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693Y1 - 단자함 - Google Patents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693Y1
KR200357693Y1 KR20-2004-0011898U KR20040011898U KR200357693Y1 KR 200357693 Y1 KR200357693 Y1 KR 200357693Y1 KR 20040011898 U KR20040011898 U KR 20040011898U KR 200357693 Y1 KR200357693 Y1 KR 2003576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erminal box
box
sides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호
Original Assignee
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호 filed Critical 강영호
Priority to KR20-2004-0011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6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6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6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자함(전화 단자함, 배전함, 배전반, 전기 분전함, TV 증폭기함, 소화전함 등의 단자함을 지칭한다)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기기를 장착할 수 있고 일면 또는 양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몸체(이하 “몸체”라 한다)와, 상기 개방된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개방된 몸체의 타측면에 축봉으로 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하여서 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커버 및 도어가 구비된 커버를 몸체에 결합할 때 스크루 또는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몸체의 테두리 부위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커버의 안착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하여 체결 및 탈거가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한 단자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단자함{Terminal box}
본 고안은 단자함(전화 단자함, 배전함, 배전반, 전기 분전함, TV 증폭기함, 소화전함 등의 단자함을 지칭한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면 또는 양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몸체(이하 “몸체”라 한다)의 외주연에 형성된 테두리 부분에 커버를 결합할 때 스크루를 체결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고, 상기 몸체의 테두리 부위의 상하좌우 내측면 또는 상하 내측면, 좌우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커버의 안착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하여 몸체와 커버가 상호 결합됨에 있어, 커버가 몸체에 용이하게 체결 또는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은 신축 건물 공사시 필히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벽면에 매설되거나 또는 돌출되는 2종류의 단자함으로 구분되고, 상기 단자함은 신축 건물 또는 신축 아파트의 경우 거의 모든 세대에 설치된다.
본 고안은 매입형과 돌출형의 두 종류에 모두에 적용되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단자함은, 일면 또는 양면이 개방된 몸체로 구성되나, 본 고안의 목적을 더욱 이해시키기 위하여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면으로 개방된 몸체를 갖는 종래의 단자함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단자함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몸체와, 상기 개방된 몸체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볼트에 의하여 체결되는 커버 및, 상기 개방된 몸체의 타측면에 결합된 커버의 일측 상하에 형성된 관통구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도어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는 양면으로 개방되고, 개방된 일측면에는 몸체의 바닥면이 되는 커버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도어가 구비된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는 볼트에 의하여 몸체에 체결 결합된다.
상기 단자함의 몸체는, 양면이 개방된 상자형이고, 상기 몸체의 바닥면이 되는 커버의 내측에는 아무 형상도 없는 수평면이거나 또는 통신기기를 장착함에 있어 장착의 용이성을 위하여 격자무늬로 적당하게 돌출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또한 통신기기의 장착의 용이성 뿐아니라 몸체의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모양의 형상으로 적당하게 돌출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2의 단자함은 단자함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아무런 형상이 없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몸체의 상하좌우측면 내측에는, 몸체의 견고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보강 리브가 각면에 다수개 형성되고, 또한 개방된 몸체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볼트에 의하여 체결 결합되는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각면에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몸체의 상하좌우측면에는, 전선의 인입구가 되는 세그먼트가 각면에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세그먼트는 필요시 타격을 가하면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도록 몸체의 각 측면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세그먼트가 떨어져 나간 곳에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는 인입구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2의 단자함은 단자함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리브와 지지대 및 세그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몸체의 상하좌우측면 외측에는, 단자함을 벽면에 설치함에 있어, 설치의 견고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단자함 고정구가 설치된다. 상기 단자함 고정구는 필요에 따라서 상하측면이나 좌우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가 구비된 커버의 내측 프레임의 각면과 몸체의 바닥면이 되는 커버에는 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어가 구비된 커버의 일측 상하에는 도어의 축봉이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함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의 내측 지지대에, 몸체의 바닥면이 되는 커버와 도어를 구비한 커버를 안착시킨 후, 상기 커버에 형성된 관통구에 볼트를 넣어서 지지대와 체결하고, 상기 커버의 일측에 구비된 축봉에 도어를 삽입하면 단자함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단자함은, 상기 커버를 개방된 몸체의 양면에 체결 결합함에 있어, 상기 도어가 구비된 커버의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구와 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볼트를 삽입한 후, 몸체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대에 볼트를 체결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단자함은 체결수단으로 스크루를 사용하기 때문에, 커버를 몸체에 체결할 때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불필요한 스크루를 사용함으로 인해 제조경비가 많이 소요되고, 뿐만 아니라 몸체의 바닥면 외측 또는 도어를 열었을 때, 커버가 몸체에 결합될 때 사용되는 스크루의 머리부분이 노출되어 보임으로 인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개방된 몸체의 양면에 커버를 체결 결합함에 있어 스크루를 체결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고, 상기 개방된 몸체의 테두리 부위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커버의 안착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형성된 걸림턱을 이용하여 체결 및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체결수단인 스크루를 사용하지 않아 제조경비를 절감하고, 또한 체결되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자함에 따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자함에 따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단자함에 따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자함과 도 4의 단자함을 결합한 상태에서 도 3의 Ⅲ-Ⅲ′선 및 도 4의 Ⅳ-Ⅳ′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1: 리브
12: 걸림홈 13: 테두리
14: 세그먼트 15: 고정구
16: 안착면
20: 커버 21: 안착부
22: 걸림턱 23: 관통구
30: 도어 31: 축봉
32: 푸쉬버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단자함은 일면 또는 양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몸체(이하 “몸체”라 한다)와, 상기 개방된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개방된 몸체의 타측면에 축봉으로 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하여서 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상의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테두리 부위의 내측면 상부와 하부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의 안착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 결합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걸림홈은 몸체의 상하측면 내측 또는 좌우측면 내측의 상부와 하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의 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커버의 내측 각면에 2개씩 설치되되, 상기 커버의 모서리부에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테두리 내측으로는 “┛” 형상으로, 커버의 안착부가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함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단자함에 따른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단자함에 따른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단자함과 도 4의 단자함을 결합한 상태에서 도 3의 Ⅲ-Ⅲ′선 및 도 4의 Ⅳ-Ⅳ′선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10)와, 커버(20) 및, 도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4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진 개방형 상자형이고, 상기 몸체(10)의 좌우측면 내측에는, 몸체(10)의 견고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보강 리브(11)가 다수개 형성되고, 특히 좌우측면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는 걸림홈(12)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걸림홈(12)은 몸체(10)의 테두리(13)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에 형성되되, 좌우측면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 상하측면 또는 상하좌우측면의 상부와 하부에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12)은 커버(20)에 형성된 걸림턱(22)과 대등되는 수 만큼 몸체(10)의 상하좌우측면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22)의 폭보다 조금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고안의 단자함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걸림홈(12)과 보강 리브(11)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몸체(10)의 상하좌우측면에는, 전선의 인입구가 되는 세그먼트(14)가 각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 상하좌우측면에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14)는, 필요시 타격을 가하면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도록 몸체(10)의 측면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세그먼트(14)가 떨어져 나간 곳에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는 인입구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단자함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세그먼트(14)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하좌우측면 외측에는, 단자함을 벽면에 설치함에 있어, 설치의 견고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단자함 고정구(15)가 설치된다. 상기 단자함 고정구(15)는 필요에 따라서 상하측면이나 좌우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몸체(10)의 테두리(13) 내측은, 커버(20)의 안착부(21)가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16)이 “┛”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의 바닥면이 되는 커버(20)에는, 아무 형상도 없는 수평면이거나 또는 통신기기를 장착함에 있어 장착의 용이성을 위하여 격자무늬로 적당하게 돌출되어 형성되기도 하며, 또한 통신기기의 장착의 용이성 뿐아니라 몸체(10)의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모양의 형상으로 적당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단자함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닥면은 아무런 형상이 없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몸체(10)의 바닥면이 되는 커버(20)와 도어(20)를 구비한 커버(20)는, 상기 커버(20)의 외주연에 몸체(10)의 테두리(13) “┛” 형상의 안착면에 안착되는 안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1)의 내측으로는 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12)에 안착되는 걸림턱(2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2)은, 상기 커버(20)의 내측 상하좌우측면의 각면에 2개씩 설치되되, 상기 커버(20)의 모서리부에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 커버(20)의 상하측면 또는 좌우측면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턱(22)은, 커버(20)의 안착부(21) 내측에서 소정의 길이에 설치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소정의 길이에 의하여 자체텐션을 가지게 된다.
상기 도어(30)는, 도어(30)의 일측 상하에 축봉(31)이 구비되고, 전면에는 푸쉬버튼(32)이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각각의 구성요소간의 상호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걸림턱(22)이 형성된 커버(20)를, 양면이 개방된 몸체(10)의 테두리(13)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12)에 맞추어 삽입하면, 상기 걸림턱(22)은 자체 텐션을 가지기 때문에 몸체(10)의 내측에 밀착되어 걸림홈(12)이 있는 곳까지 휘어져 들어가면서 걸림홈(12)에 체결 결합되고, 상기 커버(20)의 상하측면에 형성된 관통구(23)에 도어(30)의 축봉(31)을 삽입하면 단자함은 완성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에 의하면, 개방된 몸체의 양면에 커버를 체결 결합함에 있어,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몸체의 테두리 부위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커버의 안착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형성된 걸림턱을 이용하여 체결 및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체결수단인 스크루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이 용이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양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몸체와;
    상기 개방된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개방된 몸체의 타측면에 축봉으로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몸체의 테두리 부위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 및;
    상기 커버의 안착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 결합되는 걸림턱;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몸체의 좌우측면 내측 상부와 하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의 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커버의 좌우측면 내측 각면에 2개씩 설치되되;
    상기 커버의 모서리부에서 소정의 거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테두리 내측은 “┛”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자체 텐션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KR20-2004-0011898U 2004-04-28 2004-04-28 단자함 KR2003576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898U KR200357693Y1 (ko) 2004-04-28 2004-04-28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898U KR200357693Y1 (ko) 2004-04-28 2004-04-28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693Y1 true KR200357693Y1 (ko) 2004-07-30

Family

ID=4943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898U KR200357693Y1 (ko) 2004-04-28 2004-04-28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6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5900B1 (en) Recessed electrical box
US7807924B2 (en) Power post
US3864511A (en) Non-metallic load center for surface and recessed wall mounting
KR200357693Y1 (ko) 단자함
US6710244B1 (en) Base board system for installing wiring and method therefor
KR200357692Y1 (ko) 단자함
KR101010309B1 (ko) 단자함
KR20170088541A (ko) 패널 벽면 매립형 복합 전기단자박스
KR200401184Y1 (ko) 단자함
US5828002A (en) Electrical box support frame
US6385326B1 (en) Quick-detachable structure for on-wall speaker panel
JP2021090353A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JP2007173563A (ja) ボックスユニット
KR200298207Y1 (ko) 단자함
JP3180009B2 (ja) 分電盤
JP3591276B2 (ja) 分電盤
KR100977573B1 (ko) 공기조화기 캐비닛의 도어고정구조
KR200276330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
JP2010273465A (ja) 分電盤
JP2018153038A (ja) 化粧部材の組み付け構造
KR200305724Y1 (ko) 블라인드 프레임의 지지브라켓 체결구조
JP2578905Y2 (ja) 分電盤の取付構造
KR200372431Y1 (ko) 단자함의 뚜껑 결합장치
KR200308433Y1 (ko) 유리도어 힌지장치
KR200293160Y1 (ko) 스위치용 브라켓의 조임부 높이 보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