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072B1 - 안전고리장치 - Google Patents
안전고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0072B1 KR101750072B1 KR1020150094874A KR20150094874A KR101750072B1 KR 101750072 B1 KR101750072 B1 KR 101750072B1 KR 1020150094874 A KR1020150094874 A KR 1020150094874A KR 20150094874 A KR20150094874 A KR 20150094874A KR 101750072 B1 KR101750072 B1 KR 1017500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ring device
- safety ring
- support
- safe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지지체와 연결된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고, 완충기능으로 작업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안전고리장치가 제공된다. 안전고리장치는, 몸체,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암, 및 몸체에 고정되고 몸체로부터 제1암의 회전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암과 몸체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2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자와 지지체 사이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안전고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체와 연결된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고, 완충기능으로 작업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안전고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로봇 등 진보한 기계장치들로 인해 산업현장이 크게 자동화되었으나 아직도 기계가 대신하기 어려운 작업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작업들은 작업자의 판단이나 특별한 기술 등을 요하는 것으로, 비정형적이고 세심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작업인 경우가 많다. 아직도 많은 산업 현장에서는 기계가 대신하기 어려운 작업들을 사람들이 직접 수행하고 있다.
산업현장은 생산라인을 따라 계획되고 구축되는바 작업자에게는 오히려 위험하게 설계된 경우도 많이 있다. 이러한 산업현장에 투입되는 인력을 보호하기 위해 각종 안전장비들이 사용되고 있다. 안전모, 안전화 등은 필수적인 안전장비이며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안전벨트 또한 반드시 착용하여야 한다.
안전벨트는 작업자를 난간이나 비계 등 지지체와 연결하여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리 등을 난간, 가드레일 등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난간, 가드레일, 비계 등 지지체들은 대부분 복잡한 철골 구조로 연결되어 있어 고리 등이 이를 자유롭게 통과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고소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안전벨트 등을 반드시 체결하여야 하나 이를 체결하고 나면 이동이 부자연스러워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안전벨트로 인해 추락 위험은 감소되는 반면,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은 완화되지 못하여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되기도 한다. 즉, 안전벨트고리 등이 작업자의 신체 일부에 체결되어 있어 추락사고 발생시 생명을 보호할 수 있으나, 신체의 특정 부위에 충격이 집중되어 골절 등 심한 외상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체와 연결된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고, 완충기능으로 작업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안전고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고리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암; 및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제1암의 회전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암과 상기 몸체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2암을 포함한다.
상기 제2암은 굴절되어 끝단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암은 탄력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암과 상기 몸체의 사이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안전고리장치는, 상기 제1암과 상기 몸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암이 상기 제2암을 향해 정렬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고리장치는, 상기 몸체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임계하중 이상에서 파손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사이로 적어도 한 번 굴절되어 상기 지지바에 지지되며, 일단부는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벨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의 쌍은 상기 몸체에 둘 이상이 서로 이격되어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고리장치는,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자력부 및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부와 자기인력(magnetic attraction)을 교환하는 인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이 자기력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안전을 위해 고리장치 등을 체결하고 작업하는 경우에도 난간, 비계, 가드레일 등의 지지체 사이를 매우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만에 하나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여도, 체결된 고리 및 이와 연결된 벨트 등으로 작업자를 구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충기능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특정 신체부위 등에 집중될 수 있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안전이 보장된 상태에서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전고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고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고리장치의 제1암 및 제2암을 향해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안전고리장치가 지지체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안전고리장치가 지지체 사이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안전고리장치의 완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전고리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고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고리장치의 제1암 및 제2암을 향해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안전고리장치가 지지체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안전고리장치가 지지체 사이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안전고리장치의 완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전고리장치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재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전고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전고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고리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안전고리장치의 제1암 및 제2암을 향해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전고리장치(1)는 몸체(100), 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암(200), 및 몸체(100)에 고정되고 몸체(100)로부터 제1암(200)의 회전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암(200)과 몸체(100)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2암(300)을 포함한다. 안전고리장치(1)는 제1암(200)과 제2암(300)이 쌍을 이루어 난간 등 지지체 둘레에 닫힌 고리 형태로 안전하게 파지된다.
특히, 안전고리장치(1)는 제1암(200)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어 지지체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지지체 중간에 형성된 가로바 등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1암(200)의 회전은 제2암(300)이 돌출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제2암(300)이 난간 등에 걸려있는 상태에서도 난간으로부터 돌출되는 가로바 등의 연결체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안전고리장치(1)는 몸체(10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110) 사이에 벨트부(400)가 굴절된 상태로 지지되어 벨트부(400)에 걸린 장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장력의 크기가 증가하면 지지바(110) 및 몸체(100)의 일부가 파단되면서 일시적으로 장력을 해소하고 벨트부(400)에 가해진 충격이 작업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도 6참조).
따라서, 이러한 안전고리장치(1)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도 작업자의 움직임은 원활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전고리장치(1)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100)는 제1암(200)과 제2암(300)의 쌍이 형성되는 베이스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암(300)은 몸체(100)로부터 돌출되되 몸체(100)에 고정되며 제1암(200)은 몸체(100)에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몸체(100)는 제2암(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형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 내부에 전술한 지지바(110)와 벨트부(40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몸체(100)의 형상은 이와 다른 형상으로도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1)와 커버부(102)로 나뉘어져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1)는 예를 들어, 고강도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제1암(200), 제2암(300), 및 몸체(100)에 결합된 고정바(120) 등을 단단히 지지할 수 있다. 반면, 커버부(102)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적절한 외력에 의해 파단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00)는 후술하는 벨트부(400) 등의 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외부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그 일부가 파단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암(200)은 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암(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10)을 통해 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암(200)은 몸체(100)로부터 이격되어 몸체(10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제2암(300) 역시 몸체(100)로부터 이격되어 몸체(10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200)이 회동하여 닫히면 제1암(200)과 제2암(300)과 몸체(100)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지지체 등을 수용하는 닫힌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1암(200)은 힌지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암(200)이 회전하면서 형성하는 회전면은 제1암(200)의 끝단부가 형성하는 궤적을 포함하는 면으로 힌지축(210)과는 수직한 면일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10)이 도면상의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제1암(200)은 힌지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힌지축(210)과 수직한 수평 방향의 회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암(200)의 회전방향과 제1암(200)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면은 제1암(200)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축(210)의 정렬상태에 따라 상대적으로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제1암(200)을 몸체(100)의 적절한 위치에 힌지 결합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암(200)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암(300)은 이러한 제1암(200)의 회전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의 힌지축(210)을 중심으로 제1암(200)이 회전하는 경우, 제1암(200)의 회전면은 힌지축(210)과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암(300)은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암(200)을 향해 돌출되어 제1암(200)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제2암(300)은 몸체(100)로부터 도 2의 하방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굴절된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제1암(200)과 제2암(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끝단부에 오목하게 만입된 걸림부(200a, 300a)가 형성되어 서로 접촉된 상태로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암(200)이 회동하여 형성되는 회전면과 제2암(300)의 돌출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암(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된 형태로 몸체(100)와 제1암(2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암(200)과, 제2암(300)과, 몸체(100)로 이루어진 닫힌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제1암(200)과, 제2암(300)과, 몸체(100)의 사이에 난간 등의 지지체를 수용하여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된 상태로 난간 등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난간에 형성된 가로바 등 연결체가 나타나는 경우에도 제2암(300)은 난간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암(200)이 자연스럽게 회동하여 가로바 등의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2암(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굴절되어 끝단부가 몸체(100)로부터 이격된 후크(hook)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전고리장치(1)가 난간 등의 지지체에 걸린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암(200)은 탄력적으로 회동하여 제2암(300)과 몸체(100)의 사이를 개폐하며 난간으로부터 돌출된 가로바 등 장애물과 만나는 경우에도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열리고 닫힐 수 있다. 제1암(200)과 몸체(100)의 사이에는 제1암(200)이 제2암(300)을 향해 정렬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20)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비틀림 탄성을 이용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10)의 둘레에 탄성부재(220)를 삽입하여 일 측은 몸체(100)에 고정하고 타 측은 제1암(20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220)의 연결방식이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그 밖에도 제1암(200)을 탄력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방식으로 탄성부재(220)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제1암(200) 및 제2암(300)의 쌍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에 둘 이상이 각각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0)의 양 단부를 이용하여, 하나의 제1암(200) 및 제2암(300)의 쌍을 일 측 단부에 형성하고, 이와 이격된 제1암(200) 및 제2암(300)의 쌍을 타 측 단부에 나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암(200) 및 제2암(300)의 쌍을 둘 이상 형성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난간의 가로바 등을 통과할 때 일 측의 제1암(200)이 회동하여 열리더라도 타 측의 제1암(200)은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작업장을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암(200) 및 제2암(300)의 쌍을 페어로 형성하여 지지체와의 연결상태를 보다 공고히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도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10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110)가 형성될 수 있다. 벨트부(400)는 이러한 지지바(110)의 사이로 적어도 한 번 굴절되어 지지바(110)에 지지된다. 벨트부(400)의 일단부는 고정바(120) 등에 연결되어 몸체(10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몸체(100)의 외부로 연장된다.
지지바(110)는 임계하중 이상에서 파손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벨트부(400)의 장력이 증가하면 벨트부(400)를 지지하는 지지바(110)의 하중이 증가하며 지지바(110)의 임계하중에 도달하여 복수 개의 지지바(110)가 단계적으로 파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벨트부(400)의 장력을 일시적으로 해소하고 작업자에게 충격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지지바(110)의 임계하중은 벨트부(400)에 걸리는 장력의 크기나 이로 인해 작업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충격량의 크기 등을 감안하여 작업자에게 충격이 가해지기 이전에 파단 가능하도록 적절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고정바(120)는 금속재 등으로 형성되어 벨트부(400)의 단부에 연결되고 최종적으로 벨트부(400)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고정바(120)는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벨트부(400)의 장력에 견딜 수 있어 지지바(110)가 파단 되더라도 고정바(120)와 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고정바(120)는 전술한 몸체(100)의 베이스부(101)와 연결되며 지지바(110)는 몸체(100)의 어느 부위와도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벨트부(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지지바(110) 사이로 반복적으로 굴절되어 통과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지지바(110)에 지지되어 장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벨트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부는 고정바(120) 등에 연결되어 몸체(10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개구부(100a) 등을 통해 몸체(100)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벨트부(400)의 타단부에는 회동 가능한 암을 포함하는 또 다른 고리장치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벨트부(400)는 지지체와 작업자의 사이를 연결하는 안전벨트로 형성되며 안전고리장치(1)는 이와 같이 벨트부(400)가 연결된 작업자의 이동방향을 따라 지지체의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또한, 만에 하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완충기능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안전고리장치(1)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안전고리장치(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등의 지지체(A)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암(300)이 돌출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암(200)을 회동시켜 개방하고, 제1암(200)과 제2암(300)의 사이로 난간 등의 지지체(A)를 삽입하여, 도 4의 (b)와 같은 상태로 체결할 수 있다. 이 때, 제1암(200)의 회전 각도, 제1암(200)과 몸체(100) 사이의 이격된 정도와 제2암(300)과 몸체(100) 사이의 이격된 정도, 제2암(300)의 굴절된 정도 등을 유기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두께의 지지체(A)에 안전고리장치(1)를 용이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난간 등의 지지체(A)는 대부분 복잡한 철골 구조나 연결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으로 돌출된 가로바(Aa) 등의 연결체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종래에는 안전벨트고리가 체결된 후 이를 다시 해체하지 않고서는 가로바(Aa) 등 연결체가 형성된 부위를 통과하기 곤란하였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지체(A)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반복적으로 안전장치를 해체 및 결합하여야만 하였고, 이로 인해 작업 안전도가 떨어지고 작업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전고리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등의 지지체(A)에 형성된 가로바(Aa) 등 연결부위를 매우 자유롭게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안전고리장치(1)를 결합한 후,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고리장치(1)를 이동시키면, 제1암(200)의 회동에 의해 가로바(Aa)를 매우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이 때, 제2암(300)은 난간 등의 지지체(A)에 걸려 파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암(200)만이 가로바(Aa) 등에 걸려 회동하면서 탄력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안전고리장치(1)는 제1암(200), 제2암(300), 및 몸체(100)가 내부에 지지체(A)를 수용하는 닫힌 고리를 이루되 제1암(200)은 지지체(A)로부터 연장된 장애물에 직면하면 회동하여 자연스럽게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제1암(200)은 제2암(300)의 돌출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이를 테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고리장치(1)의 측면 등으로 열림으로써, 가로바(Aa) 등 장애물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안전고리장치(1)는 난간 등 지지체(A)를 따라서 매우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1암(200)과 제2암(300)의 쌍이 몸체(100)에 서로 이격 되어 둘 이상 형성된 경우에는 가로바(Aa) 등 장애물이 서로 다른 쌍의 제1암(200)과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이를 개폐할 수 있으며, 가로바(Aa)등 지지체(A)에 형성된 연결체의 일부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200)과 제2암(300)의 서로 다른 쌍 사이에 위치하게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안전고리장치(1)는 난간 등 지지체(A)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Aa) 등 연결부위를 자유롭게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1암(200)과 제2암(300)의 쌍이 서로 나란히 이격 되어 둘 이상 형성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의 제1암(200)이 개방된 상태가 되더라도 다른 측의 제1암(200)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어 지지체(A)와의 체결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난간 등 지지체(A)의 사이를 매우 안전하게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안전고리장치(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400) 측을 통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완충하여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는 안전고리장치(1)가 작업자의 허리띠(B) 등에 체결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작업자가 불의의 사고로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지지체(A)와 작업자 사이에 연결된 벨트부(40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팽하게 당겨져 대응하는 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 때 벨트부(400)는 복수 개의 지지바(110) 사이로 굴절되어 서로 다른 지지바(110)와 접촉하면서 장력이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장력이 커져 지지바(110)에 걸리는 하중이 전술한 임계하중 이상이 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10)가 파단되면서 장력을 해소하게 된다. 벨트부(400)는 파단되는 지지바(110)의 사이로 지지방향을 바꿔가며 일시적, 반복적으로 장력을 해소하게 되며 이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10) 전체가 모두 파단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몸체(100)의 일부도 함께 파단되어 벨트부(400)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벨트부(400)가 작업자에게 직접 가할 수 있는 충격을 지지바(110) 및 몸체(100)의 파단을 유도하여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를 용이하게 구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신체 일부에 충격이 집중되어 골절 등 상해가 생기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도 6에는 안전고리장치(1)가 작업자의 허리띠(B) 등에 체결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고리장치(1)가 난간 등 지지체(A)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이러한 완충기능은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지지체(A) 측과 작업자 측에 안전고리장치(1)를 모두 형성하여 양방향으로 완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안전고리장치(1)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작업간에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전고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설명을 대신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전고리장치(1-1)는 제1암(200) 및 제2암(3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자력부(310) 및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자력부(310)와 자기인력(magnetic attraction)을 교환하는 인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암(200) 및 제2암(300)이 자기력에 의해 정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암(200)과 제2암(300)은 끝단부 등에 서로 접촉하여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하여 도 7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양방향을 향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힌지축(210) 둘레에 삽입되는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으로 제1암(200)이 제2암(300)을 향해 정렬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암(200)은 제2암(300)을 기준으로 그 좌측 또는 우측 등으로 자유롭게 회동하여 탄력적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제1암(200)이 회동하여 제2암(300)과 인접하게 되면 제1암(200)과 제2암(300)은 자력부(310) 및 인력부(230)의 자기력에 의해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양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암(200)과 그에 대응하는 제2암(300)의 쌍을 형성할 수 있다.
자력부(310)는 자석으로 형성되고 인력부(230)는 자석에 반응하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자력부(310)와 인력부(230)를 모두 자석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200)과 제2암(300)의 쌍이 둘 이상 형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자력부(310)는 고정되어 있는 서로 다른 쌍의 제2암(300)에 각각 자석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회동 가능한 각각의 제1암(200)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인력부(230)를 형성하여 상호간의 자기력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쌍의 자기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서로 다른 쌍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멀리 형성하고 자력부(310) 및 인력부(230)를 국소화하여 서로 최대한 이격된 상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제1암(200)을 이용하면 전술한 가로바 등의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고 일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지지체 사이를 보다 자유롭게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자력부(310)와 인력부(230)는 제1암(200)과 제2암(300)의 서로 인접한 끝단부에 국소적으로 형성하고 자기력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는 지지체 등 다른 물체와의 영향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양방향 회동이 가능한 제1암(200)이 예시되었으나, 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제1암(200)은 이와 다른 방식으로도 얼마든지 구현이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안전고리장치(1-1)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작업간에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 1-1: 안전고리장치 100: 몸체
100a: 개구부 101: 베이스부
102: 커버부 110: 지지바
120: 고정바 200: 제1암
200a, 300a: 걸림부 210: 힌지축
220: 탄성부재 230: 인력부
300: 제2암 310: 자력부
400: 벨트부
A: 지지체 Aa: 가로바
B: 허리띠
100a: 개구부 101: 베이스부
102: 커버부 110: 지지바
120: 고정바 200: 제1암
200a, 300a: 걸림부 210: 힌지축
220: 탄성부재 230: 인력부
300: 제2암 310: 자력부
400: 벨트부
A: 지지체 Aa: 가로바
B: 허리띠
Claims (6)
- 몸체;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암;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제1암의 회전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암과 상기 몸체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2암;
상기 몸체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임계하중 이상에서 파손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사이로 적어도 한 번 굴절되어 상기 지지바에 지지되며, 일단부는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벨트부를 포함하는 안전고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암은 굴절되어 끝단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암은 탄력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암과 상기 몸체의 사이를 개폐하는 안전고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과 상기 몸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암이 상기 제2암을 향해 정렬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전고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의 쌍은 상기 몸체에 둘 이상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되는 안전고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자력부 및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부와 자기인력(magnetic attraction)을 교환하는 인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암과 상기 제2암이 자기력에 의해 정렬되는 안전고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4874A KR101750072B1 (ko) | 2015-07-02 | 2015-07-02 | 안전고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4874A KR101750072B1 (ko) | 2015-07-02 | 2015-07-02 | 안전고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4478A KR20170004478A (ko) | 2017-01-11 |
KR101750072B1 true KR101750072B1 (ko) | 2017-06-22 |
Family
ID=57833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4874A KR101750072B1 (ko) | 2015-07-02 | 2015-07-02 | 안전고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007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4693B1 (ko) * | 2018-10-29 | 2020-03-04 | 강명석 |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8332B1 (ko) | 2017-03-23 | 2019-03-14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안전걸이장치 |
KR102714012B1 (ko) * | 2022-08-05 | 2024-10-07 | 한국도로공사 | 자동 개폐 기능이 포함된 가이드 고정용 링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고리 이동방법 |
KR102705714B1 (ko) * | 2023-06-28 | 2024-09-11 | (주)삼익플랜 |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42794A (ja) * | 2011-08-22 | 2013-03-04 | Nagaki Seiki Co Ltd | 落下防止用命綱フック |
KR101325688B1 (ko) | 2012-01-11 | 2013-11-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안전 고리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3260Y1 (ko) | 2002-06-28 | 2002-10-30 | 김상실 | 작업용 안전벨트 |
-
2015
- 2015-07-02 KR KR1020150094874A patent/KR1017500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42794A (ja) * | 2011-08-22 | 2013-03-04 | Nagaki Seiki Co Ltd | 落下防止用命綱フック |
KR101325688B1 (ko) | 2012-01-11 | 2013-11-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안전 고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4693B1 (ko) * | 2018-10-29 | 2020-03-04 | 강명석 |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4478A (ko) | 2017-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0072B1 (ko) | 안전고리장치 | |
US6488118B1 (en) | Fall arrest bypass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 |
US20140102829A1 (en) | Fall protection system | |
US20190247994A1 (en) | Devices for the Support of Tools | |
US20180283439A1 (en) | Carabiner Divider and Fall Arrest System | |
CN110639139B (zh) | 一种带差速自锁器的高压输电线路铁塔防坠落装置及方法 | |
KR101209868B1 (ko) | 추락방지장치 | |
KR102131224B1 (ko) | 개구부용 추락 방지 장치 | |
US20050034920A1 (en) | Retractable lanyard systems, anchoring brackets for retractable lanyards and methods of anchoring retractable lanyards | |
KR101288902B1 (ko) | 호이스트 트롤리용 제동장치 | |
KR101919031B1 (ko) | 모험시설물 | |
KR102104209B1 (ko) | 안전 걸이구 | |
CN210933503U (zh) | 一种带差速自锁器的高压输电线路铁塔防坠落装置 | |
CN105065046B (zh) | 一种液压支架邻架间柔性防护装置 | |
KR101325688B1 (ko) | 안전 고리 | |
JP2011259550A (ja) | 吊金車 | |
JP5644035B2 (ja) | 親綱支持装置 | |
JP2016093486A (ja) | 傾斜面用ランヤードのグリップ及び安全対策装備並びに傾斜面作業における二重安全対策方法 | |
KR102581493B1 (ko) | 추락방지용 로프 클램핑장치 | |
JP2018118795A (ja) | 介錯アーム、および介錯アームを備えたクレーンアーム | |
KR101958332B1 (ko) | 안전걸이장치 | |
KR20120003238U (ko) | 갱폼 인양용 안전 고리 | |
JPH10298819A (ja) | ヘルメット用保護メガネ装置 | |
US1933751A (en) | Rope protector and guide | |
TW201908229A (zh) | 安全系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