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604B1 -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 Google Patents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604B1
KR102055604B1 KR1020180058304A KR20180058304A KR102055604B1 KR 102055604 B1 KR102055604 B1 KR 102055604B1 KR 1020180058304 A KR1020180058304 A KR 1020180058304A KR 20180058304 A KR20180058304 A KR 20180058304A KR 102055604 B1 KR102055604 B1 KR 102055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climbing cone
anchor bolt
cone
clim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407A (ko
Inventor
박주동
이현섭
오명환
원방희
김승준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to KR1020180058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604B1/ko
Priority to DE102018129309.7A priority patent/DE102018129309A1/de
Publication of KR20190133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21Elements with sockets with internal threads or non-adjustable captive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6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앵커 플레이트와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의 조립 과정에서, 앵커 플레이트를 최적의 위치에 정조립할 수 있고,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을 최적의 체결길이로 정조립하여 휴먼 에러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앵커 볼트와, 앵커 볼트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앵커 플레이트와, 앵커 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앵커 볼트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클라이밍 콘과, 클라이밍 콘에 나사결합되는 콘 볼트를 포함하는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에 있어서, 앵커 플레이트를 앵커 볼트의 일단부에 조립할 시에, 타단부에 조립된 클라이밍 콘에 대한 앵커 플레이트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정조립할 수 있는 앵커 플레이트 정조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밍 콘(30)의 내면에 앵커 볼트(10)의 정조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조립확인홀(7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CLIMBING CONE ANCHOR DEVICE FOR HUMAN ERROR PREVENTION}
본 발명은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앵커 플레이트와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의 조립 과정에서, 앵커 플레이트를 최적의 위치에 정조립할 수 있고,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을 최적의 체결길이로 정조립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앵커 볼트의 적정 체결길이를 육안 및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휴먼 에러를 예방할 수 있는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외벽에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콘크리트 외벽 작업을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 외벽에 커튼월 등과 같은 외벽 마감재를 설치하거나, 클라이밍 시스템 폼(Climbing System Form)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외벽 마감용 작업대 또는 클라이밍 시스템 폼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들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해야 한다.
콘크리트 외벽 고정장치의 일례로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Climbing Cone Anchor)가 있다.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볼트(Anchor Bolt)(10)(‘타이로드’라 부르기도 한다),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에 나사결합되는 앵커 플레이트(Anchor Plate)(20)와, 앵커 플레이트(20)와 마주보도록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에 나사결합되는 클라이밍 콘(Climbing Cone)(30)과, 클라이밍 콘(30)에 나사결합되는 콘 볼트(Cone Bolt)(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는,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에 매립된다.
특히, 앵커 플레이트(20)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 안쪽부분을 향하고, 클라이밍 콘(30)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 바깥쪽부분으로 노출되도록 매립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으로 노출된 클라이밍 콘(30)에, 외벽 마감용 작업대, 클라이밍 시스템 폼(이하 통칭하여 ‘고정물(A)’이라 한다)을 콘 볼트(40)로 고정시킨 후 작업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앵커 플레이트(20)는, 클라이밍 콘(30)과 마주보도록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에 나사결합되어 있되, 가능한 한 클라이밍 콘(30)과 먼 거리를 두고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앵커 플레이트(20)와 클라이밍 콘(30)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에 대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의 고정력을 강화시키고, 이로써 고정물(A)에 대한 지지력을 최대한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커 플레이트(20)가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에 나사결합되어 있되, 앵커 볼트(10)의 일단으로부터 2개 정도의 나사산을 남겨둔 위치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클라이밍 콘(30)은,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에 나사결합되어 있되, 앵커 볼트(10)와의 나사체결길이(L)가 가급적 길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특히, 클라이밍 콘(30)에는, 앵커 볼트(10)와 나사결합되는 제 1암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제 1암나사부(32)의 안쪽까지 앵커 볼트(10)가 깊숙이 나사체결되어야 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간의 나사체결길이(L)가 최대한 증가되어 서로 간의 체결력이 높아지고, 그 결과, 고정물(A)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는, 앵커 플레이트(20)와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조립과정에서 오조립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에 매립 시공할 시에, 잘못 시공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플레이트(20)를 앵커 볼트(10)에 나사 조립하는 과정에서, 앵커 플레이트(20)를 클라이밍 콘(30)측으로 너무 근접하여 조립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립된 앵커 플레이트(20)와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에 매립할 시에, 앵커 플레이트(20)와 클라이밍 콘(30) 사이의 콘크리트량이 적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에 대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의 고정력이 약화되어,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의 허용 지지하중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고정물(A)을 클라이밍 콘(30)에 지지시킬 시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으로부터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자체가 탈락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을 나사 조립하는 과정에서,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나사체결길이(L)가 너무 짧게 조립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조립된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에 매립할 시에,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체결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클라이밍 콘(30)에 고정물(A)을 지지시킬 시, 앵커 볼트(10)로부터 클라이밍 콘(30)이 탈락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물(A)이 낙하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앵커 볼트(10)가 나사결합되는 클라이밍 콘(30)의 제 1암나사부(32)를, 콘 볼트(40)가 나사결합되는 제 2암나사부(34)측으로 개방하고, 개방된 제 1암나사부(32)를 제 2암나사부(34)측에서 확인하여, 상기 제 1암나사부(32)에 대한 앵커 볼트(10)의 나사체결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제 1암나사부(32)의 개방부가 제 2암나사부(34)의 안쪽에 위치하므로, 조명이 확보되지 않는 한, 앵커 볼트(10)의 나사체결 정도를 확인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작업자들이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나사체결길이(L)를 확인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오조립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그 결과 클라이밍 콘(30)이 탈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앵커 플레이트와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의 조립 과정에서, 클라이밍 콘에 대한 앵커 플레이트의 위치를 최적의 상태로 조립할 수 있는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앵커 플레이트를 최적의 위치에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앵커 플레이트가 클라이밍 콘에 대해 너무 가깝게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앵커 플레이트의 오조립으로 인한 클라이밍 콘의 지지하중 감소를 방지하여 클라이밍 콘의 탈락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의 나사 조립 과정에서,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이 충분한 나사체결길이를 갖도록 정조립되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의 나사체결길이가 너무 짧게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의 오조립으로 인한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간의 체결력 저하와, 그로 인한 클라이밍 콘의 탈락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는, 앵커 볼트와, 상기 앵커 볼트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앵커 플레이트와, 상기 앵커 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앵커 볼트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클라이밍 콘과, 상기 클라이밍 콘에 나사결합되는 콘 볼트를 포함하는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 플레이트를 상기 앵커 볼트의 일단부에 조립할 시에, 타단부에 조립된 상기 클라이밍 콘에 대한 상기 앵커 플레이트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정조립할 수 있는 앵커 플레이트 정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밍 콘의 내면에 앵커 볼트의 정조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조립확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 플레이트 정조립부는, 상기 앵커 플레이트를 상기 앵커 볼트의 일단부에 조립할 시에, 상기 앵커 플레이트가 상기 클라이밍 콘에 대해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깝게 과조립되는 것을 제한하는 과조립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앵커 플레이트 정조립부는, 상기 앵커 볼트의 일단부에 조립된 앵커 플레이트가, 상기 앵커 볼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이탈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을 조립할 시에, 상기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이 미리 설정된 나사체결길이를 가지며 정조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조립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앵커 볼트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에 의하면, 앵커 플레이트 정조립부를 통해, 클라이밍 콘에 대한 앵커 플레이트의 위치를 최적의 상태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앵커 플레이트가 클라이밍 콘에 대해 너무 가깝게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앵커 플레이트가 클라이밍 콘에 대해 너무 가깝게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앵커 플레이트의 오조립으로 인한 클라이밍 콘의 지지하중 감소와, 그로 인한 클라이밍 콘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조립확인부를 통해,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이 충분한 나사체결길이를 가지며 정조립되었는지를 콘크리트 타설 전과 타설 후에 육안 또는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의 나사체결길이가 너무 짧게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의 나사체결길이가 짧게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므로,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의 오조립으로 인한 앵커 볼트와 클라이밍 콘간의 체결력 저하와, 그로 인한 클라이밍 콘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와 도 3은 종래의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가 오조립되는 사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4의 결합상태 측면단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를 구성하는 정조립확인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단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가 콘트리트 구조물의 외벽에 매립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먼 에러(Human Error)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는, 앵커 볼트(10)(‘타이로드’라 부르기도 한다)와,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에 나사결합되는 앵커 플레이트(20)와, 앵커 플레이트(20)와 마주보도록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에 나사결합되는 클라이밍 콘(30)과, 클라이밍 콘(30)에 나사결합되는 콘 볼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앵커 플레이트(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 안쪽부분에 매립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으로 노출된 클라이밍 콘(30)에 고정물(A)을 지지시켰을 시에, 상기 클라이밍 콘(30)과 앵커 볼트(10)에 가해지는 고정물(A)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앵커 볼트(10)는, 클라이밍 콘(30)과 앵커 플레이트(20)를 연결하며, 클라이밍 콘(30)에 가해지는 고정물(A)의 하중을 앵커 플레이트(20)측으로 전달한다.
상기 클라이밍 콘(30)은, 일단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 바깥쪽부분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외벽 마감용 작업대, 클라이밍 시스템 폼 등과 같은 고정물(A)을 콘 볼트(40)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밍 콘(30)에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볼트(10)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 1암나사부(32)와, 콘 볼트(40)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 2암나사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암나사부(32)와 제 2암나사부(34)는, 클라이밍 콘(30)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각각 클라이밍 콘(30)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해 일정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암나사부(32)와 제 2암나사부(34)는, 클라이밍 콘(30)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해 형성되며, 클라이밍 콘(30)의 중심축선상에 동축을 이루며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이하 간단히 ‘콘 앵커장치’라 한다)의 특징부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콘 앵커장치는, 앵커 플레이트(20)를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에 조립할 시에, 타단부(14)에 조립된 클라이밍 콘(30)에 대한 상기 앵커 플레이트(20)의 위치를 최적의 범위 내에 정조립할 수 있게 하는 앵커 플레이트 정조립부(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라이밍 콘(30)의 내부에는, 앵커 볼트(10)가 정위치에 조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조립확인홀(72)이 형성된다.
상기 앵커 플레이트 정조립부(60)는, 앵커 플레이트(20)를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앵커 플레이트(20)가 클라이밍 콘(30)에 대해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깝게 과조립되는 것을 제한하는 과조립제한부(62)를 구비한다.
상기 과조립제한부(62)는, 앵커 볼트(10)의 길이 방향 부분 중, 특정부분에 고정되는 와셔(Washer)형 스토퍼(Stopper)(62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2a)는, 앵커 볼트(10)의 특정부분에 고정된 상태에서,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로부터 클라이밍 콘(30)측으로 나사 이동하는 앵커 플레이트(20)를 특정부분에서 제한한다.
따라서, 앵커 플레이트(20)가 클라이밍 콘(30)측으로 너무 가깝게 과조립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앵커 플레이트(20)의 과조립으로 인한 앵커 플레이트(20)와 클라이밍 콘(30)의 과도한 근접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앵커 플레이트(20)와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에 매립할 시에, 앵커 플레이트(20)와 클라이밍 콘(30)이 충분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20)와 클라이밍 콘(30) 사이에 많은 량의 콘트리트가 분포하게 된다. 이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50)에 대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의 고정력이 강화된다.
따라서, 클라이밍 콘(30)에 고정물(A)을 지지시킬 시에, 상기 클라이밍 콘(30)이 충분한 지지하중을 갖게 되어 클라이밍 콘(30)의 탈락으로 인한 고정물(A)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앵커 플레이트 정조립부(60)는,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에 조립된 앵커 플레이트(20)가, 상기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이탈제한부(64)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이탈제한부(64)는,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에 나사 체결되는 캡너트(Cap Nut)(64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너트(64a)는, 앵커 플레이트(20)가 조립된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에 체결되어, 앵커 볼트(10)에 조립된 앵커 플레이트(20)가 상기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앵커 플레이트(20)의 이탈로 인한 콘 앵커장치의 오조립과 오시공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콘 앵커장치의 오조립과 오시공으로 인한 콘 앵커장치의 탈락과, 그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과조립제한부(62)와 이탈제한부(64) 사이의 앵커 볼트(10)부분은, 다른 부분과 차별되는 색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과조립제한부(62)와 이탈제한부(64) 사이의 앵커 볼트(10)부분을, 다른 부분과 차별되는 색상으로 도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앵커 볼트(10)에 대한 앵커 플레이트(20)의 최적 조립 범위를 특정 색상으로 표시하기 위함이며, 이로써, 앵커 플레이트(20)를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에 조립할 시에,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손쉽게 앵커 플레이트(20)를 최적의 위치에 조립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콘 앵커장치는,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을 나사 조립할 시에,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이 미리 설정된 나사체결길이(L)를 가지며 정조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조립확인부(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정조립확인부(70)는, 클라이밍 콘(30)의 제 1암나사부(32)로부터 제 2암나사부(34)를 향해 관통되어 있는 정조립확인홀(72)과, 정조립확인홀(72)에 대응하여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에 형성되는 정조립확인돌기(74)로 구성된다.
상기 정조립확인돌기(74)는,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조립 중, 상기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가 클라이밍 콘(30)의 제 1암나사부(32)에 나사 조립될 시에, 제 1암나사부(32)의 정조립확인홀(72)에 끼워져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정조립확인돌기(74)는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가 클라이밍 콘(30)의 제 1암나사부(32) 끝부분까지 완전히 나사 조립될 시에, 상기 제 1암나사부(32)의 정조립확인홀(72)에 끼워지면서 반대쪽 제 2암나사부(34)까지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정조립확인돌기(74)는, 클라이밍 콘(30)이 정위치에 완전하게 조립될 경우에만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클라이밍 콘(30)의 제 2암나사부(34)측에서 앵커 볼트(10)의 정조립확인돌기(74) 돌출여부를 작업자가 육안 또는 손가락의 촉감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앵커 볼트(10)의 정조립확인돌기(74) 돌출여부를 통해서,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가 클라이밍 콘(30)의 제 1암나사부(32) 끝부분까지 나사 조립되었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조립 시에,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이 충분한 나사체결길이(L)를 가지며 정조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나사체결길이(L)가 너무 짧게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오조립으로 인한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간의 체결력 저하와, 그로 인한 클라이밍 콘(30)의 탈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조립확인돌기(74)는,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에 눌림운동이 가능하게 조립될 수도 있다.
특히, 정조립확인돌기(74)를 눌림운동이 가능하게 설치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에 홈(14a)을 형성한 다음, 상기 홈(14a)에 정조립확인돌기(74)를 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홈(14a)의 안쪽에서 별도의 스프링(14b)으로 정조립확인돌기(74)를 홈(14a)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정조립확인돌기(74)가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에 눌림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눌림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정조립확인돌기(74)는,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조립과정에서, 클라이밍 콘(30)의 정조립확인홀(72)을 관통하여 제 2암나사부(34)까지 돌출된다.
이렇게 돌출된 정조립확인돌기(74)는 제 2암나사부(34)에 조립되는 콘 볼트(40)와 물리적으로 간섭될 경우, 앵커 볼트(10)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정조립확인돌기(74)는 콘 볼트(40)와 물리적으로 간섭되더라도 손상되지 않는다.
다시,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정조립확인부(70)는,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에 고정되는 체결위치확인부(7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체결위치확인부(76)는,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 중, 클라이밍 콘(30)에 대응되는 특정부분의 와셔(Wash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위치확인부(76)는,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나사 조립 과정에서, 상기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이 미리 설정된 나사체결길이(L)로 나사체결될 경우, 클라이밍 콘(30)의 끝부분과 접촉되면서 간섭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클라이밍 콘(30)과 체결위치확인부(76)의 접촉을 통해,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이 충분한 나사체결길이(L)로 정조립되었는지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체결위치확인부(76)와 클라이밍 콘(30)이 나사 결합되는 앵커 볼트(10) 사이부분은, 다른 부분과 차별되는 색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체결위치확인부(76)와 클라이밍 콘(30)이 나사 결합되는 앵커 볼트(10) 사이부분을, 다른 부분과 차별되는 색상으로 도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과조립제한부(62)와 이탈제한부(64) 사이의 앵커 볼트(10)부분은 적색으로 도색하고, 체결위치확인부(76)와 클라이밍 콘(30)이 결합되는 앵커볼트(10) 부분은 황색으로 도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앵커 볼트(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 플레이트 정조립부(60)를 통해, 클라이밍 콘(30)에 대한 앵커 플레이트의 위치를 최적의 상태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앵커 플레이트(20)가 클라이밍 콘(30)에 대해 너무 가깝게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앵커 플레이트(20)가 클라이밍 콘(30)에 대해 너무 가깝게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앵커 플레이트(20)의 오조립으로 인한 클라이밍 콘(30)의 지지하중 감소와, 그로 인한 클라이밍 콘(3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조립확인부(70)를 통해,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이 충분한 나사체결길이(L)를 가지며 정조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나사체결길이(L)가 너무 짧게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나사체결길이가 짧게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므로,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오조립으로 인한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간의 체결력 저하와, 그로 인한 클라이밍 콘(3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앵커 볼트(Anchor Bolt) 12: 일단부
14: 타단부 14a: 홈
14b: 스프링(Spring) 20: 앵커 플레이트(Anchor Plate)
30: 클라이밍 콘(Climbing Cone) 32: 제 1암나사부
34: 제 2암나사부 40: 콘 볼트(Cone Bolt)
50: 외벽 60: 앵커 플레이트 정조립부
62: 과조립제한부 62a: 스토퍼(Stopper)
64: 이탈제한부 64a: 캡너트(Cap Nut)
70: 정조립확인부 72: 정조립확인홀(Hole)
74: 정조립확인돌기 76: 체결위치확인부
A: 고정물 L: 나사체결길이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앵커 볼트(10)와, 상기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에 나사결합되는 앵커 플레이트(20)와, 상기 앵커 플레이트(20)와 마주보도록 상기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에 나사결합되는 클라이밍 콘(30)과, 상기 클라이밍 콘(30)에 나사결합되는 콘 볼트(40)를 포함하는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 플레이트(20)를 상기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에 조립할 시에, 타단부(14)에 조립된 상기 클라이밍 콘(30)에 대한 상기 앵커 플레이트(20)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정조립할 수 있는 앵커 플레이트 정조립부(60)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밍 콘(30)의 내면에 앵커 볼트(10)의 정조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조립확인홀(72)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 플레이트 정조립부(60)는,
    상기 앵커 플레이트(20)를 상기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에 조립할 시에, 상기 앵커 플레이트(20)가 상기 클라이밍 콘(30)에 대해 미리 설정된 거리 보다 가깝게 과조립되는 것을 제한하는 과조립제한부(62)를 포함하고,
    상기 과조립제한부(62)는,
    상기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로부터 상기 클라이밍 콘(30)측으로 나사 이동하면서 조립되는 상기 앵커 플레이트(20)를 특정부분에서 제한하여 상기 클라이밍 콘(30)측으로의 과조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앵커 볼트(10)의 특정부분에 고정되는 스토퍼(Stopper)(62a)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 플레이트 정조립부(60)는,
    상기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에 조립된 앵커 플레이트(20)가, 상기 앵커 볼트(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이탈제한부(6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제한부(64)는,
    상기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 끝부분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로부터 풀리면서 이탈되려는 상기 앵커 플레이트(20)를 차단하는 캡너트(Cap Nut)(64a)를 포함하며,
    상기 과조립제한부(62)와 이탈제한부(64) 사이의 앵커 볼트(10)부분은, 다른 부분과 차별되는 색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앵커 볼트(10)에 대한 상기 앵커 플레이트(20)의 최적 조립 범위를 특정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을 조립할 시에, 상기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이 미리 설정된 나사체결길이(L)를 가지며 정조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조립확인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밍 콘(30)은, 상기 앵커 볼트(10)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일측의 제 1암나사부(32)와, 상기 콘 볼트(40)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타측의 제 2암나사부(34)를 구비하며,
    상기 정조립확인부(70)는,
    상기 클라이밍 콘(30)의 제 1암나사부(32)로부터 제 2암나사부(34)를 향해 관통되어 있는 정조립확인홀(72)과;
    상기 정조립확인홀(72)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에 형성되며, 상기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를 상기 클라이밍 콘(30)의 제 1암나사부(32)에 일정 나사체결길이(L) 이상 나사 조립할 시에, 상기 제 1암나사부(32)의 정조립확인홀(72)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 2암나사부(34)로 관통하는 정조립확인돌기(7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암나사부(34)로의 상기 정조립확인돌기(74) 관통여부를 육안 또는 촉각으로 확인하여, 상기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정조립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조립확인돌기(74)는,
    상기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조립확인돌기(74)는,
    상기 앵커 볼트(10)의 타단부(14)에 형성된 홈(14a)에 눌림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홈(14a)에 내장되는 스프링(14b)에 지지되어 원위치로의 탄성복원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조립확인부(70)는,
    상기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이 미리 설정된 나사체결길이(L)로 나사체결될 시에, 상기 클라이밍 콘(30)의 끝부분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앵커 볼트(10)의 특정부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체결위치확인부(7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위치확인부(76)와 상기 클라이밍 콘(30)이 나사 결합되는 상기 앵커 볼트(10) 사이부분은, 다른 부분과 차별되는 색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앵커 볼트(10)와 클라이밍 콘(30)의 정조립위치 범위를 특정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볼트(10)의 일단부(12)와 타단부(14)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KR1020180058304A 2018-05-23 2018-05-23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KR102055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304A KR102055604B1 (ko) 2018-05-23 2018-05-23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DE102018129309.7A DE102018129309A1 (de) 2018-05-23 2018-11-21 Kletterkonusankervorrichtung zum Verhindern eines menschlichen Fehl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304A KR102055604B1 (ko) 2018-05-23 2018-05-23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407A KR20190133407A (ko) 2019-12-03
KR102055604B1 true KR102055604B1 (ko) 2019-12-13

Family

ID=6849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304A KR102055604B1 (ko) 2018-05-23 2018-05-23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5604B1 (ko)
DE (1) DE1020181293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441A (ko) 2020-12-11 2022-06-20 페리 에스이 클라이밍 콘의 앵커링 검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2343B (zh) * 2019-12-24 2022-04-22 重庆新久融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爬模悬挂的预埋装置
KR102437065B1 (ko) * 2020-07-17 2022-08-29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안전확인이 가능한 외벽 고정용 앵커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941Y1 (ko) * 2001-07-12 2001-11-17 원일기공주식회사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KR200392054Y1 (ko) * 2005-05-25 2005-08-09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JP2007270442A (ja) * 2006-03-30 2007-10-18 Osaka Gas Co Ltd アンカー部材固定方法とアンカー部材連結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805B1 (ko) * 2004-01-13 2004-10-21 주)협진 에스에프산업 입체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스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941Y1 (ko) * 2001-07-12 2001-11-17 원일기공주식회사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KR200392054Y1 (ko) * 2005-05-25 2005-08-09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JP2007270442A (ja) * 2006-03-30 2007-10-18 Osaka Gas Co Ltd アンカー部材固定方法とアンカー部材連結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441A (ko) 2020-12-11 2022-06-20 페리 에스이 클라이밍 콘의 앵커링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129309A1 (de) 2019-11-28
KR20190133407A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604B1 (ko)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CA2854173C (en) A formwork anchor receptacle, a formwork anchor as well as a formwork element for receiving these
EP3599172B1 (en) Anchoring bolt head for an eme protection cap system
US8944736B2 (en) Fastening element with a tolerance-compensation function
KR100678649B1 (ko) 중장비 운전실의 하중지지장치 및 그 제작방법
US7470081B2 (en) Joint structure between members
EP3560839A1 (en) Anchoring nut for an eme protection cap system
JP2019513926A5 (ko)
KR20180132193A (ko) 앵커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지지 장치
KR920009598B1 (ko) 풀림방지용 체결기구
KR200443410Y1 (ko) 인공암벽용 홀드 풀림방지 체결시스템
JP2814047B2 (ja) 機器の接続装置
KR102437065B1 (ko) 안전확인이 가능한 외벽 고정용 앵커장치
KR101751650B1 (ko) 천장패널의 낙하 방지장치
ITMI990444U1 (it) Dispositivo di ancoraggio per manufatti edili in calcestruzzo o simili con elemento di ancoraggio al manufatto ad elevata semplicita' di app
KR100356336B1 (ko)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구
KR101728634B1 (ko) 천정 조명등 커버의 조립 체결 너트
KR20180067399A (ko) 호스 클램프용 토크 컨트롤 캡
KR200362432Y1 (ko) 볼트너트 보호덮개
JP2000018231A (ja) 螺子体螺解防止具
KR200381331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세퍼레이터 고정장치
CA3218788A1 (en) Coupling for a grinding mill liner
KR200337591Y1 (ko) 시공이 간편한 연결구조를 갖는 마루
KR20190002820U (ko) 가설발판 맞대기 브라켓
JP6756504B2 (ja) 手摺用ブラケット及び手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