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876B1 - 정밀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정밀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876B1
KR102053876B1 KR1020190131518A KR20190131518A KR102053876B1 KR 102053876 B1 KR102053876 B1 KR 102053876B1 KR 1020190131518 A KR1020190131518 A KR 1020190131518A KR 20190131518 A KR20190131518 A KR 20190131518A KR 102053876 B1 KR102053876 B1 KR 102053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cover
punching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876B9 (ko
Inventor
설재봉
Original Assignee
설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재봉 filed Critical 설재봉
Priority to KR1020190131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876B1/ko
Publication of KR10205387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87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3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controlled by scanning a recor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2Cutting partially, e.g.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칼날이 함입된 목금형을 상하로 이동시켜 베이스필름상의 패드를 타발작업을 통해 가공하는 타발부; 및 상기 타발부의 후단부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타발부로부터 공급된 베이스필름을 압착한 후 절단하는 연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밀 절단 장치{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정밀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타발 작업이 완료된 필름을 정밀하게 커팅할 수 있는 정밀 절단 장치를 포함하는 필름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반도체, 티브이(TV), 디스플레이 또는 자동차와 같은 기기에 다양한 형태의 필름이 접착 또는 보호의 목적으로 다양한 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필름은 사용 용도에 따라 합지되거나 타발(혹은 다이 컷팅)되며, 때로는 절단되어 사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필름을 사용 용도에 따라 가공 제조하는 자동화기기에는 필름 합지기, 필름 타발기, 필름의 합지 및 타발을 연속적인 공정으로 수행하는 자동화 복합기기 등 다양한 형태의 자동화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자동화 기기에서 필름은 시트 형태로 공급되거나 롤 타입으로 연속적으로 이송 공급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자분야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필름, 테이프 및 시트 등에 대해서 합지, 타발, 파지 작업 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일명 필름 가공 장치는, 가공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에 맞게 칼날이 함입된 형(혹은, 목금형)을 상하로 압착하면서 제품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타발부(혹은, 타발기)를 갖추고 있다.
또한, 종래의 필름 가공 장치는 타발이 완료된 필름을 커팅하는 경우에도 정밀한 필름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지 않고, 커팅을 가이드하는 구성이 없어 정밀한 커팅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134098호
본 발명은 타발 대상인 필름에 형성된 패드를 정확한 타발 위치로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패드의 배열 간격을 마크센서에서 연속적으로 센싱하고, 이를 기반으로 타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타발 작업이 완료된 필름을 정밀하게 커팅할 수 있는 필름 가공 장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는, 칼날이 함입된 목금형을 상하로 이동시켜 베이스필름상의 패드를 타발작업을 통해 가공하는 타발부; 및 상기 타발부의 후단부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타발부로부터 공급된 베이스필름을 압착한 후 절단하는 연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발부의 타측에 연결형성되며 권취봉에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어서 투입되는 베이스필름을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를 통해 상기 타발부로 안내 이송하는 필름투입부; 상기 연단부의 일측에서 형성되며, 가공된 베이스필름을 권취롤러를 통해 끌어당겨 권취하는 필름토출부; 상기 연단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타발부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필름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 상기 타발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의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러를 갖추어 사용자에 의해 필름 가공 상태를 셋팅할 수 있는 제어부; 및 상기 연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베이스필름의 위치를 정렬하는 2 이상의 정렬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단부는, 상기 정렬부에 의해 베이스필름의 위치가 정렬되면, 하강하여 베이스필름의 위치를 규제하는 가압모듈; 상기 가압모듈에 의하여 고정된 베이스필름을 커팅하는 칼날부재; 상기 칼날부재의 커팅을 가이드하는 커팅가이드홈; 및 상기 칼날부재을 수납하는 수용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수용모듈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연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상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칼날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 및 상기 하우징부와 착탈되어 상기 하우징부를 개폐하며,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의 폐쇄에 따라 일단이 상기 결합홈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의 개방에 따라 상기 수용홈로부터 인출되며, 상기 결합홈은 적어도 일 영역이 상향으로 진행할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내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칼날부재의 일단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칼날부재와 끼움 결합되는 동시에, 내측면에 적어도 한쌍의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칼날부재의 일단이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외덮개 및 상기 외덮개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내덮개로 형성되며, 상기 내덮개는 적어도 일 영역이 탄성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에어분사부는, 베이스필름 또는 패드에 부착된 오염물질에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모듈; 및 상기 송풍모듈에 의해 털어지는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송풍모듈은, 상기 에어분사부 외주면에 장착되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후면에 연결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재를 포함하는 중간커버; 상기 중간커버의 후면에 연결 형성되는 후면커버; 상기 중간커버와 상기 후면커버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모듈; 및 상기 전면커버, 상기 중간커버 및 상기 후면커버를 관통하여 장착되며,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모듈은, 중간커버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하부면의 중앙 부분에 관통홀을 구비한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부재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한 번 누름 시에 탄성력에 의해 상승시켜 주며, 또 한 번 누름 시에 하강 압축되기 위한 탄력부재;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면에 다수 개의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형성된 다수 개의 가이드라인홈을 구비한 결합부재; 상기 탄력부재의 상부에 위치되고 외측면에 다수 개의 회전라인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탄력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승 시에 상기 회전라인돌기가 회전되어 상기 가이드라인홈을 따라 상승하며, 상기 탄력부재의 하강 압축 시에 상기 회전라인돌기가 하강되면서 회전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기 위한 회전체부재; 상기 후면커버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하부 중앙 부분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부재의 상부를 삽입 형성하며, 하부 테두리에 다수 개의 회전돌기를 구비하고, 측면 하부에 다수 개의 슬라이드라인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 시에 상기 슬라이드라인돌기가 상기 가이드라인홈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회전라인돌기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구동체부재; 및 상기 회전체부재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탄력부재의 중앙부분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 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한 연결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재; 일 단부가 상기 이송부재의 일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재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며, 상기 이송부재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이송부재와 수직각을 이루며, 상기 이송부재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이송부재와 예각을 이루는 전달부재; 상기 전달부재의 다른 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이송부재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전달부재가 밀어줌으로써 수평 하강하며, 상기 이송부재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전달부재가 잡아당김으로써 수직 젖힘되며, 다단으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부재; 상기 브라켓부재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부재가 수평 하강하는 경우, 베이스필름의 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재가 베이스필름과 접촉되면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접촉부재가 베이스필름의 표면 상에서 곡선 회전 운동하도록 하는 회전부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는, 칼날이 함입된 목금형을 상하로 이동시켜 베이스필름 상의 패드를 타발작업을 통해 가공하는 타발부; 및 상기 타발부의 전단부 연결형성되며, 상기 타발부로 베이스필름를 공급하기 전, 베이스필름 상의 패드에 형성된 패턴을 인식하는 마킹센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발부의 타측에 연결형성되며 권취봉에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어서 투입되는 베이스필름을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를 통해 상기 타발부로 안내 이송하는 필름투입부; 상기 연단부의 일측에서 형성되며, 가공된 베이스필름을 권취롤러를 통해 끌어당겨 권취하는 필름토출부; 상기 연단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타발부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필름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 상기 타발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의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러를 갖추어 사용자에 의해 필름 가공 상태를 셋팅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타발부의 후단부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타발부로부터 공급된 베이스필름을 압착한 후 절단하는 연단부; 및 상기 연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베이스필름의 위치를 정렬하는 2 이상의 정렬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킹센서부는, 베이스필름 상에 배열된 패드의 배열 간격 및 패드의 배열 유무를 스캔하여 감지하는 마크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마킹센서부는 센서모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가이드모듈에 설치되며, 위치조절가이드모듈은 센서모듈을 장착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베이스필름의 폭방향을 따라 감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축과 상기 레일축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가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필름토출부는 상기 권취롤러에 연결되어 베이스필름의 이송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면서 자체적으로 속도조절을 할 수 있는 권취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베이스필름에 배열된 패드를 상기 타발부 상의 타발위치에 항상 일정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타발위치 정렬선을 임의로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마크센서가 감지를 시작하는 지점에 센서감지선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타발위치 정렬선과 상기 센서감지선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입력 셋팅되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제어부는 타발작업이 필요한 패드의 규격을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입력하여 타발작업 준비를 완료하고, 타발작업이 시작됨과 동시에 상기 마킹센서부의 상기 마크센서에서 순차적으로 감지해서 보내오는 베이스필름 상의 패드 배열 간격에 대한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에서 패드의 배열 간격별로 베이스필름의 이송거리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데이터값을 기준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름토출부의 상기 권취롤러에 연결된 상기 권취모터의 속도를 제어하여 베이스필름의 이송거리를 패드의 배열 간격별로 차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취모터의 속도 제어를 통해 베이스필름의 이송거리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베이스필름 상에 패드가 배열되어야 할 위치에 패드가 빠져 있는 경우에 상기 마크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고, 패드가 빠져 있는 베이스필름의 위치가 상기 타발부의 타발위치에 놓이게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취모터부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1회의 타발작업을 정지한 후, 상기 권취모터를 다시 구동시켜 패드가 빠져 있는 베이스필름의 위치가 상기 타발부의 타발위치를 벗어나 후순위 타발대상 패드가 상기 타발위치 정렬선에 정렬될 때까지 베이스필름의 이송거리를 제어하고, 상기 연단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수용모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모듈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연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상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필름을 커팅하는 칼날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 및 상기 하우징부와 착탈되어 상기 하우징부를 개폐하며,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의 폐쇄에 따라 일단이 상기 결합홈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의 개방에 따라 상기 수용홈로부터 인출되며, 상기 결합홈은 적어도 일 영역이 상향으로 진행할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내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칼날부재의 일단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칼날부재와 끼움 결합되는 동시에, 내측면에 적어도 한쌍의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칼날부재의 일단이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외덮개 및 상기 외덮개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내덮개로 형성되며, 상기 내덮개는 적어도 일 영역이 탄성소재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모듈은 베이스필름과 접촉하는 일 단부에 복수 개의 접촉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모듈은, 헤드부; 상기 헤드부 정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을 포함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자성을 띠는 전자석 카트리지; 상기 헤드부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자석 카트리지를 상기 헤드부와 독립적으로 수평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자석 카트리지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각도 조절 레버; 일 단부가 상기 전자석 카트리지에 결합하고 다른 단부가 상기 헤드부에 결합하여 상기 헤드부의 표면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전자석 카트리지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 및 상기 헤드부 배면과 상기 가압모듈 사이에 위치하여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연성의 탄성 소재로 구현되어, 상기 전자석 카트리지의 회전과 연동하여 적어도 일 영역이 신장하고 다른 일 영역이 수축함으로써 상기 헤드부의 노출 표면의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정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와 접하여 상기 커버부의 신장 및 수축을 용이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헤드부의 상기 표면과 분리됨으로써, 상기 전자석 카트리지의 회전과 연동하여 용이하게 신장 및 수축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발 대상인 필름 형성된 패드를 정확한 타발 위치로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패드의 배열 간격을 마크센서에서 연속적으로 센싱하고, 이를 기반으로 타발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필름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패드의 불규칙한 배열 간격에 관계없이 패드가 항상 정확한 타발 위치에 순차적으로 위치하게 됨에 따라 타발작업에 따른 제품 불량을 개선함과 동시에 공정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발 작업이 완료된 필름을 정밀하게 커팅할 수 있어 제품 파손을 방지하고, 정밀도가 높은 커팅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분사부 및 정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의 결합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모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모듈을 도시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모듈의 사용 과정을 도시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모듈을 도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단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분사부 및 정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10)는, 정밀 절단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정밀 절단 장치는 필름투입부(100), 마킹센서부(200), 타발부(300), 에어분사부(400), 정렬부(500), 연단부(600), 필름토출부(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필름투입부(100)는 타발부(300)의 타측에 연결형성되며 권취봉(110)에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어서 투입되는 베이스필름(A)을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미도시)를 통해 타발부(300)로 안내 이송한다. 필름투입부(100)는 타발작업이 필요한 패드(1)가 배열된 베이스필름(A)을 마킹센서부(200) 및 타발부(300)로 안내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필름 가공 장치(10)에 공급되는 타발대상을 패드(1)가 배열된 베이스필름(A)을 예로 들고 있으나, 베이스필름(A)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름 가공 장치(10)에서 타발작업 위해 공급되는 원단 종류는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필름 가공 장치(10)에서 타발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시트형 원단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마킹센서부(200)는 타발부(300)의 전단부 연결형성되며, 타발부(300)로 베이스필름를 공급하기 전, 베이스필름(A) 상의 패드(1)에 형성된 패턴을 인식한다. 마킹센서부(200)는 베이스필름(A) 상에 배열된 패드(1)의 배열 간격 및 패드(1)의 배열 유무를 스캔하여 감지하는 마크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한다. 마킹센서부(200)는 센서모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가이드모듈(210)에 설치되며, 위치조절가이드모듈(210)은 센서모듈을 장착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베이스필름의 폭방향을 따라 감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축(211)과 레일축(211)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가이드(212)로 구성된다.
마크센서는 이송되는 베이스필름(A)의 상부쪽에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베이스필름(A) 상에 배열된 패드(1)들을 순차적이고 연속적으로 스캔하듯이 감지하여 패드(1)의 배열 간격 및 패드(1)의 배열 유무를 제어부(800)에서 산출할 수 있도록 감지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마킹센서부(200)의 마크센서가 패드(1)를 감지하기 시작하는 임의의 센서감지선(L1)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게 된다. 센서감지선(L1)은 마크센서가 위치하는 지점이 될 수 있다. 센서감지선(L1)을 기준으로 마크센서로 패드(1)를 감지하기 시작할 때, 패드(1)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초로 감지를 시작하는 패드(F1)의 전단 가장자리선과 센서감지선(L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감지를 시작할 수 있다.
타발부(300)는 칼날이 함입된 목금형을 상하로 이동시켜 베이스필름(A) 상의 패드(1)를 타발작업을 통해 가공한다. 타발부(30)는 필름투입부(100)로부터 투입 이송되는 베이스필름(A) 상의 패드(1)에 타발 작업을 통해 원하는 형상을 연속적으로 자동 가공하는 부위로써, 칼날(도시안됨)이 함입된 목금형을 규칙적으로 승하강시켜 압착에 의한 타발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승하강상판모듈(310)과 승하강상판모듈(31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판구동모듈(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상판모듈(310)은 목금형이 장입된 상태에서 승하강상판모듈(310)의 하부를 지나가는 베이스필름(A)을 규칙적으로 압착하며 베이스필름(A) 또는 패드(1)에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을 각인 또는 절단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필름(A) 상의 패드(1)들에 대한 정확한 타발작업이 불량없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베이스필름(A) 상의 패드(1)의 타발위치를 일정한 위치로 정렬할 수 있는 타발위치 정렬선(L2)을 사용자는 제어부(800)를 통해 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타발위치 정렬선(L2)은 타발작업이 필요한 패드(1)의 규격을 고려하여 사용자 임의로 설정하는 정렬선으로써, 타발작업 시 목금형에 장입된 칼날은 항상 일정한 위치로 상하 이동하여 패드(1)를 압착하면서 타발하게 되는바, 이때, 베이스필름(A) 상에 동일한 규격으로 배열되는 패드(1)들이 항상 일정한 타발위치에 정렬하게 되면, 패드(1)에 대한 정확한 타발이 이루어지면서 타발위치 불량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타발작업에 의한 제품 불량을 개선함과 동시에 공정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타발위치 정렬선(L2)은 패드(1)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바라볼 때 타발대상 패드(1)의 후단 가장자리선과 일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타발작업 전에 공급되는 패드(1)의 규격 및 목금형 내 칼날에 의한 타발위치를 감안하여 임의로 타발위치 정렬선(L2)을 설정하고, 이 타발위치 정렬선(L2)과 후술하는 마킹센서부(200)의 센서감지선(L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800)에 셋팅함으로써, 제어부(800)에서 타발대상 패드(1)를 정확한 타발 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베이스필름(A)의 이송거리를 산출할 때 필요한 변수 중 하나를 상수화할 수 있다.
에어분사부(400)는 연단부(60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타발부(300)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필름에 에어를 분사한다. 에어분사부(400)는 상부프레임(410) 및 수직프레임(420)으로 형성된다. 상부프레임(410)에는 베이스필름(A) 또는 패드(1)의 표면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송풍모듈(430)이 형성된다. 하부프레임(420)의 하부면에는 공기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모듈(440)이 복수 개가 형성된다.
정렬부(500)는 연단부(60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베이스필름(A)의 위치를 정렬하는 구성으로서, 2 이상의 복수 개로 형성된다. 정렬부(500)는 연단부(600)에 의해 베이스필름(A)이 커팅되기 전에 베이스필름(A)을 펼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정렬부(500)는 구겨지거나 주름진 베이스필름(A)을 평평하게 펼쳐줌으로써 정밀한 커팅 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렬부(50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단부(600)의 좌우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정렬부(500)는 이송부재(510), 전달부재(520), 브라켓부재(530), 접촉부재(540) 및 회전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재(5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달부재(520)는 일 단부가 이송부재(510)의 일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이송부재(510)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며, 이송부재(510)가 하강하는 경우 이송부재(510)와 수직각을 이룰 수 있다. 반대로 이송부재(510)가 상승하는 경우 이송부재(510)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브라켓부재(530)는 전달부재(520)의 다른 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이송부재(510)가 하강하는 경우 전달부재(520)가 밀어줌으로써 수평 하강할 수 있다. 반대로 이송부재(510)가 상승하는 경우 전달부재(520)가 잡아당김으로써 수직 젓힘될 수 있다. 브라켓부재(530)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접촉부재(540)는 브라켓부재(53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브라켓부재(530)가 수평 하강하는 경우, 베이스필름(A)의 측면과 접촉된다. 회전부재(미도시)는 이송부재(51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접촉부재(540)가 베이스필름(A)과 접촉되면 회전운동을 통해 이송부재(510)를 회전시킴으로써 접촉부재(540)가 베이스필름(A)의 표면 상에서 곡선 회전 운동하도록 하여 베이스필름(A)을 평평하게 펼쳐줄 수 있다.
연단부(600)는 타발부(300)의 후단부에 연결형성되며, 타발부(300)로부터 공급된 베이스필름(A)을 압착한 후 절단한다. 연단부(600)는 정렬부(500)에 의해 베이스필름(A)의 위치가 정렬되면, 하강하여 베이스필름(A)의 위치를 규제하는 가압모듈(610), 가압모듈(610)에 의하여 고정된 베이스필름(A)을 커팅하는 칼날부재(620), 칼날부재(620)의 커팅을 가이드하는 커팅가이드홈(630) 및 칼날부재(620)을 수납하는 수용모듈(64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압모듈(610)은 정렬부(500)에 의해 베이스필름(A)의 위치가 정렬되면, 하강하여 베이스필름(A)의 위치를 규제한다. 이 때, 후술할 제어부(800)는 권취모터를 정지시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A)의 이동을 중지시킨다.
필름토출부(700)는 연단부(600)의 일측에서 형성되며, 가공된 베이스필름을 권취롤러(710)를 통해 끌어당겨 권취한다. 필름토출부(700)는 권취롤러(710)에 연결되어 베이스필름(A)의 이송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면서 자체적으로 속도조절을 할 수 있는 권취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권취모터(미도시)는 자체적으로 속도 조절을 할 수 있어 속도를 정밀하게 통제할 수 있는 모터로, 권취모터(미도시)는 제어부(800)에서 산출되어 제공되는 베이스필름(A)의 이송거리 데이터값에 맞춰 정밀하게 속도 제어가 가능하다.
제어부(800)는 타발부(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의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러를 갖추어 사용자에 의해 필름 가공 상태를 셋팅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후술하는 마킹센서부(200)에서 감지하게 되는 베이스필름(A)의 이송 상태에 따라 타발부(300)와 필름토출부(7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베이스필름(A) 상에 배열된 패드(1)의 간격을 마킹센서부(200)의 마크센서에서 감지하여 보내온 신호에 따라 이를 산출하여 베이스필름(100)의 이송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필름토출부(700)의 권취모터(미도시)의 속도를 제어하고, 마킹센섭(200)에서 보내온 감지신호에서 패드(1)가 배열되어야 할 자리에 패드(1)가 없는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는 베이스필름(A)에 대한 타발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타발부(300)의 상판구동모듈(320)을 정지하여 승하강상판모듈(310)의 승하강 작업에 의한 타발작업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그 다음 위치에 있는 패드(1)가 타발 위치에 놓이게 될 때 권취모터를 구동시켜 타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반복적이고 연속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베이스필름(100) 상에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패드(1)는 이송방향을 따라 타발작업이 시작되는 패드(1)부터 순차적으로 F1, F2, F3, F5 등을 붙여 도시하고 있고,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베이스필름(A)상에 패드(1)가 배열되어야 할 위치에 패드(1)가 배열되지 않고 빠져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점선으로 가상의 패드(1a, F4)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장치(10)로 타발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타발부(300)에서 칼날이 장착된 목금형이 상, 하로 작동하며 타발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임으로 타발위치 정렬선(L2)을 설정하고, 이 타발위치 정렬선(L2)으로부터 일정거리(S) 떨어진 위치인 필름투입부(100)상에 마크센서부(200)의 마크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센서감지선(L1)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타발위치 정렬선(L2)은 패드(1)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바라볼 때 타발대상 패드(1)의 후단 가장자리선과 일치하도록 설정(도 6의 패드(F1) 참조)하게 되고, 센서감지선(L1)은 패드(1)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최초로 감지를 시작하는 패드(1)의 전단 가장자리선과 센서감지선(L1)을 일치시킨 상태(도 5의 패드(F1) 참조)에서 감지를 시작하게 된다.
사용자는 타발위치 정렬선(L2)과 센서감지선(L1) 사이의 거리는 정확하게 측정하여 제어부(800)의 제어 프로그램에 입력함과 아울러, 타발작업이 필요한 패드(1)의 규격을 제어부(800)의 제어프로그램에 입력함으로써, 추후 타발작업이 시작됨과 동시에 마크센서에서 감지해서 보내오는 베이스필름(A) 상의 패드(도 4 내지 도 6의 패드(F1, F2, F3, F5) 참조)의 불규칙한 배열 간격에 대한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제어부(800)에서 베이스필름(A)의 이송거리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타발작업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입력 셋팅한 상태에서 제어 준비 및 타발작업 준비가 완료되면, 타발작업이 필요한 베이스필름(A)을 필름투입부(100)에 투입한다. 타발대상 패드(F1, F2, F3 등)가 불규칙하게 배열된 베이스필름(A)을 투입하여 타발작업 준비가 최종적으로 완료되면, 제어부(800)에서 권취모터를 구동하여 베이스필름(A)을 이송하기 시작한다. 베이스필름(A)이 이송되면서 첫번째 타발대상 패드(1, 즉, 도 5의 F1으로 표시된 패드)의 최선단 가장자리선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크센서의 센서감지선(L1)에 정렬한 시점부터 감지를 시작한다. 이때, 베이스필름(A)이 권취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송되면서 첫번째 타발대상 패드(F1)가 타발부(300)의 타발위치까지 이송되는 동안 마크센서는 베이스필름(A) 상에 배열된 패드(F1, F2, F3)를 스캔하듯이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패드(F1, F2, F3)의 배열 상태를 제어부(800)에 송신하게 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타발대상 패드(F1)의 후단 가장자리선이 임의로 기 설정된 타발부(300)의 타발위치 정렬선(L2)에 위치하게 되면, 첫번째 타발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첫번째 타발작업은 제어부(800)에서 첫번째 타발대상 패드(F1)의 최선단 가장자리선이 센서감지선(L1)을 지나는 시점부터 스캔하듯이 감지한 신호를 받은 후 기 셋팅된 센서감지선(L1)과 타발위치 정렬선(L2) 사이의 측정된 거리(S)을 기준으로 베이스필름(A)의 이송거리를 산출하고 있는 관계로, 첫번째 타발대상 패드(F1)의 후단 가장자리선이 타발부(300)의 타발위치 정렬선(L2)에 위치하는 시점에 제어부에서 권취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송출됨으로써, 상판구동모듈(320)을 작동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승하강상판모듈(310)가 1회에 걸쳐 승하강하면서 타발위치 정렬선(L2)에 배열된 첫번째 타발대상 패드(F1)에 대해 첫번째 타발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첫번째 타발대상 패드(F1)에 대한 타발작업이 수행되면, 베이스필름(A)은 권취모터의 구동에 의해 필름토출부(700)쪽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베이스필름(A)의 이송거리는 첫번째 타발대상 패드(F1)와 두번째 타발대상 패드(F2)의 간격(S1)을 마크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800)에서 산출하고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제어부(800)에 의해서 권취모터의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게 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 타발대상 패드(F2)의 후단 가장자리선이 타발위치 정렬선(L2)에 일치하도록 권취모터의 속도 제어를 통해서 베이스필림(A)의 이송거리(필름토출부(700)쪽으로 토출하는 거리)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두번째 타발대상 패드(F2)가 타발위치 정렬선(L2)에 정렬되면, 다시 제어부(800)에서 권취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두번째 타발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두번째 타발작업이 이루어지면, 제어부(8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권취모터가 구동하여 베이스필름(A)을 필름토출부(700)쪽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800)에서는 두번째 타발대상 패드(F2)와 세번째 타발대상 패드(F3) 사이의 간격(S2)을 마크센서에서 보내온 감지신호를 통해 산출하고 있는 관계로, 제어부(800)에 의해서 권취모터의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베이스필름(A)의 이송거리를 제어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번째 타발대상 패드(F3)가 타발위치 정렬선(L2)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베이스필름(A)의 이송거리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800)에서는 마크센서에서 스캔하듯이 연속적으로 보내오는 감지 신호에 따라 기 셋팅된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패드(F1, F2, F3 등)간의 배열 간격을 산출하게 되고, 이 산출된 데이터 값(불규칙한 패드의 배열 간격에 따른 데이터 값)에 따라 베이스필름(A)의 이송거리를 패드(F1, F2, F3 등) 배열 간격별로 차별화하는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즉, 제어부(800)에서는 권취모터의 속도를 제어를 통해서 베이스필름(A)의 이송거리를 패드(F1, F2, F3 등) 배열 간격별로 차별화하여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베이스필름(A) 상에 패드(F1, F2, F3 등)가 불규칙한 간격으로 배열된 경우에도 항상 타발대상 패드(F1, F2, F3 등)를 타발위치 정렬선(L2)에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음으로써, 타발작업에 의한 제품 불량을 개선함과 동시에 공정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800)에서 권취모터의 속도 제어를 통해 베이스필름(A)의 이송거리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베이스필름(A) 상에 패드(101)가 배열되어야 할 위치에 패드(1a)가 빠져 있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베이스필름(A) 상에 패드(1a)가 배열되는 않은 지점(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의 점선으로 도시한 가상의 패드(F4)가 위치하는 지점)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800)에서 타발부(300)의 1회의 타발작업만을 일시적으로 멈추고, 제어부(800)에서 권취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패드(1a)가 빠져 있는 길이(S3)만큼 베이스필름(A)의 이송거리를 늘려 다음번 타발대상 패드(F5)가 타발위치 정렬선(L2)에 일치될 때까지 이송함으로써, 이후 연속적인 타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를 통해, 패드(1a)가 없는 베이스필름(A)에 타발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베이스필름(A)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필름 가공 장치가 비상 정지하여 작업자가 재세팅을 해야하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송풍모듈(430)는 전면커버(431), 중간커버(432), 후면커버(433), 결합모듈(900) 및 분사모듈(435)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431)는 상기 에어분사부(400)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전면커버(431)는 베이스필름(A) 또는 패드(1)에 효과적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커버(432)는 전면커버(431)의 후면에 연결 형성되며, 에어분사부(400)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재(432-1)를 포함한다. 장착부재(43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에어분사부(400) 내부에 걸거나 슬라이딩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분사부(400)의 내부에는 장착부재(432-1)와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딩 홈 등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면커버(433)는 중간커버(432)의 후면에 연결 형성된다. 후면커버(433)는 전면커버(431), 중간커버(432) 및 분사모듈(435)을 하나로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하부면에 결합모듈(434)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분사모듈(435)과 함께 송풍모듈(430)에 바람을 불어넣어 주는 배출팬과 연결 형성될 수 있다.
결합모듈(900)은 중간커버(432)와 후면커버(433)를 결합한다. 결합모듈(900)은 중간커버(432)와 후면커버(433)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송풍모듈(430)의 구성 중 일부가 오염되거나 손상된 경우 결합모듈(434)을 통해 송풍모듈(430)의 구성들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분사모듈(435)은 전면커버(431), 중간커버(432) 및 후면커버(433)를 관통하여 장착되며, 공기를 분사한다.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분사모듈(435)을 통해 공기가 강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분사모듈(435)의 배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팬과 연결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팬은 제어부(800)의 제어를 통해 작동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의 결합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결합모듈(900)는, 케이스부재(910), 탄력부재(920), 결합부재(930), 회전체부재(940), 회전구동체부재(950), 연결바부재(96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재(910)는, 중간커버(432)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면에 탄력부재(920)를 설치하고, 상부에 결합부재(930)를 고정 설치하며, 하부면의 중앙 부분에 관통홀을 구비하며, 관통홀에 연결바부재(960)가 관통한다.
탄력부재(920)는, 상부에 회전체부재(940)가 위치하고, 중앙부분에 연결바부재(960)가 관통하며, 케이스부재(91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한 번 누름 시에 탄성력에 의해 상승시켜 주며, 또 한 번 누름 시에 하강 압축된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부재(920)는, 결합모듈(900)에 사용자에 의한 누름 힘이 작용되는 경우에 탄성력에 의해 회전체부재(940)를 상승시켜 주며, 결합모듈(900)은 사용자에 의한 누름 힘이 또 한 번 작용되는 경우에 회전체부재(144)의 하강에 의해 하강 압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부재(920)는, 예를 들어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결합부재(930)는, 케이스부재(9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면에 다수 개의 걸림턱(931)과 걸림턱(931) 사이에 형성된 다수 개의 가이드라인홈(932)을 구비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930)는, 케이스부재(9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거나 케이스부재(9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턱(931)은, 회전라인돌기(941)와 접촉하는 부분이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결합모듈(900)에 사용자에 의한 누름 힘이 또 한 번 누를 시에 회전구동체부재(950)가 하강되어 회전라인돌기(941)가 걸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전체부재(940)는, 상부가 회전구동체부재(950)의 삽입홈에 삽입 형성되며, 하부면에 연결바부재(960)를 고정 설치하고, 탄력부재(920)의 상부에 위치되고 외측면에 다수 개의 회전라인돌기(941)를 구비하며, 탄력부재(920)의 탄성력에 의한 상승 시에 회전라인돌기(941)가 회전되어 가이드라인홈(932)을 따라 상승하며, 탄력부재(920)의 하강 압축 시에 회전라인돌기(941)가 하강되면서 회전되어 걸림턱(931)에 걸린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라인돌기(941)는, 걸림턱(931)에 걸리도록 상부를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가이드라인홈(932)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가이드라인홈(932)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전구동체부재(950)는, 후면커버(433)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하부 중앙 부분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회전체부재(940)의 상부를 삽입 형성하며, 하부 테두리에 다수 개의 회전돌기(951)를 구비하고, 측면 하부에 다수 개의 슬라이드라인돌기(952)를 구비하며, 회전체부재(940)의 상승 또는 하강 시에 슬라이드라인돌기(952)가 가이드라인홈(932)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회전돌기가 회전라인돌기(941)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돌기(951)는, 톱니와 같은 형태로 형성하여 회전라인돌기(941)와 접촉하며, 회전라인돌기(941)를 회전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라인돌기(952)는, 회전구동체부재(950)의 측면 하부(바람직하게는, 회전돌기(951)의 상부)에 형성되어 가이드라인홈(932)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연결바부재(960)는, 회전체부재(940)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고 탄력부재(920)의 중앙부분 및 케이스부재(910)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어, 회전체부재(940)의 상승 또는 하강 시에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바부재(960)는, 회전체부재(940)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거나 회전체부재(940)의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결합모듈(900)은, 금속부재(9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부재(970)는, 연결바부재(960)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연결바부재(960)의 상승 또는 하강 시에 상승하여 상승상태를 유지하거나 하강하여 하강상태를 유지해 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모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후면커버(433)를 누를 시(체결)에, 회전구동체부재(950)가 하강하며 연결바부재(960)와 회전체부재(940)를 하부방향으로 밀고, 하부방향으로 밀린 회전체부재(940)가 탄력부재(920)를 압축하게 된다. 이 때, 걸림턱(931)에 걸려 있던 회전라인돌기(941)가 회전구동체부재(950)의 회전돌기(951)에 의해 회전하여 걸림턱(931)에서 나와 걸려 있던 걸림턱(931) 옆 부분의 경사면(즉, 가이드라인홈(932) 옆 부분에 위치한 경사면)에 위치하게 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후면커버(433)를 한번 더 누를 시(해제)에, 압축된 탄력부재(920)가 압축해제 되어 회전체부재(940)를 상부방향으로 밀고, 상부방향으로 밀린 회전체부재(940)가 회전구동체부재(950)를 상부방향으로 밀어 회전구동체(950)가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걸림턱 옆부분의 경사면에 위치한 회전라인돌기(941)가 회전하여 가이드라인홈(932)에 삽입되고 가이드라인홈(932)을 따라 상승하여 가이드라인홈(932)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회전구동체(950)는 상승된 후 회전체부재(9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모듈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모듈(640)은 하우징부(641), 수용홈(642) 및 덮개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641)는 적어도 일 영역이 연단부(6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부(641)는 수용된 칼날부재(620)가 임의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부(643)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수용홈(642)는 하우징부(641)의 적어도 일 영역에 상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홈(642)는 상부면이 개방되도록 하우징부(641)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개방된 상부면과 연통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의 내경이 소정의 크기로 제한됨으로써, 수용홈(642)는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삽입된 칼날부재(620)를 기립된 상태로 수용하게 된다. 칼날부재(620)는 수용홈(642)에 기립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으며, 칼날부재(620)는 덮개부(64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칼날부재(620)는 덮개부(643)의 폐쇄 시, 일단이 덮개부(643)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덮개부(643)의 개방에 따라, 덮개부(643)와 결합된 상태로 수용홈(64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수용홈(642)의 깊이는 칼날부재(620)의 길이 보다 짧게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칼날부재(620)의 수용홈(642)로의 수납 시, 칼날부재(620)의 일단이 수용홈(642)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됨으로써, 덮개부(643)의 폐쇄 시, 덮개부(643)와 칼날부재(620)의 결합이 보다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 덮개부(643)가 개방되면, 사용자가 칼날부재(620)의 일단을 파지하여 용이하게 칼날부재(620)를 수용홈(642)에 수납 및 인출을 반복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덮개부(643)는 하우징부(641)와 착탈되어 하우징부(641)를 개폐할 수 있다. 특히, 덮개부(643)는 폐쇄 시 칼날부재(6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개방 시 칼날부재(620)와 결합된 상태로 함께 개방됨으로써, 칼날부재(620)를 수용홈(642)로부터 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덮개부(643)는 외덮개(643-1) 및 내덮개(643-2)를 포함할 수 있다. 외덮개(643-1)은 수용된 화장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부(641)를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하우징부(64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덮개(643-1)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우징부(64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덮개(643-1)은 경질의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내덮개(643-2)는 외덮개(643-1)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홈(64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643-3)에 칼날부재(620)를 내덮개(643-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수용홈(64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홈(642)로부터 돌출된 칼날부재(620)의 일단이 덮개부(643)의 폐쇄에 따라,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결합홈(643-3)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칼날부재(620)는 내덮개(643-2)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결합홈(643-3)은 삽입된 칼날부재(620)의 일단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향으로 진행할수록 적어도 일 영역의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홈(143)의 내측으로 삽입된 칼날부재(620)의 일단이 결합홈(643-3)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밀착되게 됨으로써, 결합홈(643-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홈(643-3)의 입구는 수용홈(642)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수용홈(642)의 상단의 적어도 일 영역을 수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덮개부(643)의 폐쇄시, 결합홈(643-3)의 내측면이 수용홈(642)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어, 수용홈(642) 내부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덮개(643-2)의 적어도 일 영역은 칼날부재(620)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해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소재는 외력의 작용에 따라 외형이 가변 가능한 재료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외력이 가해지면 외형에 소정의 변형을 발생하되,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특히, 결합홈(643-3)이 형성된 내덮개(643-2)의 적어도 일 영역에 탄성소재가 적용되는 경우, 결합홈(643-3)에 칼날부재(620)의 삽입 시, 결합홈(643-3)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칼날부재(620)의 끼움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결합홈(643-3)의 변형 범위 내에서 다양한 크기의 칼날부재(620)를 내덮개(643-2)에 결합 가능하게 된다. 탄성 소재는, 변형 및 회복력이 높은 실리콘, 천연 고무, 인조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형상 복원 성질을 갖는 다양한 연질 및/또는 경질의 합성 수지 재료 등이 내덮개(643-2)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643)의 결합홈(643-1)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64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돌기(643-4) 사이에 칼날부재(620)의 일단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덮개부(643)의 폐쇄에 따라 칼날부재(620)가 내덮개(643-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돌기(643-4)는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 소재는 실리콘, 천연 고무, 인조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형상 복원 성질을 갖는 다양한 연질 및/또는 경질의 합성 수지재료 등이 결합돌기(643-4)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모둘의 사용 과정을 도시한다.
먼저, 도 13의 (a)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을 마친 칼날부재(620)를 수용홈(642)에 기립된 상태로 수용시킬 수 있다. 이때, 칼날부재(620)는 일단이 수용홈(642)로부터 돌출되도록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덮개부(643)를 하우징부(641)의 상단에 결합시킴으로써, 하우징부(64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덮개부(643)와 하우징부(641)의 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수용홈(642)로부터 돌출된 칼날부재(620)의 일단이 결합홈(643-3)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내덮개(643-2)과 칼날부재(620)가 결합되게 된 다.
다음으로, 도 13의 (c)를 참조하면, 덮개부(643)가 하우징부(641) 상단과의 결합을 마치면, 칼날부재(620)의 일단이 결합홈(643-3)에 완전히 결합 수용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베이스필름(A)의 커팅을 목적으로 칼날부재(620) 사용하기 위해, 덮개부(643)를 개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칼날부재(620)가 덮개부(643)에 결합된 상태로 수용홈(642)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모듈을 도시한다.
접촉모듈(1000)은 가압모듈의 베이스필름(A)과 접촉하는 일 단부에 복수 개의 형성되어, 가압모듈의 가압 작용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모듈(1000)은, 헤드부(1100), 헤드부(1000) 정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을 포함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자성을 띠는 전자석 카트리지(1200)을 포함한다. 전자석 카트리지(1200)는 전원이 인가되면 접촉모듈(1000)의 하부에 위치한 연단부(600)의 금속과 전자석 결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베이스필름을 더욱 공고히 가압할 수 있다.
계속하여 헤드부(1100) 배면에 위치하며, 전자석 카트리지(1200)를 헤드부(1100)와 독립적으로 수평 회전시킴으로써, 전자석 카트리지(1200)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각도 조절 레버(1300) 및 일 단부가 전자석 카트리지(1200)에 결합하고 다른 단부가 헤드부(1100)에 결합하여 헤드부(1100)의 표면을 커버하는 커버부(1400)를 포함한다. 커버부(1400)는 연성의 탄성 소재로 구현되어, 전자석 카트리지(1200)의 회전과 연동하여 적어도 일 영역이 신장하고 다른 일 영역이 수축함으로써 헤드부(1100)의 노출 표면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커버부(1400)는 적어도 일 영역이 헤드부(1100)의 표면과 분리됨으로써, 전자석 카트리지(1200)의 회전과 연동하여 용이하게 신장 및 수축한다. 커버부(1400)는 예를 들어, 실리콘 등과 같은 연성 재질로 구현되어, 전자석 카트리지(1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커버부(1400)의 신장 및 수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자석 카트리지(1200)가 회전 시, 전자석 카트리지(1200)와 결합된 커버부(1400)의 일 영역이 신장됨과 동시에 다른 일 영역이 수축됨으로써, 전자석 카트리지(120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헤드부(1100)의 노출 표면을 커버하게 되므로, 베이스필름이 노출 표면에 의해 자극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하여, 전자석 카트리지(1200)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1500) 및 헤드부(1100) 배면과 가압모듈 사이에 위치하여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부(1100)는 헤드부(1100)의 정면에 배치되고, 커버부(1400)와 접하여 커버부(1400)의 신장 및 수축을 용이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16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을 참고하면, 도 15의 (a)는 전자석 카트리지를 회전시키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15의 (b)는 전자석 카트리지의 회전 중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15의 (c)는 전자석 카트리지의 회전이 완료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헤드부(1100)의 배면에 형성된 각도 조절 레버(1300)를 조작하여 전자석 카트리지(1200)를 회전시키면, 전자석 카트리지(1200)의 회전에 커버부(1400)가 연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400)의 (Ⅰ) 영역은 전자석 카트리지(1200)를 따라 신장하고, 반대로 커버부(1400)의 (Ⅱ) 영역은 전자석 카트리지(1200)를 따라 수축할 수 있다. 커버부(1400)의 이러한 신장 및 수축은 전자석 카트리지(120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헤드부(1100)의 노출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노출 표면은 전자석 카트리지(1200)가 헤드부(1100)에 독립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것이나, 커버부(1400)를 통해 전자석 카트리지(1200)의 각도 조절 시 생길 수 있는 노출 표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노출 표면에 의해 베이스필름이 손상되거나 가압 효과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필름 가공 장치
100: 필름투입부
200: 마킹센서부
300: 타발부
400: 에어분사부
500: 정렬부
600: 연단부
700: 필름토출부
800: 제어부

Claims (2)

  1. 칼날이 함입된 목금형을 상하로 이동시켜 베이스필름상의 패드를 타발작업을 통해 가공하는 타발부;
    상기 타발부의 후단부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타발부로부터 공급된 베이스필름을 압착한 후 절단하는 연단부;
    상기 타발부의 타측에 연결형성되며 권취봉에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어서 투입되는 베이스필름을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를 통해 상기 타발부로 안내 이송하는 필름투입부;
    상기 연단부의 일측에서 형성되며, 가공된 베이스필름을 권취롤러를 통해 끌어당겨 권취하는 필름토출부;
    상기 연단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타발부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필름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
    상기 타발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의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러를 갖추어 사용자에 의해 필름 가공 상태를 셋팅할 수 있는 제어부; 및
    상기 연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베이스필름의 위치를 정렬하는 2 이상의 정렬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단부는, 상기 정렬부에 의해 베이스필름의 위치가 정렬되면, 하강하여 베이스필름의 위치를 규제하는 가압모듈; 상기 가압모듈에 의하여 고정된 베이스필름을 커팅하는 칼날부재; 상기 칼날부재의 커팅을 가이드하는 커팅가이드홈; 및 상기 칼날부재을 수납하는 수용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수용모듈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연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상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칼날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 및 상기 하우징부와 착탈되어 상기 하우징부를 개폐하며,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의 폐쇄에 따라 일단이 상기 결합홈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의 개방에 따라 상기 수용홈로부터 인출되며, 상기 결합홈은 적어도 일 영역이 상향으로 진행할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내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칼날부재의 일단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칼날부재와 끼움 결합되는 동시에, 내측면에 적어도 한쌍의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칼날부재의 일단이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외덮개 및 상기 외덮개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내덮개로 형성되며, 상기 내덮개는 적어도 일 영역이 탄성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에어분사부는,
    베이스필름 또는 패드에 부착된 오염물질에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모듈; 및 상기 송풍모듈에 의해 털어지는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송풍모듈은,
    상기 에어분사부 외주면에 장착되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후면에 연결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재를 포함하는 중간커버; 상기 중간커버의 후면에 연결 형성되는 후면커버; 상기 중간커버와 상기 후면커버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모듈; 및 상기 전면커버, 상기 중간커버 및 상기 후면커버를 관통하여 장착되며,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모듈은, 중간커버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하부면의 중앙 부분에 관통홀을 구비한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부재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한 번 누름 시에 탄성력에 의해 상승시켜 주며, 또 한 번 누름 시에 하강 압축되기 위한 탄력부재;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면에 다수 개의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형성된 다수 개의 가이드라인홈을 구비한 결합부재; 상기 탄력부재의 상부에 위치되고 외측면에 다수 개의 회전라인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탄력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승 시에 상기 회전라인돌기가 회전되어 상기 가이드라인홈을 따라 상승하며, 상기 탄력부재의 하강 압축 시에 상기 회전라인돌기가 하강되면서 회전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기 위한 회전체부재; 상기 후면커버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하부 중앙 부분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부재의 상부를 삽입 형성하며, 하부 테두리에 다수 개의 회전돌기를 구비하고, 측면 하부에 다수 개의 슬라이드라인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 시에 상기 슬라이드라인돌기가 상기 가이드라인홈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회전라인돌기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구동체부재; 및 상기 회전체부재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탄력부재의 중앙부분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 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한 연결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재; 일 단부가 상기 이송부재의 일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재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며, 상기 이송부재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이송부재와 수직각을 이루며, 상기 이송부재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이송부재와 예각을 이루는 전달부재; 상기 전달부재의 다른 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이송부재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전달부재가 밀어줌으로써 수평 하강하며, 상기 이송부재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전달부재가 잡아당김으로써 수직 젖힘되며, 다단으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부재; 상기 브라켓부재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부재가 수평 하강하는 경우, 베이스필름의 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재가 베이스필름과 접촉되면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접촉부재가 베이스필름의 표면 상에서 곡선 회전 운동하도록 하는 회전부재로 형성되는, 필름 가공 장치.
  2. 삭제
KR1020190131518A 2019-10-22 2019-10-22 정밀 절단 장치 KR102053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518A KR102053876B1 (ko) 2019-10-22 2019-10-22 정밀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518A KR102053876B1 (ko) 2019-10-22 2019-10-22 정밀 절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876B1 true KR102053876B1 (ko) 2019-12-09
KR102053876B9 KR102053876B9 (ko) 2023-02-21

Family

ID=6883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518A KR102053876B1 (ko) 2019-10-22 2019-10-22 정밀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8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4531A (zh) * 2020-10-30 2022-05-06 苏州鼎佳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排出废料功能的异步模切机
KR20220057756A (ko) * 2020-10-30 2022-05-09 (주)제이메라크 전동식 필름 절단장치
CN114474226A (zh) * 2021-12-24 2022-05-13 江苏翔腾新材料股份有限公司 光学膜片裁切设备
KR102546148B1 (ko) * 2022-04-21 2023-06-20 김진호 의류라벨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098B1 (ko) 2011-08-29 2012-04-13 양성식 가식성 필름 커팅 및 패킹장치
KR101520866B1 (ko) * 2014-07-25 2015-05-18 최유해 타발대상 패드를 정확한 타발 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갖춘 다이컷팅기 및 이 다이컷팅기의 타발작업 자동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098B1 (ko) 2011-08-29 2012-04-13 양성식 가식성 필름 커팅 및 패킹장치
KR101520866B1 (ko) * 2014-07-25 2015-05-18 최유해 타발대상 패드를 정확한 타발 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갖춘 다이컷팅기 및 이 다이컷팅기의 타발작업 자동 제어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4531A (zh) * 2020-10-30 2022-05-06 苏州鼎佳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排出废料功能的异步模切机
KR20220057756A (ko) * 2020-10-30 2022-05-09 (주)제이메라크 전동식 필름 절단장치
KR102487592B1 (ko) 2020-10-30 2023-01-11 (주)제이메라크 전동식 필름 절단장치
CN114434531B (zh) * 2020-10-30 2024-03-01 苏州鼎佳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排出废料功能的异步模切机
CN114474226A (zh) * 2021-12-24 2022-05-13 江苏翔腾新材料股份有限公司 光学膜片裁切设备
CN114474226B (zh) * 2021-12-24 2024-03-19 江苏翔腾新材料股份有限公司 光学膜片裁切设备
KR102546148B1 (ko) * 2022-04-21 2023-06-20 김진호 의류라벨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876B9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876B1 (ko) 정밀 절단 장치
KR102071889B1 (ko) 센서 컷팅 장치
KR102159705B1 (ko) 하이드로겔 미용패치 제조장치
KR102072742B1 (ko) 롤 형태로 감긴 재료의 텐셔닝 및 로딩 시스템
EP06682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fabric covering sheet into cutting machine
US200301239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palletizing stacks of blanks
KR20100126207A (ko) 보호 테이프 부착 방법 및 보호 테이프 부착 장치
KR101790270B1 (ko)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 자동 결합장치
KR100352994B1 (ko) 라벨자동부착장치 및 그 방법
CN208344659U (zh) 印刷片材成型容器的对标封口装置
NZ202791A (en) Machine for sequentially opening plastics bags prior to filling with solid articles
CN105947327A (zh) 一种用于烟盒的自动打码机
US5431531A (en) Label picking up device
CN116061242A (zh) 汽车内饰皮革的智能裁切加工设备
KR102017900B1 (ko) 워크 연마 장치
JP2013154256A (ja) 樹脂剤塗布装置及び樹脂剤塗布方法
US20140353088A1 (en) Tire lubricator device of tire testing machine
CN105113142B (zh) 一种缝料的输送装置
CN111016483B (zh) 一种自适应丝印曲面的丝印方法
CN209462883U (zh) 一种贴片机的上料机构
KR101862335B1 (ko)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및 방법
KR100915680B1 (ko) 박스 포장을 위한 비닐 이송 조절장치 및 그를 사용한 박스포장설비
US20220144467A1 (en) Molding station for molding packaging trays
CN110886081B (zh) 切筒条设备及切筒条方法
CN210358756U (zh) 一种能防止模压后标牌料带褶皱的自动模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