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072B1 - 에어 커튼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커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072B1
KR102056072B1 KR1020190023991A KR20190023991A KR102056072B1 KR 102056072 B1 KR102056072 B1 KR 102056072B1 KR 1020190023991 A KR1020190023991 A KR 1020190023991A KR 20190023991 A KR20190023991 A KR 20190023991A KR 102056072 B1 KR102056072 B1 KR 102056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urtain
case
compressed air
gat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직
Priority to KR1020190023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7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using more than one jet or band in the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커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게이트(gate)에 에어 커튼(air curtain)이 형성되도록 상기 게이트를 향해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압축공기 분사구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의 일측 벽 또는 천장에 배치되되 복수 개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사용 가능한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 및 소정의 컨트롤 신호를 기초로 해서 상기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을 전체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 커튼 장치{AIR CURTAIN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 커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의 단위를 이루는 에어 커튼 유닛을 필요한 수만큼 좌우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게이트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에어 커튼 유닛들의 전체 또는 개별 컨트롤이 가능해서 에어 커튼에 의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에어 커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 커튼 장치(혹은 에어 커튼)는 게이트(gate)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주로 위에서 아래로 압축공기를 분출시키고 흡입구를 아래쪽에 설치하여 공기 유막을 만들어 줌으로써 게이트의 바깥쪽과 안쪽을 차단하는 설비를 일컫는다.
에어 커튼 장치는 출입자의 몸에 묻은 먼지를 털어내는 역할과 더불어 게이트의 개방 시 게이트를 통해 벌레나 이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 커튼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갖지만, 효과가 뛰어나서 실험실이나 연구실, 혹은 상점 등의 게이트에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에어 커튼 장치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59324호 등에 널리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문헌을 비롯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에어 커튼 장치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라서 사용상의 확장성이 떨어지며, 또한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게이트의 상부 또는 측부 설치의 선택에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에어 커튼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593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단위를 이루는 에어 커튼 유닛을 필요한 수만큼 좌우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게이트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에어 커튼 유닛들의 전체 또는 개별 컨트롤이 가능해서 에어 커튼에 의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에어 커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게이트(gate)에 에어 커튼(air curtain)이 형성되도록 상기 게이트를 향해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압축공기 분사구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의 일측 벽 또는 천장에 배치되되 복수 개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사용 가능한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 및 소정의 컨트롤 신호를 기초로 해서 상기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을 전체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커튼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에어 커튼 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되 상기 게이트의 일측 벽 또는 천장에 접하는 부위가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공기 분사구가 형성되는 면이 곡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구를 향해 압축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과 연결되며, 상기 송풍팬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동작을 위해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되 컨트롤러와 상호작용하는 개별 PC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프로펠러팬이고, 상기 모터는 BLDC모터 또는 AC모터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게이트의 일측 벽 또는 천장에 접하는 평면형 아웃 케이스; 상기 평면형 아웃 케이스의 리브들에 결합되는 제1 이너 프레임; 상기 평면형 아웃 케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평면형 아웃 케이스와 함께 평면을 이루는 제1 아웃 프레임; 상기 평면형 아웃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압축공기 분사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평면형 아웃 케이스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외관의 일 부분이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형 아웃 케이스; 상기 곡면형 아웃 케이스의 리브들에 결합되는 제2 이너 프레임; 상기 곡면형 아웃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 아웃 프레임; 및 상기 평면형 아웃 케이스, 상기 곡면형 아웃 케이스, 상기 제1 및 제2 아웃 프레임의 양 사이드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프레임 사이를 연결해서 압축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되 내부에 상기 모터가 배치되는 덕트;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인렛 가드(INLET GUARD); 상기 압축공기 분사구에 결합되는 아웃렛 가드(OUTLET GUARD); 및 상기 덕트 내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복수의 모터 픽스 레그(MOTOR FIX LE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압축공기 분사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에서 불어오는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 분사구로 가이드하는 내부 은닉형 호퍼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의 단위를 이루는 에어 커튼 유닛을 필요한 수만큼 좌우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게이트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에어 커튼 유닛들의 전체 또는 개별 컨트롤이 가능해서 에어 커튼에 의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커튼 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로서 셔터와 상호작용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의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에어 커튼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에어 커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들이 제 1,2 아웃 프레임과, 제 1,2 이너 프레임과, 압축공기 분사구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들이 제 1,2 아웃 프레임과, 제 1,2 이너 프레임과, 압축공기 분사구와 결합된 상태를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곡면형 아웃케이스(상부)(하부)와, 사이드 캡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커튼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커튼 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로서 셔터와 상호작용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5는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의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시도와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8은 에어 커튼 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에어 커튼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들이 제 1,2 아웃 프레임과, 제 1,2 이너 프레임과, 압축공기 분사구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들이 제 1,2 아웃 프레임과, 제 1,2 이너 프레임과, 압축공기 분사구와 결합된 상태를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서 곡면형 아웃케이스(상부)(하부)와, 사이드 캡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커튼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커튼 장치는 장치의 단위를 이루는 에어 커튼 유닛(100)을 필요한 수만큼 좌우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게이트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에어 커튼 유닛(100)들의 전체 또는 개별 컨트롤이 가능해서 에어 커튼에 의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커튼 장치는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100)과, 소정의 컨트롤 신호를 기초로 해서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100)을 전체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커튼 유닛(100)은 장치의 단위를 이루는 유닛이다. 모든 에어 커튼 유닛(100)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에어 커튼 유닛(100)에는 게이트(gate)에 에어 커튼(air curtain, 도 4 참조)이 형성되도록 게이트를 향해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압축공기 분사구(101)가 일측에 형성된다. 도 4처럼 게이트에 에어 커튼이 형성되면 공기 유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출입자의 몸에 묻은 먼지를 털어내는 역할과 더불어 게이트의 개방 시 게이트를 통해 벌레나 이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어 커튼 유닛(100)은 게이트의 일측 벽 또는 천장에 배치되되 복수 개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본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 커튼 유닛(100)은 설치환경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좌우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10개의 에어 커튼 유닛(100)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이의 수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에어 커튼 유닛(100)은 본 실시예의 도 1 내지 도 4처럼 처럼 별도의 셔터(1)와 함께 게이트의 좌우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게이트의 좌우에 에어 커튼 유닛(100)들이 모두 적용되고 있으나 게이트의 좌우 중 어느 한쪽에만 에어 커튼 유닛(100)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도면과 달리 게이트의 상부에 에어 커튼 유닛(100)들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로 동작되는 셔터(1)와 함께 게이트의 좌우에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100)이 적용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에어 커튼 유닛(100)들은 개별 PCB(135)에 의해 독자적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컨트롤러(160)에 의해 모든 에어 커튼 유닛(100)들이 동시에 동작될 수도 있고, 혹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차례로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에어 커튼 유닛(100)은 외관을 형성하되 게이트의 일측 벽 또는 천장에 접하는 부위가 평면을 형성하고 압축공기 분사구(101)가 형성되는 면이 곡면을 형성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 내에 마련되며, 압축공기 분사구(101)를 향해 압축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120)과, 송풍팬(120)과 연결되며, 송풍팬(120)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130)를 포함한다. 모터(130)의 동작을 위해 케이스(110) 내에는 컨트롤러(160)와 상호작용하는 개별 PCB(135)가 마련된다.
케이스(110)는 여러 부품의 조립으로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10)는 벽과 인접된 부위는 평면이고 노출되는 쪽은 완만한 곡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 대의 에어 커튼 유닛(100)이 연결되어 시공될 경우,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안전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10)는 게이트의 일측 벽 또는 천장에 접하며, 외관의 일 부분이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111)와,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111)와 연결되고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111)와 함께 평면을 이루는 제1 아웃 프레임(113)과,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111)의 리브(111a)들에 결합되는 제1 이너 프레임(116)과,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111)와의 사이에 압축공기 분사구(101)가 형성되도록 곡면형 아웃 케이스(111)(하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외관의 일 부분이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형 아웃 케이스(상부)(112)와, 곡면형 아웃 케이스(상부)(112)의 리브(112a)들에 결합되는 제2 이너 프레임(117)과, 곡면형 아웃 케이스(상부)(112)에 결합되는 제2 아웃 프레임(114)과,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111), 곡면형 아웃 케이스(상부)(112), 그리고 제1 및 제2 아웃 프레임(114)의 양 사이드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캡(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케이스(110)는 여러 부품, 특히 압출로 제작되는 여러 부품의 조립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방식이 적용됨으로써 제작이 편리해지고 유지보수가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케이스(110) 내에 전술한 송풍팬(120)과 모터(130)를 비롯해서 이들의 컨트롤을 위한 개별 PCB(135)가 탑재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송풍팬(120)으로서 프로펠러팬이 적용되고 모터(130)로서 BLDC모터(130) 또는 AC모터가 적용되기 때문에 강력한 풍량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모터(13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된 형태라서 모터(130) 보호에 유리하다.
케이스(110) 내에는 송풍팬(120)을 지지하되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베이스 프레임(141,142)이 마련된다.
제1 및 제2 베이스 프레임(141,142) 사이에는 제1 및 제2 베이스 프레임(141,142)을 연결해서 압축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143)가 연결된다. 덕트(143) 내에 모터(130)가 배치된다. 덕트(143) 내에는 복수의 모터 픽스 레그(MOTOR FIX LEG, 146)가 마련되어 모터(130)를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지지한다.
제1 베이스 프레임(141)과 압축공기 분사구(101) 사이에는 내부 은닉형 호퍼(150)가 배치된다. 내부 은닉형 호퍼(150)는 송풍팬(120)에서 불어오는 압축공기를 덕트(143)를 통해 압축공기 분사구(101)로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내부 은닉형 호퍼(150)가 케이스(110) 내에 배치되는 형태라서 외관이 콤팩트해지는 이점이 있다.
제2 베이스 프레임(142)에는 인렛 가드(INLET GUARD, 144)가 결합되고, 압축공기 분사구(101)에는 아웃렛 가드(OUTLET GUARD, 145)가 결합된다. 인렛 가드(144)와 아웃렛 가드(145)는 공기의 흐름은 그대로 형성시키되 큰 부피의 이물이 출입되는 것을 저지시킨다.
한편, 컨트롤러(160)는 소정의 컨트롤 신호를 기초로 해서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100)을 전체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에어 커튼 유닛(100)들이 게이트의 좌우에 설치되는 한편 그 사이에 상하 동작되는 셔터(1)가 적용될 경우, 셔터(1)가 닫힌 상태에서 밑에서부터 열릴 때 컨트롤러(160)는 에어 커튼 유닛(100)들이 셔터(1)가 열리는 밑에서부터 위로 단계적으로 동작하도록 컨트롤할 수 있는데, 그러면 셔터(1)가 완전히 열릴 때까지 게이트를 통해 벌레나 이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이면서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60)는 중앙처리장치(161, CPU), 메모리(16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61)는 본 실시예에서 소정의 컨트롤 신호를 기초로 해서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100)을 전체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6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61)와 연결된다. 메모리(16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6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6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60)는 소정의 컨트롤 신호를 기초로 해서 복수의 에어 커튼 유닛(100)을 전체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의 단위를 이루는 에어 커튼 유닛(100)을 필요한 수만큼 좌우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게이트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에어 커튼 유닛(100)들의 전체 또는 개별 컨트롤이 가능해서 에어 커튼에 의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커튼 장치는 도 8, 9에서와 같은 에어 커튼 유닛들을 이용하여 다수 좌우방향으로 연결되어진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인데, 도 10, 11에서 도 12의 순서로 조립되어진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에어 커튼 유닛들이 좌우방향으로 연결되어진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2 베이스프레임(141)(142)과, 상기 곡면형 아웃케이스(상부)(하부)(112)(113)와, 상기 압축 공기 분사구(101)와, 상기 제 1,2 이너프레임(116)(117)과, 상기 제 1,2 아웃프레임(113)(114)은 모두 좌우방향으로 연결되어진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각각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기 제 1 베이스프레임(141)과 제 2 베이스프레임(142)은 전후방향으로 대향 위치하고 그 사이에는 상기 덕트(143)들이 좌우 등간격으로 결합됨으로써, 공기흐름이 전후의 직선방향으로 원활히 형성되어진다.
상기 내부 은익형 호퍼(150)는 제1 베이스 프레임(141)과 압축공기 분사구(101) 사이에 배치되는데, 개개의 송풍팬(120)으로부터의 바람이 충돌을 일으키지않도록, 각 에어 커튼 유닛(100)들의 경계에 설치되어야한다.
본 발명에서는 외기가 송풍팬쪽으로 공급될 시 벌레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지않도록 하기 위해 필터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덕트(143)의 공기 흡입측에는 필터(147)가 부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필터(147)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렛 가드(144) 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다수를 좌우로 연결하고 그 경계부엔 필터 가드(148)를 고정해줌으로써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 셔터 100 : 에어 커튼 유닛
101 : 압축공기 분사구 110 : 케이스
111 :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 112 : 곡면형 아웃 케이스(상부)
113 : 제1 아웃 프레임 114 : 제2 아웃 프레임
115 : 사이드 캡 116 : 제1 이너 프레임
117 : 제2 이너 프레임 120 : 송풍팬
130 : 모터 135 : 개별 PCB
141 : 제1 베이스 프레임 142 : 제2 베이스 프레임
143 : 덕트 144 : 인렛 가드
145 : 아웃렛 가드 146 : 모터 픽스 레그
147 : 필터 148 : 필터 가드
150 : 내부 은닉형 호퍼 160 : 컨트롤러

Claims (6)

  1. 게이트(gate)에 에어 커튼(air curtain)이 형성되도록, 상하 개폐되는 게이트의 좌우에는 에어커튼 유닛들이 상하방향으로 여러개 배열되고 압축공기 분사구들은 모두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되는데,
    상기 에어 커튼 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되 상기 게이트의 일측 벽 또는 천장에 접하는 부위가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공기 분사구가 형성되는 면이 곡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구를 향해 압축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과 연결되며, 상기 송풍팬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동작을 위해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되 컨트롤러와 상호작용하는 개별 PCB를 포함하며,
    게이트의 좌우에 상하방향으로 여러개 배열되어진 에어커튼 유닛들은 개별 컨트롤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게이트가 오픈된 영역에 대해서만 압축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게이트가 하단부터 개방될 시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하단에 위치한 에어커튼 유닛부터 송풍팬이 순차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게이트가 상단부터 닫힐때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단에 위치한 에어커튼 유닛부터 송풍팬이 순차적으로 작동 중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커튼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프로펠러팬이고, 상기 모터는 BLDC모터 또는 AC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커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게이트의 일측 벽 또는 천장에 접하며, 외관의 일 부분이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
    상기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의 리브들에 결합되는 제1 이너 프레임;
    상기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와 함께 평면을 이루는 제1 아웃 프레임;
    상기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와의 사이에 상기 압축공기 분사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외관의 일 부분이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형 아웃 케이스(상부);
    상기 곡면형 아웃 케이스(상부)의 리브들에 결합되는 제2 이너 프레임;
    상기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에 결합되는 제2 아웃 프레임;
    상기 곡면형 아웃 케이스(상부), 상기 곡면형 아웃 케이스(하부), 상기 제1 및 제2 아웃 프레임의 양 사이드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캡;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프레임 사이를 연결해서 압축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되 내부에 상기 모터가 배치되는 덕트;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인렛 가드(INLET GUARD);
    상기 압축공기 분사구에 결합되는 아웃렛 가드(OUTLET GUARD);
    상기 덕트 내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복수의 모터 픽스 레그(MOTOR FIX LEG); 및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압축공기 분사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에서 불어오는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 분사구로 가이드하는 내부 은닉형 호퍼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에어 커튼 유닛들이 좌우방향으로 연결되어진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2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곡면형 아웃케이스(상부)(하부)와, 상기 압축 공기 분사구와, 상기 제 1,2 이너프레임과, 상기 제 1,2 아웃프레임은 모두 좌우방향으로 연결되어진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각각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기 제 1 베이스프레임과 제 2 베이스프레임은 전후방향으로 대향 위치하고 그 사이에는 상기 덕트들이 좌우 등간격으로 결합됨으로써, 공기흐름이 전후의 직선방향으로 원활히 형성되고,
    덕트와 함께 모터 및 송풍팬의 위치, 풍향 및 유속이 모두 일정하게됨으로써 항상 균일한 유량 흐름이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커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공기 흡입측에는 필터가 부가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커튼 장치.
  6. 삭제
KR1020190023991A 2019-02-28 2019-02-28 에어 커튼 장치 KR102056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91A KR102056072B1 (ko) 2019-02-28 2019-02-28 에어 커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91A KR102056072B1 (ko) 2019-02-28 2019-02-28 에어 커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072B1 true KR102056072B1 (ko) 2019-12-17

Family

ID=69056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991A KR102056072B1 (ko) 2019-02-28 2019-02-28 에어 커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0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0213A (zh) * 2020-07-31 2020-10-16 山西得然环境科技有限公司 高大厂房供暖系统
KR102438951B1 (ko) * 2021-09-08 2022-09-02 김경숙 Bldc 모터를 적용한 에어커튼
KR102494098B1 (ko) * 2021-10-19 2023-01-31 윤상근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301B1 (ko) * 2007-11-09 2009-04-24 김성호 상하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에어커튼 유닛
JP2015073788A (ja) * 2013-10-10 2015-04-20 近藤 次夫 送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301B1 (ko) * 2007-11-09 2009-04-24 김성호 상하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에어커튼 유닛
JP2015073788A (ja) * 2013-10-10 2015-04-20 近藤 次夫 送風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0213A (zh) * 2020-07-31 2020-10-16 山西得然环境科技有限公司 高大厂房供暖系统
CN111780213B (zh) * 2020-07-31 2024-01-02 山西得然环境科技有限公司 高大厂房供暖系统
KR102438951B1 (ko) * 2021-09-08 2022-09-02 김경숙 Bldc 모터를 적용한 에어커튼
KR102494098B1 (ko) * 2021-10-19 2023-01-31 윤상근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072B1 (ko) 에어 커튼 장치
CN111971512B (zh) 主动气流抑制设备
KR20170057028A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0464937Y1 (ko) 수직형 에어 커튼 장치
JP6978291B2 (ja) クリーンブース
JP2008275233A (ja) 温調用ブース
JP2010121830A (ja) エアシャワー装置
JP5199330B2 (ja) 喫煙室と壁部材
KR20120111246A (ko) 선박용 소음 저감 배기덕트
JP2009513923A (ja) 複数のクリーンルームの運転方法
JP2006288282A (ja) 喫煙室換気方法および喫煙室と壁部材
US5834713A (en) Fresh air supplying system for elevator
KR20090107980A (ko) 에어커튼
JP2001033072A (ja) 換気システム
KR20160069205A (ko) 환기용 모니터
KR200407992Y1 (ko) 기둥덕트 분사형 에어샤워장치
KR20140052258A (ko) 문틀형 에어커텐
JP2009097789A (ja) 浴室換気装置
JP6251655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
JP7495415B2 (ja) 通気システムを備える可動キャビン及びその通気方法
JP6964221B2 (ja) 送風装置
JP2952319B2 (ja) 浴室の換気装置と換気扇
JP6941885B2 (ja) エアカーテンユニット
KR101996430B1 (ko) 환기용 모니터
JP2022517379A (ja) 通気システムを備える可動キャビン及びその通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