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805B1 - 경통 부재 - Google Patents

경통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805B1
KR102039805B1 KR1020170180639A KR20170180639A KR102039805B1 KR 102039805 B1 KR102039805 B1 KR 102039805B1 KR 1020170180639 A KR1020170180639 A KR 1020170180639A KR 20170180639 A KR20170180639 A KR 20170180639A KR 102039805 B1 KR102039805 B1 KR 102039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weight
inner diameter
barrel member
olefi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889A (ko
Inventor
박지권
김익모
김정기
홍상현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7018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805B1/ko
Priority to US16/232,209 priority patent/US11002938B2/en
Priority to CN201811599453.5A priority patent/CN109971146B/zh
Publication of KR20190078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경통 부재는 렌즈의 외주를 감싸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경통; 및 상기 경통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경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75 중량%, 유리 섬유 20 내지 45 중량%, 폴리올레핀계 왁스 0.5 내지 3 중량%; 및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왁스 및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조성물 중 중량비가 1 : 0.3 내지 1 : 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통 부재는 마찰 계수가 낮고, 강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경통 부재{LENS BARREL MEMBER}
본 발명은 경통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마찰 계수가 낮고, 강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경통 부재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CCTV 등의 경통 부재는 렌즈를 보호하고 렌즈를 기기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경통에 렌즈가 삽입되고 작동하기 위해서는 경통의 진원도(out of roundness)가 우수하여야 하며,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과 내충격성 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또한, 경통 부재는 경통에 하우징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데, 경통과 하우징이 암수 나사선을 통해 결합될 경우, 소재의 마찰 계수가 높으면 조립이 원활하지 않고, 초점을 잡는 등 제품의 구동 과정에서 과도한 구동력, 소음, 분진 등을 야기하여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기존에 경통 부재의 강성 등을 향상시키 위하여, 유리 섬유를 적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등이 제안되었으나, 이는 마찰 계수가 높고, 섬유 배향에 의해 진원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경통 부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의 마찰 계수가 낮고, 강성, 치수 안정성(진원도) 등이 우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 공개특허 2010-01509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찰 계수가 낮고, 강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경통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관 품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뛰어난 경통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경통 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경통 부재는 렌즈의 외주를 감싸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경통; 및 상기 경통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경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75 중량%, 유리 섬유 20 내지 45 중량%, 폴리올레핀계 왁스 0.5 내지 3 중량%; 및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왁스 및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조성물 중 중량비가 1 : 0.3 내지 1 : 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경통과 상기 하우징은 암수 나사선을 통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 내지 40,000 g/mol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는 우레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유리 섬유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왁스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 내지 10,000 g/mol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불소계 올레핀 수지와 방향족 비닐계 수지의 마스터 배치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경통은 ASTM D1894에 의거하여 측정한 정지마찰계수가 0.1 내지 0.4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경통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시편을 사용하여 5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인장강도가 100 내지 130 MPa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경통은 하기 식 1에 따라 산출한 진원도(내경 최장 길이 및 내경 최단 길이의 차이)가 90 ㎛ 이하일 수 있다.
[식 1]
진원도 = 내경 최장 길이 - 내경 최단 길이
상기 식 1에서, 상기 내경 최장 길이 및 내경 최단 길이는 상기 조성물을 길이 50 mm, 내경 30 mm, 두께 2 mm의 원통형 금형을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20℃, 금형 온도 70℃에서 사출 성형 후, 상온에서 24시간 에이징하여 제조한 원통형 시편의 내경을 진원도 측정 장치로 시편 전체 길이 50 mm에 대해 측정하여 얻은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경통 부재는 핸드폰 카메라, CCTV,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찰 계수가 낮고, 강성, 치수 안정성(진원도)이 우수하며, 외관 품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뛰어난 경통 부재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경통 부재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경통 부재는 경통(20); 및 상기 경통(2))을 수용하는 하우징(30);을 포함한다. 상기 경통(20)은 렌즈(10)의 외주를 감싸며 하우징(30)에 암수 나사선을 통해 결합된다.
구체예에서, 상기 경통(20)은 하기 설명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유리 섬유; (C) 폴리올레핀계 왁스; 및 (D)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통상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페놀류(방향족 디올 화합물)를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탄산 디에스테르 등의 전구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디페놀류로는 4,4'-비페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 라고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분지쇄가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류 전체에 대하여, 0.05 내지 2 몰%의 3가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구체적으로,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호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컨대 2관능 카르복실산의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 내지 40,000 g/mol, 예를 들면, 22,000 내지 35,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조성물의 내충격성,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조성물 전체 100 중량% 중 50 내지 75 중량%, 예를 들면 55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상기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충분한 내충격성 및 성형성을 얻을 수 없다.
(B) 유리 섬유
본 발명의 유리 섬유는 경통의 강성, 치수 안정성 등을 향상시키고, 마찰 계수를 낮출 수 있는 것으로서, 표면 처리제(sizing agent)로 표면 처리된 유리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는 평균 직경이 8 내지 20 ㎛, 예를 들면 9 내지 15 ㎛이고, 평균 길이가 2 내지 4 mm인 통상의 유리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유리 섬유의 평균 직경 및 평균 길이가 상기 범위인 경우 압출기에 투입하는 것이 용이하며 강성 향상 효과도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섬유는 단면이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아령 모양의 유리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단면이 원형인 유리 섬유는 단면의 종횡비가 1 일 수 있다. 종횡비란 유리 섬유의 단면에서 가장 작은 직경에 대한 가장 긴 직경의 비율로 정의된다. 단면이 타원형인 유리 섬유는 단면의 종횡비가 1 초과의 값을 가진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는 표면 처리제로 우레탄계 화합물이 적용된 것으로서, 우레탄계 화합물로는 통상적으로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우레탄계 화합물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리 섬유에 우레탄계 화합물을 표면 처리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는 조성물 전체 100 중량% 중 20 내지 45 중량%, 예를 들면 2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경통의 내충격성, 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4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마찰 계수가 높아지고, 치수 안정성, 외관 품질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C) 폴리올레핀계 왁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왁스는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적용되어, 경통의 마찰 계수를 낮추고, 치수 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왁스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 내지 10,000 g/mol, 예를 들면 1,000 내지 8,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경통의 마찰 계수를 낮추고, 치수 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왁스로는 폴리에틸렌 왁스, 고밀도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왁스는 조성물 전체 100 중량% 중 0.5 내지 3 중량%, 예를 들면 0.7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왁스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 경통의 마찰 계수가 높아지고, 치수 안정성, 외관 품질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3 중량%를 초과할 경우,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D)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
본 발명의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왁스와 함께 적용되어, 경통의 마찰 계수를 낮추고, 치수 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이들의 조합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공지의 중합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암모늄 퍼옥시디설페이트 등의 자유 라디칼 형성 촉매가 들어있는 수성 매질 내에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에멀젼(emulsion) 형태, 분말(powder) 형태 또는 다른 수지와 블렌딩한 마스터배치(masterbatch)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불소계 올레핀 수지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등의 방향족 비닐계 수지의 마스터배치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조성물 전체 100 중량% 중 0.5 내지 3 중량%, 예를 들면 0.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 경통의 마찰 계수가 높아지고, 치수 안정성, 외관 품질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3 중량%를 초과할 경우,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왁스(C) 및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D)는 조성물 중 중량비(C:D)가 1 : 0.3 내지 1 : 3, 예를 들면 1 : 0.5 내지 1 : 2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를 벗어날 경우, 경통의 마찰 계수가 높아지고, 치수 안정성, 외관 품질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이형제, 가소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난연제, 난연보조제, 산화방지제, 충진제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통(20)은 상기 조성물을 사출 성형, 압출 성형, 진공 성형, 캐스팅 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경통은 ASTM D1894에 의거하여 측정한 정지마찰계수가 0.1 내지 0.4, 예를 들면 0.2 내지 0.35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경통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시편을 사용하여 5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인장강도가 100 내지 130 MPa, 예를 들면 105 내지 125 MPa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경통은 하기 식 1에 따라 산출한 진원도(내경 최장 길이 및 내경 최단 길이의 차이)가 90 ㎛ 이하, 예를 들면 70 내지 89 ㎛일 수 있다.
[식 1]
진원도 = 내경 최장 길이 - 내경 최단 길이
상기 식 1에서, 상기 내경 최장 길이 및 내경 최단 길이는 상기 조성물을 길이 50 mm, 내경 30 mm, 두께 2 mm의 원통형 금형을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20℃, 금형 온도 70℃에서 사출 성형 후, 상온에서 24시간 에이징하여 제조한 원통형 시편의 내경을 진원도 측정 장치(제조사: Mitutoyo, 모델명: Roundtest RA-2200)로 시편 전체 길이 50 mm에 대해 측정하여 얻은 것이다.
본 발명의 경통 부재는 핸드폰 카메라, CCTV,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량평균분자량(Mw)이 24,000 g/mol인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제조사: 롯데첨단소재)를 사용하였다.
(B) 유리 섬유
(B1) 우레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원형 단면 유리 섬유(제조사: Nitto Boseki, 제품명: CSF 3PE-455W)를 사용하였다.
(B2) 우레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직사각형 단면 유리 섬유(제조사: Nitto Boseki, 제품명: CSG 3PA-832)를 사용하였다.
(B3) 표면 처리되지 않은 원형 단면 유리 섬유(제조사: Owens Corning, 제품명: 415-14C)를 사용하였다.
(B4) 에폭시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원형 단면 유리 섬유(제조사: Owens Corning, 제품명: CS 185F-4P)를 사용하였다.
(C) 폴리올레핀계 왁스
중량평균분자량이 1,100 g/mol인 폴리에틸렌 왁스(제조사: 코스켐, 제품명: CS-14NJ)를 사용하였다.
(D)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
(D1)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제조사: Daikin Industries, 제품명: FA-500)을 사용하였다.
(D2)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함량이 50 중량%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의 마스터배치(제조사: 퍼시픽인터켐 제품명: Poly TS 30A)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9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 및 2 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혼합 후 압출기에 투입 및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바렐 온도는 280℃로 설정하였다. 제조된 펠렛은 10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실린더 온도 300 내지 320℃에서 사출성형기로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들 시편은 23℃, 상대습도 50%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정지마찰계수: ASTM D1894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단위: MPa): ASTM D638에 의거하여, 5 mm/min의 속도로 3.2 mm 두께 시편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3) 진원도(단위: ㎛): 하기 식 1에 따라, 내경 최장 길이 및 내경 최단 길이의 차이를 산출하였다.
[식 1]
진원도 = 내경 최장 길이 - 내경 최단 길이
상기 식 1에서, 상기 내경 최장 길이 및 내경 최단 길이는 상기 조성물을 길이 50 mm, 내경 30 mm, 두께 2 mm의 원통형 금형을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20℃, 금형 온도 70℃에서 사출 성형 후, 상온(23℃)에서 24시간 에이징하여 제조한 원통형 시편의 내경을 진원도 측정 장치(제조사: Mitutoyo Corporation, 모델명: Roundtest RA-2200)로 시편 전체 길이 50 mm에 대해 측정하여 얻은 것이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A) (중량%) 68 68 68 68 58 58 68 68
(B) (중량%) (B1) 30 - 30 - 40 - 30 30
(B2) - 30 - 30 - 40 - -
(B3) - - - - - - - -
(B4) - - - - - - - -
(C) (중량%) 1 1 1 1 1 1 0.7 1.3
(D) (중량%) (D1) 1 1 - - 1 1 1.3 0.7
(D2) - - 1 1 - - - -
정지마찰계수 0.28 0.25 0.30 0.23 0.33 0.30 0.25 0.31
인장 강도 (MPa) 110 108 107 105 120 117 106 105
진원도 (㎛) 88 81 86 80 85 76 87 88
비교예
1 2 3 4 5 6 7 8 9
(A) (중량%) 68 68 69 69 64 64 70 83 38
(B) (중량%) (B1) - - 30 30 30 30 30 15 60
(B2) - - - - - - - - -
(B3) 30 - - - - - - - -
(B4) - 30 - - - - - - -
(C) (중량%) 1 1 - 1 5 1 - 1 1
(D) (중량%) (D1) 1 1 1 - 1 5 - 1 1
(D2) - - - - - - - - -
정지마찰계수 0.51 0.32 0.42 0.44 0.33 압출 불가 0.53 0.28 압출 불가
인장 강도 (MPa) 70 115 112 108 80 115 63
진원도 (㎛) 131 113 97 95 90 103 86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경통)은 정지마찰계수가 0.33 이하로 낮고, 강성, 치수 안정성(진원도) 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우레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유리 섬유 (B1) 및 (B2) 대신에 표면 처리되지 않은 유리 섬유 (B3)를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정지마찰계수가 높아, 경통 부재의 조립, 구동 등이 원활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강성 및 치수 안정성(진원도)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에폭시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유리 섬유 (B4)를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치수 안정성(진원도)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왁스(C) 및/또는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D)를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3, 4 및 7의 경우, 치수 안정성 등이 저하되고, 정지마찰계수가 높아, 경통 부재의 조립, 구동 등이 원활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왁스(C)가 과량 사용될 경우(비교예 5), 인장 강도(강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D)가 과량 사용될 경우(비교예 6), 압출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유리 섬유의 함량이 부족할 경우(비교예 8), 인장 강도(강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유리 섬유가 과량 사용될 경우(비교예 9), 압출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1)

  1. 렌즈의 외주를 감싸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경통; 및
    상기 경통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경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75 중량%, 유리 섬유 20 내지 45 중량%, 폴리올레핀계 왁스 0.5 내지 3 중량%, 및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왁스 및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조성물 중 중량비가 1 : 0.3 내지 1 : 3이며,
    상기 경통은 ASTM D1894에 의거하여 측정한 정지마찰계수가 0.1 내지 0.4이고, ASTM D638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시편을 사용하여 5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인장강도가 100 내지 130 MPa이며, 하기 식 1에 따라 산출한 진원도(내경 최장 길이 및 내경 최단 길이의 차이)가 9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통 부재:
    [식 1]
    진원도 = 내경 최장 길이 - 내경 최단 길이
    상기 식 1에서, 상기 내경 최장 길이 및 내경 최단 길이는 상기 조성물을 길이 50 mm, 내경 30 mm, 두께 2 mm의 원통형 금형을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20℃, 금형 온도 70℃에서 사출 성형 후, 상온에서 24시간 에이징하여 제조한 원통형 시편의 내경을 진원도 측정 장치로 시편 전체 길이 50 mm에 대해 측정하여 얻은 것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과 상기 하우징은 암수 나사선을 통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통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 내지 4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통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는 우레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유리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통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왁스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 내지 1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통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통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 올레핀계 수지는 불소계 올레핀 수지와 방향족 비닐계 수지의 마스터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통 부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 부재는 핸드폰 카메라, CCTV,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카메라에 적용되는 것인 경통 부재.
KR1020170180639A 2017-12-27 2017-12-27 경통 부재 KR102039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639A KR102039805B1 (ko) 2017-12-27 2017-12-27 경통 부재
US16/232,209 US11002938B2 (en) 2017-12-27 2018-12-26 Lens barrel member
CN201811599453.5A CN109971146B (zh) 2017-12-27 2018-12-26 镜筒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639A KR102039805B1 (ko) 2017-12-27 2017-12-27 경통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889A KR20190078889A (ko) 2019-07-05
KR102039805B1 true KR102039805B1 (ko) 2019-11-01

Family

ID=6695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639A KR102039805B1 (ko) 2017-12-27 2017-12-27 경통 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02938B2 (ko)
KR (1) KR102039805B1 (ko)
CN (1) CN1099711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560B1 (ko) * 2019-12-20 2023-06-2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경통 부재
US11531145B2 (en) * 2020-03-09 2022-12-20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Device for an image acquisi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7531B2 (ja) * 2006-03-17 2013-07-17 出光興産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014214181A (ja) * 2013-04-23 2014-11-17 帝人株式会社 導電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7531B2 (ko) 1973-09-03 1977-09-22
EP0841043A3 (de) * 1996-11-06 2000-04-12 Otto Bock Orthopädische Industrie Besitz- und Verwaltungs-Kommanditgesellschaft Orthopädische Klemmverbindung
DE69922626T2 (de) 1998-10-09 2005-12-22 Teijin Chemicals Ltd. Harzzusammensetzung
KR100813233B1 (ko) * 2006-02-06 2008-03-13 삼성전기주식회사 내마모성이 향상된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197056A (ja) * 2008-02-19 2009-09-03 Teijin Chem Ltd 導電性樹脂成形用材料
JP2010015091A (ja) 2008-07-07 2010-01-21 Teijin Chem Ltd ガラス繊維強化樹脂組成物からなる鏡筒
JP5524463B2 (ja) 2008-09-04 2014-06-18 帝人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難燃性樹脂組成物からなる鏡筒
JP2010275346A (ja) 2009-05-26 2010-12-09 Teijin Chem Ltd ガラス繊維強化樹脂組成物
JP5750402B2 (ja) 2011-06-10 2015-07-22 ユーエムジー・エービーエス株式会社 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CN103467757B (zh) 2013-09-30 2015-08-12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纤维增强热塑性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60075085A (ko) 2014-12-19 2016-06-2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7531B2 (ja) * 2006-03-17 2013-07-17 出光興産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014214181A (ja) * 2013-04-23 2014-11-17 帝人株式会社 導電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71146B (zh) 2021-12-03
CN109971146A (zh) 2019-07-05
US11002938B2 (en) 2021-05-11
US20190196133A1 (en) 2019-06-27
KR20190078889A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3178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成形品
KR102039805B1 (ko) 경통 부재
US10745554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JP6897863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
KR102165061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07246824A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4951835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170533B1 (ko) 폴리카보네이트 난연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난연 필름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난연 필름
US20240084130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20240084129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KR20190013745A (ko)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2141727B1 (ko) 경통부재
KR10249334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제품
JP2016107611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S6253801B2 (ko)
US10501623B2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JP7053199B2 (ja)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EP3910015A1 (en) 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optical product formed therefrom
JP5370447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20200036632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547560B1 (ko) 경통 부재
TWI695862B (zh) 聚碳酸酯樹脂組成物及含彼之光學模製產品
JPS612750A (ja) ポリカ−ボネ−ト樹脂組成物
KR102549457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US20110245394A1 (en) Aromatic polysulfo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