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910B1 -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910B1
KR102052910B1 KR1020170167816A KR20170167816A KR102052910B1 KR 102052910 B1 KR102052910 B1 KR 102052910B1 KR 1020170167816 A KR1020170167816 A KR 1020170167816A KR 20170167816 A KR20170167816 A KR 20170167816A KR 102052910 B1 KR102052910 B1 KR 102052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water film
film forming
removal system
collect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7655A (ko
Inventor
박진홍
Original Assignee
박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홍 filed Critical 박진홍
Priority to KR1020170167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9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6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05B14/469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wherein the washing material is the spray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3/041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4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using walls specially adapted for promoting separation of the excess material from the air, e.g. baffl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Abstract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이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은, 스프레이 도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부피로 형성된 도장공간을 구비하고, 도장 대상물에 부착되지 않은 도료 잔사를 포집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으로서, 상기 도장공간의 적어도 일측면에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장착되고, 도장공간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하방으로 유동하는 도료잔사 포집액체 수막이 형성된 수막형성부; 상기 수막형성부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도장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라인; 상기 수막형성부 하부에 장착되고, 수막형성부을 따라 흘러내리는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회수하는 회수저장부; 상기 회수저장부와 인접하여 장착되고, 회수저장부로부터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유입하여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의해서 마이크로 버블을 주입한 후 포집액체를 분사스프레이에 의해서 배기라인 내부에 분사하고 수막형성부에 공급하는 마이크로 버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수막형성부, 회수저장부, 마이크로 버블 공급부, 배기라인 및 분사스프레이를 구비함으로써, 도장공간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System For Collecting Paint Residue}
본 발명은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중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고, 포집된 도료 폐기물 처리를 더욱 손쉽게 수행함으로써 폐기물 처리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프레이 도장 라인에 있어서는, 도장 대상물에 부착되지 않고 공기 중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가 80% 정도 존재한다.
이러한 도료 잔사는 제품의 외벽에 다시 부착되어 오염을 일으키거나, 작업자의 호흡기에 흡입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발생된 도료 잔사가 대기 중에 배출될 경우 심각한 환영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포함 기능수 생성부(16), 도장 부스(1) 및 저류조(2)를 포함하는 포집 시스템(10)을 이용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포집 장치의 경우, 기능수에 의해 포집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포집된 도료 잔사는 기능수의 수면 상에 부유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포집 시스템의 경우, 도장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대기 중에 부유하게 되는 도료 잔사를 효과적으로 기능수로 유도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도료 잔사 포집 효과가 현저히 낮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포집 시스템은, 작업 공간을 채우는 공기 중에 부유 중인 도료 잔사를 포집함에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결과적으로, 비교적 충분히 많이 시간이 흐른 뒤에도 많은 양의 도료 잔사가 작업 공간을 채우는 공기 중에 부유하게 되며, 이러한 오염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을 파괴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도료 잔사를 포집하기 위해 활용되는 기능수를 별도의 장치를 마련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066673 (2017년 06월 14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장공간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고, 포집된 도료 폐기물 처리를 더욱 손쉽게 수행함으로써 폐기물 처리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은, 스프레이 도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부피로 형성된 도장공간을 구비하고, 도장 대상물에 부착되지 않은 도료 잔사를 포집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으로서, 상기 도장공간의 적어도 일측면에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장착되고, 도장공간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하방으로 유동하는 도료잔사 포집액체 수막이 형성된 수막형성부; 상기 수막형성부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도장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라인; 상기 수막형성부 하부에 장착되고, 수막형성부을 따라 흘러내리는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회수하는 회수저장부; 상기 회수저장부와 인접하여 장착되고, 회수저장부로부터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유입하여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의해서 마이크로 버블을 주입한 후 포집액체를 분사스프레이에 의해서 배기라인 내부에 분사하고 수막형성부에 공급하는 마이크로 버블 공급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기라인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배플(baffle)이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플은 배기라인 내부를 구성하는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내측면과 인접하는 배플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유동하는 도료잔사 포집액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포집액체 유동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플의 상부면에는 상방으로부터 낙하하는 포집액체를 포집액체 유동 관통구 방향으로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기라인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슬라이딩 레일이 장착되고, 상기 배플은 슬라이딩 레일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장공간을 형성하는 천정면에는, 수막형성부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 노즐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은, 상기 도장공간을 형성하는 천정면의 수막형성부와 인접하는 모서리부위에 장착되고,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수막형성부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공기흐름 유도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흐름 유도 돌기부에 형성된 경사면은, 소정 길이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흐름 유도 돌기부에는, 수막형성부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홀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막형성부는, 도장공간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방으로 유동하는 수막을 일측방향, 양측방향 또는 좌우교번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일측방향, 양측방향 또는 좌우교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의 유동안내 돌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막형성부는, 도장공간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고, 양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의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막형성부 하단에는 배기라인과 연통되는 배기인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공기는 배기라인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은, 상기 배기인입구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기인입구 방향으로 도료 잔사 포집액체를 분사하는 분사구가 다수 형성된 추가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가 분사부(114)는, 수막형성부의 수막이 형성된 표면과 대응되는 폭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은, 상기 수막형성부의 상단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마이크로 버블이 주입된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제공받아 수납하는 포집액체 저장부; 및 상기 포집액체 저장부의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수납된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수막형성부 표면으로 유동시키거나 차단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이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은, 상기 수막형성부의 상단에 장착되고,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의 분사구가 수막형성부 방향으로 형성된 배관구조이며, 마이크로 버블이 주입된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제공받아 수막형성부에 분사하는 포집액체 분사배관;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은, 상기 회수저장부로부터 추출한 포집액체의 성질을, 전기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알칼리 전해수 또는 산성 전해수 특성으로 변경하는 개질화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질화장치는, 양측에 포집액체 주입구 및 포집액체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극모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둘 이상의 전극 조립체가 적층된 구조이며, 포집액체 주입구를 통해 공급된 포집액체가 전극 조립체의 표면을 지나 포집액체 배출구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적층면을 따라 방사형 유동로가 형성된 전극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모듈은, 하우징의 수납공간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판구조의 전극 조립체와 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갖는 원판구조의 또 다른 전극 조립체가 둘 이상 적층된 구조이고, 상기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전극 조립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단차 부위에는, 전극 조립체 사이로 포집액체가 주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출입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수막형성부, 회수저장부, 마이크로 버블 공급부, 배기라인 및 분사스프레이를 구비함으로써, 도장공간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고, 포집된 도료 폐기물 처리를 더욱 손쉽게 수행함으로써 폐기물 처리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기능 수 내부에 마이크로 버블을 주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료 잔사를 포집하여 도료 잔사의 점성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고, 점성이 저감된 도료 잔사는 마이크로 버블에 포집되어 비중이 낮아지게 되므로 도료잔사 포집액체의 수면 상에 부유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포집된 도료 폐기물 처리를 더욱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 노즐을 도장공간을 형성하는 천정면에 배치함으로써, 도장공간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수막형성부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도장공간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경사면이 형성된 공기흐름 유도 돌기부 및 공기분사홀을 구비함으로써, 도장공간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수막형성부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도장공간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유동안내 돌기, 단차 구조가 형성된 수막형성부를 구비함으로써, 도장공간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수막형성부 표면에 형성된 도료잔사 포집액체 수막에 효과적으로 포집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도장공간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수막이 형성된 표면으로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분사하는 분사구가 다수 형성된 추가 분사부를 구비함으로써, 도장공간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배기인입구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도장공간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포집액체 저장부, 개폐장치, 포집액체 분사배관을 구비함으로써, 수막형성부의 표면에 도료잔사 포집액체 수막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도장공간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배기인입구, 배기라인, 배플, 포집액체 유동 관통구 및 그루브를 구비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도료 잔사를 재차 포집하여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친환경 스프레이 도장 작업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마이크로 버블을 함유하는 도료잔사 포집 액체를 이용하여 도장공간 내부 공기 중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고, 포집된 도료 잔사는 도료잔사 포집 액체의 수면 상에 부유하게 되며, 도료 잔사가 부유하는 도료잔사 포집 액체는 회수저장부로 이동되어 포집된 도료 잔사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우징, 전극모듈을 포함하는 개질화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회수저장부로부터 추출한 포집액체의 성질을, 전기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알칼리 전해수 또는 산성 전해수 특성으로 변경할 수 있고, 개질화된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더욱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도장공간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료 잔사 포집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공간의 천정면에 설치된 공기분사 노즐 및 공기흐름 유도 돌기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성부의 표면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성부의 표면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성부, 배기인입구 및 추가 분사부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성부 및 추가 분사부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액체 분사배관 및 수막형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액체 저장부 및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과 배기라인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B'선 절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C 부분 투시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질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질화장치의 전극조립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질화장치의 전극조립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100)은, 스프레이 도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부피로 형성된 도장공간(101)을 구비하고, 도장 대상물에 부착되지 않은 도료 잔사를 포집하는 장치로서, 특정 구조의 수막형성부(110), 회수저장부(120), 마이크로 버블 공급장치(130), 배기라인(140) 및 분사스프레이(146)를 구비함으로써, 도장공간(101)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잔사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성부(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공간(101)의 적어도 일측면에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로 장착되고, 도장공간(101)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하방으로 유동하는 도료잔사 포집액체 수막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수막형성부(110)는 다양한 구조의 요철구조 또는 굴곡면이 형성된 구조물일 수 있으며, 도장공간(101)에 적절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회수저장부(120)는, 수막형성부(110) 하부에 장착되고, 수막형성부(110)을 따라 흘러내리는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회수할 수 있다.
마이크로 버블 공급부는, 회수저장부(120)와 인접하여 장착되고, 회수저장부(120)로부터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유입하여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130)에 의해서 마이크로 버블을 주입한 후 포집액체를 분사스프레이(146)에 의해서 배기라인(140) 내부에 분사하고 수막형성부(110)에 공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130)에 의해 공급되는 마이크로 버블은 5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의 버블임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크기의 마이크로 버블은 도료잔사의 표면과 부착되어 도료잔사의 점성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점성이 현저히 저하된 도료잔사는 수분함량이 15 내지 20%의 특성을 가지는 바, 결과적으로 포집액체의 수면상에 분말형태로 부유하게 된다. 분말형태로 부유하는 도료잔사는 수면을 걷어내는 형태로 손쉽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는, 5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할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선회액체류식, 스테이트믹서식, 아젝터식, 밴추리식, 가압용해식, 초음파식, 전기분해식, 미세기공필터식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한 장치가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방식은 기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배기라인(140)은, 수막형성부(110)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도장공간(10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분사스프레이(146)는, 배기라인(140)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배기라인(140) 내부를 향해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공간의 천정면에 설치된 공기분사 노즐 및 공기흐름 유도 돌기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100)의 천정면(102)에는, 수막형성부(110)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 노즐(111)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장공간(101) 내부에 부유하는 공기를 수막형성부(110)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어, 수막형성부(110)에 형성된 수막으로 도료 잔사가 더욱 효과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특정 구조의 공기흐름 유도 돌기부(150)를 더 구비하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수막형성부(110)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유도 돌기부(150)는, 도장공간(101)을 형성하는 천정면(102)의 수막형성부(110)과 인접하는 모서리부위에 장착되고, 일측면에 경사면(151)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언급한 경사면(151)은, 소정 길이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흐름 유도 돌기부(150)에는, 수막형성부(110)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홀(152)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성부의 표면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성부의 표면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성부(110)은, 하방으로 유동하는 수막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동안내 돌기(112)가 일측면에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유동안내 돌기(112)는, 도장공간(101)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방으로 유동하는 수막을 일측방향, 양측방향 또는 좌우교번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일측방향, 양측방향 또는 좌우교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막형성부(110)의 도장공간(101)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고, 양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의 단차 구조(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차 구조(113)를 지나면서 도료잔사 포집액체의 와류를 더욱 활성화 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도료잔사 포집액체로 형성된 수막으로 도료잔사가 더욱 효과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단차 구조(113)의 형성 폭, 길이 및 위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함을 물론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성부, 배기인입구 및 추가 분사부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성부 및 추가 분사부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집액체 분사배관 및 수막형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100)은, 특정 구조의 추가 분사부(11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추가 분사부(114)는, 배기인입구(14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기인입구(141) 방향으로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분사하는 분사구(115)가 다수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분사부(114)는, 수막형성부(110)의 수막이 형성된 표면과 대응되는 폭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100)은, 수평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포집액체 분사배관(13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포집액체 분사배관(13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막형성부(110)이 상단에 장착되고,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의 분사구(134)가 수막형성부(110) 방향으로 형성된 배관구조이며, 마이크로 버블이 주입된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제공받아 수막형성부(110)에 분사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액체 저장부 및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100)은, 특정 구조의 포집액체 저장부(131)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먼저 도 9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집액체 저장부(131)에는 포집액체 공급배관(135)을 통해 공급된 도료잔사 포집액체가 수납될 수 있다. 이때, 포집액체 공급배관(135)으로부터 도료잔사 포집액체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포집액체 저장부(131)에 가득찬 도료잔사 포집액체는 포집액체 저장부(131)의 일측면 즉, 수막형성부(110)의 상단과 인접하는 측면을 따라 넘쳐 흐르게 되며, 결과적으로 수막형성부(110)의 표면을 따라 수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포집액체 공급배관(135)에 밸브(138)를 설치하여 포집액체 저장부(131)로 공급되는 도료잔사 포집액체의 공급속도 및 공급량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액체 저장부(131)로부터 수막형성부(110)의 상단에 이르는 경로에 분사배관(136)을 설치하고, 분사배관(136)의 중간에 펌프(137)를 설치하여,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수막형상판(110)의 일측면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132)를 더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집액체 저장부(131)는, 수막형성부(110)의 상단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마이크로 버블이 주입된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제공받아 수납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개폐장치(132)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액체 저장부(131)의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수납된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수막형성부(110) 표면으로 유동시키거나 차단하는 구조일 수 있다. 포집액체 저장부(131)에 수납된 도료잔사 포집액체는 개폐장치(132)의 상단을 넘어 수막형성부(110)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개폐장치(132)를 완전히 개방할 경우, 수막형성부(110)의 표면으로 유동하는 도료잔사 포집액체의 유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개폐장치(132)를 차단할 경우, 수막형성부(110)의 표면으로 유동하는 도료잔사 포집액체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과 배기라인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도 11의 B-B'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도 11의 C 부분 투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성부(110) 하단에는 배기라인(140)과 연통되는 배기인입구(141)가 형성되어 있고, 배기인입구(141)를 통해 인입된 공기는 배기팬에 의해서 배기라인(14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도 10 143->141로 수정 요망)
한편, 배기라인(140)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배플(baffle, 142)이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배플(142)은 배기라인(140)으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다양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일단에 공기 유동 관통구(142-1)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공기 유동 관통구(142-1)의 형성위치와 마주하는 타단 즉, 배기라인(140) 내측면과 인접하는 배플(142)의 타단부에는, 배기라인(140) 내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는 도료잔사 포집액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포집액체 유동 관통구(143)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 유동 관통구(142-1)는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이고, 포집액체 유동 관통구(143)는, 배플(142)의 상하부면 또는 배기라인(140) 내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포집액체의 유동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배기라인(140)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슬라이딩 레일(145)이 장착되고, 배플(142)은 슬라이딩 레일(145)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142)의 일단부에는 롤러장착부(142-2)가 장착되고, 롤러장착부(142-2)에는 슬라이딩 레일(145)에 맞물려 슬라이딩 구동할 수 있는 롤러(142-3)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배플(142)은 롤러(142-3)의 슬라이딩 구동에 의해 상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롤러장착부(142-2) 내부에는 롤러(142-3)의 회전 구동을 제동할 수 있는 롤러 브레이크(142-4)가 장착되어 배플(142)의 상하 위치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142)의 수평방향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삽입단부(142-5) 및 내입구(142-6)를 포함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라인(140) 내부에 장착되는 배플(142)의 상하 위치 및 경사 각도를 운용환경 및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142)의 상부면에는 상방으로부터 낙하하는 포집액체를 포집액체 유동 관통구(143) 또는 공기 유동 관통구(142-1) 방향으로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14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플(142)의 상부면에 낙하한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공기 유동 관통구(142-1) 또는 포집액체 유동 관통구(143) 방향으로 손쉽게 유동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142)이 포집액체 유동 관통구(143)에서 공기 유동 관통구(142-1) 방향으로 경사져 내려가는 형태로 장착될 경우, 그루브(144)를 따라 흐르는 포집액체는 공기 유동 관통구(142-1)를 지나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배플(142)이 공기 유동 관통구(142-1)에서 포집액체 유동 관통구(143) 방향으로 경사져 내려가는 형태로 장착될 경우, 그루브(144)를 따라 흐르는 포집액체는 포집액체 유동 관통구(143)를 지나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질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질화장치의 전극조립체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질화장치의 전극조립체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100)은, 회수저장부(120)로부터 추출한 포집액체의 성질을, 전기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알칼리 전해수 또는 산성 전해수 특성으로 변경하는 개질화장치(16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개질화장치(160)는, 특정 구조의 하우징(161) 및 전극모듈(162)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하우징(161)은, 양측에 포집액체 주입구(161-1) 및 포집액체 배출구(161-2)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극모듈(162)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하우징(161) 내부에 장착되는 전극모듈(162)은, 둘 이상의 전극 조립체(162-1, 162-2, 162-3, 162-4)가 적층된 구조이며, 포집액체 주입구(161-1)를 통해 공급된 포집액체가 전극 조립체(162-1, 162-2, 162-3, 162-4)의 표면을 지나 포집액체 배출구(161-2)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적층면을 따라 방사형 유동로(163)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모듈(162)은, 하우징(161)의 수납공간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판구조의 전극 조립체(162-2, 162-4)와 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갖는 원판구조의 또 다른 전극 조립체(162-1, 162-3)가 둘 이상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모듈(162)은,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전극 조립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단차 부위에는, 전극 조립체 사이로 포집액체가 주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출입유로(16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은, 특정 구조의 하우징(161), 전극모듈(162)을 포함하는 개질화장치(160)를 구비함으로써, 회수저장부(120)로부터 추출한 포집액체의 성질을, 전기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알칼리 전해수 또는 산성 전해수 특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100)은, 도장공간(101) 내부에서 도장 작업이 이뤄진 후 발생하는 도료잔사는, 도장공간(101) 내부에 부유하게 된다. 이때 공기중에 부유하는 도료잔사는 공기분사 노즐(111)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유도에 의해 수막형성부(110)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도료잔사는 수막형성부(110)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는 포집액체에 포집되어 하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포집액체에는 마이크로 버블이 주입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도료 잔사들 간의 점성을 현저히 낮추게 된다. 마이크로 버블은 도료잔사와 부착되어 포집액체의 수면 상으로 부유하게 된다.
도장공간(101) 내부의 공기는 배기인입구(141)를 통해 배기라인(14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배기라인(140) 내부에 장착된 다수의 배플(142)에 의해 공기는 다양한 경로로 유동하고, 이 과정 중 분사스프레이(146)는 배기라인(140) 내부에 포집액체를 분사하게 된다. 수막형성부(110)에 의해 포집되지 않은 도표잔사는 배기라인(140) 내부를 유동하면서 포집액체에 포집되게 된다.
이때 포집된 도료잔사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회수저장부(120)에 수납되게 된다. 이 경우도 상기 언급한 바와 만찬가지로, 포집액체에는 마이크로 버블이 주입되어 있어 마이크로 버블은 도료 잔사들 간의 점성을 현저히 낮추게 된다. 마이크로 버블은 도료잔사와 부착되어 포집액체의 수면 상으로 부유하게 된다.
포집액체의 수면 상애 부유하는 도료잔사는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분말 형태로 부유하게 되며, 분말 형태의 도료잔사 폐기물은 수면 위를 걷어내는 형태로 손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도료잔사 폐기물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101: 도장공간
102: 천정면
110: 수막형성부
111: 공기분사 노즐
112: 유동안내 돌기
113: 단차 구조
114: 추가 분사부
115: 분사구
120: 회수저장부
130: 마이크로 버블 공급장치
131: 포집액체 저장부
132: 개폐장치
133: 포집액체 분사배관
134: 분사구
135: 포집액체 공급배관
136: 분사배관
137: 펌프
138: 밸브
140: 배기라인
141: 배기인입구
142: 배플(baffle)
142-1: 공기 유동 관통구
142-2: 롤러장착부
142-3: 롤러
142-4: 롤러 브레이크
142-5: 삽입단부
142-6: 내입구
143: 포집액체 유동 관통구
144: 그루브
145: 슬라이딩 레일
146: 분사스프레이
150: 공기흐름 유도 돌기부
151: 경사면
152: 공기분사홀
160: 개질화장치
161: 하우징
161-1: 포집액체 주입구
161-2: 포집액체 배출구
162: 전극모듈
162-1: 전극 조립체
162-2: 전극 조립체
162-3: 전극 조립체
162-4: 전극 조립체
163: 방사형 유동로
164: 출입유로
165: 유동구

Claims (18)

  1. 스프레이 도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부피로 형성된 도장공간(101)을 구비하고, 도장 대상물에 부착되지 않은 도료 잔사를 포집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도장공간(101)의 적어도 일측면에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장착되고, 도장공간(101)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하방으로 유동하는 도료잔사 포집액체 수막이 형성된 수막형성부(110);
    상기 수막형성부(110)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도장공간(10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양측면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슬라이딩 레일(145)가 장착되는 배기라인(140);
    상기 수막형성부(110) 하부에 장착되고, 수막형성부(110)을 따라 흘러내리는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회수하는 회수저장부(120);
    상기 회수저장부(120)와 인접하여 장착되고, 회수저장부(120)로부터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유입하여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130)에 의해서 마이크로 버블을 주입한 후 포집액체를 분사스프레이(146)에 의해서 배기라인(140) 내부에 분사하고 수막형성부(110)에 공급하는 마이크로 버블 공급부;
    상기 배기라인(140) 내부를 구성하는 내측면에 장착된 슬라이딩 레일(145)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둘 이상 장착되고, 공기의 유동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지그재그 형태를 구성하는 배플(baffle, 142);
    상기 배플(142)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는 도료잔사 포집액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플(142)의 단부에 하나 이상 형성된 포집액체 유동 관통구(143); 및
    상기 배플(142)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플(142)의 상부면을 따라 유동하는 포집액체를 포집액체 유동 관통구(143) 방향으로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1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공간(101)을 형성하는 천정면(102)에는, 수막형성부(110)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 노즐(111)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100)은,
    상기 도장공간(101)을 형성하는 천정면(102)의 수막형성부(110)과 인접하는 모서리부위에 장착되고,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수막형성부(110)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경사면(151)이 형성된 공기흐름 유도 돌기부(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 유도 돌기부(150)에 형성된 경사면은, 소정 길이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 유도 돌기부(150)에는, 수막형성부(110)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홀(152)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형성부(110)은,
    도장공간(101)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방으로 유동하는 수막을 일측방향, 양측방향 또는 좌우교번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일측방향, 양측방향 또는 좌우교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의 유동안내 돌기(1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형성부(110)은,
    도장공간(101)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고, 양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의 단차 구조(1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형성부(110) 하단에는 배기라인(140)과 연통되는 배기인입구(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인입구(141)를 통해 인입된 공기는 배기라인(14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100)은,
    상기 배기인입구(14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기인입구(141) 방향으로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분사하는 분사구(115)가 다수 형성된 추가 분사부(11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분사부(114)는, 수막형성부(110)의 수막이 형성된 표면과 대응되는 폭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100)은,
    상기 수막형성부(110)의 상단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마이크로 버블이 주입된 도료잔사 포집액체를 제공받아 수납하는 포집액체 저장부(131)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포집액체 저장부(131)에서 일정 유량의 포집액체를 수막형성부(110)의 표면으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100)은,
    상기 회수저장부(120)로부터 추출한 포집액체의 성질을, 전기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알칼리 전해수 또는 산성 전해수 특성으로 변경하는 개질화장치(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화장치(160)는,
    양측에 포집액체 주입구(161-1) 및 포집액체 배출구(161-2)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극모듈(162)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61); 및
    상기 하우징(161) 내부에 장착되고, 둘 이상의 전극 조립체(162-1, 162-2, 162-3, 162-4)가 적층된 구조이며, 포집액체 주입구(161-1)를 통해 공급된 포집액체가 전극 조립체(162-1, 162-2, 162-3, 162-4)의 표면을 지나 포집액체 배출구(161-2)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적층면을 따라 방사형 유동로(163)가 형성된 전극모듈(16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모듈(162)은, 하우징(161)의 수납공간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판구조의 전극 조립체(162-2, 162-4)와 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갖는 원판구조의 또 다른 전극 조립체(162-1, 162-3)가 둘 이상 적층된 구조이고,
    상기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전극 조립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단차 부위에는, 전극 조립체 사이로 포집액체가 주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출입유로(16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KR1020170167816A 2017-12-07 2017-12-07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KR102052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816A KR102052910B1 (ko) 2017-12-07 2017-12-07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816A KR102052910B1 (ko) 2017-12-07 2017-12-07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655A KR20190067655A (ko) 2019-06-17
KR102052910B1 true KR102052910B1 (ko) 2019-12-06

Family

ID=6706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816A KR102052910B1 (ko) 2017-12-07 2017-12-07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9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775A (ko) * 2019-12-24 2021-07-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입자의 균일 건조 및 반탄화를 위한 건조 및 반탄화 반응기
KR102467177B1 (ko) * 2022-03-23 2022-11-14 정지국 세라믹 도장시스템
KR20240014363A (ko) 2022-07-25 2024-02-01 진 정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습식 도장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639B1 (ko) * 2021-06-25 2023-08-11 주용수 분체도장설비용 도장 부스
CN113695139B (zh) * 2021-09-04 2023-03-21 上海吉祥家美幕墙材料有限公司 一种铝单板喷漆车间及喷漆生产线
CN114226131A (zh) * 2021-12-20 2022-03-25 广东凡海环保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漆雾分离水帘柜
CN115041336A (zh) * 2022-06-21 2022-09-13 浙江万丰上达涂复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机械紧固件防腐涂料的喷涂装置及喷涂方法
CN116036651B (zh) * 2023-01-14 2023-07-18 广西壮族自治区亚热带作物研究所(广西亚热带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山茶属植物叶片搅拌及茶多酚提取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388B1 (ko) * 2016-02-18 2016-12-16 정재억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유체처리설비
JP2017100049A (ja) * 2015-11-30 2017-06-08 パーカー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マイクロバブルを使用した塗装ブースの塗料ミスト除去方法
KR101778573B1 (ko) * 2014-12-04 2017-09-15 티에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도료 잔사 포집 시스템 및 도료 잔사 포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573B1 (ko) * 2014-12-04 2017-09-15 티에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도료 잔사 포집 시스템 및 도료 잔사 포집 방법
JP2017100049A (ja) * 2015-11-30 2017-06-08 パーカー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マイクロバブルを使用した塗装ブースの塗料ミスト除去方法
KR101687388B1 (ko) * 2016-02-18 2016-12-16 정재억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유체처리설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775A (ko) * 2019-12-24 2021-07-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입자의 균일 건조 및 반탄화를 위한 건조 및 반탄화 반응기
KR102330471B1 (ko) * 2019-12-24 2021-11-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입자의 균일 건조 및 반탄화를 위한 건조 및 반탄화 반응기
KR102467177B1 (ko) * 2022-03-23 2022-11-14 정지국 세라믹 도장시스템
KR20240014363A (ko) 2022-07-25 2024-02-01 진 정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습식 도장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655A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910B1 (ko)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KR101039373B1 (ko) 소용돌이 세정집진장치
KR100729442B1 (ko) 습식집진기
KR101034385B1 (ko) 하이브리드 스크러버 장치
US20210023476A1 (en) Methods of separating drilling cuttings and gas using a liquid seal
JP2018108585A (ja) 散気装置、散気方法、及び水処理装置
KR20140091654A (ko) 멀티사이클론식 컬렉터
KR101817899B1 (ko) 공기 정화 부스가 구비된 도장 부스
TWI392539B (zh) Exhaust treatment device
KR101571090B1 (ko) 이동식 분진 집진장치
KR20100106266A (ko) 침액식 스크러버
KR101733239B1 (ko)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KR20140103742A (ko) 유수식 세정집진장치
KR101570613B1 (ko) 공기 정화장치
CN109475894B (zh) 排气排水机构
JP2008119556A (ja) 塗装ブースろ過網の目詰まり防止装置
KR102010326B1 (ko)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KR101755229B1 (ko) 다중 분사노즐을 구비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JP3621159B2 (ja) 排ガス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586292B1 (ko) 미세분진 집진장치
JP6401810B2 (ja) 集塵装置の泡液供給機構
JP3322457B2 (ja) 水噴霧式空気浄化装置
KR100773951B1 (ko) 도포장치용 부스
KR20220147230A (ko) 미세 버블을 이용한 수평식 스크러버
JP5914802B2 (ja) 気体溶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