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649B1 - 압착 공기 구동식 정 - Google Patents

압착 공기 구동식 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649B1
KR102054649B1 KR1020197027392A KR20197027392A KR102054649B1 KR 102054649 B1 KR102054649 B1 KR 102054649B1 KR 1020197027392 A KR1020197027392 A KR 1020197027392A KR 20197027392 A KR20197027392 A KR 20197027392A KR 102054649 B1 KR102054649 B1 KR 102054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needle
compressed air
hold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629A (ko
Inventor
후미오 이나가키
게이스케 시마다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06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 B25D9/08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comprising a built-in air compressor, i.e. the tool being driven by ai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6Hammer pistons; Anvils ; Guide-sleeves for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04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of the hammer piston type, i.e. in which the tool bit or anvil is hit by an impuls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14Control devices for the reciprocating piston
    • B25D9/16Valve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2217/0011Details of anvils, guide-sleeves or pistons
    • B25D2217/0015Anv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2217/0011Details of anvils, guide-sleeves or pistons
    • B25D2217/0023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181Pneumatic too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75Tools having at least two similar components
    • B25D2250/285Tools having three or more similar components, e.g. three motors
    • B25D2250/291Tools having three or more parallel bits, e.g. needle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니들 홀더의 소직경화를 가능하게 한 압착 공기 구동식 정을 제공한다. 실린더 내에 축선 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게 형성되는 니들 홀더 (22) 의 외주면에 후진 구동용 환상 오목부 (22a) 를 형성하고, 니들 홀더 (22) 가 전진되었을 때에 그 후진 구동용 환상 오목부 (22a) 를 통하여 후진 구동실 (26) 에 압착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압착 공기 구동식 정{Compressed Air-Driven Chisel}
본 발명은, 압착 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압착 공기 구동식 정에 관한 것이다.
압착 공기 구동식 정은, 통상 (筒狀) 부재 내에 그 통상 부재의 축선 방향에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순차 장착되고 그 통상 부재에 대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피스톤, 앤빌, 및 니들 홀더를 갖고, 그 니들 홀더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니들 (바늘 정) 이 유지되어 있다. 압착 공기를 피스톤 후부에 형성되는 전진 구동실에 공급하면, 피스톤이 전방으로 구동되어 앤빌의 후부를 타격하고, 앤빌이 전방으로 구동되고, 그 앤빌에 밀려 니들 홀더가 전방으로 구동된다. 또, 그 니들 홀더가 전방으로 구동된 시점에서, 전진 구동실의 압착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과 함께, 니들 홀더의 전단측에 형성되는 후진 구동실에 압착 공기가 공급되고, 그 니들 홀더, 앤빌 및 피스톤을 후방으로 되돌리도록 되어 있다. 니들 홀더가 전방으로 구동됨으로써, 당해 니들의 선단이 피작업 부위를 타격하여 치핑 (깎아냄) 등의 소용 (所用) 의 작업을 실시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압착 공기식 정의 니들 홀더는, 통상 부재의 내주면에 대해 밀봉 걸어맞춤되고 그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대직경의 홀더 본체와, 그 홀더 본체로부터 동축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어 통상 부재의 전단 개구의 내주면에 대해 밀봉 걸어맞춤되고 그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소직경의 통상 연장부를 갖는다. 그 홀더 본체는 그 전단에서 그 통상 연장부의 후단의 둘레에 형성된 환상 전단면을 갖고, 상기 후진 구동실은, 니들 홀더를 수납하고 있는 통상 부재의 내주면, 전단 개구의 후측면, 통상 연장부의 외주면, 및 홀더 본체의 환상 전단면에 의해 획정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이와 같은 압착 공기 구동식 정에서는, 홀더 본체에 복수의 니들을 전후 방향으로 각각 통과시키는 니들 유지공이 당해 홀더 본체의 반경 방향 중심의 둘레에 다수 형성됨과 함께, 그 홀더 본체의 외주면 근처에는 니들 유지공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홀더 본체의 환상 전단면으로 개구되어 후진 구동실에 압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축선 방향 통로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및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89607호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62-16295호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압착 공기 구동식 정에서는, 후진 구동실에 대한 압착 공기 공급용의 축선 방향공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홀더 본체의 환상 전단면으로 개구되도록 홀더 본체의 외주면 근처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니들 홀더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에 의한 타격에 의해 격렬하게 왕복동이 반복되는 것으로, 이 때문에 상기 축선 방향공으로부터 당해 홀더 본체 외주면까지의 두께는 그러한 격렬한 왕복동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것으로 해야 하고, 이것은 압착 공기 구동식 정을 소형화하기 위해서 당해 니들 홀더의 외경 치수를 작게 하고자 할 때의 제한 요소가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니들 홀더의 외경 치수를 종래의 것에 비해 작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압착 공기 구동식 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압착 공기 구동식 정은,
후단에 형성된 후단 폐지 (閉止) 부재와, 전단에 형성되어 전단 개구를 획정하는 전단 통상 부재를 갖는 실린더와,
그 실린더 내에 그 실린더의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고, 복수의 니들을 그 전단 개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유지하는 니들 홀더 및 그 니들 홀더의 후방 위치에 배치된 피스톤을 포함하는, 가동 엘리먼트로서, 그 피스톤은 그 실린더 내에서 그 피스톤의 후부에 형성되는 전진 구동실에 압착 공기가 도입됨으로써 전방으로 구동되어 그 니들 홀더에 그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의 타격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고, 그 니들 홀더는 그 실린더의 내주면에 대해 밀봉 걸어맞춤되고 그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대직경의 홀더 본체와, 그 홀더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전단 통상 부재의 내주면에 대해 밀봉 걸어맞춤되고 그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소직경의 통상부를 갖고, 그 홀더 본체는, 그 전단에서 그 통상부의 후단의 둘레에 형성된 환상 전단면과, 그 니들을 그 통상부의 내측을 전후 방향에서 연장되도록 하여 수납하는 그 축선 방향에서 관통하는 니들 유지공을 갖고, 그 니들 홀더는, 그 피스톤의 타격력에 의해 전방으로 구동되고, 그 환상 전단면이 그 전단 통상 부재의 후단부에 충돌하는 전단 위치까지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실린더의 내주면은 그 전단 통상 부재의 후단의 위치로부터 그 축선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홀더 본체의 외주면보다 대직경으로 그 니들 홀더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후진 구동실을 획정하는 실 (室) 획정 오목부를 갖도록 되어 있는, 가동 엘리먼트와,
압착 공기를 상기 전진 구동실에 공급하는 전진 구동용 통로 및 그 후진 구동실에 공급하는 후진 구동용 통로를 갖고, 그 전진 구동용 통로 및 그 후진 구동용 통로를 통하여 그 압착 공기를 그 전진 구동실 및 그 후진 구동실에 교대로 공급하기 위한 압착 공기 공급 통로로서, 그 후진 구동용 통로는, 그 실린더를 통과하고, 그 홀더 본체의 외주면과 슬라이딩 걸어맞춤되는 그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개구되는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와, 그 홀더 본체의 외주면 및 그 외주면과 슬라이딩 걸어맞춤되는 그 실린더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방에 그 축선 방향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에 연통하고 있는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를 갖고, 그 니들 홀더가 그 전단 위치로 되었을 때에 그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가 그 후진 구동실에 연통되어 압착 공기를 그 후진 구동실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압착 공기 공급 통로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이 압착 공기 구동식 정에 있어서는, 그 니들 홀더가 그 전단 위치로 되었을 때에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의 그 개구를 그 후진 구동실에 연통하기 위한 통로를, 전술한 종래의 것과 같이 니들 홀더의 외주면 근처에 축선 방향공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홀더 본체의 외주면 및 그 외주면과 슬라이딩 걸어맞춤되는 그 실린더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방에 축선 방향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오목부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 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축선 방향공을 형성한 경우에 당해 니들 홀더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그 축선 방향공으로부터 홀더 본체의 외표면까지의 두께를 크게 할 필요가 없고, 또, 압착 공기 공급을 위해서 필요시되는 유로 단면을, 니들 홀더 내를 통과하는 축선 방향공으로서 형성한 경우의 축선 방향공의 직경 치수에 비해 매우 작은 깊이 치수의 오목부에서 동 유로 단면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이 압착 공기 구동식 정에서는, 니들 홀더의 직경을 종래의 것에 비해 대폭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의 구체적 예로는, 그 홀더 본체의 그 외주면에 형성되고, 그 홀더 본체의 그 외주면에 있어서의 전단과 그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의 축선 방향 전단 사이의 부분이 그 실린더의 그 내주면에 밀봉 걸어맞춤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그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의 그 후진 구동실과의 연통을 저지하도록 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는 그 홀더 본체의 그 외주면의 둘레 방향에서 연장되는 환상 오목부로 할 수 있다.
그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로는, 상기의 홀더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한 것 대신에 또는 그것에 더하여, 그 실린더의 그 내주면에 형성되고, 그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의 그 개구와 그 실 획정 오목부 사이로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그 홀더 본체의 그 외주면이 그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에 대해 밀봉 걸어맞춤되고 그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의 그 개구보다 전방에서 그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는 밀봉 볼록부를 갖고, 그 밀봉 볼록부는 그 니들 홀더가 그 전단 위치로 되었을 때에 그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로부터 전방으로 멀어지고, 그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를 통하여 그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를 그 실 획정 오목부에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니들 유지공은 각각 그 니들 유지공의 후단 근처로부터 그 홀더 본체의 후단면을 향하여 점차 확경 (擴徑) 되는 니들 헤드부 수용부를 갖고, 그 니들 헤드부 수용부는 그 니들 유지공에 삽입 통과되어 유지되는 니들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그 헤드부의 후단이 그 니들 헤드부 수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그 니들 홀더의 후단면에 그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그 돌출된 니들의 헤드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된 환상 돌기부를 갖게 할 수 있다. 니들 간의 간격을 좁히기 쉽게 하는 것이다.
이 경우의 그 니들의 헤드부는 그 니들 헤드부 수용부에 대응하여 후방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측면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실린더를 동축상으로 하여 수납하는 통상의 하우징을 갖고,
그 실린더의 외주면과 그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그 축선 방향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하우징 내에 도입된 압착 공기를 그 실린더의 외주면을 따라 통과시키는 압착 공기 공급 통로를 갖고, 그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는 그 실린더를 반경 방향에서 관통하여 그 압착 공기 공급 통로에 연통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압착 공기 공급 통로는 그 실린더와 그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통상의 통로로 할 수 있다.
그 가동 엘리먼트는, 그 피스톤과 그 니들 홀더 사이에 그 축선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된 앤빌을 갖고, 그 앤빌은 전방으로 구동된 피스톤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타격되어 전방으로 구동되어 그 니들 홀더에 그 피스톤으로부터의 타격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고,
그 니들 홀더는 그 직경 방향 중심을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배기 통로를 갖고, 그 배기 통로는 그 니들 홀더가 그 전단 위치가 되었을 때에 그 전진 구동실에 연통되어 그 전진 구동실 내의 압착 공기를 그 니들 홀더의 전방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니들 유지공의 각각에 그 축선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고 그 니들 홀더로부터 축선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실린더의 그 전단 개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그 니들을 추가로 갖고, 그 헤드부가, 그 니들 헤드부 수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그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점차 축경 (縮徑) 되는 측면을 갖고, 그 측면이 그 니들 헤드부 수용부의 면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압착 공기 구동식 정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착 공기 구동식 정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압착 공기 구동식 정이 구동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종단면도에 있어서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 2 와 동일한 도면이지만, 전진 구동실에 압착 공기가 도입되고 피스톤이 전진하여 앤빌을 타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도 4 의 종단면도에 있어서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도 2 와 동일한 도면이지만, 니들 홀더가 전단 위치에 이르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도 6 의 종단면도에 있어서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압착 공기 구동식 정 (10) 은, 복수 (도면에 있어서는 6 개) 의 니들 (바늘 정) (12) 을 구비하고, 당해 압착 공기 구동식 정 (10) 의 후단의 공기 도입공 (11) (도 2) 에 접속되는 도시되지 않은 압착 공기 공급관을 통과하여 도입되는 압착 공기에 의해 니들 (12) 을 전체적으로 전후로 구동시키고, 그 선단에서 피작업 부위를 타격하여 치핑 (깎아냄) 등의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공기 구동식 정 (10) 은, 통상의 하우징 (14) 과, 그 하우징 (14) 내에 동축상으로 장착된 실린더 (16) 를 갖는다. 당해 압착 공기 구동식 정 (10) 은 추가로, 그 실린더 (16) 내에 있어서 축선 방향에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순차 장착된 피스톤 (18), 앤빌 (20), 및 니들 홀더 (22) 를 갖는다. 니들 홀더 (22) 는, 각 니들 (12) 을 당해 니들 홀더 (22) 의 전단 개구 (17)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유지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하우징 (14) 은 하우징 후부 (14a) 와 그 하우징 후부 (14a) 에 결합된 하우징 전부 (前部) (14b) 로 이루어진다. 실린더 (16) 는 통상의 실린더 본체 (16a) 와, 그 실린더 본체 (16a) 의 후단에 장착되어 그 후단을 닫는 후단 폐지 부재 (16b) 와, 실린더 본체 (16a) 의 전단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단 개구 (17) 를 획정하고 있는 전단 통상 부재 (16c) 로 이루어진다.
실린더 (16) 내에는 피스톤 (18) 과 후단 폐지 부재 (16b) 사이에 전진 구동실 (24) (도 2, 도 4, 도 6) 이, 니들 홀더 (22) 와 전단 통상 부재 (16c) 사이에 후진 구동실 (26) 이 형성되고, 하우징 후부 (14a) 에 형성된 밸브 (28) 를 개재하여 상기 서술한 공기 도입공 (11) 에 연통되어 하우징 (14) 의 내주면과 실린더 (16) 의 외주면 사이로 연장되는 통상의 압착 공기 공급 통로 (30) 를 통과하여 전진 구동실 (24) 과 후진 구동실 (26) 에 압착 공기가 교대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착 공기 공급 통로 (30) 는 실린더 (16) 의 후방 쪽에 반경 방향에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 (16d) 에 연통되는 후방 통로부 (30a) 와, 그 후방 통로부 (30a)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실린더 (16) 의 전방 쪽에 반경 방향에서 관통하도록 형성된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 (16e) 에 연통되는 전방 통로부 (30b) 를 갖고 있다. 피스톤 (18) 은 그 외주면에, 후방 쪽의 위치로부터 전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소직경부 (18a) 와, 소직경부 (18a) 의 후측의 대직경부 (18b) 를 갖고 있고, 소직경부 (18a) 및 대직경부 (18b) 는 실린더 (16) 의 내주면의 각각 대응하는 직경의 부분과 밀봉 걸어맞춤되고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소직경부 (18a) 에는 직경 방향에서 관통하는 전진 구동용 직경 방향 통로 (18d) 가 형성되고, 전진 구동용 직경 방향 통로 (18d) 로부터는 피스톤 (18) 의 후단면까지 연장되어 전진 구동실 (24) 에 연통하는 전진 구동용 축 방향 통로 (18c) 가 형성되어 있다. 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 (16d) 를 통과된 압착 공기는, 실린더 (16) 가 도 2 에 나타내는 후단 위치에 있을 때, 실린더 (16) 의 내주면과 소직경부 (18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32), 전진 구동용 직경 방향 통로 (18d), 전진 구동용 축 방향 통로 (18c) 를 통과하여 전진 구동실 (24) 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 (16e) 는 니들 홀더 (22) 가 전방으로 구동되었을 때에, 니들 홀더 (22) 의 외주면에 형성된 후진 구동용 환상 오목부 (22a) (도 7) 를 개재하여 압착 공기를 후진 구동실 (26) 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니들 홀더 (22) 는,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16) 의 내주면에 대해 밀봉 걸어맞춤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대직경의 홀더 본체 (22b) 와, 홀더 본체 (22b)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전단 통상 부재 (16c) 의 내주면에 대해 밀봉 걸어맞춤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는 소직경의 통상부 (22c) 를 갖는다. 홀더 본체 (22b) 는 그 전단에서 통상부 (22c) 의 후단의 둘레에 형성된 환상 전단면 (22d) 을 갖고 있고, 니들 홀더 (22) 는, 앤빌 (20) 에 의해 전방으로 구동되었을 때에, 환상 전단면 (22d) 이 전단 통상 부재 (16c) 의 후단부에 충돌하는 전단 위치까지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후진 구동용 환상 오목부 (22a) 는 홀더 본체 (22b) 의 외주면에 그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떨어진 중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16) 의 내주면은, 전단 통상 부재 (16c) 의 후단의 위치로부터 축선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고 홀더 본체 (22b) 의 외주면보다 대직경으로 니들 홀더 (22) 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후진 구동실 (26) 을 획정하는 실 획정 오목부 (16f) 를 갖고 있다. 니들 홀더 (22) 가 전방으로 구동되었을 때 (도 6, 도 7) 에 후진 구동용 환상 오목부 (22a) 가 후진 구동실 (26) 에 연통하는 상태가 되어, 그 후진 구동실 (26) 에 압착 공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니들 홀더 (22) 는, 홀더 본체 (22b) 를 전후 방향에서 관통하여 각각 니들 (12) 을 유지하는 니들 유지공 (22e) 과, 홀더 본체 (22b) 의 횡단면 중심을 전후 방향에서 관통하고 있는 배기 통로 (22f) 를 갖고 있다. 니들 유지공 (22e) 은 그 후단 근처로부터 홀더 본체 (22b) 의 후단면을 향하여 점차 확경되는 경사면 (22h) 을 갖는 니들 헤드부 수용부 (22g) 를 갖고, 니들 (12) 은 니들 헤드부 수용부 (22g) 의 경사면 (22h) 에 대응하는 측면 (12a) 을 갖는 니들 헤드부 (12b) 를 구비한다. 니들 헤드부 (12b) 가 니들 헤드부 수용부 (22g) 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니들 헤드부 (12b) 의 측면 (12a) 이 니들 헤드부 수용부 (22g) 의 경사면 (22h) 에 맞닿고, 니들 헤드부 (12b) 의 후단이 니들 헤드부 수용부 (22g) 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니들 홀더 (22) 의 후단면에는 그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니들 헤드부 수용부 (22g) 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니들 헤드부 (12b) 보다 더욱 후방으로 돌출된 환상 돌기부 (22j) 를 갖고 있고, 앤빌 (20) 은 이 환상 돌기부 (22j) 를 통하여 니들 홀더 (22) 에 대한 전방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어 있다. 니들 (12) 은 니들 헤드부 (12b) 가 상기와 같은 니들 헤드부 수용부 (22g) 에 수용됨으로써 니들 유지공 (22e) 과의 정합이 실시되어, 니들 (12) 이 잘 흔들리지 않게 되어 있다.
압착 공기 구동식 정 (10) 이 도 2 에 나타내는 압착 공기가 도입되어 있지 않은 부작동의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 후부 (14a) 에 피보팅된 레버 (34) 를 내려 밸브 (28) 를 개방하면, 압착 공기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압착 공기 공급 통로 (30) 의 후방 통로부 (30a), 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 (16d), 전진 구동용 직경 방향 통로 (18d), 전진 구동용 축 방향 통로 (18c) 를 통하여 전진 구동실 (24) 에 공급된다. 이로써 피스톤 (18) 은 전방으로 구동되고, 그 전단에 형성되어 있는 타격 돌기 (18e) 에 의해 앤빌 (20) 을 후방으로부터 타격한다 (도 4, 도 5). 이 상태에서는 전진 구동실 (24) 로부터 연장되는 전진 구동용 직경 방향 통로 (18d) 가 앤빌 (20) 의 후측에 형성된 공간 (35) 에 연통된 상태가 되고, 피스톤 (18) 을 전방으로 구동시킨 전진 구동실 (24) 내의 압착 공기는, 앤빌 (20) 에 형성된 축 방향공 (20a) 을 통과하여 앤빌 (20) 의 전단면과 니들 홀더 (22) 의 후단면 사이에 있는 공간 (36) 에 통과되고, 니들 홀더 (22) 의 배기 통로 (22f) 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게 된다. 이 때, 홀더 본체 (22b) 의 외주면의 후진 구동용 환상 오목부 (22a) 는 아직 후진 구동실 (26) 에 연통하고 있지 않아, 후진 구동실 (26) 에는 압착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다. 니들 홀더 (22) 가 전진 구동될 때에는, 후진 구동실 (26) 의 용적이 축소되게 되지만, 그 후진 구동실 (26) 내의 공기는, 니들 홀더 (22) 의 통상부 (22c) 에 형성되어 있는 반경 방향 배기공 (22i) 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니들 홀더 (22) 는 후진 구동실 (26) 내의 공기압에 의한 저항을 실질적으로 받지 않고 전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피스톤 (18) 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타격된 앤빌 (20) 은 전방으로 구동되어 니들 홀더 (22) 를 전방으로 구동시키고, 그 니들 홀더 (22) 는 전단 통상 부재 (16c) 와 충돌하는 전단 위치가 된다 (도 6, 도 7). 이 상태에서는 후진 구동용 환상 오목부 (22a) 는 후진 구동실 (26) 에 연통되고, 압착 공기가 후진 구동실 (26) 에 공급되고, 니들 홀더 (22) 의 후방에 대한 구동이 개시된다. 니들 홀더 (22) 에 의해 앤빌 (20) 및 피스톤 (18) 이 도 2 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돌려지면, 다시 압착 공기에 의해 피스톤 (18) 이 전방으로 구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니들 홀더 (22) 의 왕복동이 반복되고, 니들 (12) 에 의한 피작업 부위에 대한 타격 작업이 실시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니들 홀더 (22) 가 전방으로 구동되었을 때에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 (16e) 를 후진 구동실 (26) 에 연통하는 데에 홀더 본체 (22b) 의 외주면에 형성한 후진 구동용 환상 오목부 (22a) 에 의해 실시하고 있지만, 이 후진 구동용 환상 오목부를 실린더 (16) 의 내주면에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 (16e) 와 실 획정 오목부 (16f) 사이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홀더 본체 (22b) 의 외주면에, 이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에 대해 밀봉 걸어맞춤되고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 (16e) 보다 전방에서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는 밀봉 볼록부를 형성하고, 니들 홀더 (22) 가 전단 위치를 향하여 구동되었을 때에 이 밀봉 볼록부가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로부터 전방으로 멀어지고, 이것에 의해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 (16e) 와 실 획정 오목부 (16f) 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실린더 본체와, 후단 폐지 부재와, 전단 통상 부재는 별체의 것으로서 나타내었지만, 이것들은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10 : 압착 공기 구동식 정
11 : 공기 도입공
12 : 니들 (바늘 정)
12a : 측면
12b : 니들 헤드부
14 : 하우징
14a : 하우징 후부
14b : 하우징 전부
16 : 실린더
16a : 실린더 본체
16b : 후단 폐지 부재
16c : 전단 통상 부재
16d : 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
16e :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
16f : 실 획정 오목부
18 : 피스톤
18a : 소직경부
18b : 대직경부
18c : 전진 구동용 축 방향 통로
18d : 전진 구동용 직경 방향 통로
18e : 타격 돌기
20 : 앤빌
20a : 축 방향공
22 : 니들 홀더
22a : 후진 구동용 환상 오목부
22b : 홀더 본체
22c : 통상부
22d : 환상 전단면
22e : 니들 유지공
22f : 배기 통로
22g : 니들 헤드부 수용부
22h : 경사면
22i : 반경 방향 배기공
22j : 환상 돌기부
24 : 전진 구동실
26 : 후진 구동실
28 : 밸브
30 : 압착 공기 공급 통로
30a : 후방 통로부
30b : 전방 통로부
32 : 공간
34 : 레버
35, 36 : 공간

Claims (9)

  1. 후단에 형성된 후단 폐지 부재와, 전단에 형성되어 전단 개구를 획정하는 전단 통상 부재를 갖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상기 실린더의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고, 복수의 니들을 상기 전단 개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유지하는 니들 홀더 및 상기 니들 홀더의 후방 위치에 배치된 피스톤을 포함하는, 가동 엘리먼트로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피스톤의 후부에 형성되는 전진 구동실에 압착 공기가 도입됨으로써 전방으로 구동되어 상기 니들 홀더에 그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의 타격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니들 홀더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대해 밀봉 걸어맞춤되고 상기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대직경의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단 통상 부재의 내주면에 대해 밀봉 걸어맞춤되고 상기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소직경의 통상부를 갖고, 상기 홀더 본체는, 그 전단에서 상기 통상부의 후단의 둘레에 형성된 환상 전단면과, 상기 니들을 상기 통상부의 내측을 전후 방향에서 연장되도록 하여 수납하는 상기 축선 방향에서 관통하는 니들 유지공을 갖고, 상기 니들 홀더는, 상기 피스톤의 타격력에 의해 전방으로 구동되고, 상기 환상 전단면이 상기 전단 통상 부재의 후단부에 충돌하는 전단 위치까지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은 상기 전단 통상 부재의 후단의 위치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홀더 본체의 외주면보다 대직경으로 상기 니들 홀더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후진 구동실을 획정하는 실 획정 오목부를 갖도록 되어 있는, 가동 엘리먼트와,
    압착 공기를 상기 전진 구동실에 공급하는 전진 구동용 통로 및 상기 후진 구동실에 공급하는 후진 구동용 통로를 갖고, 상기 전진 구동용 통로 및 상기 후진 구동용 통로를 통하여 상기 압착 공기를 상기 전진 구동실 및 상기 후진 구동실에 교대로 공급하기 위한 압착 공기 공급 통로로서, 상기 후진 구동용 통로는, 상기 실린더를 통과하고, 상기 홀더 본체의 외주면과 슬라이딩 걸어맞춤되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으로 개구되는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와, 상기 홀더 본체의 외주면 및 상기 외주면과 슬라이딩 걸어맞춤되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방에 상기 축선 방향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에 연통하고 있는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를 갖고,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전단 위치로 되었을 때에 상기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가 상기 후진 구동실에 연통되어 압착 공기를 상기 후진 구동실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압착 공기 공급 통로를 갖는, 압착 공기 구동식 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가 상기 홀더 본체의 상기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 본체의 상기 외주면에 있어서의 전단과 상기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의 축선 방향 전단 사이의 부분이 상기 실린더의 상기 내주면에 밀봉 걸어맞춤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의 상기 후진 구동실과의 연통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압착 공기 구동식 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는 상기 홀더 본체의 상기 외주면의 둘레 방향에서 연장되는 환상 오목부로 되어 있는, 압착 공기 구동식 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가 상기 실린더의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의 상기 개구와 상기 실 획정 오목부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홀더 본체의 상기 외주면은 상기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에 대해 밀봉 걸어맞춤되고 상기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의 상기 개구보다 전방에서 상기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는 밀봉 볼록부를 갖고, 상기 밀봉 볼록부는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전단 위치로 되었을 때에 상기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로부터 전방으로 멀어지고, 상기 후진 구동용 연통 오목부를 통하여 상기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를 상기 실 획정 오목부에 연통하도록 하는, 압착 공기 구동식 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유지공은 각각 상기 니들 유지공의 후단 근처로부터 상기 홀더 본체의 후단면을 향하여 점차 확경되는 니들 헤드부 수용부를 갖고, 상기 니들 헤드부 수용부는 상기 니들 유지공에 삽입 통과되어 유지되는 니들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상기 헤드부의 후단이 상기 니들 헤드부 수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니들 홀더의 후단면에 그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돌출된 니들의 헤드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된 환상 돌기부를 갖는, 압착 공기 구동식 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를 동축상으로 하여 수납하는 통상의 하우징을 갖고,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축선 방향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도입된 압착 공기를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을 따라 통과시키는 압착 공기 공급 통로를 갖고, 상기 후진 구동용 실린더 통로는 상기 실린더를 반경 방향에서 관통하여 상기 압착 공기 공급 통로에 연통하고 있는, 압착 공기 구동식 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공기 공급 통로는 상기 실린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통상의 통로로 되어 있는, 압착 공기 구동식 정.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엘리먼트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니들 홀더 사이에 상기 축선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된 앤빌을 갖고, 상기 앤빌은 전방으로 구동된 피스톤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타격되어 전방으로 구동되어 상기 니들 홀더에 상기 피스톤으로부터의 타격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니들 홀더는 그 직경 방향 중심을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배기 통로를 갖고,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전단 위치가 되었을 때에 상기 전진 구동실에 연통되어 상기 전진 구동실 내의 압착 공기를 상기 니들 홀더의 전방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압착 공기 구동식 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유지공의 각각에 상기 축선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니들 홀더로부터 축선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린더의 상기 전단 개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상기 니들을 추가로 갖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니들 헤드부 수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점차 축경되는 측면을 갖고, 상기 측면이 상기 니들 헤드부 수용부의 면에 맞닿게 되어 있는, 압착 공기 구동식 정.
KR1020197027392A 2017-03-29 2018-03-22 압착 공기 구동식 정 KR102054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4810 2017-03-29
JP2017064810 2017-03-29
PCT/JP2018/011276 WO2018180832A1 (ja) 2017-03-29 2018-03-22 圧搾空気駆動式タガ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629A KR20190110629A (ko) 2019-09-30
KR102054649B1 true KR102054649B1 (ko) 2019-12-11

Family

ID=6367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392A KR102054649B1 (ko) 2017-03-29 2018-03-22 압착 공기 구동식 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538991B2 (ko)
KR (1) KR102054649B1 (ko)
CN (1) CN110505943B (ko)
DE (1) DE112018001806T5 (ko)
GB (1) GB2574143B (ko)
TW (1) TWI664039B (ko)
WO (1) WO2018180832A1 (ko)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110153Y1 (ko) * 1965-01-11 1966-05-14
JPS4621354Y1 (ko) * 1967-09-23 1971-07-23
CH600993A5 (en) * 1976-06-30 1978-06-30 Arx Ag Percussion tool for cleaning surfaces
JPS563759A (en) * 1979-06-21 1981-01-16 Bridgestone Tire Co Ltd Method of placing floor
JPS56102691U (ko) * 1980-01-10 1981-08-12
JPS5982682U (ja) * 1982-11-22 1984-06-04 日東技研株式会社 衝撃工具
JPS59162984U (ja) * 1983-04-15 1984-10-31 日東技研株式会社 空圧式多針剥離工具
JPS61237605A (ja) * 1985-04-13 1986-10-22 栗田鑿岩機株式会社 耐火材、コンクリ−ト材等の表面削り機
US4700328A (en) * 1985-07-11 1987-10-13 Intel Corporation High speed and high efficiency layout for dram circuits
JPH0641815Y2 (ja) * 1989-04-28 1994-11-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間隔片付エアーハンマ
JPH0432179A (ja) * 1990-05-24 1992-02-04 Ngk Spark Plug Co Ltd スパークプラグ
JPH0473477U (ko) * 1990-11-08 1992-06-26
US5251367A (en) * 1991-08-21 1993-10-12 Equipment Development Company, Inc. Pneumatically driven descaling tools
TW349469U (en) * 1997-05-29 1999-01-01 Yi-Yue Liou Improved structure for air drill
GB9827964D0 (en) * 1998-12-19 1999-02-10 Secr Defence Active backplane circuitry
TW443196U (en) * 1999-11-11 2001-06-23 Liou Yi Yue Improved structure for pneumatic chisel structure
US7013986B2 (en) * 2003-05-12 2006-03-21 Nitto Kohki Co., Ltd. Impact tool
JP4110153B2 (ja) * 2004-06-15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振動型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装置および振動型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方法
CA2576244A1 (en) * 2004-08-26 2006-03-02 Von Arx Ag Needle gun
JP4551302B2 (ja) * 2005-09-30 2010-09-29 日東工器株式会社 空気圧式往復動工具。
JP4388938B2 (ja) * 2006-08-03 2009-12-24 日東工器株式会社 打撃工具
TWM462169U (zh) * 2013-05-10 2013-09-21 Jih I Pneumatic Ind Co Ltd 多功能氣動工具機
CN204913813U (zh) * 2015-07-07 2015-12-30 瑞泰潘得路铁路技术(武汉)有限公司 一种手持式气动冲击锤
TWM527369U (zh) * 2016-05-10 2016-08-21 Jih I Pneumatic Ind Co Ltd 手持式氣動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8001806T5 (de) 2020-02-13
TW201842992A (zh) 2018-12-16
CN110505943B (zh) 2020-08-18
GB201912065D0 (en) 2019-10-09
JPWO2018180832A1 (ja) 2019-04-04
WO2018180832A1 (ja) 2018-10-04
KR20190110629A (ko) 2019-09-30
GB2574143A (en) 2019-11-27
JP6538991B2 (ja) 2019-07-03
CN110505943A (zh) 2019-11-26
GB2574143B (en) 2020-08-26
TWI664039B (zh)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7858B2 (ja) 打込機
US4440237A (en) Pavement breaker
EP1802426B1 (en) Percussion device
US8955613B2 (en) Pneumatic impact tool
KR102054649B1 (ko) 압착 공기 구동식 정
JP5716395B2 (ja) 打込機
KR101492238B1 (ko) 유압브레이커의 컨트롤밸브
JPH09165986A (ja) 自己駆動式ラム穿孔装置
KR101847428B1 (ko) 1차 압력을 이용하여 타격하는 에어 진동 발생장치
RU2462575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я
TWI584920B (zh) 單衝擊式氣鎚工具,及該單衝擊式氣鎚工具之打擊力調整方法
US10814467B2 (en) Handheld power tool
MX2009000844A (es) Accionador neumatico.
KR102436150B1 (ko) 피드백 에어의 선택적 인입을 통한 에어 펀칭 리로딩 시스템
JPH065096Y2 (ja) 空気式打撃工具
JP2007077577A (ja) 回転打撃式削孔装置
JP2017192905A (ja) エアーノズル装置とエアーダスタとエアーチッパー
JP2017205846A (ja) 打撃工具
GB2115886A (en) Impact tools
JP2007069321A (ja) 空気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