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025B1 -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출구 공기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출구 공기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025B1
KR102054025B1 KR1020147029383A KR20147029383A KR102054025B1 KR 102054025 B1 KR102054025 B1 KR 102054025B1 KR 1020147029383 A KR1020147029383 A KR 1020147029383A KR 20147029383 A KR20147029383 A KR 20147029383A KR 102054025 B1 KR102054025 B1 KR 102054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let
partial vacuum
vacuum generator
outle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446A (ko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캡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캡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캡 오이
Publication of KR20140137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18/1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 F04C18/12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radially from the rotor body extending elements, not necessarily co-operating with corresponding recesses in the other rotor, e.g. lobes, Root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04C29/042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by injecting a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쓰레기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공기가 출구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되는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출구 공기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는 제1 단계에서는 부분 진공 생성기(2)의 출구(35) 전에 상기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부분 진공 생성기(2) 내의 반송공기(conveying air)에 추가 공기가 도입되고, 제2 단계에서는 출구 공기에 의하여 야기되는 흡인 효과의 결과로 추가 공기와 상기 출구 공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혼합되는 방식으로 추가 공기가 출구 공기에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출구 공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출구 공기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THE OUTLET AIR OF A PNEUMATIC WASTE CONVEYING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청구항 10의 전제부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분 진공 이송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쓰레기의 이송과 같은 쓰레기의 수집 및 이송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시스템은 국제공개공보 WO2009/080880, WO2009/080881, WO2009/080882, WO2009/080883, WO2009/080884, WO2009/080885, WO2009/080886, WO2009/080887, WO2009/080888 등에 나타나 있다.
흡인 및/또는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배관 내에서 쓰레기를 이송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쓰레기는 이송 배관 내에서 장거리 이송된다. 그 중에서도 다른 시설에서의 쓰레기 이송을 위하여 상기 장치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압력 차이를 생성하기 위하여 부분 진공 생성기가 사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이 부분 진공 생성기에서 부분적인 진공상태가 진공펌프 또는 이젝터 장치와 같은 부분 진공 생성기에 의하여 이송배관 내에 생성된다. 이송 배관은 통상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이 밸브를 개폐함에 의하여 상기 이송배관 내로 도입되는 대체 공기(replacement air)가 조절된다. 부분 진공 이송 시스템에서는 출구 파이프 내의 먼지 문제 및 미세한 입자 문제뿐만 아니라 소음 문제도 있다. 특히 쓰레기 이송 시스템에서는 불쾌하게 느껴지는 유해 악취가 종종 출구 공기에 발생한다. 문제가 되는 악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분 진공 생성기로서 액체-공기 이젝터를 사용하는 노력이 행해져 왔는데, 여기서 액체,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 미스트가 이젝터의 조절매체로서 기능하여 흡인을 강화하고 악취와 입자들과 결합한다. 그중에서도 국제공개공보 WO2005/085104, WO2005/085105 그리고 WO2007/065966에 이러한 시스템이 나타나 있다. 또한, 유해 악취를 저감하는 액체가 이젝터 펌프 내로 도입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당히 잘 기능하지만, 이들은 일정한 타입의 부분 진공생성기를 요구하므로, 모든 쓰레기 이송시스템에 반드시 적합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 시스템의 외향의 송풍 파이프와 관련한 완전히 새로운 타입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향 송풍 파이프와 관련한 소음 문제 뿐만 아니라 시스템 출구 공기의 유해 악취를 감소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압식 쓰레기 이송 시스템에서의 출구 공기의 처리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분 진공 생성기의 출구 전에 반송공기(conveying air)로 추가적인 공기가 도입되고 또한 제2 단계에서는 출구 공기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공기가 도입되어 이 추가적인 공기가 공기 체적 당의 악취 원인물질들을 희석시킨다는 기술적사상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 방법은 제1 단계에서는 부분 진공 생성기의 출구 전에 상기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부분 진공 생성기 내의 반송공기에 추가 공기가 도입되고, 제2 단계에서는 출구 공기에 의하여 야기되는 흡인 효과의 결과로 추가 공기와 상기 출구 공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혼합되는 방식으로 추가 공기가 출구 공기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2~9에 서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부분 진공 생성기가 그 부분 진공 생성기의 출구 전에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 내의 반송공기에 추가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출구 공기에 의하여 야기되는 흡인 효과의 결과로 추가 공기와 상기 출구 공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혼합되는 방식으로 추가 공기를 출구 공기에 도입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청구항 11~18에 서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많은 중요한 장점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공기를 출구 공기에 추가함에 의하여 출구 공기의 유해 악취를 필연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추가 공기가 부분 진공 생성기의 과열을 방지하는 특성은 본 발명에 따르면 놀랍게도 추가 공기를 반송공기 내로 도입하는 것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때 부분 진공 생성기의 배출 송풍유량이 증가되거나, 적어도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인측 상의 반송공기의 부압(underpressure)과 무관하게 그 송풍유량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 배출 송풍유량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따라서 추가 공기가 제2 단계에서 출구 공기 내로 균등하게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분 진공 생성기로 로브 로터 송풍기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 장치 및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효율적인 구성이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기구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본 도 1의 실시예의 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부분 진공 생성기의 개략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자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구성의 개략도이다. 구동기구(3)에 의해서 구동되는 쓰레기용 공압식 배관 이송시스템의 부분 진공 생성기(2)는, 그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인측(suction side)으로부터 분리수단(4)에 이르는 파이프라인(6)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수단은 예컨대 사이클론 세퍼레이터일 수 있다.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이송 배관(5)은 분리수단(4), 예컨대 상기 분리수단의 상부(8)에 연결되며, 이 경우 이송대상 쓰레기 물질이 반송공기(conveying air)로부터 상기 분리수단(4) 내로 분리된다. 더 무거운 입자들과 쓰레기는 상기 분리수단 내에서 예컨대 원심력 및/또는 중력에 의하여 상기 분리수단의 바닥부(9)로 이동하여, 이 바닥부로부터 분리수단 하부의 쓰레기 용기(26) 내로 이따금씩 비워진다. 쓰레기를 분리한 반송공기는 상기 분리수단(5)으로부터 그 상부의 출구(7)로 유도되어 부분 진공 생성기(3)의 송풍측(blow side)으로 이어서 바깥으로 향하는 송풍 파이프(1)로 흐른다.
상기 외향의 송풍 파이프(1) 주위로 제2의 파이프 부분, 즉 외측 파이프(10)가 배치된다. 도 1에서 상기 외측 파이프(10)는 직선형의 파이프 부분이며, 상기 도면에서 외측 파이프의 바닥 끝단에 위치한 제1 단부(12)는 외향 송풍 파이프(1)의 외향 송풍 끝단(11)로부터 출구파이프의 입력방향 쪽으로, 즉 상기 출구 파이프(1)의 가스 이동방향과 반대방향 쪽으로 적어도 일정 범위만큼 연장되어 있다. 도 1 상단에 위치한 상기 외측 파이프의 제2 단부(14)는 외향 송풍 파이프의 외향 송풍 끝단(11)으로부터 그 외향 송풍 파이프 가스의 주 송풍방향(도 1에서 상향으로 표시됨)으로 일정 거리 연장된다. 상기 외향 송풍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 사이에 연결부분(tie part)(13)이 배치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 파이프(10)는 상기 외향 송풍 파이프와 본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치된다. 상기 외측 파이프와 외향 송풍 파이프에 의하여 경계 지어진 부분에 링형상 공간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외향 송풍 파이프(1)와 외측 파이프(10) 사이에 연결 부분(13)이 유지된다. 상기 외측 파이프의 바닥부(12)와 외향 송풍 파이프(1) 사이에 구멍(16)이 형성된다. 상기 외향 송풍 파이프(1)의 외향 송풍 구멍으로부터 챔버(24) 내로 출구 공기가 송풍될 때, 상기 외측 파이프(10)와 외향 송풍 파이프(1) 사이에 흡인력이 발생하고, 이 흡인력은 상기 외측 파이프의 바닥부(12)와 외향 송풍 파이프(1) 사이의 구멍(16)으로부터 추가적인 공기를 끌어당긴다. 외측 파이프의 상단(14)에 이르기 전에 챔버(24) 내에서 추가적인 공기가 외향 송풍 파이프(1)의 외향 송풍 구멍으로부터 유입되는 출구 공기와 혼합되며, 이때 상기 외측 파이프의 출구(22)로부터 송풍되어 나오는 공기는, 단지 외향 송풍 파이프로부터만 공기가 송풍되어 나오는 경우보다 악취를 일으키는 성분들을 공기 체적당 더 적게 함유하고 있다. 이는 출구 공기의 체감되는 악취 유해물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공급 덕트(21)가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에 연결되며, 이 덕트를 통하여 공기가 부분 진공 생성기로 보내진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이 투입 공기의 덕트(21)는 필터 수단(27)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 공급 덕트(21)는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분 진공 생성기(2)이 챔버 공간(30)과 연결되며, 상기 챔버 공간 내에는 부분 진공 생성기의 임팰러, 로터(31) 또는 이에 상응하는 부재가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는 양변위 송풍기(positive displacement blower), 더 상세하게는 이른바 로브 로터 송풍기(lobe rotor blower)이다. 이러한 종류의 부분 진공 생성기는 하나 이상의 로터(31,31')를 구비하며, 이 로터들은 펌프의 챔버(30) 내에서 회전축(36,36')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처리되어야 할 매체, 이 경우에는 반송공기가 덕트(6)를 따라 입구(32)로부터 부분 진공 생성기의 챔버 공간(30) 내로 도입된다. 각 로터(31,31')의 블레이드(33,33') 외면은 챔버 공간(30)의 벽(34)과 최소 간격(clearance)을 두고 연장된다. 챔버 공간(30) 내로 도입된 반송공기와 같은 매체는 상기 챔버 공간(30)의 벽(34)과 로터의 블레이드(33,33') 사이에 유지되며, 상기 로터가 그 축(36,36') 주위로 회전할 때 상기 로터(31,31')는 부분 진공을 생성하여 상기 챔버 내 반송공기를 입구로부터 출구(35)쪽으로 이동시킨다.
부분 진공 생성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챔버 내로 추가적인 공기가 도입되는 로브 로터 송풍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종래기술로서 US 6,203,297의 특허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는데, 이 구성은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른 상응하는 장치들이 시장에 출회되어 있다. 특히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공기를 도입하는 특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놀랍게도 활용될 수 있는데, 부분 진공 생성기의 배출 송풍유량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또는 적어도 부분 진공 생성기의 흡인측 상의 반송공기의 부압(underpressure)과 무관하게 그 송풍유량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공기가 반송공기 내로 도입된다.
도 3a-3c는 추가 공기(21)가 분기 커플링(37,37')을 통하여 챔버(30) 내로 도입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분기 커플링(37,37')들은 추가 공기를 챔버(30) 내로 도입하기 위하여 챔버의 서로 다른 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3a-3c의 실시예에서는, 추가 공기 입구로부터 양 분기 커플링(37) 및 분기 커플링(37')으로 매체의 소통이 이루어지는데, 이로써 하나의 입구에 의하여 챔버(30) 내의 두 지점으로 추가적인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축(36)은 전기 모터와 같은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된다. 이 축은 로터(3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축(36')상에 배치된 제2 로터(3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각각의 두 개의 인접한 로터의 블레이드 사이에는 포켓(pocket)이 유지되며, 로터가 회전할 때 이 포켓과 저압의 매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공급 분기 커플링(32) 간에 때때로 매체의 소통이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가 회전할 때 이 로터들은 챔버(30)의 벽에 의하여 획정(劃定)되는 공간 내의 로터 블레이드 사이의 포켓의 매체를 출구(35) 쪽으로 반송하여 상기 외향 송풍 파이프(1)로 이어지는 덕트로 유도한다. 반송매체의 이동은 도 3a-3c에서 실선의 화살표로 표시되고 있다.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로터의 블레이드(33,33')가 추가 공기를 챔버(30) 내로 끌어당기기 위한 추가 공기용 공급 분기 커플링(37,37')을 통과하며 이 부분에서 추가 공기가 반송공기와 혼합되어 반송공기 및 부분 진공 생성기를 동시에 냉각시킨다. 챔버 내로의 추가 공기의 도입은 도 3a-3c에서 점선의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통상의 부분 진공 생성기에서는, 흡인 부압이 얼마냐에 따라 외향 송풍 파이프 내의 공기 체적이 변화한다. 예컨대, 50% 부압에서는, 상기 출구 공기의 유량은 통상 압력에 비하여 단지 약 50%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게 개선된 방식이 될 수 있는바, 펌프 기구가 도 3a-3c에서와 같은 부분 진공 생성기로서 적용되며, 이 펌프 기구는 배출 공기를 냉각하여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 공기를 챔버 공간(30) 내로 도입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한다. 일정량의 추가 공기, 바람직하게는 부압에 상응하는 양의 추가 공기가 추가 공기용 공급 덕트(21)로부터 부분 진공 생성기의 챔버 공간(30) 내로 도입되며, 이때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에 의하여 송풍되어 나오는 공기 체적은 거의 일정하다. 동시에 추가 공기는 출구 공기를 냉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 공기가 2단계로 반송공기에 도입되는데, 제1 단계에서 부분 진공 생성기의 출구 전에 추가 공기가 챔버로 도입되고 제2 단계에서는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향 송풍 파이프와 연결되어 도입된다. 복수의 그 이상의 단계로 추가 공기를 상기 출구 공기에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외측 파이프(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16)을 통하여 흡인효과에 의하여 추가 공기가 출구 공기와 쓰레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유도된 공기에 도입되며, 이에 의하여 유해한 악취를 일으키는 입자들이 총 공기 체적에 대하여 감소되고 외측 파이프의 출구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체감되는 유해 악취도 감소된다.
본 발명은 따라서 쓰레기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공기가 출구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되는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출구 공기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 제1 단계에서는 부분 진공 생성기(2)의 출구(35) 전에 상기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부분 진공 생성기(2) 내의 반송공기에 추가 공기가 도입되고, 제2 단계에서는 출구 공기에 의하여 야기되는 흡인 효과의 결과로 추가 공기와 상기 출구 공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혼합되는 방식으로 추가 공기가 출구 공기에 도입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출구 공기는 외향의 송풍 파이프(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출구(22) 및 하나의 제2 구멍(16)을 포함하고 있는 챔버(24)로 송풍되고, 상기 제2의 구멍 내에서 상기 출구 공기의 송풍으로 흡인 효과가 생성되어 상기 출구 공기로 얻어진 흡인 효과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멍(16)을 통하여 추가 공기가 챔버 내의 출구 공기에 도입되며, 상기 출구 공기와 추가 공기가 챔버(24)의 출구(22) 전에 상기 챔버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혼합되어, 상기 출구(22)로부터 상기 출구 공기와 추가 공기의 혼합물이 배출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상기 챔버(24)는 외측 파이프(10)가 외향 송풍 파이프(1)의 적어도 외향 송풍 끝단(11) 주위에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멍(16)이 외측 파이프(10)의 바닥부(12)와 외향 송풍 파이프(1) 사이에 형성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배출 송풍 유량은 제1 단계의 추가 공기 유입에 따라 매우 일정하게 유지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배출 송풍 유량은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흡인측 압력과는 거의 독립적으로 유지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는 로브 로터 송풍기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는 그 부분 진공 생성기(2) 내로 도입되는 추가 공기로 냉각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구 공기가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 내로 도입되는 추가 공기 체적에 의하여 냉각된다.
본 발명은 또한, 쓰레기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공기가 출구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되며, 외향의 송풍 파이프(1)와 출구 공기를 상기 외향 송풍 파이프로 유도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출구 공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부분 진공 생성기(2)는 그 부분 진공 생성기(2)의 출구(35) 전에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 내의 반송공기에 추가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21,37,37')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장치는 출구 공기에 의하여 야기되는 흡인 효과의 결과로 추가 공기와 상기 출구 공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혼합되는 방식으로 추가 공기를 출구 공기에 도입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향 송풍 파이프(1)의 외향 송풍 끝단(11)이 적어도 하나의 출구(22) 및 하나의 제2 구멍(16)을 포함하고 있는 챔버(24)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의 구멍(16) 내에서 상기 출구 공기의 송풍으로 흡인 효과가 생성되어 상기 출구 공기로 얻어진 흡인 효과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멍(16)을 통하여 추가 공기가 챔버 내의 출구 공기에 도입되며, 상기 출구 공기와 추가 공기가 챔버(24)의 출구(22) 전에 상기 챔버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혼합되어, 상기 출구(22)로부터 상기 출구 공기와 추가 공기의 혼합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챔버(24)는 외측 파이프(10)가 외향 송풍 파이프(1)의 적어도 외향 송풍 끝단(11) 주위에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멍(16)이 외측 파이프(10)의 바닥부(12)와 외향 송풍 파이프(1) 사이에 형성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는 로브 로터 송풍기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는 로브 로터 송풍기이고, 이 송풍기는 두 개의 로터(31,31')를 포함하며, 각 로터는 세 개의 블레이드(33,33')를 포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는 추가 공기를 위한 두 개의 공급 분기 커플링(37,37')를 포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배출 송풍 유량이 매우 일정하게 유지되게 추가 공기가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챔버(30) 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배출 송풍 유량이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흡인측 압력과는 거의 독립적으로 유지되게 추가 공기가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챔버(30) 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다른 특징들과 결합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내에 개시된 특징들은, 필요하다면 서로 별개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쓰레기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공기가 출구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되는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출구 공기 처리방법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는 부분 진공 생성기(2)의 출구(35) 전에 상기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부분 진공 생성기(2) 내의 반송공기(conveying air)에 추가 공기가 도입되고,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배출 송풍 유량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제2 단계에서는 출구 공기에 의하여 야기되는 흡인 효과의 결과로 추가 공기와 상기 출구 공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혼합되는 방식으로 추가 공기가 출구 공기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출구 공기는 외향(outward) 송풍 파이프(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출구(22) 및 구멍(16)을 포함하고 있는 챔버(24)로 송풍되고, 상기 구멍(16) 내에서 상기 출구 공기의 송풍으로 흡인 효과가 생성되어 상기 출구 공기로 얻어진 흡인 효과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멍(16)을 통하여 추가 공기가 챔버 내의 출구 공기에 도입되며, 상기 출구 공기와 추가 공기가 챔버(24)의 출구(22) 전에 상기 챔버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혼합되어, 상기 출구(22)로부터 상기 출구 공기와 추가 공기의 혼합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24)는 상기 외향 송풍 파이프(1)의 적어도 외향 송풍 끝단(11) 주위에 외측 파이프(10)가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파이프(10)의 바닥부(12)와 상기 외향 송풍 파이프(1)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배출 송풍 유량은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흡인측(suction side) 압력과는 독립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는 로브 로터 송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는 그 부분 진공 생성기(2) 내로 도입되는 추가 공기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공기가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 내로 도입되는 추가 공기 체적에 의하여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방법.
  10. 쓰레기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공기가 출구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되며, 외향의 송풍 파이프(1)와 출구 공기를 상기 외향 송풍 파이프로 유도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출구 공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부분 진공 생성기(2)는 그 부분 진공 생성기(2)의 출구(35) 전에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 내의 반송공기에 추가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21,37,37')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배출 송풍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추가 공기가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챔버(30) 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구 공기에 의하여 야기되는 흡인 효과의 결과로 추가 공기와 상기 출구 공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혼합되는 방식으로 추가 공기를 출구 공기에 도입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외향 송풍 파이프(1)의 외향 송풍 끝단(11)이 적어도 하나의 출구(22) 및 구멍(16)을 포함하고 있는 챔버(24)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16) 내에서 상기 출구 공기의 송풍으로 흡인 효과가 생성되어 상기 출구 공기로 얻어진 흡인 효과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멍(16)을 통하여 추가 공기가 챔버 내의 출구 공기에 도입되며, 상기 출구 공기와 추가 공기가 챔버(24)의 출구(22) 전에 상기 챔버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혼합되어, 상기 출구(22)로부터 상기 출구 공기와 추가 공기의 혼합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24)는 외측 파이프(10)가 외향 송풍 파이프(1)의 적어도 외향 송풍 끝단(11) 주위에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파이프(10)의 바닥부(12)와 상기 외향 송풍 파이프(1)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는 로브 로터 송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는 로브 로터 송풍기이고, 이 송풍기는 두 개의 로터(31,31')를 포함하며, 각 로터는 세 개의 블레이드(3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는 추가 공기를 위한 두 개의 공급 분기 커플링(37,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장치.
  17. 삭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배출 송풍 유량이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흡인측 압력과는 독립적으로 유지되게 추가 공기가 상기 부분 진공 생성기(2)의 챔버(30) 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공기 처리장치.
KR1020147029383A 2012-03-21 2013-03-07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출구 공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54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25315A FI123719B (fi) 2012-03-21 2012-03-21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n jätteensiirtojärjestelmän ulospuhallusilman käsittelemiseksi
FI20125315 2012-03-21
PCT/FI2013/050254 WO2013140031A1 (en) 2012-03-21 2013-03-07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the outlet air of a pneumatic waste convey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446A KR20140137446A (ko) 2014-12-02
KR102054025B1 true KR102054025B1 (ko) 2019-12-09

Family

ID=4922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383A KR102054025B1 (ko) 2012-03-21 2013-03-07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출구 공기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758320B2 (ko)
EP (1) EP2828180B1 (ko)
JP (1) JP6169162B2 (ko)
KR (1) KR102054025B1 (ko)
CN (1) CN104254488B (ko)
AU (1) AU2013237284B2 (ko)
CA (1) CA2865609C (ko)
ES (1) ES2652259T3 (ko)
FI (1) FI123719B (ko)
PT (1) PT2828180T (ko)
RU (1) RU2617318C2 (ko)
SG (1) SG11201405430YA (ko)
WO (1) WO2013140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2103B (fi) * 2010-03-12 2011-08-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jätteensiirtojärjestelmä
FI122673B (fi) * 2010-11-01 2012-05-1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EP3406348B1 (en) 2014-04-07 2022-05-04 Nordson Corporation Feed center for dense phase system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8097A1 (en) 2005-08-29 2007-03-01 Heckendorn Frank M Pneumatic conveyance apparatus and process
WO2009057923A2 (en) 2007-11-02 2009-05-07 Suk Hoon Hwang Multiple ventilation system
WO2009080883A1 (en) 2007-12-21 2009-07-02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09080884A1 (en) 2007-12-21 2009-07-02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09080881A1 (en) 2007-12-21 2009-07-02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09080882A1 (en) 2007-12-21 2009-07-02 Maricap Oy Method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09115640A1 (en) 2008-03-18 2009-09-24 Maricap Oy Method and arrangement in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09130374A1 (en) 2008-04-22 2009-10-29 Maricap Oy Method and arrangement in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JP2009292612A (ja) 2008-06-06 2009-12-17 Miyake Seisakusho:Kk 粉粒体輸送装置及び粉粒体輸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9887A (en) 1946-07-11 1949-11-29 Roots Connersville Blower Corp Rotary pump
US3765505A (en) * 1972-11-15 1973-10-16 Vac U Max Noise suppressed venturi power unit
SE395665B (sv) * 1975-02-11 1977-08-22 Svenska Flaektfabriken Ab Soptransport- och uppsamlingsanleggning
FR2315464A1 (fr) * 1975-06-27 1977-01-21 Hoelter H Ajutage de transport pour remblayage pneumatique
US4423987A (en) * 1980-12-12 1984-01-03 Powers Lewis R Garbage conveying system
US4394259A (en) 1981-10-27 1983-07-19 Temco, Inc. Vacuum pneumatic 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food products
JPS58100002A (ja) * 1981-12-07 1983-06-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都市ごみ空気輸送方法
JPS59153929U (ja) * 1983-03-29 1984-10-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粉粒体のエア輸送装置
US5033914A (en) * 1989-09-29 1991-07-23 Cyclonaire Corporation High efficiency feeder apparatus for pneumatic conveying lines
US5083704A (en) * 1990-08-06 1992-01-28 George Rounthwaite Trash disposal system
JP3244934B2 (ja) * 1994-04-20 2002-01-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Anc消音器の排ガス温度制御兼非常しゃ断装置
JP2704713B2 (ja) * 1995-06-21 1998-01-26 エステック株式会社 生ゴミ処理装置
US5711640A (en) * 1995-12-18 1998-01-27 Harbridge, Inc. Weld wire recovery system
FR2763390B1 (fr) * 1997-05-13 1999-07-23 Andre Amphoux Systeme de ventilation avec injection d'air supplementaire pour l'aide au tirage
US6203297B1 (en) 1999-09-29 2001-03-20 Dresser Equipment Group, Inc. Fluid flow device with improved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a vacuum pump
GB0121353D0 (en) * 2001-09-04 2001-10-24 Rig Technolog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ransport of waste materials
US6702938B2 (en) * 2001-10-25 2004-03-09 Donald Gross Odor reduction system for waste holding tanks
US6817844B1 (en) * 2002-10-04 2004-11-16 Hi-Bar Blowers, Inc. Rotary blower with forced external air cooling
US6964543B2 (en) * 2003-10-23 2005-11-15 Gerber Milton 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ying and vacuuming fibrous insulation material
FI118528B (fi) 2004-03-03 2007-12-14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iirtämiseksi
CN102774657A (zh) * 2005-12-07 2012-11-14 马里凯普有限公司 喷射器设备
SE530058C2 (sv) * 2005-12-23 2008-02-19 Dustcontrol Internat Ab Rörledningssystem
JP2007321655A (ja) * 2006-06-01 2007-12-13 Anlet Co Ltd ルーツ式真空ポンプ
SE531005C2 (sv) 2007-03-08 2008-11-18 Envac Ab Metod och system för energiåtervinning vid vakuumdrivna avfallsinsamlingssystem
SE532831C2 (sv) 2007-06-11 2010-04-20 Envac Ab Ett vakuumdrivet avfallsinsamlingssystem och en metod för att tömma en central avfallslagringstank
FI122682B (fi) 2007-09-18 2012-05-31 Maricap Oy Jätteiden siirtojärjestelmä
FI20075847A0 (fi) 2007-09-18 2007-11-28 Maricap Oy Jätteiden siirtojärjestelmä
FI20085149L (fi) * 2007-12-21 2009-06-22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123765B (fi) 2007-12-21 2013-10-31 Maricap Oy Menetelmä pneum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20085145L (fi) * 2007-12-21 2009-06-22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20085146L (fi) 2007-12-21 2009-06-22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US20100296880A1 (en) 2007-12-21 2010-11-25 Sundholm Goera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US20110097159A1 (en) * 2008-01-28 2011-04-28 Johann Haberl Tubing conduit system, a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the use thereof
US8123506B2 (en) 2008-05-29 2012-02-28 Flsmidth A/S Rotary sliding vane compressor with a secondary compressed fluid inlet
KR101054499B1 (ko) * 2008-09-30 2011-08-09 (주)유로파 쓰레기 자동 집하시스템
US9045072B2 (en) * 2009-11-02 2015-06-02 Super Products Llc Debris level indicator in vacuum loaded mobile tanks
CN102310068B (zh) 2010-06-30 2013-09-18 上海神工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大规模垃圾气化处理及能源再利用系统
FI122673B (fi) * 2010-11-01 2012-05-1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KR101259124B1 (ko) * 2011-01-11 2013-04-26 주식회사 에싸 미세 협잡물 여과장치
US9242807B2 (en) * 2011-12-09 2016-01-26 Saeed Bizhanzadeh Vortex pneumatic conveyance apparatus
WO2014116603A1 (en) * 2013-01-22 2014-07-31 Steen Research, Llc Methods and equipment for treatment of odorous gas streams
KR101501480B1 (ko) * 2013-08-07 2015-03-12 장현지 음식물쓰레기 진공건조처리시스템
US9353476B2 (en) * 2014-04-18 2016-05-31 Georgia-Pacific Containerboard Llc Method for recycling waste material with reduced odor emission
CN113795913B (zh) 2021-08-11 2023-11-24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半导体器件、系统及其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8097A1 (en) 2005-08-29 2007-03-01 Heckendorn Frank M Pneumatic conveyance apparatus and process
WO2009057923A2 (en) 2007-11-02 2009-05-07 Suk Hoon Hwang Multiple ventilation system
WO2009080883A1 (en) 2007-12-21 2009-07-02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09080884A1 (en) 2007-12-21 2009-07-02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09080881A1 (en) 2007-12-21 2009-07-02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09080882A1 (en) 2007-12-21 2009-07-02 Maricap Oy Method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09115640A1 (en) 2008-03-18 2009-09-24 Maricap Oy Method and arrangement in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09130374A1 (en) 2008-04-22 2009-10-29 Maricap Oy Method and arrangement in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JP2009292612A (ja) 2008-06-06 2009-12-17 Miyake Seisakusho:Kk 粉粒体輸送装置及び粉粒体輸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23719B (fi) 2013-10-15
ES2652259T3 (es) 2018-02-01
EP2828180B1 (en) 2017-11-01
US9758320B2 (en) 2017-09-12
CA2865609A1 (en) 2013-09-26
SG11201405430YA (en) 2014-11-27
JP6169162B2 (ja) 2017-07-26
EP2828180A4 (en) 2015-11-11
FI20125315A (fi) 2013-09-22
EP2828180A1 (en) 2015-01-28
KR20140137446A (ko) 2014-12-02
RU2617318C2 (ru) 2017-04-24
RU2014142270A (ru) 2016-05-10
AU2013237284A1 (en) 2014-09-25
AU2013237284B2 (en) 2017-03-02
CN104254488A (zh) 2014-12-31
CN104254488B (zh) 2016-08-24
PT2828180T (pt) 2017-12-22
WO2013140031A1 (en) 2013-09-26
US20150050091A1 (en) 2015-02-19
CA2865609C (en) 2020-04-14
JP2015510860A (ja) 201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3765B (fi) Menetelmä pneum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123720B (fi) Pneumaattis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erotuslaite ja menetelmä
AU2008339864B2 (e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FI124436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P2013522145A (ja) 空気圧式材料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並びに装置、及び廃棄物搬送システム
JP6078469B2 (ja) 廃棄物材料を空気圧で搬送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917400B1 (ko) 공압식 재료 반송 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KR102054025B1 (ko)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출구 공기 처리 방법 및 장치
FI124873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124515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käsittelyssä ja jätesäiliö/erotinlaite
FI123383B (fi)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