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008B1 -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거치대 - Google Patents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008B1
KR102055008B1 KR1020180059613A KR20180059613A KR102055008B1 KR 102055008 B1 KR102055008 B1 KR 102055008B1 KR 1020180059613 A KR1020180059613 A KR 1020180059613A KR 20180059613 A KR20180059613 A KR 20180059613A KR 102055008 B1 KR102055008 B1 KR 102055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base plate
sealing
wall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9686A (ko
Inventor
성주현
Original Assignee
성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현 filed Critical 성주현
Publication of KR20180129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7/00Shaving accessories
    • A45D27/22Containers or carriers for storing shaving appliances
    • A45D27/24Containers or carriers for storing shaving appliances for storing thin flat razor blades, e.g.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ipulator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이나 벽면에 흡착하여 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다용도 실리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플레이트 자체가 흡착판 역할을 하는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거치대는 바닥면이나 벽면에 흡착되는 실리콘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에 세워진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실링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1흡착부와, 상기 실링부에 의해 둘러 싸여 있고, 상기 제1흡착부와 두께가 다른 제2흡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거치대{SILICON HOLDER}
본 발명은 바닥이나 벽면에 흡착하여 생활용품이나 사무용품 등을 거치할 수 있는 다용도 실리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플레이트 자체가 흡착판 역할을 하는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바닥면 또는 벽에 흡착하여 특정용도로 사용하는 생활용품이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욕실 벽에 흡착하여 칫솔을 거치하는 칫솔거치대나 면도기거치대, 또는 주방 싱크대에 흡착하여 사용하는 물막이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칫솔거치대(1)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칫솔거치대(1)는 몸체(3)에 걸이부(1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몸체(3)를 벽면에 흡착하는 흡착구(18)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3)의 일측에 구비되는 흡착구(18)는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벽면에 힘을 주어 편평하게 한 상태로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편평해진 흡착구(18)는 원상회복하려는 힘에 의해 공압이 발생하여 벽면에 흡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흡착구(18)는 벽면에 밀착하여 흡착한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벽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종국에는 벽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또한 흡착구(18)와 벽면 사이에 물이 유입되어 손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086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 자체가 흡착판 역할을 하는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리콘의 수축에 의한 공압과 그 반작용으로 실링라인이 형성되어 견고하게 흡착되는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거치대는 바닥면이나 벽면에 흡착되는 실리콘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에 세워진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실링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1흡착부와, 상기 실링부에 의해 둘러 싸여 있고, 상기 제1흡착부와 두께가 다른 제2흡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흡착부는 상기 제1흡착부보다 두께가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바닥면이나 벽면에 흡착되도록 흡착면이 경면가공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에는 상기 제1흡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두께를 보강하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부의 내측공간을 분할하는 적어도 1 이상의 격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제2흡착부가 2개 이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실링부의 교차부위는 두께가 두꺼운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부는 측벽에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절개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개부는 상기 실링부의 측벽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에 작은 면적의 흡착기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체 면적이 흡착되어 바닥면이나 벽면에 견고하게 흡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 전체가 흡착되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 밑으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와 벽면 사이에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실리콘 소재의 수축에 의한 공압과 그 반작용으로 실링라인이 형성되어 장시간 흡착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라인 안쪽으로 물이나 공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가 벽면에서 떨어지는 경우에도 실링라인 안쪽에서 흡착되어 있기 때문에 벽면에서 떨어지지 않고 흡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를 경계로 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 차이로 인해 공압차가 발생하여 벽면에 보다 강하게 흡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부에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부착면에 타일의 경계선 등 매끄럽지 않은 부분이 걸쳐 있어도 흡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칫솔걸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벽면에 부착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거치대의 일 실시예(100)로서 욕실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흡착하여 사용하는 칫솔 및 면도기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100)는 대략 사각형태인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형성된 실링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실링부(120)는 실리콘 소재로 일체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흡착면(저면)은 경면 가공처리되어 유광으로 형성되고, 실링부(120)는 경면가공처리되지 않고 무광으로 형성된다. 실리콘은 경면 가공처리할 경우, 유리나 타일 등 매끄러운 면에 점착되는 특성이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흡착면(도 4의 '110A' 참조)이 벽면에 공기없이 점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면가공한 것이다. 금형의 표면을 경면가공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흡착면을 경면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1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표면에 측벽들이 세워져 기둥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실링부(120)는 측벽들이 서로 연결되어 평면형상(수평단면 형상)이 폐곡선을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칫솔이나 면도기 등을 수납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배면도로서 실링부(120)가 폐곡선으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링부(120)의 평면형상이 폐곡선을 형성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실링부(120)의 외측과 내측으로 구분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실링부(120)의 외측에 제1흡착부(111)가 형성되고, 실링부(120)의 내측, 다시 말해 상기 실링부(120)의 측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제2흡착부(112,112a~112f)로 구분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링부(120)의 내측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121a,121b)이 복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격벽(121a,121b)으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제2흡착부(112a~112f)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120)와 같은 높이의 격벽(121a)을 형성될 수도 있으나, 실링부(120)보다 낮은 높이로 격벽(121b)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실링부(120)를 형성하는 측벽의 높이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100)를 벽면에 부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벽면에 밀착시키면, 경면 가공된 실리콘의 특성상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벽면(W)에 점착된다.
점착 직후,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소재인 베이스 플레이트(110) 중 제1흡착부(111) 및 제2흡착부(112)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고 두께가 얇기 때문에 수축하게 된다(화살표 참조). 상기 제1흡착부(111)와 제2흡착부(112)가 수축하면 이들과 벽면(w) 사이에는 미세한 공간이 형성되면서 공압(P1,P2)이 발생되어 흡착된다.
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 중 제1흡착부(111)와 제2흡착부(112) 사이에 있는 부분(114, 도 4의 '114' 참조)은 제1흡착부(111) 및 제2흡착부(1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고, 특히, 상부에 실링부(120)의 측벽(또는 격벽)이 일체로서 연장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축되지 않는다. 제1흡착부(111)와 제2흡착부(112) 사이에 있는 부분(114, 도 4의 '114' 참조)은 실링부(120)의 측벽(또는 격벽)이 일체로서 연장형성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제1흡착부(111)와 제2흡착부(112)에 비해 두께가 매우 두꺼운 부분이 되기 때문에 강도가 커서 수축되지 않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흡착부(111)와 제2흡착부(112)의 수축은 반작용으로 그들 사이에 있는 부분(114)을 벽면(W)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력(P3)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반작용으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제1흡착부(111)와 제2흡착부(112) 사이에 있는 부분(114)이 벽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실링라인(sealing line)을 형성한다. 실링라인은 폐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즉, 본 실시예는 제1흡착부(111) 및 제2흡착부(112)와 벽면(W)에 형성된 공압(P1,P2)과, 실링라인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벽면(W)에 더욱 강하게 오랜시간 흡착된다.
또한, 실링부(120)의 외측인 제1흡착부(111)에서 공압(P1)에 의한 흡착이 이루어지고, 실링부(120)의 내측인 제2흡착부(112)에서 공압(P2)에 의한 흡착이 이루어지게 되어 이중 흡착이 된다. 또한 제1흡착부(111)와 제2흡착부(112) 사이 부분(114)에서 폐곡선 형태의 실링라인이 형성되어 제2흡착부(112)로 공기 또는 물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100)는 제1흡착부(111)보다 제2흡착부(112)의 두께가 더 얇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흡착부(112)가 더 얇기 때문에, 제2흡착부(112)의 수축량이 더 크고, 실리콘의 수축에 따라 발생되는 공압도 역시 더 크게 형성된다(P2>P1). 이로 인해 실링라인을 기준으로 내측인 제2흡착부(112)에서 외측인 제1흡착부(111)보다 더 강하게 흡착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제1흡착부(111)와 제2흡착부(112) 사이에 공압차(P2-P1)가 존재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더욱 강하게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실링라인과, 실링라인의 안쪽에서 바깥쪽보다 강한 공압(P2)에 의해 흡착되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가장자리보다 중심에서 강하게 흡착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본 실시예를 유리 벽면에 흡착해 보면, 실링부(120) 및 격벽(121)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부분(114)이 벽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도 4의 '114'와 같은 패턴의 실링라인이 육안으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흡착면에 폐곡선 형태의 실링라인이 형성되어 실링라인 내측 중심으로 물이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종래의 흡착구(도 1의 '18'참조)는 가장자리에 물이나 공기가 유입되면 흡착이 해제된다. 종래의 흡착구는 실링라인이 테두리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링라인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테두리가 아니라 그 내측인 제1흡착부(111)와 제2흡착부(112)의 경계에 형성된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에서 물이나 공기가 들어가 제1흡착부(111)가 벽면(w)으로부터 떨어지더라도 도 4의 '114'와 같은 형태의 실링라인에 의해 물이나 공기가 실링라인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2흡착부(112)의 공압 및 흡착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흡착구(도 1의 '18'참조)는 힘을 가하여 벽면에 편평한 상태로 흡착되어 흡착 초기에 중심이 벽면에 밀착되지만, 흡착구의 형상 복원력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심부터 벽면에서 떨어지면서 흡착력이 약해져 종국에는 흡착구 전체가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점착 직후, 제2흡착부(112)가 수축하면서 벽면(w)에서 떨어지지만, 이와 동시에 반작용으로 실링부(120) 및 격벽(121)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부분(114)을 벽면방향으로 더욱 강하게 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실링라인이 벽면에 강하게 밀착,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흡착부(112)가 수축하여 벽면(w)에서 떨어질 때 비로소 흡착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2흡착부(112)가 벽면(w)에서 떨어지는 것이 흡착력을 약화시키는 것이 아니다.
특히, 종래의 흡착구(도 1의 '18'참조)는 일단 벽면에서 떨어지기 시작하면 중심이 볼록한 형상의 복원을 위해 계속 더 떨어지는 것을 가속시키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은 제2흡착부(112)의 흡착력이 발생할 당시, 형상이 변형된 것이 아니므로 형상 복원력이 없거나 극히 작다. 극히 작은 형상 복원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힘은 오히려 실링라인을 보다 견고하게 형성하는 반작용을 하기 때문에 흡착력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리콘의 두께 차이에 의한 수축 및 공압 발생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제1흡착부(111)의 테두리, 즉,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테두리를 따라 두께를 두껍게 보강하는 단턱(113)을 형성한다.
따라서 단턱(113)은 제1흡착부(111)보다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제1흡착부(111)가 수축하여 공압(P1)이 발생되는 동시에 그 반작용으로 단턱(113)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흡착면(110A)의 테두리(115)를 벽면에 더욱 밀착시키는 압력(P4)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흡착면의 테두리(도 4의 '115'참조)에서도 도 4의 '115'와 같은 형태의 실링라인이 형성되어 제1흡착부(111)와 벽면 사이에 물이나 공기 유입을 방지한다. 그러나 테두리(115)에 작용하는 압력(P4)는 실링부(120) 및 격벽(121)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부분(114)에 작용하는 압력(P3)보다는 약하다(P3<P4).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는 제1흡착부(111)와 제2흡착부(111)에서의 2개의 흡착구간과, 도면부호 '114'와 '115'와 같은 2개의 실링라인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턱(113)이 형성됨으로써 제1흡착부(111)의 테두리에 무게감을 주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테두리 형태를 유지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실링부(120)의 교차부위, 및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격벽(121)의 교차부위는 보강부(도 2의 '116' 참조)가 형성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실링부(120)의 교차부위는 직각이 아니라 R가공하여 두께를 보강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보강부(116)에 의해 두께를 보강함으로써 실링부(120) 및 격벽(121)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부분(114)이 수축되지 않도록 하여 실링효과를 더욱 극대화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는 실링부(120)에 칫솔과 면도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부 측벽에 세로방향으로 절개부(117a,11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117a,117b)는 칫솔이나 면도기가 통과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실링부의 측벽에 절개부가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실링부의 평면형상은 폐곡선을 유지한다. 그 이유는 절개부(117a,117b)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만나지 않도록 일정 높이(깊이)까지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절개부의 높이(h1)가 측벽의 높이(h2)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h1<h2). 다시 말해, 절개부(117a,117b)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도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된 측벽이 형성되어 있어 실링부(120)의 수평단면이 개방된 부분 없이 폐곡선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이유는 실링부(120)의 측벽(121)들이 서로 연결되어 평면형상이 폐곡선을 유지할 때, 실링효과가 확실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만약, 절개부(117a,117b)가 실링부(120)의 측벽 전체 높이(h2)에 대하여 형성된다면, 절개부(117a,117b)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만나게 되고, 그로 인해 측벽들 사이에 연결이 끊어져 실링부(120)의 평면형상이 폐곡선을 이루지 못하고 단절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링부(120)의 측벽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단절되게 되면 실링효과가 저하되고 흡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도 7은 도 6의 A에 해당하는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실링부(120)에 절개부 대신에 측벽 일부에 홀(118)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홀(118)을 통해 칫솔을 통과시켜 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종래의 흡착구(도 1의 '18'참조)를 타일(30)의 경계선(31)에 걸쳐 설치한다면, 경계선(31)의 틈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흡착이 불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30)의 경계선(31)에 걸쳐 설치해도 떨어지지 않고 흡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실링부(120)의 내측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121a,121b)이 복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격벽(121a,121b)으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제2흡착부(112a~112f)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타일(30)의 경계선(31)에 걸쳐 설치되더라도 경계선(31)과 만나는 제2흡착부(112b)가 있지만, 이와 함께 경계선(31)과 만나지 않는 제2흡착부(112a,112c~112f)가 하나라도 있다면 흡착이 유지되어 떨어지지 않고 흡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실링부(22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에 측벽들이 세워져 기둥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100)와 달리 실링부(220)의 평면형상(수평단면 형상)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어 폐곡선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제1흡착부(211)가 형성되고, 제1흡착부(211)의 내측에 두께가 얇은 제2흡착부(222)가 형성된다는 점에서는 앞선 실시예(100)와 동일하다.
상기 실링부(220)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실링부(220)가 제1흡착부(211)와 제2흡착부(212)의 경계가 되지만, 실링부(22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두께가 두꺼운 제1흡착부(211)와 두께가 얇은 제2흡착부(212)가 맞닿아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흡착면(210A)이 경면가공되어 있다는 점,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 테두리에 단턱(도 2의 '113' 참조)이 형성되는 점, 실링부(220)에 복수의 격벽(도 2의 '121a' 참조)이 형성되는 점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실링부(220)의 교차부위는 두께가 두꺼운 보강부(도 2의 '116' 참조)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실링부(220)는 측벽에 절개부(도 2의 '117a','117b' 참조)가 형성되는 것도 동일하다. 다만, 절개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만나지 않을 수도 있고, 만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실링라인(214)이 폐곡선을 형성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흡착에 불리한 측면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측이 개방되어 있기는 하지만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에 실링부(220)가 세워져 있고, 제2흡착부(212)의 두께가 제1흡착부(21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바에 의해 종래의 흡착구(18)에 비해서는 흡착력이 오랜 시간 유지된다.
간단히 설명하면, 베이스 플레이트가 벽면에 점착한 직후, 제1흡착부(211)와 제2흡착부(212)의 수축에 의한 흡착력이 발생하여 이중 실링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부(220)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부분에서 실링라인(214)이 형성되어 기밀이 장시간 유지된다. 특히, 제2흡착부(212)가 제1흡착부(211)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어 수축량이 많고, 그에 따라 공압도 크게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이 가장자리보다 흡착력이 더 강하게 형성된다는 것은 앞선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가 단턱으로 인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므로 제1흡착부(211)가 수축하면서 흡착면(210A)의 테두리(215)를 벽면에 밀착하는 압력이 발생되어 테두리에도 실링라인(215)이 형성된다.
100: 실시예
110: 베이스플레이트
111: 제1흡착부
112: 제2흡착부
113: 단턱
120: 실링부
121: 격벽
210A: 흡착면
211: 제1흡착부
212: 제2흡착부
220: 실링부

Claims (6)

  1. 실리콘재질로 형성되고, 바닥면이나 벽면에 흡착되도록 흡착면이 경면처리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에 세워진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실링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1흡착부와,
    상기 실링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흡착부보다 두께가 얇은 제2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에는 상기 제1흡착부와 두께 차를 형성하기 위하여 테두리를 따라 두께를 보강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두께는 상기 실링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내측공간을 분할하는 적어도 1 이상의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거치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실링부의 교차부위는 두께가 두꺼운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측벽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하지 않도록 상기 실링부의 측벽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거치대.
KR1020180059613A 2017-05-26 2018-05-25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거치대 KR102055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961 2017-05-26
KR1020170064961 2017-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686A KR20180129686A (ko) 2018-12-05
KR102055008B1 true KR102055008B1 (ko) 2019-12-12

Family

ID=6439672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613A KR102055008B1 (ko) 2017-05-26 2018-05-25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거치대
KR1020180059611A KR102055007B1 (ko) 2017-05-26 2018-05-25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거치대
KR1020180059614A KR20180129687A (ko) 2017-05-26 2018-05-25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칫솔 거치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611A KR102055007B1 (ko) 2017-05-26 2018-05-25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거치대
KR1020180059614A KR20180129687A (ko) 2017-05-26 2018-05-25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칫솔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055008B1 (ko)
WO (1) WO20182170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414B1 (ko) 2018-10-29 2023-08-08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552Y1 (ko) * 2001-02-28 2001-09-28 주효정 거치식 수납대
KR200407899Y1 (ko) * 2005-11-24 2006-02-06 김승주 고리형 흡착판
KR101494877B1 (ko) * 2013-09-04 2015-03-03 김동준 휴대용 칫솔 캡
KR101724871B1 (ko) * 2015-07-10 2017-04-18 김종오 치간칫솔 보관이 가능한 칫솔걸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583Y1 (ko) * 2006-03-22 2006-06-13 강상규 흡착식 칫솔걸이
KR101630860B1 (ko) 2014-12-12 2016-06-15 이종명 살균 칫솔걸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552Y1 (ko) * 2001-02-28 2001-09-28 주효정 거치식 수납대
KR200407899Y1 (ko) * 2005-11-24 2006-02-06 김승주 고리형 흡착판
KR101494877B1 (ko) * 2013-09-04 2015-03-03 김동준 휴대용 칫솔 캡
KR101724871B1 (ko) * 2015-07-10 2017-04-18 김종오 치간칫솔 보관이 가능한 칫솔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685A (ko) 2018-12-05
KR20180129687A (ko) 2018-12-05
KR20180129686A (ko) 2018-12-05
KR102055007B1 (ko) 2019-12-12
WO2018217070A1 (ko)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1085B2 (en) Apron sink
US7913962B2 (en) Suction cup
AU2014393668B2 (en) Vacuum triple-structure suction plate
US8997414B2 (en) Water tight seal for corner joints, and associated mouldings
KR102055008B1 (ko)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거치대
JP7016475B2 (ja) 浴室壁部材の取付構造
TWI225837B (en) Glass substrate carrying box
CN103868316B (zh) 用于冰箱的吧台及具有其的冰箱
KR101924960B1 (ko) 흡착부 일체형 실리콘 물막이
KR102324763B1 (ko) 차량 시트용 폼패드의 제조방법
WO2013068586A1 (en) Method to manufacture a panel comprising a substrate and at least one component adhered thereto, panel and mould system
JP6216867B2 (ja) 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D623804S1 (en) Stable bank system
JP2008169646A (ja) 人工大理石カウンタのシンク取付構造及び方法
USD938562S1 (en) Floor reinforcement toilet mounting plate
USD866484S1 (en) Wall plate with multi-input AV
FR2904285A1 (fr) Architecture de faux plancher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muret de masquage d&#39;un medaillon de revetement
JP2011001164A (ja) ゴミ袋の保持具
JP7009862B2 (ja) 浴室壁部材の取付構造
JP6851165B2 (ja) 水受け装置、水受け装置取り付け方法、及び、水受け装置取り付け構造
JP2022059976A (ja) 車両用フロア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81031A (ja) 洗い場床
JP2020037818A (ja) 天板と水槽との間の止水構造及び天板と水槽との固定方法
JPH08224185A (ja) 気泡浴槽装置の防振支持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29665A (ko) 흡착부 일체형 실리콘 칫솔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