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049B1 -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0049B1 KR102060049B1 KR1020190034327A KR20190034327A KR102060049B1 KR 102060049 B1 KR102060049 B1 KR 102060049B1 KR 1020190034327 A KR1020190034327 A KR 1020190034327A KR 20190034327 A KR20190034327 A KR 20190034327A KR 102060049 B1 KR102060049 B1 KR 1020600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box
- piece
- ceiling
- groove
- wi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1—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내장되는 단자함 내부의 배선 수리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시 단자함의 장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 단자함의 개방된 하단을 개폐가능하게 구현하여 인테리어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파트 전기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내장되는 단자함 내부의 배선 수리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시 단자함의 장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 단자함의 개방된 하단을 개폐가능하게 구현하여 인테리어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혹은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 등을 건축할 시에는 천장면에 단자함을 매설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단자함은 건물 등의 시공시 천정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인터넷을 비롯한 각종 케이블 설치를 위한 공간이기도 하다.
때문에, 상기 단자함은 통상 천정면을 구성할 때 거푸집과 함께 단자함을 처음부터 고정시킨 상태에서 시멘트 몰탈을 타설하여 단자함이 천정면에 완전히 매립된 상태로 일체화되게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도 1과 같이 천정면(W)에 단자함(10)이 완전히 매립된 상태로 구성되고, 천장마감재(20)로 천장이 마감되기 때문에 단자함(10)을 파괴하지 않고는 분리할 수 없는 구조이며, 만약 파손되어 분리되게 되면 다시 설치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것은 전선이나 케이블 등의 배선(C)을 설치하기 위해 단자함(10)의 양측에 형성된 배선유도관(12)이 외향 돌출형인 관계로 신품으로 교체하여 재설치시 걸림 문제로 인해 끼워 조립할 수 없는 한계를 갖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 단자함은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상기 거푸집을 금속으로 제작되는 관계로 천정면을 형성한 후 금속으로 된 거푸집을 제거할 때 합성수지로 된 상기 단자함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즉, 천정면을 형성할 때에는 거푸집을 쉽게 탈리하기 위해 박리제를 사용하는데, 이 박리제가 단자함으로 침투되어 합성수지로 된 단자함을 취약하게 함으로서 상기 단자함이 쉽게 파손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자함(10)의 배선유도관(12)이 외향 돌출형인 관계로 교체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파손된 채 사용할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외관상 보기도 흉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천장에 내장되는 단자함 내부의 배선 수리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시 단자함의 장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 단자함의 개방된 하단을 개폐가능하게 구현하여 인테리어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천정면(W)에 형성되고 배선유로(PS)가 연통된 함설치홈(210)과, 상기 함설치홈(210)의 상단 양측에 측방으로 각지게 각각 형성된 걸림홈(220)과, 상기 함설치홈(210)에 장착 및 탈착되게 설치되는 단자함(100)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100)은 천정면(W) 속에 형성된 배선유로(PS)에 맞춰 양측단면에 배선유도관(120)이 내향 돌출 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함(100)의 양측 배선유도관(120) 상부에는 배선유도관(120)과 간격을 두고 직사각 형상의 편설치구멍(130)이 형성되며;
상기 편설치구멍(130)에는 걸림고정편(140)이 끼워지되, 상기 걸림고정편(140)은 상기 편설치구멍(130)의 내부 상단에 끼워지는 조립홈(142)과, 상기 조립홈(142)의 바깥단에서 경사지게 하향연장된 후 상기 조립홈(142)과 평행하게 조립홈(142)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자함(10) 내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탄성편부(144)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편부(144)의 하단은 상기 편설치구멍(130)의 하단면에 접촉지지되게 배치되며;
상기 단자함(100)의 개방된 하단을 밀폐할 수 있는 단자함도어(3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단자함도어(300)는 상기 단자함(100)의 개방된 하단중 일단에 나사고정되는 수평편(310)과, 상기 수평편(310)과 간격을 두고 구비된 수직편(320)과, 상기 수평편(310)과 수직편(320)을 연결하는 주름절편(330)과, 상기 주름절편(330)에 형성된 장공(332)과, 상기 수평편(310)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된 스파이어럴구동체(312)와, 일단은 상기 스파이어럴구동체(31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장공(332)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편(320)에 고정된 스파이어럴와이어(314)와, 상기 수직편(320)에 매립되고 상기 단자함(100)의 개방된 하단중 타단에 매립되어 있는 자석에 흡착되게 구비된 마그네트(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단자함(100)은 천정면(W) 속에 형성된 배선유로(PS)에 맞춰 양측단면에 배선유도관(120)이 내향 돌출 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함(100)의 양측 배선유도관(120) 상부에는 배선유도관(120)과 간격을 두고 직사각 형상의 편설치구멍(130)이 형성되며;
상기 편설치구멍(130)에는 걸림고정편(140)이 끼워지되, 상기 걸림고정편(140)은 상기 편설치구멍(130)의 내부 상단에 끼워지는 조립홈(142)과, 상기 조립홈(142)의 바깥단에서 경사지게 하향연장된 후 상기 조립홈(142)과 평행하게 조립홈(142)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자함(10) 내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탄성편부(144)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편부(144)의 하단은 상기 편설치구멍(130)의 하단면에 접촉지지되게 배치되며;
상기 단자함(100)의 개방된 하단을 밀폐할 수 있는 단자함도어(3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단자함도어(300)는 상기 단자함(100)의 개방된 하단중 일단에 나사고정되는 수평편(310)과, 상기 수평편(310)과 간격을 두고 구비된 수직편(320)과, 상기 수평편(310)과 수직편(320)을 연결하는 주름절편(330)과, 상기 주름절편(330)에 형성된 장공(332)과, 상기 수평편(310)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된 스파이어럴구동체(312)와, 일단은 상기 스파이어럴구동체(31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장공(332)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편(320)에 고정된 스파이어럴와이어(314)와, 상기 수직편(320)에 매립되고 상기 단자함(100)의 개방된 하단중 타단에 매립되어 있는 자석에 흡착되게 구비된 마그네트(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에 내장되는 단자함 내부의 배선 수리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시 단자함의 장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 단자함의 개방된 하단을 개폐가능하게 구현하여 인테리어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자함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예시적인 분해 단면도 및 도어설치예를 추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어 구성을 구체화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예시적인 분해 단면도 및 도어설치예를 추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어 구성을 구체화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는 단자함(100)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함(100)은 기존처럼 거푸집을 이용하여 천정면(W)을 형성할 때 함께 일체로 설치되는 구조가 아니라, 천정면(W) 형성 후 나중에 별도로 장탈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때문에, 단자함(100)이 파손되거나 분리해야 할 경우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언제든지 쉽고 빠르게 분리 후 재장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천정면(W)을 형성할 때 함설치홈(210)만 형성하고, 단자함(100)은 함께 설치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함설치홈(210)의 상단 양측에는 측방으로 각지게 형성된 걸림홈(220)을 더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함설치홈(210)을 제외한 천정면(W)은 천정마감재(230)로 마감된다.
한편, 상기 단자함(100)은 천정면(W) 속에 형성된 배선유로(PS)에 맞춰 양측단면에 배선유도관(120)이 내향 돌출 방식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배선유도관(120)은 기존과 반대로 단자함(100)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때문에, 상기 단자함(100)은 상기 함설치홈(210)에 끼우고 뺄 때 배선유도관(120)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자유롭고 편리하게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단자함(100)의 양측 배선유도관(120) 상부에는 배선유도관(120)과 간격을 두고 직사각 형상의 편설치구멍(130)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편설치구멍(130)은 상기 함설치홈(210)에 구비된 걸림홈(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편설치구멍(130)에는 걸림고정편(140)이 끼워진다.
상기 걸림고정편(140)은 상기 편설치구멍(130)에 조립식으로 착탈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걸림고정편(140)은 상기 편설치구멍(130)의 내부 상단에 끼워지는 조립홈(142)과, 상기 조립홈(142)의 바깥단에서 경사지게 하향연장된 후 상기 조립홈(142)과 평행하게 조립홈(142)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자함(10) 내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탄성편부(14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부(144)가 예각을 이루는 뾰족하게 각진 부분이 상기 걸림홈(220)에 걸릴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하여, 단자함(100) 설치시 먼저 상기 걸림고정편(140)의 조립홈(142)을 편설치구멍(130)에 끼워 걸림 고정한 상태에서 단자함(100)을 함설치홈(210)에 끼워 넣게 되면 탄성편부(144)가 탄성변형되면서 걸림홈(220) 속으로 들어감과 동시에 탄성걸림 방식으로 고정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편부(144)는 상기 조립홈(142)의 하단면으로부터 상기 편설치구멍(130)의 상하폭에 대응되는 거리를 두고 배치되게 설계되어 걸림고정편(140)이 편설치구멍(130)에 끼워져 조립되었을 때 탄성편부(144)의 하단은 상기 편설치구멍(130)의 하단면에 접촉지지되게 배치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걸림고정편(140)은 안정적인 설치구조를 갖추게 된다.
이 상태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는 단자함(100) 내부로 노출되어 있는 탄성편부(144)의 끝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서 살짝 당기게 되면 탄성편부(144)의 절곡된 부분이 걸림홈(220)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조립과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해 상기 탄성편부(144)의 절곡된 정점, 즉 뾰족한 부분이 상기 걸림홈(220) 속 가장 깊은 곳 까지 삽입될 필요는 없으며 빠지지 않고 걸려만 있는 정도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그치지 않고, 도 3,4의 예시와 같이 단자함(100)의 개방된 하단을 밀폐할 수 있는 단자함도어(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함도어(300)는 상기 단자함(100)의 개방된 하단중 일단에 나사고정되는 수평편(310)과, 상기 수평편(310)과 간격을 두고 구비된 수직편(320)과, 상기 수평편(310)과 수직편(320)을 연결하는 주름절편(330)과, 상기 주름절편(330)에 형성된 장공(332)과, 상기 수평편(310)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된 스파이어럴구동체(312)와, 일단은 상기 스파이어럴구동체(31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장공(332)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편(320)에 고정된 스파이어럴와이어(314)와, 상기 수직편(320)에 매립되고 상기 단자함(100)의 개방된 하단중 타단에 매립되어 있는 자석에 흡착되게 구비된 마그네트(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때문에, 평상시에는 스파이어럴스프링을 이용하여 탄성으로 자동 감기도록 구성된 상기 스파이어럴구동체(312)에 의해 주름절편(330)들은 접어져 있는 상태가 되며, 작업자가 수직편(320)을 당겨 마그네트(322)를 단자함(100)의 개방된 하단중 타단에 흡착시켜 고정하게 되면 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단자함(100)의 개방된 하방을 밀폐하게 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스파이어럴구동체(312)를 감는 스파이어럴스프링의 탄성당김력이 상기 마그네트(322)의 흡착력보다 약하게 설계함으로써 가능하며, 때문에 마그네트(322)가 떨어지면 쉽게 감기지만 그렇지 않고 마그네트(322)가 붙어있는 경우라면 쉽게 떨어지지 않아 커버링이 가능하게 된다.
100: 단자함
210: 함설치홈
300: 단자함도어
210: 함설치홈
300: 단자함도어
Claims (1)
- 천정면(W)에 형성되고 배선유로(PS)가 연통된 함설치홈(210)과, 상기 함설치홈(210)의 상단 양측에 측방으로 각지게 각각 형성된 걸림홈(220)과, 상기 함설치홈(210)에 장착 및 탈착되게 설치되는 단자함(100)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100)은 천정면(W) 속에 형성된 배선유로(PS)에 맞춰 양측단면에 배선유도관(120)이 내향 돌출 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함(100)의 양측 배선유도관(120) 상부에는 배선유도관(120)과 간격을 두고 직사각 형상의 편설치구멍(130)이 형성되며;
상기 편설치구멍(130)에는 걸림고정편(140)이 끼워지되, 상기 걸림고정편(140)은 상기 편설치구멍(130)의 내부 상단에 끼워지는 조립홈(142)과, 상기 조립홈(142)의 바깥단에서 경사지게 하향연장된 후 상기 조립홈(142)과 평행하게 조립홈(142)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자함(10) 내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탄성편부(144)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편부(144)의 하단은 상기 편설치구멍(130)의 하단면에 접촉지지되게 배치되며;
상기 단자함(100)의 개방된 하단을 밀폐할 수 있는 단자함도어(3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단자함도어(300)는 상기 단자함(100)의 개방된 하단중 일단에 나사고정되는 수평편(310)과, 상기 수평편(310)과 간격을 두고 구비된 수직편(320)과, 상기 수평편(310)과 수직편(320)을 연결하는 주름절편(330)과, 상기 주름절편(330)에 형성된 장공(332)과, 상기 수평편(310)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된 스파이어럴구동체(312)와, 일단은 상기 스파이어럴구동체(31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장공(332)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편(320)에 고정된 스파이어럴와이어(314)와, 상기 수직편(320)에 매립되고 상기 단자함(100)의 개방된 하단중 타단에 매립되어 있는 자석에 흡착되게 구비된 마그네트(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4327A KR102060049B1 (ko) | 2019-03-26 | 2019-03-26 |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4327A KR102060049B1 (ko) | 2019-03-26 | 2019-03-26 |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0049B1 true KR102060049B1 (ko) | 2019-12-30 |
Family
ID=6910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4327A KR102060049B1 (ko) | 2019-03-26 | 2019-03-26 |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004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6809B1 (ko) * | 2009-02-27 | 2009-05-18 | 금정엔지니어링(주) | 공동주택의 매설형 콘센트박스 |
KR101784397B1 (ko) * | 2017-04-20 | 2017-10-12 |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 소방감지기 배선박스용 고정구 |
-
2019
- 2019-03-26 KR KR1020190034327A patent/KR1020600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6809B1 (ko) * | 2009-02-27 | 2009-05-18 | 금정엔지니어링(주) | 공동주택의 매설형 콘센트박스 |
KR101784397B1 (ko) * | 2017-04-20 | 2017-10-12 |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 소방감지기 배선박스용 고정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1047B1 (ko) |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 |
EP3113309A1 (en) | Flush mount junction and terminal box | |
US9419422B2 (en) | Devices for mounting electrical, audio, and video installations to walls and other flat surfaces | |
KR102041325B1 (ko) |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설치형 단자함 장치 | |
KR102060049B1 (ko) | 공동주택 전기의 천장 매설형 단자함 장치 | |
KR200480539Y1 (ko) |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 |
KR102029349B1 (ko) |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 |
US9136679B1 (en) | Non-metallic split bushing and method for preventing abrasion of electrical cables in pipe and conduit | |
EP3021438A1 (en) | Electrical insulating box with two options of tightness degree for electricity, information technology and/or telephony | |
JP6422696B2 (ja) | 電気接続箱 | |
KR20190131950A (ko) | 전선관내 결로발생의 방지 및 기밀유지용 차단캡 | |
KR101680158B1 (ko) | 공동주택 케이블 트레이용 매입너트 | |
KR20090008540A (ko) | 건물내벽용 아웃렛박스 어셈블리 | |
KR200334688Y1 (ko) | 천장 매입형 배선함 | |
KR101624568B1 (ko) | 전기배선박스용 콘센트 설치기구 | |
JP2017160729A (ja) | 建具 | |
JP4224821B2 (ja) | 保護キャップ | |
KR101125657B1 (ko) | 콘센트 보호커버 | |
KR100972986B1 (ko) | 가변 벽체용 배선박스 | |
KR200446512Y1 (ko) |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 |
KR102350261B1 (ko) | 천장용 전기 단자함 | |
US8563857B2 (en) | Old construction box | |
JP2019140869A (ja) | 電気機器収納用箱の枠体及び電気機器収納用箱 | |
KR200421520Y1 (ko) |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 |
KR200357693Y1 (ko) | 단자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