료나 제품 형태의 이송 화물을 이동시키는 벨트 콘베이어에서, 벨트부재를 타고 이동하는 화물이 낙하되는 선단부위를 커버로 씌워주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선단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나 제품 형태의 이송 화물을 연속적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공지된 벨트 콘베이어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원동롤러와 피동롤러 사이에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원동롤러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체인으로 전달하는 한편 벨트부재의 하측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받침롤러를 설치함으로써, 모터를 구동시키게 되면 체인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벨트부재가 연속 회전하면서 이송화물을 이동시키게 된다.
벨트 콘베이어는 화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선단에서 낙하시키게 되는 것으로,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부재는 무한궤도 형태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자가 회전하는 벨트부재에 닿거나 장애물이 닿을 경우가 존재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다치거나 벨트 콘베이어의 작동이 중단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회전하는 벨트부재를 커버로 씌워주면 되나, 벨트부재를 모두 커버로 씌울 경우, 벨트부재를 타고 이동하는 화물의 이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벨트부재의 선단에 설치된 롤러는 벨트부재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장치를 설치하고 있기 때뭉에 이로 인하여 커버를 씌우기가 쉽지 않은 것이었다.
벨트 콘베이어에서 회전하는 벨트부재의 선단에는 상측에서 작업자가 닿지 않지 않도록 하는 한편 화물의 이동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고, 특히, 텐션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벨트부재의 텐션을 조절할 때 롤러의 위치 이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롤러의 위치 이동을 위한 공간으로도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복이 끼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351001호(2002.08.20 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2-0029724호(2002.04.19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20-1998-034954호(1998.09.15 공개)
본 발명은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부재가 회전될 때 작업자의 닿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벨트부재의 선단 부위를 커버로 씌워서 작업자 다치게 되는 경우를 없애는 한편 벨트부재의 선단에 설치되는 텐션조절장치로 벨트부재의 텐션조절과 함께 텐션조절 상태의 확인이 이루어지게 하고, 또한, 텐션조절장치의 공간으로 작업자의 손이나 옷깃이 끼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에 설치된 롤러에 걸쳐진 벨트부재를 회전시켜 화물을 이동시키는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롤러가 설치된 프레임의 선단에 육면이 뚫린 형태의 커버체를 고정시키되 벨트부재의 선단이 커버체의 내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커버체의 상측은 그물망을 설치하는 한편 커버체의 하측은 벨트부재를 타고 이동하는 화물이 낙하되게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체의 양측면에는 롤러가 회전되게 결합된 이동체가 이동하는 이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체는 이동공간의 상하측에 형성된 레일에 끼워진 채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이동체의 일측에는 텐션조절볼트를 체결하되 상기 텐션조절볼트는 커버체를 관통되게 설치하고, 상기 커버체의 이동공간은 그물망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벨트부재의 회전에 의해 이송화물은 커버체의 내측으로 공간에서 하측으로 낙하되고, 상기 벨트부재는 텐션조절볼트를 회전시켜 조절되는 한편 커버체의 상부와 전면 및 좌우측의 공간은 그물망을 씌워서 작업자의 손이나 옷깃이 끼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커버체의 좌우측으로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체를 별도로 설치한 후 상기 텐션조절체에서 이동체를 이동시켜 텐션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벨트 콘베이어에서 화물을 이송하는 벨트부재의 선단에 커버체를 씌우되 상기 커버체의 내측에서 벨트부재의 선단이 위치함으로써 이송화물이 커버체의 내측에서 하부로 떨어지게 하고, 상기 커버체의 상부와 전면 및 좌우측 공간은 그물망을 설치하여 벨트부재의 회전과 텐션조절용 이동체의 위치 이동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이송화물의 낙하와 벨트부재의 텐션조절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벨트부재의 선단을 커버체로 씌워줌으로써 텐션조절용 이동홈이나 회전하는 텐션부재에 작업자가 다치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 평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버체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커버체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커버체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본 발명은 이송 화물을 벨트부재에 실어서 이동시키는 벨트 콘베이어에서, 이송화물을 낙하시니는 쪽의 벨트부재 선단을 커버체로 씌워줌으로써 벨트부재를 타고 이동하는 화물이 커버체의 내부에서 낙하되게 하고, 상기 이송체는 상측과 전면 및 좌우측으로 그물망을 설치하여, 화물의 이동과 벨트부재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동시에 측면에서 텐션조절을 위한 이동체의 이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커버체는 육각형태로 이루어지되 육면에 모두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체의 내측으로 벨트부재의 선단이 위치한 상태에서 커버체를 프레임의 선단에 용접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커버체의 양측으로 이동공간을 형성하여 롤러의 양측에 설치되는 이동체가 이동공간을 타고 이동되게 하되 상기 이동체는 이동공간에 형성된 레일을 타고 이동되게 하며, 상기 이동체의 일측에는 텐션조절볼트를 체결시키되 상기 텐션조절볼트는 커버체를 관통되게 설치함으로써 커버체의 외측에서 텐션조절볼트로 이동체를 당겨서 벨트부재의 텐션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커버체의 상부공간과 측면의 이동공간은 그물망으로 막아줌으로써 작업자가 닿게 되는 경우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한편 그물망을 통하여 벨트부재의 작동상태나 텐션 조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그물망은 금속망을 사용하되 강도가 높은 투명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은 도시되지 아니한 모터로 원동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원동롤러와 롤러(20)에 끼워진 벨트부재(10)를 회전시키는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벨트부재(10)의 선단에 커버체(50)를 설치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부재(10)는 롤러(20)에 끼워져 회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롤러(20)가 커버체(50)에 끼워져 설치되게 하는 한편 상기 커버체(50)는 프레임(30)의 선단에 설치하게 되고, 상기 커버체(50)는 육면체 형태를 갖고 육면에 모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프레임(30)의 선단에 커버체(50)를 고정시키되 롤러(20)가 커버체(50)의 내측에 설치되게 함으로써 벨트부재(10)를 타고 이동하는 화물은 커버체(50)의 내측에서 하부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커버체(50)의 양측으로 수평으로 긴 사각의 이동공간(61)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공간(61)에는 롤러(20)가 회전되게 결합되는 이동체(62)를 설치하여 이동공간(61)을 타고 이동되게 하고, 상기 이동공간(61)의 상하측에는 이동체(62)가 끼워지는 레일(63)을 형성하여 이동체(62)가 레일(63)을 타고 이동공간(61)을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이동체(62)의 일측에는 커버체(50)를 관통하게 텐션조절볼트(65)를 설치함으로써, 텐션조절볼트(65)를 조이거나 풀음에 따라 이동체(62)가 레일(63)을 타고 이동공간(61)을 이동하면서 롤러(20)의 위치를 변경시켜 벨트부재(10)의 텐션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커버체(50)는 상측 공간과 전면 공간을 그물망(51)(52)으로 씌워주는 한편 좌우측에 형성된 이동공간(61)도 그물망(53)으로 막아줌으로써 벨트부재(10)가 끼워지는 커버체(50)의 배면공간과, 화물이 낙하되는 커버체(50)의 하부 공간을 그대로 개방시킨다.
본 발명은 커버체(50)의 양측으로 텐션조절체(60)를 설치하되 상기 텐션조절체(60)에 이동공간(61)과 레일(63) 및 이동체(62)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이동체(62)에는 롤러(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하고, 상기 텐션조절체(60)의 전방으로 이동체(62)를 이동시키는 텐션조절볼트(65)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텐션조절볼트(65)를 회전시켜 이동체(62)가 레일(63)을 타고 이동공간(61)을 이동되게 함으로써 롤러(20)가 이동하여 벨트부재(10)의 텐션을 조절하는 기능은 동일하게 수행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벨트부재(10)의 선단을 커버체(50)로 씌워주되 상부와 전면 및 측면을 그물망(51)(52)(53)으로 씌워줌으로써 벨트부재(10)의 회전 부위로 작업자가 닿게 되는 경우를 없애게 되고, 특히, 벨트부재(10)의 텐션을 조절하는 공간에서 작업자가 다치게 되는 경우도 없애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30)의 선단에 고정된 커버체(50)의 내측으로 벨트부재(10)의 선단이 설치되기 때문에 벨트부재(10)를 타고 이동하는 화물은 커버체(50)의 내측으로 이동한 후 하측으로 낙하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커버체(50)의 상측과 전면 및 좌우측 공간을 그물망(51)(52)(53)으로 막아줌으로써 작업자가 다치게 되는 경우를 원천적으로 배제시킨다.
본 발명에서 커버체(50)의 좌우측에 형성된 이동공간(61)에는 롤러(20)의 양측에 설치된 이동체(62)가 끼워져 이동하게 하되 상기 이동체(62)가 이동공간(61)에 설치된 레일(63)을 타고 이동되게 함으로써, 롤러(20)는 이동체(62)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하면서 벨트부재(10)의 텐션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이동체(62)에는 텐션조절볼트(65)를 체결하되 상기 텐션조절볼트(65)는 커버체(5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텐션조절볼트(65)를 회전시키면 이동체(62)가 회전 방향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벨트부재(10)의 텐션이 느슨해지게 되면, 텐션조절볼트(65)를 회전시켜 이동체(62)가 레일(63)을 타고 이동공간(61)에서 전방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이동체(62)에 결합된 롤러(20)가 이동하면서 벨트부재(10)의 텐션을 긴장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체(50)의 상부와 전면 및 측면의 이동공간(61)을 그물망(51)(52)(53)으로 막아줌으로써 회전하는 벨트부재(10)나 이동하는 이동체(62)에 작업자가 닿거나 옷이 끼게 되는 경우를 없애게 되며, 특히, 그물망(51)(52)(53)을 통하여 커버체(50) 내부의 벨트부재(10) 작동상태와 화물의 낙하상태 그리고 이동체(6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하고도 간편하게 벨트 콘베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벨트부재(10)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장치는 커버체(50)와 일체로 설치하지 않고, 커버체(50)의 측면에서 별도로 텐션조절체(60)를 고정시킨 후 상기 텐션조절체(60)에 이동공간(61)과 이동체(62) 및 레일(63)을 설치하는 한편 텐션조절볼트(65)를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어떠한 경우라도 이동체(62)에는 롤러(20)가 체결됨으로써, 이동체(62)의 이동에 따라 텐션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며, 커버체(50)만 사용하거나 텐션조절체(60)까지 사용하거나에 관계없이 상측과 좌우측 및 전면을 그물망으로 막아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내부 작동 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다.
10 : 벨트부재 20 : 롤러
30 : 프레임 50 : 커버체
51,52,53 : 그물망 60 : 텐션조절체
61 : 이동공간 62 : 이동체
63 : 레일 65 : 텐션조절볼트

Claims (2)

  1. 벨트 콘베이어의 프레임(30) 선단에 육면이 뚫린 커버체(50)를 고정시키되 벨트부재(10)의 선단이 커버체(50)의 내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커버체(50)의 상측공간은 그물망(51)을 설치하여 내부를 확인하는 한편 커버체(50)의 하측공간으로는 벨트부재(10)를 타고 이동하는 화물이 낙하되게 하고,
    상기 커버체(50)의 양측면에는 롤러(20)가 회전되게 결합된 이동체(62)가 끼워져 이동하는 이동공간(61)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체(62)는 이동공간(61)의 상하측에 형성된 레일(63)에 끼워져 이동되게 하고,
    상기 이동체(62)의 일측에는 텐션조절볼트(65)를 체결하되 상기 텐션조절볼트(65)는 커버체(5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커버체(50)의 이동공간(61)과 전면공간은 그물망(53)(52)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선단커버.
  2. 벨트 콘베이어의 프레임(30) 선단에 육면이 뚫린 커버체(50)를 고정시키되 벨트부재(10)의 선단이 커버체(50)의 내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커버체(50)의 상측공간은 그물망(51)을 설치하여 내부를 확인하는 한편 커버체(50)의 하측공간으로는 벨트부재(10)를 타고 이동하는 화물이 낙하되게 하고,
    상기 커버체(50)의 양측면에는 텐션조절체(60)를 설치하되 상기 텐션조절체(60)에는 롤러(20)가 회전되게 결합된 이동체(62)가 끼워져 이동하는 이동공간(61)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체(62)는 이동공간(61)의 상하측에 형성된 레일(63)에 끼워져 이동되게 하고,
    상기 이동체(62)의 일측에는 텐션조절볼트(65)를 체결하되 상기 텐션조절볼트(65)는 텐션조절체(6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커버체(50)의 전면공간과 텐션조절체(60)의 이동공간(61)은 그물망(52)(53)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선단커버.
KR1020180122735A 2018-10-15 2018-10-15 벨트 콘베이어의 선단커버 KR10206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35A KR102060090B1 (ko) 2018-10-15 2018-10-15 벨트 콘베이어의 선단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35A KR102060090B1 (ko) 2018-10-15 2018-10-15 벨트 콘베이어의 선단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090B1 true KR102060090B1 (ko) 2019-12-30

Family

ID=6910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735A KR102060090B1 (ko) 2018-10-15 2018-10-15 벨트 콘베이어의 선단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1964A1 (zh) * 2020-07-14 2022-01-20 孙学花 一种生物基质传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4649A (ja) 2001-01-12 2002-07-23 Kamusa Shoji:Kk 食品コンベアの網カバー
JP2007153501A (ja) 2005-12-02 2007-06-21 Ecog:Kk ベルトコンベア装置
JP2009014139A (ja) 2007-07-06 2009-01-22 Ihi Corp ベルト張設装置及び搬送装置
KR101865015B1 (ko) 2018-01-12 2018-07-13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높이 및 장력 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4649A (ja) 2001-01-12 2002-07-23 Kamusa Shoji:Kk 食品コンベアの網カバー
JP2007153501A (ja) 2005-12-02 2007-06-21 Ecog:Kk ベルトコンベア装置
JP2009014139A (ja) 2007-07-06 2009-01-22 Ihi Corp ベルト張設装置及び搬送装置
KR101865015B1 (ko) 2018-01-12 2018-07-13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높이 및 장력 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1964A1 (zh) * 2020-07-14 2022-01-20 孙学花 一种生物基质传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4918B1 (de) Hängetasche zum transport von fördergut
KR102060090B1 (ko) 벨트 콘베이어의 선단커버
CN101242738B (zh) 柔性护罩
EP1747844B1 (en) Endless chain for conveying articles to be processed, driven by a linear motor.
JP2020537547A (ja) ハーベスタ用の選別ベルトユニットならびに付属のフラップユニット
US11104523B2 (en)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RU2019100053A (ru) Транспортер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провисания в транспортере
CN205687015U (zh) 轻型短距离皮带输送装置
EP3469911B1 (de)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länglicher, eine krümmung aufweisender würste
JP2011030470A (ja) 根菜類収穫機
DE102014103900A1 (de) Transporteinrichtung und Transportverfahren für Behälterbehandlungsanlage
KR20160008936A (ko) 냉동 뼈 고기 절단기
KR101750072B1 (ko) 안전고리장치
DE1532496A1 (de) Austragsvorrichtung fuer Behaelter bei Behaelterbehandlungsmaschinen
JP2014217299A (ja) 根菜類収穫機
US2796165A (en) Automatic garment conveyor
ITMI20140210U1 (it) Trasportatore
CN206614088U (zh) 一种鳄鱼式剪切机送料装置
KR102453964B1 (ko) 이동식 낙광처리용 안전장치
KR102122664B1 (ko) 슈트 커버장치
KR101411844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리턴롤러 커버장치
CN202704528U (zh) 一种辅助皮带机转运砖料的机构
KR101461571B1 (ko) 방진장치
US20220185595A1 (en) Nip guard
KR101581543B1 (ko) 슈트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