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586B1 -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586B1
KR102058586B1 KR1020180136364A KR20180136364A KR102058586B1 KR 102058586 B1 KR102058586 B1 KR 102058586B1 KR 1020180136364 A KR1020180136364 A KR 1020180136364A KR 20180136364 A KR20180136364 A KR 20180136364A KR 102058586 B1 KR102058586 B1 KR 102058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insulator
polycarbonate resin
polycarbonat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현
Original Assignee
동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6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01B3/421Polyesters
    • H01B3/426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26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halocarbonates
    • C08G64/28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halocarbonates and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08Organic material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점도평균 분자량(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이 25,000 내지 45,000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실란 화합물 50~80 중량%와 실록산 화합물 20~50 중량%로 이루어진 발수제 15~30 중량부와; 규사 30~70 중량%와 탄산칼슘 30~70 중량%로 이루어진 광차단제 10~15 중량부와; 브롬계 난연제 5~10 중량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Polycarbonate polymer composition for insulator}
본 발명은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점도평균 분자량(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이 25,000 내지 45,000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실란 화합물 50~80 중량%와 실록산 화합물 20~50 중량%로 이루어진 발수제 15~30 중량부와; 규사 30~70 중량%와 탄산칼슘 30~70 중량%로 이루어진 광차단제 10~15 중량부와; 브롬계 난연제 5~10 중량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자(碍子)는 전기나 열을 전도시키지 않는 절연체로서, 예컨대 송전선이나 전기기기의 나선(裸線) 부분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동시에 이를 기계적으로 유지 또는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애자의 종류를 용도에 따다 분류해 보면, 주로 송전선에 사용되는 현수애자, 장간애자 및 내무애자와, 배전선용으로 사용되는 핀애자가 있고, 옥내 배선용으로는 놉애자, 애관, 클리트 애자가 사용되며, 그리고 차단기 피뢰기용으로는 지지애자가 사용된다.
상기 애자의 소재로는 절연내력(絶緣耐力)이 우수하고, 극심한 온도 변화와 장시간 태양광선에 노출되는 등의 가혹한 환경에서도 변질되지 않고 강력한 내구력을 갖는 자기나 유리 재질이 주로 사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라믹 재질의 애자는 내충격성이 부족해서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고, 또한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취급이 곤란하며, 작업 효율성이 낮은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폴리머를 소재한 애자들이 개발되어 있다.
폴리머 애자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FRP(Fiber Reinforced Polymer) 재질의 코어(core)와, 이를 둘러싸는 폴리머 재질의 하우징(housing),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용 금구(金具)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코어를 둘러싸는 쉬스(sheath)의 외경부에 삿갓 형상의 쉐드(shed)가 층층이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폴리머 애자에 관련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먼저 우리나라 특허공개 제10- 2003-0039119호(2003년 05월 17일)에는, 분자 중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비닐기를 함유하는 VMQ 타입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100 phr와; 보강성 실리카 5~100 phr와; 규소원자와 결합된 OH기가 적어도 1개 이상 함유되고, 점도가 25℃ 에서 50~200 cp인 폴리오르가노실록산 1~20 phr와; Si-H기를 구비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0.1~10 phr와; 백금 촉매 0.001~0.1 phr으로 이루어진 절연 애자용 실리콘 고무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고, 특허등록 제10-0526230호(2005년 10월 27일)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90 중량%와; 유리섬유 10∼30 중량%로 이루어진 폴리머 조성물에다 금구 일부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애자 및 그 제조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실리콘 재질의 애자는 성형성 및 내구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고,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유리 섬유로만 이루어진 폴리머 애자는 발수성이 부족하고, 특히 하우징의 쉐드(shed) 부위에 취성파괴(脆性破壞)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공개 제10-2014-9864호(2014년 01월 23일)에는, 예컨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표면에,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아연 산화물, 안티몬 산화물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소수성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는 폴리머 애자가 소개되어 있고, 특허등록 제10-1858232호(2018년 05월 09일)에는, 폴리머 재질의 하우징 표면에, 불소계 수지 100 중량부, 실리콘계 수지 20~80 중량부, 나노실버 복합체 0.01~10 중량부 및 광안정제 1~10 중량부로 구성되는 코팅층이 도포되어 있는 폴리머 애자 및 그 제조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처럼 하우징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한 폴리머 애자는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지속적인 강우 등에 노출될 경우 일시적으로 발수성이 소실되거나, 사용시간이 경과하면 하우징의 표면에 매연과 같은 대기오염 물질이 부착하면서 절연내력이 떨어지고, 발수성이 크게 저하하기 때문에 소기의 효과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허공개 제10- 2003-0039119호(2003년 05월 17일) 특허등록 제10-0526230호(2005년 10월 27일) 특허공개 제10-2014-9864호(2014년 01월 23일) 특허등록 제10-1858232호(2018년 05월 09일)
본 발명의 목적은 내전압과 절연저항 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난연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머 애자를 제조할 수 있는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점도평균 분자량(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이 25,000 내지 45,000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콕시실란 화합물 50~80 중량%와 실록산 화합물 20~50 중량%로 이루어진 발수제 15~30 중량부와; 규사 30~70 중량%와 탄산칼슘 30~70 중량%로 이루어진 광차단제 10~15 중량부와; 브롬계 난연제 5~10 중량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4,4'-(1-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과 4-(1,1-디메틸에틸)페닐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수제는 헥실트리메톡시실란 70~80 중량%와 헥사메틸디실록산 20~3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롬계 난연제는 디브로모페닐글리시딜에테르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벤조트리아졸계 광안정제 2~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점도평균 분자량이 25,000 내지 45,000이고 4,4'-(1-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과 4-(1,1-디메틸에틸)페닐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헥실트리메톡시실란 75 중량%와 헥사메틸디실록산 25 중량%로 이루어진 발수제 20 중량부와; 규사 50 중량%와 탄산칼슘 50 중량%로 이루어진 광차단제 12 중량부와; 디브로모페닐글리시딜에테르 7 중량부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3 중량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애자 성형물은 내전압과 절연저항 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난연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수제 15~30 중량부와, 광차단제 10~15 중량부와, 난연제 5~1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추가적으로 광안정제 2~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기초수지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기계적 강도, 특히 충격강도, 전기적 성질, 투명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점도평균 분자량(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이 25,000 내지 4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점도평균 분자량이 25,000 미만이면 애자 성형물의 응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점도평균 분자량이 45,000을 초과하면, 애자 성형물의 충격강도가 지나지게 높아져서 특히 삿갓 형상의 쉐드(shed) 부위에서 취성파괴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통상적인 분자량 조절제와 촉매의 존재 하에서 디히드릭페놀계 화합물과 포스겐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도 있고, 디히드릭페놀계 화합물과 디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에스테르 상호교환 반응을 통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디히드릭페놀계 화합물로는 비스페놀계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비스페놀 A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다른 종류의 디히드릭페놀계 화합물로 대체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디히드릭페놀계 화합물의 다른 예로서는, 히드로퀴논,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또는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의 할로겐화 비스페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4,4'-(1-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과 4-(1,1-디메틸에틸)페닐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충격강도와 절연성 및 난연성이 매우 우수하여 애자용 기초수지로 특히 적합하다.
다음으로 상기 발수제는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고, 오염물질의 부착을 방지하여 애자 성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콕시실란 화합물 50~80 중량%와 실록산 화합물 20~50 중량%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알콕시실란 화합물로는, 헥실트리메톡시실란, 헥실트리에톡시실란, 헵틸트리메톡시실란, 헵틸트리에톡시실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노닐트리메톡시실란, 노닐트리에톡시실란, 데실트리메톡시실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록산 화합물로는 폴리디메칠실록산, 헥사메틸디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디메틸트라메톡시디실록산, 트리메틸트리메톡시디실록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수제는 헥실트리메톡시실란 50~80 중량%와 헥사메틸디실록산 20~50 중량%를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수제의 구성비율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원하는 발수효과를 얻을 수 없고, 반대로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 특히 충격강도가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상기 광차단제는 강열한 햇빛을 반사시켜서 애자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부수적으로 단열 및 방염 효과를 향상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규사 30~70 중량%와 탄산칼슘 30~7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규사와 탄산칼슘이 1 :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규사는 햇빛을 반사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기 탄산칼슘은 단열 및 방염 성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규사는 무수규산인 이산화규소(SiO2) 성분이 포함된 석영 알갱이로서, 입자 크기가 5~1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칼슘은 칼슘의 탄산염으로서 대리석, 방해석, 선석, 석회석, 백악, 조개껍데기, 달걀껍데기, 산호 등에서 산출된다. 상기 탄산칼슘의 입자 크기 역시 5~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제로는, 브롬계 난연제, 특히 디브로모페닐글리시딜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제의 사용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원하는 난연성을 확보할 수 없고, 반대로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애자 성형물의 절연성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참고로 종래에 사용되는 난연제는 주로 브롬계 난연제와 인계 난연제로 구분할 수 있는데, 트리페닐포스페이트나 리아릴포스페이트와 같은 인계 난연제는 내열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고 내열성을 요구하는 폴리머 애자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상기 광안정제는 애자가 빛에 장시간 노출되어 광화학 반응을 일으키거나 자외선을 흡수하여 물리적 성질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광안정제로는 통상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벤조트리아졸계 광안정제, 예를 들면 벤조페논,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및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이중에서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안정제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원하는 광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반대로 5 중량부를 초과하면 폴리머 애자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적당한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충전제, 가소제, 활제, 항균제, 이형제, 열안정제, 상용화제, 착색제, 정전기 방지제, 안료, 염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앞서 설면한 첨가제들과 혼합할 후에 통상적인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렛(pellet)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펠렛을 이용하여 애자 성형물을 성형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압출성형, 사출성형, 캘린더 성형, 진공성형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애자 성형물을 성형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플라스틱 사출기를 사용한 인서트 사출성형 방식이 바람직하며, 특히 인서트 사출이 바람직하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정의 애자의 형상으로 가공된 캐비티(cavity)를 갖는 금형 내부에 미리 가공된 금구(金具)를 적치하고, 상기 캐비티 내부로 고정핀을 고정핀을 삽입하여 상기 금구를 고정한다. 상기 금형을 적당한 온도로 예열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용융 상태로 상기 캐비티 내부로 주입하고, 고정핀을 제거한다.
이후 금형이 냉각되고 성형물이 가소화 되면, 금형을 분리하여 애자 성형물을 분리한다. 이때, 상기 애자 성형물의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상기 금구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처리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
다음 표 1의 구성성분 및 함량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금구가 내장된 애자를 사출성형 하였다. 여기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LG 화학의 ‘LUPOY GN1006FM’를 사용하였다.
구성성분 함량
기초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LG 화학, LUPOY) 100 중량부
발수제 헥실트리메톡시실란 75 중량% + 헥사메틸디실록산 25 중량% 20 중량부
광차단제 규사 50 중량% + 탄산칼슘 50 중량% 12 중량부
난연제 디브로모페닐글리시딜에테르 7 중량부
광안정제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3 중량부
[비교예]
상적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80중량%와 유리섬유 20중량%로 이루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애자 성형물을 제조하였다(등록특허 제10-526230호의 실시예 7 참조).
[성능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애자 성형물 중에서 무작위 각각 3개씩 샘플로 취하고, 다음과 같은 항목들에 대하여 성능검사를 실시하였다.
(1) 외관검사 - 버어니어 켈리퍼스 이용한 치수검사를 수행하여 정확한 치수를 가지는지 점검하고, 외관상 크랙이나 흠집이 없는지를 판단하였다(◎: 우수/ ○: 양호/ △: 보통/ X: 불량).
(2) 상용주파 건조내전압 - KSC IEC 60168의 4.7.1항(건 상용주파 내전압시험)에 따라 시험하였으며, 15,000V에서 1분 이상 견디는지를 판단하였다(◎: 15,000V에서 1분 이상 견딤/ X: 불합격).
(3) 상용주파 주수내전압 - KSC IEC 60168-1의 14.1항(주수 상용주파 내전압시험)에 따라 시험하였으며, 10,000V에서 1분 이상 견디는지를 판단하였다(◎: 10,000V에서 1분 이상 견딤/ X: 불합격).
(4) 절연저항 - KSC 4307의 6항(절연저항시험)에 따라 시험하였으며, 인가전압 1000V, 2000MΩ 이상에서 절연이 유지되는지를 판단하였다(◎: 인가전압 1000V, 2000MΩ 이상에서 절연유지/ X: 불합격).
(5) 내후성 - KSF 2274에 제시된 방법으로 시험하였으며, 광원에 노출된 후 외형상의 치수 및 겉모양이 변함이 없고, 착색부의 퇴색정도가 색차계에 의거 측정한 ΔE 값이 10 이하인지를 판단하였다(◎: ΔE 값이 10 이하/ X: ΔE 값이 10 이상).
(6) 난연성 - KSF 3015의 5.24.1(내연성)에 따라 시험하였으며, 연소시간이 180초 이내이고 연소거리는 25mm 이하로서 용융 낙하하지 않는지를 판단하였다(◎: 난연/ X: 불합격).
구분 실시예 비교예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1 시료 2 시료 3
외관검사
건조내전압
주수내전압
절연하중
내후성 X X X
난연성 X X X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애자 성형물은 모든 검사항목에서 기준치 이상의 우수한 시험결과를 보여 주었으나, 비교예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애자 성형물의 경우, 특히 내후성 및 난연성에서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는 불량한 시험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점도평균 분자량이 25,000 내지 45,000이고 4,4'-(1-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과 4-(1,1-디메틸에틸)페닐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헥실트리메톡시실란 75 중량%와 헥사메틸디실록산 25 중량%로 이루어진 발수제 20 중량부와;
    규사 50 중량%와 탄산칼슘 50 중량%로 이루어진 광차단제 12 중량부와;
    디브로모페닐글리시딜에테르 7 중량부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3 중량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20180136364A 2018-11-08 2018-11-08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2058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364A KR102058586B1 (ko) 2018-11-08 2018-11-08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364A KR102058586B1 (ko) 2018-11-08 2018-11-08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586B1 true KR102058586B1 (ko) 2019-12-24

Family

ID=6902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364A KR102058586B1 (ko) 2018-11-08 2018-11-08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5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4756A (zh) * 2020-12-18 2021-04-23 醴陵市东方电瓷电器有限公司 特高压棒形复合绝缘子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232B1 (ko) * 1990-02-28 1993-10-15 주식회사 럭키 액상에폭시 수지 조성물
KR20030039119A (ko) 2001-11-12 2003-05-17 주식회사 해룡실리콘 절연애자용 실리콘 고무 조성물
KR100526230B1 (ko) 2004-04-26 2005-11-02 ㈜제이케이엠티코리아 폴리카보네이트 애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0140866A (ja) * 2008-12-15 2010-06-24 Sumitomo Dow Ltd 耐打鍵強度および透明性に優れた携帯情報端末用キートップ。
KR20140009864A (ko) 2012-07-13 2014-01-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소수성 코팅막을 포함하는 전철용 폴리머 애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69035A (ko) * 2011-09-30 2014-06-0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의 난연성 열가소성 조성물
KR20170090233A (ko) * 2016-01-28 2017-08-07 주식회사 인실리코 실리콘계 에멀젼 발수제 및 이를 이용한 원단의 발수가공방법
KR101858232B1 (ko) 2016-12-23 2018-06-28 제룡산업 주식회사 폴리머 애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232B1 (ko) * 1990-02-28 1993-10-15 주식회사 럭키 액상에폭시 수지 조성물
KR20030039119A (ko) 2001-11-12 2003-05-17 주식회사 해룡실리콘 절연애자용 실리콘 고무 조성물
KR100526230B1 (ko) 2004-04-26 2005-11-02 ㈜제이케이엠티코리아 폴리카보네이트 애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0140866A (ja) * 2008-12-15 2010-06-24 Sumitomo Dow Ltd 耐打鍵強度および透明性に優れた携帯情報端末用キートップ。
KR20140069035A (ko) * 2011-09-30 2014-06-0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의 난연성 열가소성 조성물
KR20140009864A (ko) 2012-07-13 2014-01-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소수성 코팅막을 포함하는 전철용 폴리머 애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0233A (ko) * 2016-01-28 2017-08-07 주식회사 인실리코 실리콘계 에멀젼 발수제 및 이를 이용한 원단의 발수가공방법
KR101858232B1 (ko) 2016-12-23 2018-06-28 제룡산업 주식회사 폴리머 애자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4756A (zh) * 2020-12-18 2021-04-23 醴陵市东方电瓷电器有限公司 特高压棒形复合绝缘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7409B1 (en) Glass-fiber-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5289056B2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8047672A1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AU6481198A (en) Improved color and hydrolytic stabilization of aromatic polycarbonate resins
AU6991498A (en) Polycarbonate composition for vented moldings
EP2072568B1 (en) UV stabilisation of a cross-linkable polyolefin composition comprising an acidic silanol condensation catalyst
TWI827542B (zh) 熱塑性聚酯樹脂組成物、成形品及其製造方法
KR102058586B1 (ko) 애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220105724A (ko) 유연성, 내한성, 내유성, 내착빙성을 갖는 고난연 열가소성탄성체 조성물 과 이로 피복된 극지운항 선박케이블및 그 제조방법
KR101798711B1 (ko) 반사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20240084129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20240084130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KR101914822B1 (ko)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AU750817B2 (en) Reducing ionic impurities content i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s
JP6278898B2 (ja) 樹脂成形体
KR102241392B1 (ko) 투명성, 난연성, 열적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난연 시트 제조 방법
EP0423788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KR102039805B1 (ko) 경통 부재
KR101838171B1 (ko) 열 차단 투명 시트 및 제조방법
KR2020001218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364219B1 (k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1956806B1 (ko) 난연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US20190319177A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Moldability
US8729392B2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material with enhanced fluid immersion and water absorption capabilities
EP3778747A1 (en) Uv stabilization of a cross-linkable polyolefin composition comprising an acidic silanol condensation cataly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