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098B1 -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 - Google Patents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098B1
KR102494098B1 KR1020210139565A KR20210139565A KR102494098B1 KR 102494098 B1 KR102494098 B1 KR 102494098B1 KR 1020210139565 A KR1020210139565 A KR 1020210139565A KR 20210139565 A KR20210139565 A KR 20210139565A KR 102494098 B1 KR102494098 B1 KR 102494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air
filter
bldc moto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근
박윤재
Original Assignee
윤상근
박윤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근, 박윤재 filed Critical 윤상근
Priority to KR1020210139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5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combined with a d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LDC 모터 별로 독립적인 회전 속도 제어, 동작 제어 및 각 BLDC 모터 별 팬의 회전 속도 체크를 통해 각 BLDC 모터 별로 상황 별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에어 필터 상태를 자동으로 판단한 결과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항시 에어 필터가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SMART AIR CURTAIN WITH BLDC MOTOR}
본 발명은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AC 모터 대비 높은 효율을 가지는 BLDC 모터를 적용하고, 각 BLDC 모터 별로 독립적인 회전 속도 제어, 동작 제어 및 각 BLDC 모터 별 팬의 회전 속도 체크를 통해 각 BLDC 모터 별로 상황 별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에어 필터 상태를 자동으로 판단한 결과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항시 에어 필터가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커튼은 실내 온도를 유지하고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상부에서 냉기를 하방으로 공급하여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커튼은 여름 또는 겨울철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온도 냉방 또는 난방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용된다.
한편, 종래의 에어커튼에 적용되는 회전 모터의 경우 AC 모터가 적용되는데, AC 모터는 비교적 회로 구조가 간단한 반면 실제 작동 성능 대비 열로써 소모되는 비중이 커서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교류 특성 상 기 설정된 단계 별 RPM 조절 외에, 모터의 미세한 RPM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에어커튼의 경우, 팬이 돌지 않는다거나, 과회전에 의해 모터 내 소자가 소손되어 타는 냄새가 발생하는 등 모터 작동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 각 모터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파악하여야 하며 실시간으로 이를 감지하여 알려줄 수 없어 사용 상 많은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9009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BLDC 모터 별로 독립적인 회전 속도 제어, 동작 제어 및 각 BLDC 모터 별 팬의 회전 속도 체크를 통해 각 BLDC 모터 별로 상황 별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에어 필터 상태를 자동으로 판단한 결과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항시 에어 필터가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100)은 에어커튼 몸체부 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BLDC 모터(110), 상기 하나 이상의 BLDC 모터(110)와 연결되며, 각 BLDC 모터(11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20), 상기 에어커튼 몸체부의 공기 유입구 및 공기 토출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 내 이물질을 1차 필터링하고,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내 이물질을 2차 필터링하는 에어 필터(130) 및 상기 에어 필터(130)의 상태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필터(130)는 상기 에어커튼 몸체부의 공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제1 에어 필터(131) 및 상기 에어커튼 몸체부의 공기 토출구에 설치되는 제2 에어 필터(132)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커튼 몸체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최초 설치 시 상기 제1 에어 필터(131)를 통해 유입되는 단위 면적당 공기 유입량과, 기 설정된 기간 경과 후 상기 제1 에어 필터(131)를 통해 유입되는 단위 면적당 공기 유입량 변화량을 토대로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고, 또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최초 설치 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를 통해 토출되는 단위 면적당 공기 유입량과, 기 설정된 기간 경과 후 상기 제2 에어 필터(132)를 통해 토출되는 단위 면적당 공기 토출량 변화량을 토대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오염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최초 설치 시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에 가하여 발생되는 진동수와, 기 설정된 기간 경과 후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에 가하여 발생되는 진동수 간의 변화량을 토대로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고, 또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최초 설치 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에 가하여 발생되는 진동수와, 기 설정된 기간 경과 후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에 가하여 발생되는 진동수 간의 변화량을 토대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오염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최초 설치 시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일측에 일정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도통 전류를 파악하고, 기 설정된 기간 경과 후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일측에 일정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도통 전류를 파악한 후 도통 전류 변화량을 토대로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고, 또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최초 설치 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일측에 일정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도통 전류를 파악하고, 기 설정된 기간 경과 후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일측에 일정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도통 전류를 파악한 후 도통 전류 변화량을 토대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오염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BLDC 모터를 적용함으로써 기존 AC 모터 대비 더욱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특히 각 BLDC 모터 별 팬의 회전 속도 체크를 통해 각 BLDC 모터 별로 상황 별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BLDC 모터 별로 독립적인 회전 속도 제어 및 동작 제어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동작센서 여부에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동작 상태를 수동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 필터 상태를 자동으로 판단한 결과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항시 에어 필터가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에서 공기 유입, 유출량 변화량을 토대로 제1 또는 제2 에어 필터(131, 132)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에서 진동수 변화량을 토대로 제1 또는 제2 에어 필터(131, 132)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에서 도통 전류 변화량을 토대로 제1 또는 제2 에어 필터(131, 132)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를 적용한 에어커튼(100)은 에어커튼 몸체부 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BLDC 모터(110), 제어부(120), 에어커튼 몸체부 내로 유입 또는 에어커튼 몸체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에어 필터(130) 및 에어 필터(130)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에어 필터 상태패악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하나 이상의 BLDC 모터(110)는 에어커튼 몸체부 내에 마련되며, 후술되는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BLDC 모터(110)는 방수 및 방수가 가능한 BMC 모터가 적용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방수, 방진 성능이 우수하고(IP66등급) 높은 방열효과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BMC(Bulk Molding Compound) 모터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1차적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충진제등을 니더기(kneader)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컴파운딩)한 후 2차적으로 그 원료에 6mm의 유리섬유를 함침하고 이를 일정기간 숙성하여 제조한다.
이에 따라 BMC 소재를 모터의 하우징으로 사용할 경우 선팽창계수가 적어서 치수안정성이 양호하며, 잔류응력이 작아서 모터의 하우징화가 용이하고, 이러한 소재를 하우징에 사용함에 따라 종래의 모터에 비해 저진동, 저소음으로 구동할 수 있고, 높은 안전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각각의 BLDC 모터(110) 내에는 각각 독립적인 PCB가 마련되며, 메인 PCB에 해당하는 제어부(120), 즉 MCU와 각 BLDC 모터(110)의 PCB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제어부(120)에서 인가되는 PWM 신호를 토대로 각 BLDC 모터(110) 내에 마련된 팬(FAN)의 인가 전압이 조정되며, 이를 토대로 각 팬의 회전속도가 개별적으로 세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각 BLDC 모터(110)에는 팬 동작을 위한 모터 구동 전압인 311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각 BLDC 모터(110) 내 PCB의 동작 전압인 15V의 전압이 추가로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모터의 회전속도는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각 팬에 인가되는 PWM 신호의 전압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BLDC 모터(110)와 연결되며, 각 BLDC 모터(11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각 BLDC 모터(110)에 PWM 신호를 인가하여 각 BLDC 모터(110) 내에 마련된 팬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각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점은 AC 모터와는 달리 각 팬의 회전속도를 아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다. 또한, AC 모터에서 요구하는 전압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BLDC 모터(110)는 낮은 소비전력으로 고효율의 출력을 낼 수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먼저 BLDC 모터(11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을 통해 회전속도 제어를 위한 신호가 제어부(120)에 인가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각 BLDC 모터(110)로 회전속도 제어를 위한 0V~5V의 전압값에 해당하는 PWM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BLDC 모터(110) 내 PCB는 인가된 PWM 신호의 전압값을 토대로, BLDC 모터(1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120)는 각각의 BLDC 모터(110)로부터 팬 회전에 따른 펄스(pulse)를 획득한 후, 각 BLDC 모터(110)에 인가되는 전압값 대비 획득된 펄스비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토대로, 각 BLDC 모터(110)의 동작 상태 및 에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BLDC 모터(110)에서 출력하는 펄스는 각 BLDC 모터(110)에 인가되는 전압값에 비례하여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각 BLDC 모터(110)에 인가되는 전압값 대비 획득된 펄스비가 기 설정된 기준치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해당 BLDC 모터(110)가 정상 동작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BLDC 모터(110)에 인가되는 전압값 대비 획득된 펄스비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20)는 해당 BLDC 모터(110)의 동작 상태에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LDC 모터(110)에 정상적으로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팬이 회전하지 않아 펄스가 제로 상태인 경우, 제어부(120)는 BLDC 모터(110) 자체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BLDC 모터(110)에 특정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팬의 회전속도가 지나치게 저RPM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BLDC 모터(110)의 팬에 이물질이 걸렸거나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팬의 회전속도가 지나치게 고RPM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제어부(120)는 BLDC 모터(110)의 팬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에어 필터(130)는 에어커튼 몸체부의 공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제1 에어 필터(131)와, 에어커튼 몸체부의 공기 토출구에 설치되는 제2 에어 필터(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에어 필터(131)는 에어커튼 몸체부의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 내 이물질을 1차로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고, 제2 에어 필터(132)는 에어커튼 몸체부의 공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 내 이물질을 2차로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에어 필터(131, 132)는 각각 에어커튼 몸체부로부터 탈착 분리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일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결합 방식으로 에어커튼 몸체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에이 필터(131)는 공기 내 이물질을 필터링함에 따라 이물질이 쌓이면서 오염될 수 있으며, 이는 원활한 공기 유입, 공기 토출을 방해하여 에어커튼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에어 필터 상태패악부(140)를 이용하여 에어 필터(130)의 이물질 쌓임 상태 혹은 오염 상태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에 따른 결과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제1 및 제2 에어 필터(131, 132) 각각의 오염 상태 파악을 위하여 크게 3가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단위 면적당 공기 유입, 유출량의 변화량, 진동수 변화량 또는 도통 전류 변화량을 토대로 제1 및 제2 에어 필터(131, 132) 각각의 오염 상태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먼저, 단위 면적당 공기 유입, 유출량의 변화량에 따른 오염 상태 파악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에서 공기 유입, 유출량 변화량을 토대로 제1 또는 제2 에어 필터(131, 132)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제1 및 제2 에어 필터(131, 132)가 에어커튼 몸체부에 최초로 설치 시 제1 에어 필터(131)를 통해 유입되는 단위 면적당 공기 유입량과, 제2 에어 필터(132)를 통해 토출되는 단위 면적당 공기 유출량을 우선 파악하여 저장한다(S201).
다음으로,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기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등) 경과 후 제1 에어 필터(131)를 통해 유입되는 단위 면적당 공기 유입량과, 제2 에어 필터(132)를 통해 토출되는 단위 면적당 공기 유출량을 다시 파악한다(S202).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최초 설치 시 제1 에어 필터(131)의 단위 면적당 공기 유입량과 기간 경과 후 제1 에어 필터(131)의 단위 면적당 공기 유입량을 서로 비교하여 단위 면적당 공기 유입량 변화량을 파악하고(S203), 기 설정된 임계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에어 필터(131)에 이물질이 많이 쌓여 공기 유입이 원활히 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여 제1 에어 필터(131)가 오염된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S204).
반대로, 기 설정된 임계 수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제1 에어 필터(131)에 이물질이 많이 쌓이지 않고 공기 유입이 원활히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여 제1 에어 필터(131)가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S205).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S204 단계를 통해 파악된 제1 에어 필터(131)의 오염 상태에 대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에게 제1 에어 필터(131)의 오염 상태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S206), 상태 메시지는 제1 에어 필터(131)의 교체 혹은 청소를 권장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최초 설치 시 제2 에어 필터(132)의 단위 면적당 공기 토출량과 기간 경과 후 제2 에어 필터(132)의 단위 면적당 공기 토출량을 서로 비교하여 단위 면적당 공기 토출량 변화량을 파악하고(S207), 기 설정된 임계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에어 필터(132)에 이물질이 많이 쌓여 공기 토출이 원활히 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여 제2 에어 필터(132)가 오염된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S208).
반대로, 기 설정된 임계 수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제2 에어 필터(132)에 이물질이 많이 쌓이지 않고 공기 토출이 원활히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여 제2 에어 필터(132)가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S209).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S208 단계를 통해 파악된 제2 에어 필터(132)의 오염 상태에 대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에게 제2 에어 필터(132)의 오염 상태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S210), 상태 메시지는 제2 에어 필터(132)의 교체 혹은 청소를 권장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진동수 변화량에 따른 오염 상태 파악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에서 진동수 변화량을 토대로 제1 또는 제2 에어 필터(131, 132)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제1 및 제2 에어 필터(131, 132)가 에어커튼 몸체부에 최초로 설치 시 제1 에어 필터(131)에 일정한 주기의 진동을 가하여 발생되는 진동수와, 제2 에어 필터(132)에 일정한 주기의 진동을 가하여 발생되는 진동수를 우선 파악하여 저장한다(S301).
다음으로,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기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등) 경과 후 제1 에어 필터(131)에 다시 일정한 주기의 진동을 가하여 발생되는 진동수와, 제2 에어 필터(132)에 일정한 주기의 진동을 가하여 발생되는 진동수를 다시 파악한다(S302).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최초 설치 시 제1 에어 필터(131)의 진동수와 기간 경과 후 제1 에어 필터(131)의 진동수를 서로 비교하여 진동수 변화량을 파악하고(S303), 기 설정된 임계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에어 필터(131)에 이물질이 많이 쌓여 진동수가 변화된 것으로 파악하여 제1 에어 필터(131)가 오염된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S304).
반대로, 기 설정된 임계 수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제1 에어 필터(131)에 이물질이 많이 쌓이지 않고 진동수가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여 제1 에어 필터(131)가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S305).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S304 단계를 통해 파악된 제1 에어 필터(131)의 오염 상태에 대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에게 제1 에어 필터(131)의 오염 상태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S306), 상태 메시지는 제1 에어 필터(131)의 교체 혹은 청소를 권장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최초 설치 시 제2 에어 필터(132)의 진동수와 기간 경과 후 제2 에어 필터(132)의 진동수를 서로 비교하여 진동수 변화량을 파악하고(S307), 기 설정된 임계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에어 필터(132)에 이물질이 많이 쌓여 진동수가 변화된 것으로 파악하여 제2 에어 필터(132)가 오염된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S308).
반대로, 기 설정된 임계 수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제2 에어 필터(132)에 이물질이 많이 쌓이지 않고 진동수가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여 제2 에어 필터(132)가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S309).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S308 단계를 통해 파악된 제2 에어 필터(132)의 오염 상태에 대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에게 제2 에어 필터(132)의 오염 상태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S310), 상태 메시지는 제2 에어 필터(132)의 교체 혹은 청소를 권장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통 전류 변화량을 통한 오염 상태 파악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에서 도통 전류 변화량을 토대로 제1 또는 제2 에어 필터(131, 132)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제1 및 제2 에어 필터(131, 132)가 에어커튼 몸체부에 최초로 설치 시 제1 에어 필터(131)에 일정한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이때 도통 전류를 파악하고 또한 제2 에어 필터(132)에도 마찬가지로 일정한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이때 도통 전류를 파악하여 저장한다(S401).
다음으로,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기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등) 경과 후 제1 에어 필터(131)에 다시 일정한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이때 도통 전류를 파악하고 또한 제2 에어 필터(132)에도 일정한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이때 도통 전류를 파악하여 다시 파악한다(S202).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최초 설치 시 제1 에어 필터(131)의 도통 전류값과 기간 경과 후 제1 에어 필터(131)의 도통 전류값을 서로 비교하여 도통 전류값 변화량을 파악하고(S403), 기 설정된 임계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에어 필터(131)에 이물질이 많이 쌓여 전류 흐름을 방해하는 것으로 파악하여 제1 에어 필터(131)가 오염된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S404).
반대로, 기 설정된 임계 수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제1 에어 필터(131)에 이물질이 많이 쌓이지 않아 전류 흐름이 원활한 것으로 파악하여 제1 에어 필터(131)가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S405).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S404 단계를 통해 파악된 제1 에어 필터(131)의 오염 상태에 대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에게 제1 에어 필터(131)의 오염 상태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S406), 상태 메시지는 제1 에어 필터(131)의 교체 혹은 청소를 권장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최초 설치 시 제2 에어 필터(132)의 도통 전류값과 기간 경과 후 제2 에어 필터(132)의 도통 전류값을 서로 비교하여 도통 전류값 변화량을 파악하고(S407), 기 설정된 임계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에어 필터(132)에 이물질이 많이 쌓여 전류 흐름을 방해하는 것으로 파악하여 제2 에어 필터(132)가 오염된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S408).
반대로, 기 설정된 임계 수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제2 에어 필터(132)에 이물질이 많이 쌓이지 않아 전류 흐름이 원활한 것으로 파악하여 제2 에어 필터(132)가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S409).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S408 단계를 통해 파악된 제2 에어 필터(132)의 오염 상태에 대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에게 제2 에어 필터(132)의 오염 상태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S410), 상태 메시지는 제2 에어 필터(132)의 교체 혹은 청소를 권장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설치 장소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를 측정하는 디스플레이(150), 설치 장소의 사용자 움직임을 포착하여 움직임 신호를 제어부(120)로 전달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BLDC 모터(110)가 동작되도록 하는 모션센서(160), 설치 장소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 습도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수증기를 발생 및 분무하는 가습기(170) 및 모션센서(160)와 연결되며 움직임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음성 멘트(예를 들어, 어서오세요 또는 안녕히가세요 등)가 출력되도록 하는 음성 출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온도센서로부터 설치 장소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획득한 후, 이에 따른 온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50)는 세븐 세그먼트가 적용될 수 있다.
모션센서(160)는 일반적으로 에어커튼에 적용되는 도어 리미트 스위치와는 별개로 설치 장소에 사용자가 위치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20)에서 각 BLDC 모터(110)를 작동시키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모션센서(160)는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모드전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사용 장소나 사용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이온 발생기(미도시)와도 연결되어, 제어부(120)를 통해 해당 이온 발생기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또한 회전속도 제어 조작을 위한 지그(JIG)와의 연결을 통해 사용자 조작에 기반하여 제어부(120)에 회전속도 제어 요청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80)는 앞서 살펴보면 모션센서(160)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어서오세요 또는 안녕히 가세요와 같은 음성 멘트가 출력될 수 있는데,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BLDC 모터를 적용한 에어커튼(100)이 출입구에 설치된 경우, 모션센서(160)는 사용자가 출입구에 입장하는지, 퇴장하는지 여부를 파악한 후 각 상황에 맞는 음성 멘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BLDC 모터를 적용한 에어커튼(100)은 미세먼지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20)에서는 각 BLDC 모터(110)의 회전속도를 자동으로 높임으로써 외부 공기가 내부로 더욱 유입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BLDC 모터를 적용한 에어커튼(100)은 앞서 살펴본 음성 출력부(180)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출입구에 입장하는지, 퇴장하는지 여부에 따라 어서오세요 또는 안녕히 가세요와 같은 레이저 빔이 바닥면을 향해 조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문구 외에도 레이저 빔을 통해 다양한 광고 문구를 바닥면에 조사할 수도 있다. 이때 레이저 빔에 의해 조사되는 문구는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BLDC 모터를 적용한 에어커튼(100)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조작을 통해 제어부(120)에 원격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부(120)의 모든 조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BLDC 모터를 적용한 에어커튼
110: BLDC 모터
120: 제어부
130: 에어 필터
140: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
150: 디스플레이
160: 모션센서
170: 가습기
180: 음성 출력부

Claims (5)

  1. 에어커튼 몸체부 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BLDC 모터(110);
    상기 하나 이상의 BLDC 모터(110)와 연결되며, 각 BLDC 모터(11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20);
    상기 에어커튼 몸체부의 공기 유입구 및 공기 토출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 내 이물질을 1차 필터링하고,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내 이물질을 2차 필터링하는 에어 필터(130);
    상기 에어 필터(130)의 상태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
    설치 장소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50);
    설치 장소의 사용자 움직임을 포착하여 움직임 신호를 제어부(120)로 전달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BLDC 모터(110)가 동작되도록 하는 모션센서(160);
    설치 장소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 습도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수증기를 발생 및 분무하는 가습기(170);
    상기 모션센서(160)와 연결되며 움직임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음성 멘트가 출력되도록 하는 음성 출력부(180);
    상기 제어부(120)를 통해 제어되는 이온 발생기;
    미세먼지 센서; 및
    상기 음성 출력부(180)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출입구에 입장 또는 퇴장하는 경우 안내 문구 또는 광고 문구를 바닥면에 조사되도록 하는 레이저 빔;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조사되는 문구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직접 입력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120)는 각각의 BLDC 모터(110)로부터 팬 회전에 따른 펄스(pulse)를 획득한 후, 각 BLDC 모터(110)에 인가되는 전압값 대비 획득된 펄스비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토대로, 각 BLDC 모터(110)의 동작 상태 및 에러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에어 필터(130)는 상기 에어커튼 몸체부의 공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제1 에어 필터(131) 및 상기 에어커튼 몸체부의 공기 토출구에 설치되는 제2 에어 필터(132)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커튼 몸체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최초 설치 시 상기 제1 에어 필터(131)를 통해 유입되는 단위 면적당 공기 유입량과, 기 설정된 기간 경과 후 상기 제1 에어 필터(131)를 통해 유입되는 단위 면적당 공기 유입량 변화량을 토대로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최초 설치 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를 통해 토출되는 단위 면적당 공기 유입량과, 기 설정된 기간 경과 후 상기 제2 에어 필터(132)를 통해 토출되는 단위 면적당 공기 토출량 변화량을 토대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며,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최초 설치 시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에 가하여 발생되는 진동수와, 기 설정된 기간 경과 후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에 가하여 발생되는 진동수 간의 변화량을 토대로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최초 설치 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에 가하여 발생되는 진동수와, 기 설정된 기간 경과 후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에 가하여 발생되는 진동수 간의 변화량을 토대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최초 설치 시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일측에 일정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도통 전류를 파악하고, 기 설정된 기간 경과 후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일측에 일정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도통 전류를 파악한 후 도통 전류 변화량을 토대로 상기 제1 에어 필터(131)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최초 설치 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일측에 일정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도통 전류를 파악하고, 기 설정된 기간 경과 후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일측에 일정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도통 전류를 파악한 후 도통 전류 변화량을 토대로 상기 제2 에어 필터(132)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며,
    상기 에어 필터 상태파악부(140)는 제1 및 제2 에어 필터(131, 13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오염 상태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 메시지는 제1 및 제2 에어 필터(131, 13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교체 혹은 청소를 권장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39565A 2021-10-19 2021-10-19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 KR102494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65A KR102494098B1 (ko) 2021-10-19 2021-10-19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65A KR102494098B1 (ko) 2021-10-19 2021-10-19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098B1 true KR102494098B1 (ko) 2023-01-31

Family

ID=8510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565A KR102494098B1 (ko) 2021-10-19 2021-10-19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0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1161A (ko) * 1998-04-27 1999-11-15 구자홍 모터의 구동방법
KR20120086101A (ko) * 2011-01-25 2012-08-0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에어필터 오염 감지장치
KR20190007551A (ko) * 2017-07-12 2019-01-23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기능성 에어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56072B1 (ko) * 2019-02-28 2019-12-17 주식회사 팬직 에어 커튼 장치
KR102190094B1 (ko) 2019-11-21 2020-12-11 이재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1161A (ko) * 1998-04-27 1999-11-15 구자홍 모터의 구동방법
KR20120086101A (ko) * 2011-01-25 2012-08-0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에어필터 오염 감지장치
KR20190007551A (ko) * 2017-07-12 2019-01-23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기능성 에어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56072B1 (ko) * 2019-02-28 2019-12-17 주식회사 팬직 에어 커튼 장치
KR102190094B1 (ko) 2019-11-21 2020-12-11 이재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758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leaning
CA2204313A1 (en) Electronic control for an air filtering apparatus
US6245131B1 (en) Electrostatic air cleaner
CN111059697B (zh) 一种过滤网脏堵检测方法、装置及空调
CN104654515A (zh) 空调器积尘检测方法及系统
WO2020181856A1 (zh) 一种空调器
KR20110136382A (ko) 환경센서를 통한 가정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5953358A (zh) 空调安全防护方法、装置和空调
KR101494663B1 (ko) 실내공기레벨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장치
KR102494098B1 (ko)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
CN107044685A (zh) 一种新风补偿与净化二合一空气净化器
US6178765B1 (en) Air conditioner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CN109520040A (zh) 一种用于空调的智能净化回风系统及控制方法
KR20100098174A (ko) 지하철 역사용 공기조화시스템
KR102514293B1 (ko) 공기 청정 장치
KR102438951B1 (ko) Bldc 모터를 적용한 에어커튼
JPH11151454A (ja) 空気清浄機能を有する電気機器
CN208635268U (zh) 一体化实验室专用通风设备
KR970059633A (ko)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제어방법
JPH04219110A (ja) 空気清浄機
JPH0367947A (ja) 空気調和機の風量制御装置
JP2010089043A (ja) 空気清浄機
JPH08238410A (ja) 空気清浄機
JPH10122615A (ja) 空気清浄機の制御装置
KR20140091635A (ko) 가습공기청정기의 취침모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