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615B1 - 택시운전자 보호판 - Google Patents

택시운전자 보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615B1
KR102058615B1 KR1020180127011A KR20180127011A KR102058615B1 KR 102058615 B1 KR102058615 B1 KR 102058615B1 KR 1020180127011 A KR1020180127011 A KR 1020180127011A KR 20180127011 A KR20180127011 A KR 20180127011A KR 102058615 B1 KR102058615 B1 KR 102058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driver
plate
rear block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철운
Original Assignee
황철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철운 filed Critical 황철운
Priority to KR102018012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26Rigid partitions inside vehicles, e.g. between passengers and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2/905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head-rest or seat used as an anchorage point, for an object not covered by groups in B60N, e.g. for a canv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2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시 운전석의 후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후방을 차단하는 후방차단판(51); 상기 후방차단판(5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운전자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방차단판(52); 네 면(62, 63, 64, 65)을 가지고, 상기 네 면(62, 63, 64, 65) 중 폭이 가장 긴 측면(62)이 상기 후방차단판(51)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62)의 맞은 편 측면(64)에 T자형 슬롯(61)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프로파일(60); 중앙에 홀(73)을 형성하고 양측에서 서로 간격을 둔 평면부(71) 및 상기 평면부(71)를 연결하며 운전석 의자(90)의 헤드레스트(91)의 고정봉(92)을 수용하는 U자형의 굴곡부(72)를 포함하는 브라케트(70), 상기 슬롯(6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을 구비한 사각너트, 및 상기 홀(73) 및 상기 사각너트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케트(70)를 상기 중공의 프로파일(60)에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봉(92)에 대해서도 고정되게 할 수 있는 볼트(74)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차단판(51)에 평행한 가상선에 대해 브라케트(70)의 굴곡부(72)의 외측단이 이루는 경사각(A)은 예각을 이루며, 상기 후방차단판(51)에 평행한 가상선에 대해 상기 측면(64)이 이루는 경사각 역시 경사각(A)와 동일한 각도로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운전자 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택시운전자 보호판{Plate For Protecting Taxi Driver}
본 발명은 택시 운전석의 후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후방을 차단하는 후방차단판(51); 상기 후방차단판(5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운전자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방차단판(52); 네 면(62, 63, 64, 65)을 가지고, 상기 네 면(62, 63, 64, 65) 중 폭이 가장 긴 측면(62)이 상기 후방차단판(51)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62)의 맞은 편 측면(64)에 T자형 슬롯(61)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프로파일(60); 중앙에 홀(73)을 형성하고 양측에서 서로 간격을 둔 평면부(71) 및 상기 평면부(71)를 연결하며 운전석 의자(90)의 헤드레스트(91)의 고정봉(92)을 수용하는 U자형의 굴곡부(72)를 포함하는 브라케트(70), 상기 슬롯(6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을 구비한 사각너트, 및 상기 홀(73) 및 상기 사각너트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케트(70)를 상기 중공의 프로파일(60)에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봉(92)에 대해서도 고정되게 할 수 있는 볼트(74)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차단판(51)에 평행한 가상선에 대해 브라케트(70)의 굴곡부(72)의 외측단이 이루는 경사각(A)은 예각을 이루며, 상기 후방차단판(51)에 평행한 가상선에 대해 상기 측면(64)이 이루는 경사각 역시 경사각(A)와 동일한 각도로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운전자 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중교통수단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택시는 통상적으로 내부공간이 개방된 하나의 단일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내부공간에는 운전석 및 탑승석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택시는 다수의 인원을 수송하게 되므로 운전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택시의 내부는 운전석과 탑승석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취객이나 불량한 의도를 갖고 탑승하는 탑승객으로부터 운전을 방해받을 수도 있다.
특히, 의도적으로 운전자를 폭행하거나 흉기 등으로 운전자를 위협하여도 운전자는 무방비 상태로 일방적인 공격을 받을 수밖에 없고, 실질적으로 이러한 폭행으로 운전자가 부상 또는 사망한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탑승객의 위해로부터 택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택시 운전석 후방을 차단하도록 된 택시 운전석 보호격벽이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택시 운전석 보호격벽은 투명한 평면형태의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 등으로 제작되어 운전석의 후방을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택시운전자 보호판은 위와 같이 투명한 평면형태의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 등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전방의 물체를 비추게 되고 이는 다시 백미러에 비춰지게 됨으로써 택시를 운전하는 택시운전자의 시야를 교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9는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시운전자 보호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5984호는 그 도면 3 및 식별번호 0051, 0052에 "상기 제1고정수단은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에 고정된 보강프레임(12)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26)로 이루어지며, 이 고정플레이트(26)에는 헤드레스트 고정봉(310)이 각각 끼워지는 복수의 고정홀(28)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28)은 차량에 따라서 헤드레스트 고정봉(310) 사이의 간격이 다르더라도 장착할 수 있도록, 일측은 슬롯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은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의 구멍이 뚫린 형태로 형성된다."는 내용을 기술하고 있는데, 상기 내용에 따르면 상기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5984호는 차량에 따라 상이한 헤드레스트 고정봉 사이의 간격이 다르더라도 장착할 수 있도록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에 고정된 보강프레임(12)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26)에 복수의 고정홀(28)을 형성하여야 하는 등 별도의 공정이 추가로 필요할 뿐만 아니라 헤드레스트 고정봉(310)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정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8339호(2015.06.19.)
본 발명에 의한 택시운전자 보호판은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의 물체가 백미러에 반사되지 못하게 하여 택시를 운전하는 택시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택시운전자 보호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정이 축소되고 헤드레스트 고정봉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택시운전자 보호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택시운전자 보호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택시 운전석의 후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후방을 차단하는 후방차단판(51); 상기 후방차단판(5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운전자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방차단판(52); 네 면(62, 63, 64, 65)을 가지고, 상기 네 면(62, 63, 64, 65) 중 폭이 가장 긴 측면(62)이 상기 후방차단판(51)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62)의 맞은 편 측면(64)에 T자형 슬롯(61)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프로파일(60); 중앙에 홀(73)을 형성하고 양측에서 서로 간격을 둔 평면부(71) 및 상기 평면부(71)를 연결하며 운전석 의자(90)의 헤드레스트(91)의 고정봉(92)을 수용하는 U자형의 굴곡부(72)를 포함하는 브라케트(70), 상기 슬롯(6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을 구비한 사각너트, 및 상기 홀(73) 및 상기 사각너트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케트(70)를 상기 중공의 프로파일(60)에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봉(92)에 대해서도 고정되게 할 수 있는 볼트(74)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차단판(51)에 평행한 가상선에 대해 브라케트(70)의 굴곡부(72)의 외측단이 이루는 경사각(A)은 예각을 이루며, 상기 후방차단판(51)에 평행한 가상선에 대해 상기 측면(64)이 이루는 경사각 역시 경사각(A)와 동일한 각도로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 면(62, 63, 64, 65) 중 면(62)과 상기 면(62)에 인접한 상면(63) 사이의 각도, 및 상기 면(62)과 상기 면(62)에 인접한 다른 면인 하면(65) 사이의 각도는 각각 예각이고, 상기 상면(63)의 폭은 상기 상면(63)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하면(65)의 폭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차단판(51)의 후면에 부착된 승객보호패드(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승객보호패드(80)는 상측에 아취형으로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아취형 볼록부(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택시운전자 보호판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전방의 물체가 백미러에 반사되지 못하게 하여 택시를 운전하는 택시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택시운전자 보호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공정이 축소되고 헤드레스트 고정봉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택시운전자 보호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택시운전자 보호판을 정면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택시운전자 보호판을 후면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택시운전자 보호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택시운전자 보호판에 중공의 프로파일과 브라케트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브라케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중공의 프로파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승객보호패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택시운전자 보호판에 중공의 프로파일과 브라케트가 설치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시운전자 보호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택시운전자 보호판을 정면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택시운전자 보호판을 후면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택시운전자 보호판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택시운전자 보호판에 중공의 프로파일과 브라케트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브라케트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중공의 프로파일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의 승객보호패드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의 택시운전자 보호판에 중공의 프로파일과 브라케트가 설치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택시운전자 보호판은 후방차단판(51), 측방차단판(52), 중공의 프로파일(60), 및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후방차단판(51)은 택시 운전석의 후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후방을 차단하는 판으로 투명한 평면형태의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방차단판(51)은, 운전석에서는 후방을 관찰 또는 투시할 수 있지만 후방의 승객석에서는 운전석을 관찰 또는 투시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하는 일방 투시 거울일 수 있다.
상기 측방차단판(52)은 상기 후방차단판(5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운전자의 측면을 차단하는 판으로 투명한 평면형태의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방차단판(52)은, 운전석에서는 후방 또는 측방을 관찰 또는 투시할 수 있지만 후방의 승객석에서는 운전석을 관찰 또는 투시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하는 일방 투시 거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방차단판(52)은 운전자의 활동공간을 더 넓게 확보하고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을 통해 후방에 있는 승객으로부터의 공격 공간을 저감하도록 상기 후방차단판(51)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의 프로파일(60)은, 네 면(62, 63, 64, 65)을 가지고, 상기 네 면(62, 63, 64, 65) 중 폭이 가장 긴 측면(62)이 상기 후방차단판(51)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62)의 맞은 편 측면(64)에 T자형 슬롯(6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네 면(62, 63, 64, 65) 중 면(62)과 상기 면(62)에 인접한 상면(63) 사이의 각도, 및 상기 면(62)과 상기 면(62)에 인접한 다른 면인 하면(65) 사이의 각도는 각각 예각이고, 상기 상면(63)의 폭은 상기 상면(63)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하면(65)의 폭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후방차단판(51)에 대해 90°를 이루는 가상선에 대해 예각으로 상기 상면(63)이 이루는 경사각(B)은 상기 후방차단판(51)에 대해 90°를 이루는 가상선에 대해 예각으로 상기 하면(65)이 이루는 경사각(C)보다 더 크며, 상기 후방차단판(51)에 평행한 가상선에 대해 브라케트(70)의 굴곡부(72)의 외측단이 이루는 경사각(A)은 예각, 바람직하게는 3∼10°의 각도를 이루므로 상기 후방차단판(51)에 평행한 가상선에 대해 상기 측면(64)이 이루는 경사각 역시 경사각(A)와 동일한 각도로 예각을 이룬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U자형의 굴곡부(72)가 고정봉(92)을 수용하기 때문에 운전석 의자(90)에 대해 수직한 고정봉(92)에 대해 후방차단판(51) 및 측방차단판(52)은 경사각(A)만큼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후방차단판(51) 및 측방차단판(52)이 전방의 물체를 비추게 될 때 이것이 다시 백미러에 비춰지지 않게 함으로써 택시를 운전하는 택시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효과로 이어진다.
상기 고정수단은, 중앙에 홀(73)을 형성하고 양측에서 서로 간격을 둔 평면부(71) 및 상기 평면부(71)를 연결하며 운전석 의자(90)의 헤드레스트(91)의 고정봉(92)을 수용하는 U자형의 굴곡부(72)를 포함하는 브라케트(70), 상기 슬롯(6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을 구비한 사각너트, 및 상기 홀(73) 및 상기 사각너트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케트(70)를 상기 중공의 프로파일(60)에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봉(92)에 대해서도 고정되게 할 수 있는 볼트(7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종래기술에 비하여 공정이 축소되고 헤드레스트 고정봉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브라케트(70)를 상기 중공의 프로파일(60)에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봉(92)에 대해서도 고정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브라케트(70)에 결합된 상기 중공의 프로파일(60)에 부착된 후방차단판(51) 및 측방차단판(52)의 위치 또는 자세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택시운전자 보호판은, 상기 후방차단판(51)의 후면에 부착된 승객보호패드(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급정거, 급출발, 충돌, 또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에 후방의 승객석에 착석한 승객, 예컨대 어린이가 머리를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객보호패드(80)는 상측에 아취형으로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아취형 볼록부(8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몸집이 다른 승객의 두부에 대한 상해를 예방 내지는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51 : 후방차단판
52 : 측방차단판
60 : 중공의 프로파일
61 : 슬롯
62, 63, 64, 65 : 면
70 : 브라케트
71 : 평면부
72 : 굴곡부
73 : 홀
74 : 볼트
80 : 승객보호패드
90 : 운전석 의자
91 : 헤드레스트
92 : 고정봉
A, B, C : 경사각

Claims (3)

  1. 택시 운전석의 후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후방을 차단하는 후방차단판(51);
    상기 후방차단판(5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운전자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방차단판(52);
    네 면(62, 63, 64, 65)을 가지고, 상기 네 면(62, 63, 64, 65) 중 폭이 가장 긴 측면(62)이 상기 후방차단판(51)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62)의 맞은 편 측면(64)에 T자형 슬롯(61)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프로파일(60);
    중앙에 홀(73)을 형성하고 양측에서 서로 간격을 둔 평면부(71) 및 상기 평면부(71)를 연결하며 운전석 의자(90)의 헤드레스트(91)의 고정봉(92)을 수용하는 U자형의 굴곡부(72)를 포함하는 브라케트(70), 상기 슬롯(6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을 구비한 사각너트, 및 상기 홀(73) 및 상기 사각너트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케트(70)를 상기 중공의 프로파일(60)에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봉(92)에 대해서도 고정되게 할 수 있는 볼트(74)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차단판(51)에 평행한 가상선에 대해 브라케트(70)의 굴곡부(72)의 외측단이 이루는 경사각(A)은 예각을 이루며,
    상기 후방차단판(51)에 평행한 가상선에 대해 상기 측면(64)이 이루는 경사각 역시 경사각(A)와 동일한 각도로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운전자 보호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 면(62, 63, 64, 65) 중 면(62)과 상기 면(62)에 인접한 상면(63) 사이의 각도, 및 상기 면(62)과 상기 면(62)에 인접한 다른 면인 하면(65) 사이의 각도는 각각 예각이고,
    상기 상면(63)의 폭은 상기 상면(63)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하면(65)의 폭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운전자 보호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차단판(51)의 후면에 부착된 승객보호패드(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운전자 보호판.
KR1020180127011A 2018-10-23 2018-10-23 택시운전자 보호판 KR102058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011A KR102058615B1 (ko) 2018-10-23 2018-10-23 택시운전자 보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011A KR102058615B1 (ko) 2018-10-23 2018-10-23 택시운전자 보호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615B1 true KR102058615B1 (ko) 2019-12-24

Family

ID=6902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011A KR102058615B1 (ko) 2018-10-23 2018-10-23 택시운전자 보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6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732B1 (ko) * 2021-07-27 2021-12-02 주식회사 디에스테크 택시용 비말 차단장치
KR102344315B1 (ko) 2021-08-06 2021-12-29 주식회사 흥진캐노피 차량용 방범 겸용 비말 차단 패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413Y1 (ko) * 2004-04-09 2004-07-23 주식회사 썬코리아 운전자 보호장치
KR200470507Y1 (ko) * 2011-11-30 2013-12-23 민길홍 택시 운전석 보호막
KR20150068339A (ko) 2015-04-29 2015-06-19 장재식 택시 운전자 보호판
KR101866996B1 (ko) * 2016-12-07 2018-06-12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택시 운전석 보호 격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413Y1 (ko) * 2004-04-09 2004-07-23 주식회사 썬코리아 운전자 보호장치
KR200470507Y1 (ko) * 2011-11-30 2013-12-23 민길홍 택시 운전석 보호막
KR20150068339A (ko) 2015-04-29 2015-06-19 장재식 택시 운전자 보호판
KR101866996B1 (ko) * 2016-12-07 2018-06-12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택시 운전석 보호 격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732B1 (ko) * 2021-07-27 2021-12-02 주식회사 디에스테크 택시용 비말 차단장치
KR102344315B1 (ko) 2021-08-06 2021-12-29 주식회사 흥진캐노피 차량용 방범 겸용 비말 차단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615B1 (ko) 택시운전자 보호판
US20060175856A1 (en) Vehicle drive security screen
US20060156595A1 (en) License plate holder with bumper guards
US8191944B2 (en) Bumper attachment, bumper arrangement and motor vehicle
US9505363B2 (en) Bumper guard
US20070158962A1 (en) Automotive front end fascia with integrated structural member
US20220388451A1 (en) System for attaching a storage panel to a vehicle seat
GB2540541A (en) A Motor vehicle having an instrument panel
KR100991239B1 (ko) 택시 운전자 보호대
CA2576837A1 (en) Seating apparatus for use on a vehicle having a flat carrying area
KR102173597B1 (ko) 분리식 안전벽
KR200470507Y1 (ko) 택시 운전석 보호막
KR20150068339A (ko) 택시 운전자 보호판
US20120096747A1 (en) License plate frame structure
US20130221697A1 (en) Multi-functional cargo retention net
KR200491647Y1 (ko) 장애인 차량용 운전자 보호 커버
KR200347963Y1 (ko) 차량용 운전자 보호대
KR200475984Y1 (ko) 택시 운전석 보호격벽
CN107614327A (zh) 用于机动车的散热器护罩和机动车
KR200482217Y1 (ko) 자동차용 투명 안전 칸막이
KR102244441B1 (ko) 자동차 운전석 보호격벽
KR102065853B1 (ko) 운전자 보호 격벽
KR20160066404A (ko) 제 3 차량의 서치라이트에 의한 운전 방해를 방지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장치
AU2010214756A1 (en) Vehicle internal safety shield assembly
KR200379261Y1 (ko) 차량용 운전자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