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326B1 -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326B1
KR102010326B1 KR1020190034793A KR20190034793A KR102010326B1 KR 102010326 B1 KR102010326 B1 KR 102010326B1 KR 1020190034793 A KR1020190034793 A KR 1020190034793A KR 20190034793 A KR20190034793 A KR 20190034793A KR 102010326 B1 KR102010326 B1 KR 102010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late
exhaust gas
reservoi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영
박문례
노학재
박현진
유정구
Original Assignee
(주)벨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벨이앤씨 filed Critical (주)벨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34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Abstract

본 발명은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에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액체를 저장하는 상층 저수부와 하층 저수부가 구획벽에 의해 2단으로 형성된 저수부; 하부가 저수부 일측과 연통되고 상부에는 액체로 세정된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된 탑부; 탑부의 배기구에 연결된 상태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저수부와 탑부의 내부 기압차에 의해 저수부의 액체가 탑부 상측으로 상승하도록 유도하는 팬부; 및 팬부의 작동에 따른 저수부와 탑부의 압력차에 의해 저수부에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탑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통로 구조를 형성하고, 통로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탑부 상측으로 상승하는 액체로 분사 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노즐이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되, 흡입구 소정 위치에는 액체를 하방으로 분사하는 제1 액체 분사부가 구비되고, 제1 액체 분사부 아래에는 배기가스와 액체가 2회 이상 접촉할 수 있도록 기액 접촉 유도부재가 구비되고, 노즐부에는 노즐을 통해 탑부의 액체로 분사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충돌하며 1차적으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노즐의 상부 일측에 반사판을 구비하고, 반사판 상부에는 1차적으로 방향이 전환된 배기가스가 2차적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난류 유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Immersion Type Scrubber With Improved gas-liquid contact efficiency}
본 발명은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 내부 흡입 구역과 배기 구역의 수두차를 최소화하면서도 배기가스와 액체가 충분한 혼합과 충돌이 유도되어 압력손실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도 효율적으로 배기가스를 세정할 수 있는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연(Fume), 액적(Mist), 먼지(Dust) 및 용해도가 높은 유해가스 및 화학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습식으로 처리하는 장치를 Scrubber라고 통칭한다. 보통 세정 집진장치, 습식 집진장치라고 하며 주로 가용성 가스(NH3, HCl, H2S 등)의 포집에 사용되고 있으며, 액적, 액막, 기포 등에 의해 함진가스를 세정하여 입자에 부착, 입자 상호간의 응집을 촉진시켜 직접 가스의 흐름으로부터 입자를 분리시키는 장치이기도 하다.
이러한 세정 집진장치는 가스 흡수뿐만 아니라 흡수 외에 증유, 증습 및 먼지, 액적의 제거 등에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세정 집진장치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고 있으나, 그 처리원리는 액체(일반적으로 물)와 직접적인 접촉에 의하여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거의 같다.
종래의 세정 집진장치 중에서는 세정탑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충진층 위에 약액을 분사하여, 배기가스가 충진층을 통과 시에 분사된 약액과 접촉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세정이 완료된 가스를 세정탑 상단의 배기구로 배출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정탑 방식의 세정 집진장치는 집진 효율이 낮고 집진 가동률이 일정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초기투자비도 많이 들며, 보수 유지 및 청소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비효율적이었다. 특히 무엇보다도 집진효율이 중요한데, 이러한 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방식의 세정 집진장치가 개발되었다.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는 함진 배기가스를 팬을 이용하여 집진기 하부의 액체 속으로 강제 유도하여, 노즐부를 통과시켜 액체 속에서 초세립화하는 방식이다. 미세하게 분산된 유해가스와 먼지 입자는 약액이 첨가된 물과 빠른 속도로 접촉하여 포집되며 청정 공기는 상부로 배출되고, 포집된 미세입자는 저수부 하부에 자연 침강하여 슬러지 배출장치 등을 통해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10)는 내부에 물이 저장된 상태로, 오염된 배기가스가 인입되는 흡입구(21)와 세정된 가스가 대기로 배출되는 배기구(22)가 구비되어 있는 몸체부(20)가 형성된다. 몸체부(20)에는 흡입구(21)가 있는 구역과 배기구(22)가 있는 구역이 칸막이 등을 통해 구획되어 있고, 도 1과 같이 몸체부(20)의 하단에 물이 저장되어 있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동작이 시작되면, 배기구(22)와 연결된 팬(미도시)을 통해 흡입구(21)가 있는 구역과 배기구(22)가 있는 구역에 내부 압력차가 발생하여, 흡입구(21) 구역의 물은 수면이 낮아지고, 배기구(22) 구역의 수면은 반대로 높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몸체부(20)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낮아진 수면으로 인해 연결 통로가 개방된 노즐부(30)를 통해 배기구(22) 구역으로 유동이 이루어진다.
노즐부(30)에서 분사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구(22) 구역에서 수면이 높아진 물에 유입되어 섞이게 되며 세정이 이루어지고, 팬으로 인해 배기구(22)까지 상승하여 대기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배기가스와 물의 혼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평판형의 충돌판(31)을 구비하여, 충돌판(31)에 충돌한 배기가스가 미세한 공기방울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더 많은 흐름을 유도해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10)는 동작 과정에서 흡입구(21) 구역과 배기구(22) 구역의 수두차(水頭差)를 가급적 크게 하는 것이 곧 높은 집진효율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러한 큰 수두차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세정 집진장치 내부에서 상당한 수준의 압력 손실을 감안해야만 했다.
또한 노즐부(30) 후단의 충돌판(31) 또한 평판형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부(30)의 좁은 출구를 매우 빠른 속도로 통과하여 분사되는 배기가스가 계속하여 충돌판(31)과 충돌할 경우, 공기저항계수가 매우 높기 때문에 충격이 누적되어 장치에 손상의 우려가 있고 압력 면에서도 큰 부하가 걸릴 수 밖에 없었다.
이렇게 동력 효율이 좋지 않기 때문에 보통은 일측에 한 개의 노즐부(30)를 구비하도록 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집진 효율을 위해 다중 노즐 구조로 설계할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정반대의 방향으로 각각 노즐부가 구비되도록 해야 했다. 이러한 구조는 결국 장치의 대형화를 필연적으로 가져왔으며, 설치 면적이 넓어 공간 활용이나 비용의 측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한 큰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627886호 한국등록특허 제1838139호 한국등록특허 제17552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 내부 흡입 구역과 배기 구역의 수두차를 최소화하면서도 배기가스와 약액의 충분한 혼합과 충돌이 유도되어 압력손실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도 효율적으로 배기가스를 세정할 수 있는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력손실을 줄이면서 집진 효율을 증가시켜 유해물질 제거율을 높이면서 동시에 소형화가 가능하여 설치면적과 비용 측면에서 경제적인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는, 상부에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흡입구(2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액체를 저장하는 상층 저수부(200a)와 하층 저수부(200b)가 구획벽(200c)에 의해 2단으로 형성된 저수부(200); 하부가 상기 저수부(200) 일측과 연통되고 상부에는 액체로 세정된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310)가 형성된 탑부(300); 상기 탑부(300)의 배기구(310)에 연결된 상태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저수부(200)와 상기 탑부(300)의 내부 기압차에 의해 상기 저수부(200)의 액체가 상기 탑부(300) 상측으로 상승하도록 유도하는 팬부(500); 및 상기 팬부(500)의 작동에 따른 상기 저수부(200)와 상기 탑부(300)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저수부(200)에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탑부(3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통로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를 통과한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탑부(300) 상측으로 상승하는 액체로 분사 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노즐(420)이 형성되는 노즐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구(210) 소정 위치에는 액체를 하방으로 분사하는 제1 액체 분사부(25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액체 분사부(250) 아래에는 배기가스와 액체가 2회 이상 접촉할 수 있도록 기액 접촉 유도부재(240)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부(400)에는 상기 노즐(420)을 통해 상기 탑부(300)의 액체로 분사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가 충돌하며 1차적으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노즐(420)의 상부 일측에 반사판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판 상부에는 1차적으로 방향이 전환된 배기가스가 2차적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난류 유도부재(3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에서, 상기 노즐부(400)는, 일단부가 상기 저수부(200)의 내부 공간과, 타단부가 상기 탑부(300)의 내부 공간과 각각 연통되도록 통로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배기가스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스 통로부(410); 및 상기 탑부(300)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배기가스를 빠르게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 통로부(410)의 내경에 비해 좁게 복수 개만큼 형성되는 노즐(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에서, 상기 반사판은, 각 노즐(420) 출구마다 Y자 혹은 V자의 분기형태로 한 개씩 형성되어 상기 노즐(420)에서 분사되는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액체와 섞임과 동시에 충돌이 일어나는 제1 반사판(430); 및 상기 제1 반사판(430) 상부에 지그재그로 형성된 다수의 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반사판(430)을 통과한 상기 배기가스가 계속하여 상기 액체와 충돌하며 섞이도록 하는 제2 반사판(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에서, 상기 저수부(20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노즐부(400)의 상부 근방에 가스방향 유도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210)를 통해 상기 저수부(200)로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노즐부(400) 측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에서, 상기 저수부(200)에는 상기 상층 저수부(200a) 및 상기 하층 저수부(200b)를 각각 연통하도록 수위조절배관(230)이 구비되어, 상기 수위조절배관(230)을 통해 상기 상층 저수부(200a) 내부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에서, 상기 하층 저수부(200b)에는 액체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고액 분리부(2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에서, 상기 기액 접촉 유도부재(24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흡입구(210) 내측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흡입구(210) 중앙에 위치하는 원추형의 제1 유도부재(241); 가장자리는 상기 흡입구(210) 내측면과 접하고 중앙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상기 제1 유도부재(241)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유도부재(242);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흡입구(210) 내측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유도부재(242) 아래에 위치하는 원추형의 제3 유도부재(243); 및 상기 제1 유도부재(241), 제2 유도부재(242) 및 제3 유도부재(243)를 서로 고정하는 지지봉(2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액 분리부(260)는, 일측이 상기 하층 저수부(200b)와 구획벽(260c)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분리판(261)과, 일측이 하층 저수부(200b)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분리판(26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분리판(261)은, 하층 저수부(200b)의 타측면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1-1 상부 경사판(261′a), 일측이 상기 제1-1 상부 경사판(261′a)과 연결되며 수직하여 위치하는 제1 상부 수직판(261′b), 및 일측이 상기 제1 상부 수직판(261′b)과 연결되며 상기 제1-1 상부 경사판(261′a)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고 하층 저수부(200b) 바닥면과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제1-2 상부 경사판(261′c)으로 이루어진 제1 상부 분리판(261′); 및 상기 제1-1 상부 경사판(261′a)과 마주보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2-1 상부 경사판(261″a), 일측이 상기 제2-1 상부 경사판(261″a)과 연결되며 수직하여 위치하는 제2 상부 수직판(261″b), 및 일측이 상기 제2 상부 수직판(261″b)과 연결되며 상기 제2-1 상부 경사판(261″a)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고 하층 저수부(200b) 바닥면과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제2-2 상부 경사판(261″c)으로 이루어진 제2 상부 분리판(26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분리판(262)은, 하층 저수부(200b)의 바닥면에서 수직하여 위치하는 제1 하부 수직판(262′a), 및 일측이 상기 제1 하부 수직판(262′a)과 연결되며 하층 저수부(200b)와 구획벽(260c)이 만나는 일측 모서리부를 향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1 하부 경사판(262′b)으로 이루어진 제1 하부 분리판(262′); 및 상기 제1 하부 수직판(262′a)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하층 저수부(200b)의 바닥면에서 수직하여 위치하는 제2 하부 수직판(262″a), 및 일측이 상기 제2 하부 수직판(262″a)과 연결되며 하층 저수부(200b)와 구획벽(260c)이 만나는 타측 모서리부를 향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2 하부 경사판(262″b)으로 이루어진 제2 하부 분리판(26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하부 수직판(262′a)과 제2 하부 수직판(262″a)이 이격된 공간에 상기 제1-2 상부 경사판(261′c)과 제2-2 상부 경사판(261″c)이 위치하고, 상기 난류 유도부재(330)는, 중앙 소정 영역이 밀폐되어 평판부(331a), 및 일측은 상기 탑부(300) 내측면과 접하고 타측은 상기 평판부(331a)와 연결되되 소정 각도 하방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상기 평판부(331a)에서 탑부(300) 내측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수개의 가스 배출홀(331c)이 형성된 경사부(331b)를 포함하는 몸체(331); 및 내부가 비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가스 배출홀(331c)에 연결되어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돌기(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분사부에서 분사된 액체는 다수개의 유도부재를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수막을 형성하고, 유입된 배기가스는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수막과 수회 접촉하기 때문에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가스흐름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중으로 분사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공기방울이 제 1 반사판 및 제 2 반사판에 충돌하여 미세한 공기방울로 형성되면서 액체와 배기가스가 혼합이 이루어지므로,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 액체에 침투되어 여과되므로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판에 의해 배기가스가 수중으로 분사 유입되면서 공기방울에 와류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배기가스에 남아 있던 이물질 및 미세먼지의 여과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층 저수부에 고액 분리부가 구비되어 있어 제1 액체 분사부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손실을 줄이면서도 다중 분사노즐을 구비함으로써 유해물질 제거율을 높이면서 동시에 소형화가 가능하여 설치면적과 비용 측면에서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분사노즐 상부에 위치하는 난류 유도부재로 인해 배기가스의 체류시간과 난류강도의 증가를 유도하며, 상승하는 배기가스와 액체가 다시 접촉할 수 있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사노즐을 구비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기액 접촉 유도부재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하층 저수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노즐부의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한 노즐부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유도판과 난류 유도부재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사노즐(420)을 구비한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사노즐(420)을 구비한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100)는 저수부(200), 탑부(300), 팬부(500) 및 노즐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100)는 액체, 보다 상세하게는 산성액체, 염기성액체 및 중성액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액체와 배기가스를 접촉시켜 입자상 물질이나 눈에 잘 보이지 않는 각종 미세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며, 이에 따라 저수부(200)는 상부에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흡입구(2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액체를 저장한다. 흡입구(210)는 파이프 형태를 통해 배기가스를 저수부(200) 내부 공간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저수부(200) 하단에는 액체가 수용되어 있다. 또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흡입구(210) 소정 위치에는 저수부(200) 하단의 액체를 공급하여 분사하기 위한 제1 액체 분사부(250)가 마련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배기가스와 액체와의 접촉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액 접촉 유도부재(240)가 구비되어 있으며, 기액 접촉 유도부재를 확대한 사시도인 도 6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액체 분사부(250) 아래에 위치하여 배기가스와 액체가 2회 이상 접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기액 접촉 유도부재(240)는, 제1 유도부재(241), 제2 유도부재(242), 제3 유도부재(243) 및 지지봉(2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유도부재(24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흡입구(210) 내측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흡입구(210) 중앙에 위치하는 원추형이다. 제2 유도부재(242)는 가장자리는 흡입구(210) 내측면과 접하고 중앙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제1 유도부재(241) 아래에 위치한다. 제3 유도부재(243)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흡입구(210) 내측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2 유도부재(242) 아래에 위치하는 원추형이고, 이들 제1 유도부재(241), 제2 유도부재(242) 및 제3 유도부재(243)는 긴 지지봉(244)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제1 액체 분사부(250)에서 액체를 분사하면 액체는 제1 유도부재(241), 제2 유도부재(242) 및 제3 유도부재(243)의 표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수막을 형성하고, 흡입구(210)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수막과 최소 3번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가스흐름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탑부(300)는 하부가 저수부(200) 일측과 연통되고 상부에는 액체로 세정된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310)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가스의 흐름이 상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탑의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상단 일측에 배기구(310) 혹은 배기구(310)로 연결되는 파이프 등이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팬부(500)는 탑부(300)의 배기구(310)에 연결된 상태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저수부(200)와 탑부(300)의 내부 기압차에 의해 저수부(200)의 액체이 탑부(300) 상측으로 상승하도록 유도한다. 흡입팬 등이 설치되어 배기구(310) 측에서 흡입력을 강하게 발생시키면, 저수부(200)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탑부(300) 측으로 끌려오는 현상과, 저수부(200)에 저장된 액체의 수면이 탑부(300) 하단부에서 상측으로 상승하는 현상이 동시에 유도된다.
노즐부(400)는 이렇게 팬부(500)의 작동에 따른 저수부(200)와 탑부(300)의 압력차에 의해 저수부(200)에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탑부(3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통로 구조를 형성하고, 통로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탑부(300) 상측으로 상승하는 액체로 분사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노즐(4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저수부(200)의 내부 일측에는 노즐부(400)의 상부 근방에 가스방향 유도부(220)가 형성되어, 흡입구(210)를 통해 저수부(20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노즐부(400) 측으로 유동하여 통로에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방향유도부(220)는 평판형으로 구비하여, 흡입구(210) 하단으로부터 노즐부(400)의 입구 측으로 배기가스가 자연스럽게 타고 갈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한편 저수부(200)에서 액체를 저장하는 하부는 구획벽(200c)에 의해 상층 저수부(200a)와 하층 저수부(200b)의 2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층 저수부(200a) 및 하층 저수부(200b)를 각각 연통하도록 수위조절배관(230)이 구비되어, 상층 저수부(200a) 내부에서 액체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수위조절배관(230)을 통해 하층 저수부(200b)로 유입시킴으로써, 내부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하층 저수부(200b)에 위치하는 수위조절배관(230)의 토출구는 하층 저수부(200b)에 저장된 액체 수면 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저장된 액체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들이 재부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층 저수부(200b)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던 입자상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고액 분리부(26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층 저수부를 확대한 사시도인 도 7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고액 분리부(260)는, 하층 저수부(200b)와 구획벽(200c)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상부 분리판(261)과, 하층 저수부(200b)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하부 분리판(262)으로 이루질 수 있다.
먼저 상부 분리판(261)에 관해 설명하면, 제1 상부 분리판(261′)과 제2 상부 분리판(261″)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 상부 분리판(261′)은 하층 저수부(200b)의 타측면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1-1 상부 경사판(261′a), 일측이 제1-1 상부 경사판(261′a)과 연결되며 수직하여 위치하는 제1 상부 수직판(261′b), 및 일측이 상기 제1 상부 수직판(261′b)과 연결되며 상기 제1-1 상부 경사판(261′a)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고 하층 저수부(200b) 바닥면과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제1-2 상부 경사판(261′c)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상부 분리판(261″)은 제1-1 상부 경사판(261′a)과 마주보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2-1 상부 경사판(261″a), 일측이 제2-1 상부 경사판(261″a)과 연결되며 수직하여 위치하는 제2 상부 수직판(261″b), 및 일측이 제2 상부 수직판(261″b)과 연결되며 제2-1 상부 경사판(261″a)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고 하층 저수부(200b) 바닥면과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제2-2 상부 경사판(261″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하부 분리판(262)은, 제1 하부 분리판(262′)과 제2 하부 분리판(262″)으로 이루어지며, 제1 하부 분리판(262′)은 하층 저수부(200b)의 바닥면에서 수직하여 위치하는 제1 하부 수직판(262′a)과, 일측이 제1 하부 수직판(262′a)과 연결되며 하층 저수부(200b)와 구획벽(260c)이 만나는 일측 모서리부를 향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1 하부 경사판(262′b)으로 구성된다.
제2 하부 분리판(262″)은, 제1 하부 수직판(262′a)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하층 저수부(200b)의 바닥면에서 수직하여 위치하는 제2 하부 수직판(262″a)과, 일측이 제2 하부 수직판(262″a)과 연결되며 하층 저수부(200b)와 구획벽(260c)이 만나는 타측 모서리부를 향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2 하부 경사판(262″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제1 하부 수직판(262′a)과 제2 하부 수직판(262″a)이 이격된 공간에 제1-2 상부 경사판(261′c)과 제2-2 상부 경사판(261″c)이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과 같은 고액 분리부(260)를 채용하면, 배기가스로부터 분리된 입자상 물질이 하층 저수부(200b)로 이동하더라도, 제1 하부 분리판(262′)과 제2 하부 분리판(262″)에 의해 이동이 현저히 차단되고, 따라서 이들 제1 하부 분리판(262′)과 제2 하부 분리판(262″) 사이에는 입자상 물질을 거의 포함하지 않은 액체가 모이게 되므로, 제1 액체 분사부(250)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제1 액체 분사부(250)로 공급하기 위한 흡입관(미도시)은 제1 하부 분리판(262′)과 제2 하부 분리판(262″)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제1-1 상부 경사판(261′a), 제2-1 상부 경사판(261″a) 및 구획벽(200c)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의 공간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노즐(420)로 배기가스가 분사되며 액체와 섞이면서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압력의 유지가 힘들어지고 헌팅이 일어나게 되어 기기수명이 단축될 수가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정 집진장치(100)에서는 2단으로 형성되는 저수부(200b)의 구조와, 수위조절배관(230)의 구비를 통해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노즐부(400)의 도면, 도 9 및 10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한 노즐부(400)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400)는 가스통로부(410), 노즐(420) 및 반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스통로부(410)는 일단부가 저수부(200)의 내부 공간과, 타단부가 탑부(300)의 내부 공간과 각각 연통되도록 통로 구조를 형성하여 배기가스의 유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형상의 제한은 특별히 없지만, 배기가스가 흡입구(210)와 가까운 입구로 바로 인입되어 배기구(310)와 가까운 출구에서는 배기구(310) 측을 향해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각 입구 및 출구는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스 통로부(410)의 출구에는, 탑부(300)의 내부 공간으로 배기가스를 빠르게 분사할 수 있도록 가스통로부(410)의 내경에 비해 좁게 복수 개만큼 노즐(4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노즐(420)을 통해 탑부(300)의 액체로 분사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충돌하며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노즐(420)의 상부 일측에 반사판(430, 440)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430, 440)은, 각 노즐(420) 출구마다 Y자 혹은 V자의 분기형태로 한 개씩 형성되어 노즐(420)에서 분사되는 배기가스가 액체와 섞임과 동시에 충돌이 일어나는 제 1 반사판(430) 및 상기 제 1 반사판(430) 상부에 지그재그로 형성된 다수의 통로를 구비하여 제 1 반사판(430)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계속하여 액체와 충돌하며 섞이도록 하는 제 2 반사판(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100)가 동작을 시작하기 전에는 저수부(200) 하단에 수면이 평탄한 채로 액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이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부(500)의 동작으로 인해 저수부(200) 내부 공간과 탑부(300) 내부 공간 사이에 내부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면 탑부(300) 내부의 수면이 상승하게 되고, 흡입구(210)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노즐부(400)의 가스통로부(410)를 지나 노즐(420)을 통해 탑부(300) 내부 공간으로 배출이 유도된다.
이 때, 탑부(300)의 내부 공간에는 이미 약액이 첨가된 액체의 수면이 노즐(420)의 위치보다 상승해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노즐(420)을 통해 액체로 분사유입이 이루어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면서 노즐(420) 출구에서 Y자 혹은 V자 분기형태의 제 1 반사판(430)과 충돌이 되며 양 방향으로 분기가 이루어지고, 와류가 발생하면서 보다 잘 섞이게 된다.
그러면서 팬부(500)로 인한 흡입력 때문에 계속하여 탑부(300) 상부의 배기구(310)로 배기가스가 상승하게 되면서, 액체와 함께 지그재그 통로가 다수 개 형성된 제 2 반사판(440)을 통과하게 된다. 제 2 반사판(440)의 통로 구조로 인해, 제 1 반사판(430)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계속하여 액체와 충돌하며 미세한 공기방울화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수중으로 분사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공기방울이 제 1 반사판(430) 및 제 2 반사판(440)에 충돌하여 미세한 공기방울로 형성되면서 액체와 배기가스가 혼합이 이루어지므로,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 액체에 침투되어 여과되므로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반사판(430, 440)에 의해 배기가스가 수중으로 분사 유입되면서 공기방울에 와류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오염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및 미세먼지의 여과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배기가스와 액체의 접촉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즐부(400) 상부에는 난류 유도부재(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도 4의 유도판과 난류 유도부재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난류 유도부재(330)는, 몸체(331)와 돌기(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몸체(331)는, 가운데 부분은 가스나 액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밀폐되어 있는 평판부(331a)와, 일측은 탑부(300) 내측면과 접하고 타측은 평판부(331a)와 연결되면서 소정 각도 아래로 경사져 있으며, 평판부(331a)에서 탑부(300) 내측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수개의 가스 배출홀(331c)이 형성된 경사부(33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스 배출홀(331c)의 내경은 평판부(331a)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가급적 가스를 난류 유도부재(330) 아래에 머무르게 하기 위함이다.
몸체(331)의 가스 배출홀(331c)에 결합되는 돌기(332)는 가스나 액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부터 상승하는 배기가스는 평판부(331a)에 부딪히기 때문에 바로 배출될 수 없고, 경사부(331b)에는 상협하광 구조의 돌기(332)가 구비되어 있어 배기가스의 체류시간과 난류강도가 증가하며, 게다가 액체가 가스 배출홀(331c)을 통과하여 몸체(331) 위로 이동하더라도 경사부(331b)에 의해 액체는 자연스럽게 아래로 흐르며 특히, 가스 배출홀(331c)을 통해 액체가 떨어지기 때문에 상승하는 배기가스와 다시 한번 접촉할 수 있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난류 유도부재(330) 위에는 제1 유도판(301)과 제2 유도판(30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유도판(301)은 정화된 가스가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위는 좁고 아래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모양으로, 평판부(331a)와 경사부(331b)가 만나는 수직 연장선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영역 안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가스 배출홀(331c)을 통해 상승한 가스가 제1 유도판(301)으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200 : 저수부
200a : 상층 저수부 200b :하층 저수부
200c : 구획벽
210 : 흡입구 220 : 가스방향유도부
230 : 수위조절배관
240 : 기액 접촉 유도부재
241 : 제1 유도부재 242 : 제2 유도부재
243 : 제3 유도부재 244 : 지지봉
250 : 제1 액체 분사부
260 : 고액 분리부
261 : 상부 분리판
261′: 제1 상부 분리판
261′a : 제1-1 상부 경사판 261′b : 제1 상부 수직판
261′c : 제1-2 상부 경사판
261″ : 제2 상부 분리판
261″a : 제2-1 상부 경사판 261″b : 제2 상부 수직판
261″c : 제2-2 상부 경사판
262 : 하부 분리판
262′: 제1 하부 분리판
262′a : 제1 하부 수직판 262′b : 제1 하부 경사판
262″ : 제2 하부 분리판
262″a : 제1 하부 수직판 262″b : 제1 하부 경사판
300 : 탑부
301 : 제1 유도판 302 : 제2 유도판
310 : 배기구
320 : 제2 액체 분사부
330 : 난류 유도부재
331 : 몸체
331a : 평판부 331b : 경사부
331c : 가스 배출홀
332 : 돌기
400 : 노즐부
410 : 가스 통로부 420 : 노즐
430 : 제 1 반사판 440 : 제 2 반사판
500 : 팬부

Claims (7)

  1. 상부에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흡입구(2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액체를 저장하는 상층 저수부(200a)와 하층 저수부(200b)가 구획벽(200c)에 의해 2단으로 형성된 저수부(200);
    하부가 상기 저수부(200) 일측과 연통되고 상부에는 액체로 세정된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310)가 형성된 탑부(300);
    상기 탑부(300)의 배기구(310)에 연결된 상태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저수부(200)와 상기 탑부(300)의 내부 기압차에 의해 상기 저수부(200)의 액체가 상기 탑부(300) 상측으로 상승하도록 유도하는 팬부(500); 및
    상기 팬부(500)의 작동에 따른 상기 저수부(200)와 상기 탑부(300)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저수부(200)에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탑부(3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통로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를 통과한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탑부(300) 상측으로 상승하는 액체로 분사 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노즐(420)이 형성되는 노즐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구(210) 소정 위치에는 액체를 하방으로 분사하는 제1 액체 분사부(25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액체 분사부(250) 아래에는 배기가스와 액체가 2회 이상 접촉할 수 있도록 기액 접촉 유도부재(240)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부(400)에는 상기 노즐(420)을 통해 상기 탑부(300)의 액체로 분사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가 충돌하며 1차적으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노즐(420)의 상부 일측에 반사판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판 상부에는 1차적으로 방향이 전환된 배기가스가 2차적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난류 유도부재(330)가 더 구비되되,
    상기 기액 접촉 유도부재(24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흡입구(210) 내측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흡입구(210) 중앙에 위치하는 원추형의 제1 유도부재(241); 가장자리는 상기 흡입구(210) 내측면과 접하고 중앙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상기 제1 유도부재(241)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유도부재(242);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흡입구(210) 내측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유도부재(242) 아래에 위치하는 원추형의 제3 유도부재(243); 및 상기 제1 유도부재(241), 제2 유도부재(242) 및 제3 유도부재(243)를 서로 고정하는 지지봉(244)으로 이루어지고,
    추가로 구비되는 고액 분리부(260)는, 일측이 상기 하층 저수부(200b)와 구획벽(200c)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분리판(261)과, 일측이 하층 저수부(200b)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분리판(26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분리판(261)은, 하층 저수부(200b)의 타측면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1-1 상부 경사판(261′a), 일측이 상기 제1-1 상부 경사판(261′a)과 연결되며 수직하여 위치하는 제1 상부 수직판(261′b), 및 일측이 상기 제1 상부 수직판(261′b)과 연결되며 상기 제1-1 상부 경사판(261′a)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고 하층 저수부(200b) 바닥면과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제1-2 상부 경사판(261′c)으로 이루어진 제1 상부 분리판(261′); 및 상기 제1-1 상부 경사판(261′a)과 마주보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2-1 상부 경사판(261″a), 일측이 상기 제2-1 상부 경사판(261″a)과 연결되며 수직하여 위치하는 제2 상부 수직판(261″b), 및 일측이 상기 제2 상부 수직판(261″b)과 연결되며 상기 제2-1 상부 경사판(261″a)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고 하층 저수부(200b) 바닥면과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제2-2 상부 경사판(261″c)으로 이루어진 제2 상부 분리판(26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분리판(262)은, 하층 저수부(200b)의 바닥면에서 수직하여 위치하는 제1 하부 수직판(262′a), 및 일측이 상기 제1 하부 수직판(262′a)과 연결되며 하층 저수부(200b)와 구획벽(200c)이 만나는 일측 모서리부를 향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1 하부 경사판(262′b)으로 이루어진 제1 하부 분리판(262′); 및 상기 제1 하부 수직판(262′a)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하층 저수부(200b)의 바닥면에서 수직하여 위치하는 제2 하부 수직판(262″a), 및 일측이 상기 제2 하부 수직판(262″a)과 연결되며 하층 저수부(200b)와 구획벽(200c)이 만나는 타측 모서리부를 향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2 하부 경사판(262″b)으로 이루어진 제2 하부 분리판(26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하부 수직판(262′a)과 제2 하부 수직판(262″a)이 이격된 공간에 상기 제1-2 상부 경사판(261′c)과 제2-2 상부 경사판(261″c)이 위치하고,
    상기 난류 유도부재(330)는, 중앙 소정 영역이 밀폐되어 평판부(331a), 및 일측은 상기 탑부(300) 내측면과 접하고 타측은 상기 평판부(331a)와 연결되되 소정 각도 하방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상기 평판부(331a)에서 탑부(300) 내측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수개의 가스 배출홀(331c)이 형성된 경사부(331b)를 포함하는 몸체(331); 및 내부가 비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가스 배출홀(331c)에 연결되어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돌기(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400)는, 일단부가 상기 저수부(200)의 내부 공간과, 타단부가 상기 탑부(300)의 내부 공간과 각각 연통되도록 통로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배기가스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스 통로부(410); 및
    상기 탑부(300)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배기가스를 빠르게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 통로부(410)의 내경에 비해 좁게 복수 개만큼 형성되는 노즐(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각 노즐(420) 출구마다 Y자 혹은 V자의 분기형태로 한 개씩 형성되어 상기 노즐(420)에서 분사되는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액체와 섞임과 동시에 충돌이 일어나는 제1 반사판(430); 및
    상기 제1 반사판(430) 상부에 지그재그로 형성된 다수의 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반사판(430)을 통과한 상기 배기가스가 계속하여 상기 액체와 충돌하며 섞이도록 하는 제2 반사판(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20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노즐부(400)의 상부 근방에 가스방향 유도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210)를 통해 상기 저수부(200)로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노즐부(400) 측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200)에는 상기 상층 저수부(200a) 및 상기 하층 저수부(200b)를 각각 연통하도록 수위조절배관(230)이 구비되어, 상기 수위조절배관(230)을 통해 상기 상층 저수부(200a) 내부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90034793A 2019-03-27 2019-03-27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KR102010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793A KR102010326B1 (ko) 2019-03-27 2019-03-27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793A KR102010326B1 (ko) 2019-03-27 2019-03-27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326B1 true KR102010326B1 (ko) 2019-10-14

Family

ID=6817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793A KR102010326B1 (ko) 2019-03-27 2019-03-27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3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253B1 (ko) 2019-12-19 2020-05-29 (주)벨이앤씨 악취 및 질소산화물 동시 제거가 가능한 스크러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거방법
CN111603882A (zh) * 2020-06-05 2020-09-01 瑞安市陆恒科技有限公司 一种对脱硫脱硝后的烟气的除尘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886B1 (ko) 2006-06-14 2006-09-25 주식회사 한국이엔지 습식집진기
JP2007051555A (ja) * 2005-08-16 2007-03-0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ガス浄化装置
KR101044810B1 (ko) * 2011-01-10 2011-06-27 다림건설(주) 악취 제거를 위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고도악취처리장치
KR101396537B1 (ko) * 2013-05-02 2014-05-20 (주)리엔텍엔지니어링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1755229B1 (ko) 2016-03-17 2017-07-06 (주)벨이앤씨 다중 분사노즐을 구비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KR101838139B1 (ko) 2017-10-27 2018-03-13 (주)벨이앤씨 배기가스 복합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1555A (ja) * 2005-08-16 2007-03-0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ガス浄化装置
KR100627886B1 (ko) 2006-06-14 2006-09-25 주식회사 한국이엔지 습식집진기
KR101044810B1 (ko) * 2011-01-10 2011-06-27 다림건설(주) 악취 제거를 위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고도악취처리장치
KR101396537B1 (ko) * 2013-05-02 2014-05-20 (주)리엔텍엔지니어링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1755229B1 (ko) 2016-03-17 2017-07-06 (주)벨이앤씨 다중 분사노즐을 구비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KR101838139B1 (ko) 2017-10-27 2018-03-13 (주)벨이앤씨 배기가스 복합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253B1 (ko) 2019-12-19 2020-05-29 (주)벨이앤씨 악취 및 질소산화물 동시 제거가 가능한 스크러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거방법
CN111603882A (zh) * 2020-06-05 2020-09-01 瑞安市陆恒科技有限公司 一种对脱硫脱硝后的烟气的除尘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442B1 (ko) 습식집진기
KR101172708B1 (ko) 습식 가스스크러버
KR101827121B1 (ko) 고효율 다단 와류형 습식 스크러버
KR101039373B1 (ko) 소용돌이 세정집진장치
KR101874338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1180064B1 (ko) 침액식 스크러버
KR102052910B1 (ko)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KR101034385B1 (ko) 하이브리드 스크러버 장치
KR102010326B1 (ko) 기액 접촉효율이 향상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JPH0554365B2 (ko)
KR101817899B1 (ko) 공기 정화 부스가 구비된 도장 부스
CN104984646A (zh) 脱硫塔烟气喷嘴及脱硫装置
KR101989400B1 (ko) 세정 효율을 향상시킨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CA2553925A1 (en) Paint spray booth
KR102072734B1 (ko) 습식 집진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습식 집진 장치
KR20140103742A (ko) 유수식 세정집진장치
KR101755229B1 (ko) 다중 분사노즐을 구비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KR101278171B1 (ko) 가스로부터 이산화황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111152A (ko) 와류형 세정집진장치
KR100627886B1 (ko) 습식집진기
JP3621159B2 (ja) 排ガス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180066B1 (ko) 침액식 스크러버 제어방법
US5022992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ludge
JP2004237258A (ja) 湿式排煙脱硫装置
KR101832898B1 (ko) 효율적인 세정액 혼입 방지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