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094B1 -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 - Google Patents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094B1
KR102190094B1 KR1020190150471A KR20190150471A KR102190094B1 KR 102190094 B1 KR102190094 B1 KR 102190094B1 KR 1020190150471 A KR1020190150471 A KR 1020190150471A KR 20190150471 A KR20190150471 A KR 20190150471A KR 102190094 B1 KR102190094 B1 KR 102190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amper
air curtain
compartment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규
Original Assignee
이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규 filed Critical 이재규
Priority to KR102019015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5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combined with a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실(1)과 냉동실(2)이 도어(3)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냉장/냉동 창고에서 상기 도어(3)의 개폐에 연동하여 도어 전면으로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상측에서 벽체에 제공된 하우징(10)에 내장된 모터(11)의 양측에서 구동되는 팬(12)과, 냉장실(1)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개폐되는 제 1 댐퍼(20)와, 냉동실(2)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개폐하도록 제공된 제 2 댐퍼(30) 및 상기 제 1, 2 댐퍼(20,30)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실린더(40)를 포함하며, 냉동실의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팬(12)에 의해 냉장실의 공기를 도어 전면으로 토출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한편, 냉동실의 도어(3)가 개방되면 냉동실의 냉기를 유입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냉장실의 공기가 냉동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동실 온도 변화를 방지함으로써 도어 개방시에도 냉동실의 온도을 소정 온도로 유지되게 하고, 단지 냉장실과 연통되는 제 1 댐퍼와 냉동실과 연통되는 제 2 댐퍼를 구비하는 단순화된 구성으로 설치비용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기존의 냉장/냉동창고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Door linded type air curtain apparatus for refrigeration warehouse}
본 발명은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실과 냉동실 사이의 도어 개폐에 따라 연동하여 냉장실 공기를 이용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거나 냉동실의 공기를 이용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효율성을 개선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뿐만 아니라 냉장/냉동 창고에 있어서, 도어 개방시에 내부의 냉기가 누출되고 외기가 유입됨에 따라 온도 유지를 위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상부에서 냉기를 하방으로 공급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장치를 채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에어커튼장치는 여름 또는 겨울철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온도 냉방 또는 난방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에어커튼장치를 냉동창고에 사용하는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4301호(등록일자 2009년04월14일)에는 출입구에 장착하는 에어커튼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복수개 적층되고 모터 구동하는 팬 어셈블리를 내장한 단위 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한 에어를 취출하는 취출슬릿과, 상기 취출슬릿과 평행한 흡입 그릴이 상하로 형성된 전면 패널이 상기 출입구의 좌우 양측 중 타측에 복수개 적층되고 모터 구동하는 상기 팬 어셈블리를 내장한 단위 유닛 각각에 구비된 전면 패널과 상호 대향을 이루며, 상기 출입구의 좌우 양측 중 일측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취출슬릿은 상기 출입구의 좌우 양측 중 타측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흡입그릴과 상호 대향을 이루어, 상기 단위 유닛은 각각 상하를 반대로 하여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상하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에어커튼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특허에서의 에어커튼 유닛에서는 취출슬릿과 흡입그릴을 통해 순환되는 공기가 냉동창고내로 유입될 수 있어서, 잦은 도어 개방시 냉동창고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어 보관중인 물품의 변질이 초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출입구 양측에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를 적층하여 설치함에 따른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4301호(등록일자 2009년04월1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냉동창고에 적용하는 에어커튼유닛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화된 구성으로 냉장실과 연통되는 냉동실의 도어의 개방과 연동하여 개폐되는 냉장실 공기 순환용 제 1댐퍼와 냉동실 냉기를 도어 입구측으로 순환시키는 제 2 댐퍼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과 동시에 에어커튼용 팬을 구동시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도어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냉장/냉동 창고에서 상기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도어 전면으로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상측에서 벽체에 제공된 하우징에 내장된 모터의 양측에서 구동되는 팬과,
냉장실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개폐되는 제 1 댐퍼(20)와, 냉동실(2)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개폐되는 제 2 댐퍼 및 상기 제 1, 2 댐퍼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냉동실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팬에 의해 냉장실의 공기를 도어 전면으로 토출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한편,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되면 냉동실의 냉기를 유입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댐퍼는 다수의 통기공들이 형성된 수평으로 배치된 판부재로 이루어진 고정부와, 상기 실린더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판부재로서 다수의 통기공들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2 댐퍼는 냉동실과 연통되는 다수의 통기공들이 형성된 판부재로서 수직으로 배치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외측에, 즉 냉장실쪽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는 다수의 통기공들이 형성된 판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는 피스톤로드가 초기 위치에서 제 1,2 댐퍼의 고정부들의 통기공들에 대하여 가동부의 통기공들이 엇갈리게 배치되어 제 1,2 댐퍼가 폐쇄되고, 제 1 댐퍼가 개방되는 한편 제 2 댐퍼는 폐쇄되는 제 1위치로 이동되고, 그로 부터 더 이동하여 제 1 댐퍼가 폐쇄되는 한편 제 2 댐퍼가 개방되는 제 2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댐퍼의 고정부는 하우징 상부로서 형성되고, 제 2 댐퍼의 고정부는 냉동실에 면한 하우징의 배면측 측부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는 냉동실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냉장실로 연통되는 제 1 댐퍼를 개방하고 냉동실과 연통되는 제 2 댐퍼를 폐쇄시켜 냉장실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한편, 냉장실과 연통되는 냉동실의 도어 개방시에는 냉장실과 연통된 제 1 댐퍼를 폐쇄하고, 냉동실과 연통되게 제 2 댐퍼를 개방하여 냉동실의 냉기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냉장실의 공기가 냉동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동실 온도 변화를 방지함으로써 도어 개방시에도 냉동실의 온도을 소정 온도로 유지되게 하고, 단지 냉장실과 연통되는 제 1 댐퍼와 냉동실과 연통되는 제 2 댐퍼를 구비하는 단순화된 구성으로 설치비용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기존의 냉장/냉동창고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가 냉동 및 냉장 창고의 냉동실도어 상측에 제공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냉동실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 1, 2 댐퍼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과 반대쪽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제 1 댐퍼가 폐쇄되어 고정부와 가동부의 통기공들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3에서 제 1 댐퍼가 개방되어 고정부와 가동부의 통기공들이 일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냉장실에 면한 냉동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냉장실 공기 순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은 도 7에 도시된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도 7의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냉동실의 냉기를 인출하여 냉동실 입구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태의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는 특히 냉장실(1)과 냉동실(2)이 도어(3)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냉장/냉동 창고에 적용되며, 도어(3) 상측의 벽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는 도어의 상측에서 벽체에 제공된 하우징(10)에 내장된 모터(11)의 양측에서 구동되는 팬(12)과, 냉장실(1)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개폐되도록 하우징(10) 상부를 형성하도록 제공된 제 1 댐퍼(20)와, 냉동실(2)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개폐하기 위하여 하우징(10)의 배면측 측부를 형성하도록 제공된 제 2 댐퍼(30) 및 상기 제 1, 2 댐퍼(20,30)을 개폐시키는 실린더(40)를 포함한다.
도 3과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댐퍼(20)는 다수의 통기공(21)들이 형성된 수평으로 배치된 판부재로 이루어진 고정부(22)와, 상기 실린더(40)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부(23)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23)는 상기 고정부(22)의 하측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판부재로서 다수의 통기공(24)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부(22)의 통기공(21)들과 가동부(23)의 통기공(24)들이 일치하지 않은 도 5의 상태에서 가동부(23)가 실린더(40)에 의해 이동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2)의 통기공(21)들과 가동부(23)의 통기공(24)들이 일치될 때 냉장실(1)의 상부측 공기가 팬(12)에 의해 흡입되어 제 1 댐퍼(20)의 일치된 통기공(21,24)들을 통해 도어(3) 앞쪽으로 하방향으로 토출되어 냉장실의 공기가 순환된다.
또한, 상기 제 2 댐퍼(30)는 냉동실(2)과 연통되는 다수의 통기공(31)들이 형성된 판부재로서 수직으로 배치된 고정부(32)와, 상기 고정부의 외측에, 즉 냉장실쪽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동부(33)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33)는 다수의 통기공(34)들이 형성된 판부재로 이루어진다. 제 1 댐퍼(20)와 관련하여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동부(33)가 이동하여 그 통기공(34)들이 고정부(32)의 통기공(31)들이 일치되지 않은 폐쇄된 상태에서 가동부(33)가 이동하여 상기 통기공(31,34)들이 일치될 때, 냉동실의 공기가 팬(11)에 의해 흡입되어 도어(3) 앞쪽으로 토출되어 냉동실 냉기에 의한 에어커튼을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40)의 피스톤로드의 자유단부에 고정된 판상의 브라켓(41)의 수평의 상단부에 상기 제 1 댐퍼(20)의 가동부(23)가 고정되고, 수직의 측단부에는 제 2 댐퍼(30)의 가동부(33)가 고정되어서, 실린더(40) 작동시 전후로 이동하는 피스톤로드에 의해 제 1 댐퍼(20)의 가동부(23)와 제 2 댐퍼(30)의 가동부(33)가 이동하여 그 각각에 형성된 통기공(24,34)들이 제 1 댐퍼(20)의 고정부(22)와 제 2 댐퍼(30)의 고정부(32)에 형성된 통기공(21,31)들에 일치되어 공기가 순환되거나 통기공들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공기 유동이 차단된다.
상기 제 1 댐퍼(20)의 고정부(22)는 하우징(10)의 냉장실의 상부에 면한 상부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 2 댐퍼(30)의 고정부(32)는 하우징(10)의 냉동실에 면한 측부로서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40)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댐퍼(20)의 가동부(23)와 제 2 댐퍼(30)의 가동부(33)는, 제 1 댐퍼가 개방될 때에는 제 2 댐퍼는 폐쇄되고, 제 2 댐퍼가 개방될 때에는 제 1 댐퍼가 폐쇄되도록 제 1,2 댐퍼(20,30)들의 고정부(22,32)들과 가동부(23,33)의 통기공들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40)는 피스톤로드가 초기 위치에서 제 1,2 댐퍼(20,30)가 폐쇄된 상태로, 즉 고정부(22,32)들의 통기공(21,31)들에 대하여 가동부(23,33)의 통기공(24,34)들이 엇갈리게 배치된다. 그런 다음, 제 1 댐퍼(20)가 개방되는 한편 제 2 댐퍼(30)는 폐쇄되는 제 1위치로 이동되고, 그로 부터 제 1 댐퍼(20)가 폐쇄되는 한편 제 2 댐퍼(30)가 개방되는 제 2 위치로 된다. 상기 제 1, 2 위치로의 피스톤로드의 이동을 위한 실린더(40)의 작동은 도어(3)의 개폐에 연동하여 수행되며, 예를들어 도어(3)의 닫힘 또는 개방을 감지하는 도면에 미도시된 센서에 응답하여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를 냉동/냉장 창고에 적용하여 도어(3)가 닫힌 사용상태를 도 5, 6을 참고하여 설명하고, 도어(3)가 개방된 사용상태를 도 7과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과 8에 있어서, 냉장실(1)에 면한 냉동실(2)의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는 냉장실(1)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어 보관할 물품에 따라 상온으로 유지되게 하거나 또는 1~4℃의 저온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린더(40)는 피스톤로드를 초기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시켜 제 1 댐퍼(20)를 개방하여, 즉 고정부(22)의 통기공(21)들과 가동부(23)의 통기공(24)들이 일치되어 냉장실의 공기가 팬(12)에 의해 도어(3)의 전면 하방으로 유동하여 냉장실의 공기에 의한 에어커튼이 형성되게 하여 냉장실의 공기가 순환된다. 이때, 제 2 댐퍼(30)는 폐쇄되어, 즉 고정부(32)의 통기공(31)들에 대하여 가동부(33)의 통기공(34)들이 엇갈려 배열됨으로써 냉동실(2)의 냉기 유입이 차단된다.
도 9와 10에 있어서, 냉장실(1)에 면한 냉동실(2)의 도어(3)가 개방되면, 이를 감지한 도면에 미도시된 센서 신호에 응답하여 실린더(40)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를 제 2 위치로 이동시켜서 제 2 댐퍼(30)를 개방한다. 즉, 가동부(33)를 이동시켜서 고정부(32)의 통기공(31)들에 대하여 가동부(33)의 통기공(34)들이 일치되게 배열시킴으로써, 냉동실(2)의 예를들어 -20℃의 냉기가 개방된 제 2 댐퍼(30)를 통해 유입되어 도어(3)의 전면으로 토출되어 냉동실 냉기에 의한 에어커튼이 형성되며, 이로써 도어(3)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고온인 냉장실의 공기 유입이 차단되므로 냉동실의 온도 변화가 발생되지 않고 유지된다. 이때, 제 1 댐퍼(20)는 폐쇄된다. 즉 고정부(22)의 통기공(21)들과 가동부(23)의 통기공(24)들이 서로 엇갈려 배열되어 냉장실의 공기 유입이 차단된다.
전술한 에어커튼은 모터(11)로 구동되는 팬(12)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예를들어 20 ~ 30초간 형성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도 있으나, 도어(3)가 개방된 시간 동안 유지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커튼장치는 냉장실에 면한 냉동실의 도어 상측에 설치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냉장실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한편, 냉동실의 도어가 개방되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장실의 공기가 냉동실로 유입되지 않도록 냉동실의 냉기를 유입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하며, 매우 단순화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어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냉장실에 면한 냉동실의 도어가 설치된 창고에서 냉동실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냉장실의 공기에 의한 에커커튼을 형성하여 냉장실의 공기를 순환케 하거나 도어 개방시에는 냉동실의 냉기를 유입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냉동실의 온도가 변화되지 않도록 이용할 수 있다.
1 : 냉장실 2 : 냉동실
3 : 도어 10 : 하우징
11 : 모터 12 : 팬
20 : 제 1 댐퍼 21,31,24,34 : 통기공
22,32 : 고정부 23,33 : 가동부
30 : 제 2 댐퍼 40 : 실린더
41 : 브라켓

Claims (5)

  1. 냉장실(1)과 냉동실(2)이 도어(3)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냉장/냉동 창고에서 상기 도어(3)의 개폐에 연동하여 도어 전면으로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상측에서 벽체에 제공된 하우징(10)에 내장된 모터(11)의 양측에서 구동되는 팬(12)과,
    냉장실(1)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개폐되는 제 1 댐퍼(20)와, 냉동실(2)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개폐하도록 제공된 제 2 댐퍼(30) 및 상기 제 1, 2 댐퍼(20,30)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실린더(40)를 포함하며,
    냉동실의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팬(12)에 의해 냉장실의 공기를 도어 전면으로 토출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한편, 냉동실의 도어(3)가 개방되면 냉동실의 냉기를 유입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댐퍼(20)는 다수의 통기공(21)들이 형성된 수평으로 배치된 판부재로 이루어진 고정부(22)와, 상기 실린더(40)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부(23)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23)는 상기 고정부(22)의 하측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판부재로서 다수의 통기공(24)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댐퍼(30)는 냉동실(2)과 연통되는 다수의 통기공(31)들이 형성된 판부재로서 수직으로 배치된 고정부(32)와, 상기 고정부의 외측에, 즉 냉장실쪽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동부(33)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33)는 다수의 통기공(34)들이 형성된 판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40)는 피스톤로드가 초기 위치에서 제 1,2 댐퍼(20,30)가 고정부(22,32)들의 통기공(21,31)들에 대하여 가동부(23,33)의 통기공(24,34)들이 엇갈리게 배치되어 폐쇄되고, 제 1 댐퍼(20)가 개방되는 한편 제 2 댐퍼(30)는 폐쇄되는 제 1위치로 이동되고, 그로 부터 더 이동하여 제 1 댐퍼(20)가 폐쇄되는 한편 제 2 댐퍼(30)가 개방되는 제 2 위치로 이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댐퍼(20)의 고정부(22)는 하우징(10) 상부를 형성하고, 제 2 댐퍼(30)의 고정부(32)는 냉동실(2)에 면한 하우징(10)의 배면측 측부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
KR1020190150471A 2019-11-21 2019-11-21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 KR102190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471A KR102190094B1 (ko) 2019-11-21 2019-11-21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471A KR102190094B1 (ko) 2019-11-21 2019-11-21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094B1 true KR102190094B1 (ko) 2020-12-11

Family

ID=7378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471A KR102190094B1 (ko) 2019-11-21 2019-11-21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0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214B1 (ko) * 2021-07-16 2021-12-10 윤상길 냉동창고용 방열도어램프시스템
KR102494098B1 (ko) 2021-10-19 2023-01-31 윤상근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436U (ja) * 1992-03-09 1993-10-08 雄正工業株式会社 エアーカーテン形成装置
EP0645588A1 (en) * 1993-09-27 1995-03-29 F.H. Biddle B.V. Multiple gas curtain
JP2007120779A (ja) * 2005-10-25 2007-05-17 Sanwa Shutter Corp 閉鎖装置
KR20080003661A (ko) * 2006-07-03 2008-01-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온도 전환실의 에어 커튼을 갖는 냉장고
KR100894301B1 (ko) 2007-11-09 2009-04-24 김성호 상하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에어커튼 유닛
JP2016136072A (ja) * 2015-01-23 2016-07-28 富士電機株式会社 冷蔵倉庫
JP2020143849A (ja) * 2019-03-07 2020-09-10 富士電機株式会社 エアカーテン装置、及び、エアカーテン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436U (ja) * 1992-03-09 1993-10-08 雄正工業株式会社 エアーカーテン形成装置
EP0645588A1 (en) * 1993-09-27 1995-03-29 F.H. Biddle B.V. Multiple gas curtain
JP2007120779A (ja) * 2005-10-25 2007-05-17 Sanwa Shutter Corp 閉鎖装置
KR20080003661A (ko) * 2006-07-03 2008-01-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온도 전환실의 에어 커튼을 갖는 냉장고
KR100894301B1 (ko) 2007-11-09 2009-04-24 김성호 상하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에어커튼 유닛
JP2016136072A (ja) * 2015-01-23 2016-07-28 富士電機株式会社 冷蔵倉庫
JP2020143849A (ja) * 2019-03-07 2020-09-10 富士電機株式会社 エアカーテン装置、及び、エアカーテン形成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214B1 (ko) * 2021-07-16 2021-12-10 윤상길 냉동창고용 방열도어램프시스템
KR102394246B1 (ko) * 2021-07-16 2022-05-04 윤상길 냉동창고용 방열도어램프시스템
KR102494098B1 (ko) 2021-10-19 2023-01-31 윤상근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448B1 (ko) 냉장고
KR100512677B1 (ko) 냉장고
US11397048B2 (en) Refrigerator
CN1265156C (zh) 电冰箱
KR102190094B1 (ko)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연동형 에어커튼장치
EP3680590A1 (en) Refrigerator
EP3680588A1 (en) Refrigerator
CN113819696B (zh) 冰箱及其化霜控制方法
KR102381030B1 (ko) 냉장고
CN216080545U (zh) 冰箱
KR20060016665A (ko) 냉장고
JP2620539B2 (ja) 冷気循環装置を設けた冷蔵庫
US11692770B2 (en) Refrigerator
EP3680591A1 (en) Refrigerator
KR100528289B1 (ko) 냉장고
EP3680589A1 (en) Refrigerator
US20200224956A1 (en) Refrigerator
KR102609597B1 (ko) 냉장고
CN218096778U (zh) 直冷式冷柜
CN113124596A (zh) 一种冷柜风幕控制方法
EP3680592A1 (en) Refrigerator
CN220959096U (zh) 用于冰箱的风道结构及冰箱
CN220771539U (zh) 冷柜
CN220229701U (zh) 用于冰箱的进风组件和冰箱
KR100595434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